KR20190042430A - 휴대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430A
KR20190042430A KR1020180051948A KR20180051948A KR20190042430A KR 20190042430 A KR20190042430 A KR 20190042430A KR 1020180051948 A KR1020180051948 A KR 1020180051948A KR 20180051948 A KR20180051948 A KR 20180051948A KR 20190042430 A KR20190042430 A KR 20190042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ashboard
contact
base plat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봉
Original Assignee
김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봉 filed Critical 김태봉
Priority to KR102018005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2430A/ko
Publication of KR2019004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 실내의 계기판 상부의 대쉬보드 모서리 부분을 클램핑하여 결합되는 장착용 클램핑부 및 클램핑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거치대{A SUPPORTER FOR PORTABLE PHON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에서 운전자가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거치하기 위한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는 휴대단말기를 통해 일반적인 길안내 서비스는 물론, 실시간 교통정보를 반영한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운전자들에게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운전중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휴대단말기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차량 실내의 대쉬보드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강하게 부착하여 고정하거나, 흡착판을 이용하여 차량 유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일부는 통풍구의 그릴에 끼워넣거나 클램핑하도록 한 구성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대쉬보드에 접착시켜 고정하는 경우에는 한번 설치한 후에는 위치를 변경하기 어렵고, 전방의 시야를 많이 가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전방에는 설치하지 못하고, 조수석 쪽에 치우치거나 중앙으로 배치하여야 하므로, 운전자의 운전시선으로부터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유리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4319호
생략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계기판 위의 대쉬보드에 클램핑하여 설치한 상태로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차량 실내의 계기판 상부의 대쉬보드 모서리 부분을 클램핑하여 결합되는 장착용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휴대단말기를 차량의 계기판 상부의 대쉬보드 상에 거치할 수 있게 되어, 운전시 휴대단말기를 보기 위해 다른 방향으로 시선을 돌리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용 클램핑부는, 상기 대쉬보드의 상면에 밀착하여 접촉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대쉬보드의 모서리부분을 감싸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마주하며, 상기 대쉬보드의 하부면을 접촉 지지하는 접촉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휴대단말 거치대를 계기판 상부의 대쉬보드의 모서리 부분을 견고하게 클램핑하여 설치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대쉬보드와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 돌기가 형성된 마찰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은 중심부로부터 양측으로 유선형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대쉬보드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날개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접촉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쉬보드의 하부면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대쉬보드에서 미끄러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용 클램핑부에는 금속재질의 탄성용 심체가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장착용 클램핑부의 탄성력을 강화하여, 거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탄성력의 저하를 방지하여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치대를 차량의 계기판의 위쪽의 대쉬보드에 클램핑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전방 시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게 되어 운전에 방해를 주지 않고, 시선을 다른 방향으로 돌리지 않고도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거치대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대쉬보드에 장착한 후에 휴대단말기를 거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자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100)는, 장착용 클램핑부(110)와, 장착용 클램핑부(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휴대단말기 지지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용 클램핑부(110)는 차량의 대쉬보드(10)의 상면에 밀착하여 접촉되는 베이스판(111)과, 베이스판(111)의 일단에서 절곡되는 탄성부(113) 및 상기 탄성부(113)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111)과 마주하는 접촉 지지부(115)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판(111)의 하부면에는 대쉬보드(10)와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돌기(111a)가 형성된 마찰패드(11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돌기(111a)는 소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판(111)의 단부에는 양쪽으로 확장된 날개부(111a)가 형성된다. 이 날개부(111a)는 대쉬보드(10)에 베이스판(111)을 밀착하여 접촉시 양측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되도록 하여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양측의 날개부(111a)는 베이스판(111)의 중심부로부터 유선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대쉬보드(10)와의 접촉시 중심부보다 더 큰 접촉압력을 받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베이스판(111)을 대쉬보드(10)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113)는 베이스판(111)의 끝단에서 라운드형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을 갖는다. 이러한 탄성부(113)는 바람직하게는 계기판 상부의 대쉬보드(10)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접촉 지지부(115)는 탄성부(113)에서 연장되어 베이스판(111)의 하부에 마주하도록 연장된다. 