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116U - 차량 전자 장치를 대시보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전자 장치를 대시보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116U
KR20160000116U KR2020140004940U KR20140004940U KR20160000116U KR 20160000116 U KR20160000116 U KR 20160000116U KR 2020140004940 U KR2020140004940 U KR 2020140004940U KR 20140004940 U KR20140004940 U KR 20140004940U KR 20160000116 U KR20160000116 U KR 201600001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adhesive
electronic device
foldable
vehic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첸 스티븐
Original Assignee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140004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116U/ko
Publication of KR201600001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 전자 장치를 상기 계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는, 접착부, 고정부 및 접힘가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전면유리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계기판에 배치되고 또한 상면 및 대향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 상에는 돌출 결합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접힘가능부는 상기 접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접힘가능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전면유리에 고정되어, 상기 플라스틱 계기판 상에 남아 있는 접착제가 없다. 상기 차량 전자 장치는 자력 인력 또는 오목-볼록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 장치에 부착되어, 상기 차량 전자 장치는 상기 고정 장치로부터 쉽게 조립되거나 또는 해체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전자 장치를 계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FIXING DEVICE FOR FIXING A VEHICLE ELECTRONIC DEVICE TO A DASHBOARD}
본 고안은 계기판에 차량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자 장치를 계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학 및 기술의 발전과 함께, 차량의 관련 운행 데이터 또는 운전자의 기호에 따른 주변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계기판에 장착하는 많은 차량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하우징(11), 디스플레이 모듈(12) 및 투명 커버(13)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은 차량의 계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은 상기 투명 커버(13)에 이미지들을 투영시켜, 내려다 보지 않아도, 사용자가 교통량 및 통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해 주는 차량 전자 장치를 형성하고, 이로써 운전 안전성을 개선시킨다.
차량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현재 방법은 전자 장치와 계기판 사이에 미끄럼 방지 패드를 놓거나 또는 접착제를 적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계기판는 편평하지 않은 굴곡을 가지고 보통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차량 전자 장치가 접착제에 의해 계기판에 고정되면, 접착제는 플라스틱 계기판에 남아 있을 수 있어 깨끗이 제거되기가 어렵다. 나아가, 차량 전자 장치는 계기판에 접착제로 접착되기만 하면 제거되기가 어렵고, 절도의 목표가 된다. 차량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패드를 이용하는 것 또한 급제동 또는 차량 충돌의 경우에 있어서, 차량 전자 장치가 미끄러지거나 떨어지기가 쉽다는 문제를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된 단점들을 제거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차량 전자 장치를 상기 계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전면유리에 접착되어, 상기 플라스틱 계기판 상에 남아 있는 접착제가 없다. 상기 차량 전자 장치는 자력 인력, 오목-볼록 결합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 장치에 부착되어, 상기 차량 전자 장치는 상기 고정 장치로 쉽게 조립되거나 또는 해체될 수 있고, 절도의 목표가 될 수 없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차량 전자 장치를 상기 계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는 전면유리와 계기판 사이에 위치되고,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전면유리에 고정되는 접착부; 상면 및 대향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상기 계기판에 배치되는 고정부로, 상기 상면 상에는 돌출 결합 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및 상기 접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힘가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소정의 각이 상기 접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정의되는 방식으로 상기 접힘가능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장치의 돌출 결합 부재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은 상기 고정 장치에 접촉되는 베이스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차량 전자 장치를 상기 고정 장치에 고정한다. 제1자력 부재는 상기 고정 장치에 접촉되는 상기 차량 전자 장치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는 제2자력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차량 전자 장치 및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자력 부재들의 자력 인력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힘가능부, 상기 접착부, 상기 고정부는 굴곡 유연판의 형태로 된 통합 구조이고, 또는 상기 접힘가능부는 피봇 부재이고, 또는 상기 접힘가능부는 피봇 슬롯이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전면유리에 고정되고, 상기 접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각은 상기 접힘가능부의 피봇을 통해 조정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바닥면에 제1미끄럼 방지 패드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 장치의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제2미끄럼 방지 패드가 더 마련된다.
