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720A -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720A
KR20150118720A KR1020140044612A KR20140044612A KR20150118720A KR 20150118720 A KR20150118720 A KR 20150118720A KR 1020140044612 A KR1020140044612 A KR 1020140044612A KR 20140044612 A KR20140044612 A KR 20140044612A KR 20150118720 A KR20150118720 A KR 20150118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fixing
holder
device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범
Original Assignee
임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범 filed Critical 임상범
Priority to KR102014004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8720A/ko
Publication of KR2015011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자형 지지프레임; 상기 T자형 지지프레임의 가로방향의 양쪽 말단부에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이륜차의 핸들바에 고정시키는 2개의 클램프; 상기 T자형 지지프레임의 세로방향의 말단부에 형성된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및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에 대한 탈부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은 T자형 지지프레임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홈으로서, 상기 홈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의 웨이브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는 하단부의 양측에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에 형성된 레일의 웨이브에 상응하는 웨이브가 구비되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 내에서 고정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홈의 소정의 위치에 하단부에 형성된 웨이브와 고정홈의 레일에 형성된 웨이브가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MOUNT FOR MOBILE}
본 발명은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나 모터사이클 같은 2륜차에 속도계, 액션캠, 휴대폰 등 하나 이상의 모바일기기를 안전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전거 등의 이륜차를 애용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륜차에 속도계, 액션캠, 휴대폰 등 각종 모바일기기들을 장착할 수 있는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통신기능에 더하여 MP3, DMB, 카메라, 캠코더, 녹음기, 내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자전거 등의 이륜차를 이용하면서도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또한, 건강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모바일기기, 운동량을 체크하기 위한 모바일기기 등도 자전거 등의 이륜차를 이용하면서 사용할 필요성이 크므로, 이러한 모바일기기를 자전거 등 이륜차에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거치대가 소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954호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삽입 고정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단에 폴더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단에 형성된 돌출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부케이스의 타단에 대응하는 상부케이스의 타단에 고정된 인장스프링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고정부재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이륜차의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4973호는 휴대폰 전면을 가로질러 압박하는 투명밴드를 일구성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6386호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측부를 압박하는 측부압박구와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부를 거치하는 하부거치대를 일구성으로 하는 이륜차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1132호는 자전거의 핸들바에 밀착되게 감싸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하단 단부와 연결되어, 추가장치를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체결공을 구비한 추가장치 장착부; 상기 클램프의 일측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체결홈을 가지는 타 부재와 슬라이드 체결이 가능한 슬라이드 체결부; 를 포함하는 자전거용 거치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소개된 모바일 기기 거치 장치들은 모바일 기기의 거치 안정성, 모바일 기기의 이용 편리성, 복수개의 모바일 기기의 장착 가능성 등의 면에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충분히 부응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95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497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63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1132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륜차에 대한 모바일기기의 거치 안정성이 우수하고, 모바일기기의 거치 각도 및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이동시킬 수도 있어서 우수한 시인성 및 이용 편리성을 제공하며, 2개 이상의 모바일기기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서 우수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T자형 지지프레임;
상기 T자형 지지프레임의 가로방향의 양쪽 말단부에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이륜차의 핸들바에 고정시키는 2개의 클램프;
상기 T자형 지지프레임의 세로방향의 말단부에 형성된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및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에 대한 탈부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은 T자형 지지프레임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홈으로서, 상기 홈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의 웨이브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는 하단부의 양측에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에 형성된 레일의 웨이브에 상응하는 웨이브가 구비되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 내에서 고정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홈의 소정의 위치에 하단부에 형성된 웨이브와 고정홈의 레일에 형성된 웨이브가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T자형 프레임과 스토퍼 프레임의 결합 프레임(열십자(+) 형태의 프레임)은 교차지점을 중심으로 둥글게 오목한 형태로 굴곡되고,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의 바로 앞부분은 상기 굴곡방향의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 프레임의 말단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의 앵글조절 및 완충용 범퍼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기기의 앵글조절 및 완충용 범퍼는 다양한 높이를 갖고,
상기 결합수단은 모바일기기에 직접 결합되거나 모바일기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모바일기기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는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에 형성된 레일 위쪽에 모바일기기 고정 홀더의 하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레일 아래쪽에 홀더고정 플레이트를 위치시켜서 이들을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고정되며,
상기 홀더고정 플레이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레일의 웨이브에 상응하는 웨이브가 형성되고,