또한, 접촉 지지부(115)는 탄성부(113)에서 멀어지게 연장되면서 베이스판(111)에 점진적으로 가까워지게 절곡 연장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접촉 지지부(115)의 단부에는 대쉬보드(10)의 하부면에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재(117)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재(117)는 접촉 지지부(115)의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무나,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요철구조 또는 소정의 패턴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접촉 지지부(115)에는 마찰부재(117)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15a)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장착용 클램핑부(110)는 차량의 계기판 상부의 대쉬보드(10)의 전방으로 돌출된 단부를 감싸도록 클램핑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111)은 대쉬보드(10)의 상부면에 접촉되고, 탄성부(113)는 대쉬보드(10)의 전방단부에 접촉되며, 접촉 지지부(115)는 대쉬보드(10)의 하부면을 접촉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탄성부(113)는 탄성에 의해 벌어지게 됨으로써, 접촉지지부(115)와 베이스판(111) 사이가 벌어지면서 대쉬보드(10)를 견고하게 클램핑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휴대단말기 거치부(120)는 베이스판(11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체로 연결되거나, 별도로 마련되어 결합 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부(120)는 휴대단말기(20)의 양측면을 각각 클램핑하여 지지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 거치부(120)는 베이스판(111)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소위 집게 구조를 가짐으로써, 휴대단말기(20)의 양측 테두리를 감싸서 클팸핑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휴대단말기 거치부(120)는 베이스판(11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부재(121)와, 클램핑부재(12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3)와, 베이스판(111)과 탄성부재(123) 각각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는 휴대단말기 접촉 스토퍼부재(124,125)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핑부재(121)는 베이스판(111)의 일단부 측의 상부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111b)에 그 일단부가 회동축(1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클램핑부재(121)의 회동축(122)을 중심으로 상기 탄성부재(123)가 설치되어 클램핑부재(121)의 타단이 베이스판(111)으로 탄성 가압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123)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클랭핌부재(121)의 후단을 눌러서 회동시키면, 도 7과 같이 클램핑부재(121)와 베이스판(111) 사이가 벌어지게 되어 그들 사이에 휴대단말기(20)를 끼워넣어서 클램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 지지부(111b)는 베이스판(111)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접촉 스토퍼부재(124,125) 각각은 베이스판(111)의 상부와 클램핑부재(121)의 하면에 각각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접촉 스토퍼부재(124,125) 각각은 휴대단말기(20)와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서, 그 표면에 돌출된 요철부(124a,125a)를 가진다. 또한, 접촉 스토퍼부재(124,125)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클램핑된 상태의 휴대단말기(20)가 미끄러져서 튕겨나가거나 자세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형성된 스토퍼돌기(124b,125b)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의 접촉 스토퍼부재(124,125)는 고무,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계기판의 상부의 대쉬보드(10)에 장착하여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장착용 클램핑부(110)는 대쉬보드(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대쉬보드(10)를 효과적으로 클램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클램핑시 미끄럼 등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 거치부(120)에 휴대단말기(20)를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계기판 상부 즉, 대쉬보드(10)의 상부에 휴대단말기(20)를 배치한 상태로 운전을 할 수 있으므로, 휴대단말기의 네비게이션 기능 등을 확인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전방이 아닌 다른 방향을 주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어서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 거치부(120)가 휴대단말기(20)를 집게 형태로 클램핑하도록 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20)의 배면과 하단을 접촉 지지하도록 하면서, 좌우 측에서 휴대단말기(20)를 크램핑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부(220)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기 거치부(220)는 거치대본체(221)와, 거치대 본체(221)를 장착용 클램핑부(110)의 상부에 대해 자세 변경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223)와, 거치대 본체(221)에 설치되어 휴대단말기(2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 받침대(225)와, 거치대 본체(221)의 양측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휴대단말기(20)의 좌우측을 클램핑하는 클램퍼(227)와, 클램퍼(227)를 벌리도록 거치대 본체(221)의 측면에 설치되는 작동부(229)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단말기 거치부(220)는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 거치대(120,220)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거치구조를 장착용 클램핑부(110)의 상부에 일체로 또는 결합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단말기를 클램핑하기 위하여 베이스판(111)과 클램핑부재(121)의 끝단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휴대단말기 접촉 지지부(119,12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지지부(119,129) 각각은 휴대단말기의 테두리를 감싸서 지지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접촉면에는 마찰패드(119a,129a)가 설치된다. 