도 1은 종래의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 장치가 차량 전자 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전자 장치를 계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전자 장치의 바닥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전자 장치와 고정 장치의 조립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 장치에 의해 차량 전자 장치가 전면유리에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볼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계기판(B)에 차량 전자 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30)는 전면유리(A)와 상기 계기판(B)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 장치(30)는 접착부(31), 고정부(33), 및 상기 접착부(31)와 상기 고정부(33) 사이의 접힘가능부(36)로 일체로 형성되는 원피스 굴곡판(one-piece bent plate)이다. 상기 접착부(31)에는 상기 전면유리(A)에 고정되기 위해 접착 부재(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접착부(31)와 상기 전면유리(A) 사이의 결합을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접착부(3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지만,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면유리(A)에 상기 접착부(31)의 접착을 제공하는 한, 어떠한 형태든 가능하다. 상기 접착 부재(32)는 양면 접착 테이프, 접착제 또는 전면유리(A)에 상기 접착부(31)를 접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접착 물질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접힘가능부(36)로부터 연장되는 긴 판이고 상기 차량 전자 장치(20)의 고정을 위해 상기 계기판(B) 상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부(33)는 상면(331) 및 대향하는 바닥면(332)을 포함한다. 상기 상면(331)에는 돌출 결합 부재(34), 상기 결합 부재(34)의 일 측에 수신 홈(333), 및 상기 고정 장치(30)의 구조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 부재(34)의 타 측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부재(34)와 상기 접힘가능부(36) 사이에 배치되는 강화 립(reinforced rib, 334)이 마련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접힘가능부(36)는 상기 접착부(31)와 상기 고정부(33)와 일체로 형성되는 유연 구조이고, 금속 또는 다른 유연한 물질들로 만들어지는 판일 수 있다. 상기 접힘가능부(36)의 접힘을 통해, 상기 접착부(31)는 상기 전면유리(A)에 고정된다. 또는, 상기 접힘가능부(36)는 또한 상기 접착부(31)와 상기 고정부(33)로부터 독립적인 피봇 부재일 수 있고, 상기 접착부(31)와 상기 고정부(33)의 일 단에는 상기 피봇 부재의 피봇 삽입을 위한 삽입 구조가 형성된다. 또는, 상기 접힘가능부(36)는 상기 접착부(31)와 상기 고정부(33)의 일 단에 형성되는 피봇 슬롯일 수 있어, 상기 고정부(33)에 대한 상기 접착부(31)의 각(θ)은 상기 접힘가능부(36)의 피봇을 통해 조정될 수 있고, 상기 고정 장치(30)가 서로 다른 차량들의 상기 전면유리(A)와 상기 계기판(B) 사이의 각에 맞도록 조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것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조들이고,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전자 장치(20)를 상기 계기판(B)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30)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그 작동 장점들 및 이들의 사용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 목적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들을 참조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 전자 장치(20)는 베이스(201) 및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커버(20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장치(30)에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201)의 바닥에는, 상기 고정 장치(30)의 결합 부재(34)에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21)이 마련되어, 상기 차량 전자 장치(20)를 상기 고정 장치(30)에 고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자 장치(20)에는 서로 다른 운전자들의 요구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계기판(B)에 상기 차량 전자 장치(2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결합공들(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 장치(30)는 그 사이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 장치(30)와 상기 차량 전자 장치(20) 사이에 위치되는 자력 인력 구조가 더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력 부재(22)는 상기 고정 장치에 접촉되는 상기 차량 전자 장치(20)의 바닥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부(33)의 상면(331)에는 제2자력 부재(35)가 마련되어, 상기 차량 전자 장치(20)와 상기 고정 장치(30)는 상기 제1 및 제2 자력 부재들(22, 35)의 자력 인력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자력 부재(35)는 자력철(magnetic iron)이고, 상기 제2자력 부재(35)를 고정하기 위한 수신 홈(333)이 상기 고정 장치(30)의 고정부(33)의 상면(331)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자력 부재(22)는 상기 자력철에 의해 당겨질 수 있는 금속피스이고 상기 수신홈(333)의 바닥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자력 부재들(22, 35)은 모두 자력철들일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30)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고정 장치(30)가 상기 계기판(B) 상에 보다 단단히 위치되도록 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33)의 상기 바닥면(332)에 제1미끄럼 방지 패드(37)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30)의 상기 고정부(33)의 상면(331)에는 상기 고정 장치(30) 상에 상기 차량 전자 장치(20)의 위치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제2미끄럼 방지 패드(38)가 더 마련되고, 상기 계기판(B)에 대한 상기 차량 전자 장치(20)의 변위를 방지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추가의 실시예들이 만들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하다.