또한, 접촉 지지부(119,12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된 상태에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클램핑부재(121)를 벌리면 휴대단말기를 클램핑할 때에는 어긋나 있던 접촉 지지부(129)가 하부의 접촉 지지부(119)의 대략 수직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휴대단말기를 수직으로 원하는 자세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113')는 탄성부 몸체(113a)와, 그 탄성부 몸체(113a)의 내부에 일체로 몰딩 결합된 탄성용 심체(113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용 심체(113b)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을 포함하여, 합성 수재 재질의 탄성 몸체(113a)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일체로 몰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탄성부(113')는 탄성력을 증대시키고, 탄성복원력을 증가시켜서 계기판의 상부의 거치할 부분을 강하고 안정되게 클램핑할 수 있는 탄성력을 오랜 시간 제공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용 심체(113b)는 베이스판(111)에서부터 탄성부(113')까지 연장되도록 그 내부에 일체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장착용 클램핑부(110)의 전체에 걸쳐서 금속재질의 탄성용 심체(113b)가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대쉬보드 20..휴대단말기
100..휴대단말기 거치대 110..장착용 클램핑부
111..베이스판 113,113'..탄성부
115..접촉 지지부 120,220..휴대단말기 거치부
121..클램핑부재 123..탄성부재
124,125..접촉 스토퍼부

Claims (2)

  1. 차량 실내의 계기판 상부의 대쉬보드 모서리 부분을 클램핑하여 결합되는 장착용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용 클램핑부는,
    상기 대쉬보드의 상면에 밀착하여 접촉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대쉬보드의 모서리부분을 감싸며,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마주하며, 상기 대쉬보드의 하부면을 접촉 지지하는 접촉 지지부; 및
    상기 접촉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쉬보드의 하부면과의 접촉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대쉬보드와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돌기가 형성된 마찰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은 중심부로부터 양측으로 유선형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대쉬보드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2. 상기 탄성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 몸체와, 상기 탄성부 몸체의 내부에 일체로 몰딩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탄성용 심체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지지부에는 상기 마찰부재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휴대단말기 거치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부재;
    상기 클램핑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판과 탄성부재 각각에 서로 마주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접촉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지지부 각각은 휴대단말기의 테두리를 감싸서 지지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접촉면에는 마찰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 지지부는 서로 접근된 상태에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상기 클램핑부재를 벌리면 휴대단말기를 클램핑할 때에는 어긋나 있던 접촉 지지부가 하부의 접촉 지지부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휴대단말기를 수직 자세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20180051948A 2018-05-04 2018-05-04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190042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948A KR20190042430A (ko) 2018-05-04 2018-05-04 휴대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948A KR20190042430A (ko) 2018-05-04 2018-05-04 휴대단말기 거치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920A Division KR20180107704A (ko) 2017-03-21 2017-10-16 휴대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430A true KR20190042430A (ko) 2019-04-24

Family

ID=6628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948A KR20190042430A (ko) 2018-05-04 2018-05-04 휴대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24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078B1 (ko) * 2020-10-08 2021-04-05 주식회사 유디아이디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19Y1 (ko) 2012-09-18 2014-09-05 송순영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19Y1 (ko) 2012-09-18 2014-09-05 송순영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생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078B1 (ko) * 2020-10-08 2021-04-05 주식회사 유디아이디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KR20220047120A (ko) *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유디아이디 끼움 식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98026A1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KR20090035265A (ko) 차량용 거치대
KR101000038B1 (ko) 자동차용 전자제품 거치대
JP2013043626A (ja) 自動車用携帯機器ホルダ
KR20190042430A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180107704A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0413161Y1 (ko) 차량용 거치대
KR20180015341A (ko) 차량용 휴대장치 거치대
KR200398399Y1 (ko) 자동차용 핸드폰 충전 거치대
KR20170002976U (ko) 자석 거치대
KR20130001512U (ko) 스마트폰 거치대
CN212289691U (zh) 车载支架
KR101889089B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CN210670192U (zh) 超弹指环扣手机支架
KR101533387B1 (ko) 오디오 노브에 설치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218907113U (zh) 一种支架及车辆
CN210000251U (zh) 一种安装支座
KR20160000116U (ko) 차량 전자 장치를 대시보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KR101735634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220826513U (zh) 一种车载支架
JP2000134300A (ja) 携帯電話機用ホルダー
CN211684927U (zh) 手机槽总成及汽车
CN219619019U (zh) 车载手机支架
CN211308412U (zh) 行车记录仪总成和车辆
CN215851019U (zh) 垫板装置以及应用了垫板装置的底座装置和电子设备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