30: 고정 장치
31: 접착부
32: 접착부재
33: 고정부
36: 접힘가능부

Claims (10)

  1. 전면유리와 계기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차량 전자 장치를 상기 계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전면유리에 고정되는 접착부;
    상기 계기판에 배치되고, 상면 및 대향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 상에는 돌출 결합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고정부. ; 및
    상기 접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힘가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소정의 각이 상기 접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정의되는 방식으로 상기 접힘가능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의 돌출 결합 부재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은 상기 고정 장치에 접촉되는 베이스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차량 전자 장치를 상기 고정 장치에 고정하는, 고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자력 부재는 상기 고정 장치에 접촉되는 상기 차량 전자 장치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는 제2자력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차량 전자 장치 및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자력 부재들의 자력 인력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고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력 부재는 자력철이고, 상기 제2자력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수신 홈이 상기 고정 장치의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자력 부재는 상기 자력철에 의해 당겨질 수 있는 금속피스이고 상기 수신 홈의 바닥에 위치되는, 고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접착제인, 고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가능부, 상기 접착부, 상기 고정부는 굴곡 유연판의 형태로 된 통합 구조이고, 상기 접힘가능부의 접힘을 통해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전면유리에 고정되는, 고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가능부는 피봇 부재이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전면유리에 고정되고, 상기 접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각은 상기 접힘가능부의 피봇을 통해 조정가능한, 고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가능부는 피봇 슬롯이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전면유리에 고정되고, 상기 접착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각은 상기 접힘가능부의피봇을 통해 조정가능한, 고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바닥면에 제1미끄럼 방지 패드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 장치의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제2미끄럼 방지 패드가 더 마련되는, 고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접힘가능부는 원피스 굴곡판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는 사각형 형태로 만들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힘가능부로부터 연장되는 긴 판이고 강화 립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
KR2020140004940U 2014-07-01 2014-07-01 차량 전자 장치를 대시보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KR201600001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940U KR20160000116U (ko) 2014-07-01 2014-07-01 차량 전자 장치를 대시보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940U KR20160000116U (ko) 2014-07-01 2014-07-01 차량 전자 장치를 대시보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16U true KR20160000116U (ko) 2016-01-12

Family

ID=5517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940U KR20160000116U (ko) 2014-07-01 2014-07-01 차량 전자 장치를 대시보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11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79B1 (ko) 2016-03-02 2016-07-13 이희우 제단용 꽃 장식대
KR101673486B1 (ko) 2016-06-24 2016-11-07 이희우 제단용 꽃 장식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79B1 (ko) 2016-03-02 2016-07-13 이희우 제단용 꽃 장식대
KR101673486B1 (ko) 2016-06-24 2016-11-07 이희우 제단용 꽃 장식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88731A1 (en) Mounting device for vehicle
CN110573381B (zh) 用于将电子设备固定到表面的安装装置
US20090261219A1 (en) On-vehicle holder of a portable electronic display device
TWM312876U (en) Circuit board fastening device
KR20160000116U (ko) 차량 전자 장치를 대시보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CN210324960U (zh) 背板、背光模组和显示面板
WO2016078424A1 (zh) 汽车内后视附加镜
US20150367786A1 (en) Fixing device for fixing a vehicle electronic device to a dashboard
KR100921437B1 (ko) 네비게이션 거치구조
KR200480938Y1 (ko) 차량의 매립형 네비게이션 장치
US20120036752A1 (en) Point of Purchase Graphic Sign Holder Device
EP2159871A1 (en) Magnetic base for mounting signal transmission devices onto the car body
KR200460500Y1 (ko) 차량용 전화번호 표시기
TWM487227U (zh) 車用電子裝置之固定座
KR200442376Y1 (ko) 차량용 알림판
CN203996002U (zh) 车用电子装置的固定座
JP3192573U (ja) 車両用電子装置固定台
CN107719259B (zh) 固定装置
JP3916367B2 (ja) 表示装置のアース板取付構造
KR20190042430A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180000227U (ko)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
CN220764263U (zh) 车载滑轨支架
WO2021100820A1 (ja) 取付機構
KR200470155Y1 (ko) 액정 패널용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0461091Y1 (ko) 표시기의 고정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