상기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는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를 더 포함하는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는 2개의 클램프와 T자형 또는 열십자(+)형 프레임을 채용하고, 완충용 범퍼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모바일기기의 거치 안정성이 우수하며; 모바일기기의 거치 각도 및 위치를 이동시킬 수도 있어서 우수한 시인성 및 이용 편리성을 제공하며; 2개의 모바일기기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 우수한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의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의 사시도와 그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의 앵글조절 및 완충용 범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에 모바일기기가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에 모바일기기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와 제2모바일기기 고정용브라켓의 각도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속도계, 액션캠, 휴대폰 등 각종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는 T자형 지지프레임(10); 상기 T자형 지지프레임의 가로방향의 양쪽 말단부에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이륜차의 핸들바(A)에 고정시키는 2개의 클램프(20); 상기 T자형 지지프레임의 세로방향의 말단부에 형성된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30); 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 및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에 대한 탈부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결합수단(미도시)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지지프레임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홈으로서, 상기 홈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의 웨이브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레일(32)이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는 하단부의 양측에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30)에 형성된 레일(32)의 웨이브에 상응하는 웨이브가 구비되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 내에서 고정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홈의 소정의 위치에 하단부에 형성된 웨이브와 고정홈의 레일에 형성된 웨이브가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는,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자형 지지프레임(10)의 세로방향의 프레임을 가로방향 프레임의 위쪽으로 연장시킨 스토퍼 프레임(1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 프레임의 말단은 핸들스템(B)의 밑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스토퍼 프레임(12)의 말단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의 앵글조절 및 완충용 범퍼(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기기의 앵글조절 및 완충용 범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채용됨으로써, 모바일기기의 앵글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앵글조절 및 완충용 범퍼로는 탄성이 좋은 고무소재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의 T자형 프레임(10)은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교차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둥글게 오목한 형태로 굴곡된 형태일 수 있다. 즉 가로프레임의 경우는 굴곡이 형성된 양끝에 클램프가 결합되고, 상기 교차지점으로부터 굴곡이 형성된 세로프레임의 말단에는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30)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홈(30)이 형성된 부분의 바로 앞부분은 굴곡방향의 바깥쪽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프레임(10)과 스토퍼 프레임(12)의 결합형태의 프레임(열십자(+) 형태의 프레임)도 교차지점을 중심으로 둥글게 오목한 형태로 굴곡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홈(30)이 형성된 부분의 바로 앞부분은 굴곡방향의 바깥쪽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T자형 또는 열십자(+) 형태의 프레임의 굴곡과 고정홈의 절곡은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에 고정되는 모바일기기의 시인성 또는 방향성을 좋게 하기 위한 목적과, 프레임이 자전거 핸들바 및 핸들스템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클램프(20)는 핸들바(A)에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그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클램프(20)로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힌지장치 및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핸들바(A)에 탈부착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20)를 핸들바(A)에 고정시킬 때는 클램프와 핸들바 사이에 고정력을 높여주기 위해 고무소재의 완충패드(미도시)(완충패드의 두께를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의 핸들바에 본 발명 고장장치의 클램프를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를 클램프 내면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는 모바일기기 결합수단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모바일기기 결합수단이 삽착판을 갖춘 형태인 경우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는 삽착홈을 갖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모바일기기 결합수단이 삽착홈을 갖춘 형태인 경우에는 모바일기기 고정홀더는 삽착판을 갖춘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로는 모바일기기 결합수단의 잠금 스위치를 포함하는 형태가 사용될 수 도 있다.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30)에 형성된 레일 위쪽에 모바일기기 고정 홀더의 하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레일 아래쪽에 홀더고정 플레이트(41)를 위치시켜서 이들을 고정핀(42)(특히 볼트)에 의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고정 플레이트(41)의 상단부에는 상기 레일의 웨이브에 상응하는 웨이브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핀(42)이 관통하여 고정홀더(40)와 홀더고정 플레이트(41)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하 웨이브를 갖는 양 레일 사이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을 따라 고정홀더의 슬라이딩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 결합수단(미도시)은 모바일기기에 양면테이프, 점착제나 접착제 등에 의하여 직접 결합되거나
모바일기기(80) 또는 모바일기기 케이스(도 7, 70)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모바일기기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예: 상부에 흡반을 구비하고 하부에 고정홀더 결합용 고정부를 구비한 마운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기기 결합수단은 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모바일기기 고정홀더가 삽착홈을 갖춘 형태인 경우 상기 모바일기기 결합수단은 삽착판을 갖춘형태가 될 수 있으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가 삽착판 형태인 경우에는 모바일기기 결합수단은 삽착홈을 갖춘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기기 결합수단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30)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와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50)는
(고정홈(30) 하부에 장착되는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50)와 대비하여 고정홈 상부에 장착되는 상기 고정홀더(40)는 제1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라 칭하여 구분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2와 유사하게)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30)을 통하여 고정핀(42)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50)의 상단부에는 상기 레일(32)의 하부 웨이브에 상응하는 웨이브가 형성될 수 있다(도 9 참조).
상기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5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중심에 고정핀(42) 삽입홈이 구비된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 하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횡방향 핀체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제2모바일기기 또는 제2모바일기기 고정용 브라켓(60) 고정용도의 다리 1개 또는 상호 이격된 다리 2 내지 3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50)의 핀체결구 및,
상기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50)에 결합되는 제2모바일기기(90) 또는 제2모바일기기 고정용 브라켓(60)에 구비된 핀체결구에 삽입·체결되어 모바일기기(90) 또는 제2모바일기기 고정용 브라켓(60)을 고정시키고, 결합각도를 조절하는 고정핀으로서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손잡이가 마련되며,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는 암나사를 포함하는 결합각도 조절수단(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각도 조절수단(52)은 손잡이를 돌려서 고정핀을 조이거나 풀어서 제2모바일기기(90)(속칭 '액션캠') 또는 모바일기기 결합수단의 결합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50)에 제2모바일기기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으로서,
플레이트의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여 모바일기기에 체결되는 제2모바일기기 고정핀(62)을 구비한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 상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횡방향 핀체결구가 형성되고,
고정홀더(50)의 다리에 상응하는 다리 1개 또는 상호 이격된 다리 2 내지 3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제2모바일기기 고정용 브라켓(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각도 조절수단(52)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홀더(50) 및 브라켓(60)의 접면에는 제2모바일기기의 각도 조절상태가 다양한 진동 및 충격에 의하여 변화되지 않도록 상호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된 각도고정부재(51)(61)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에 모바일기기를 결합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제1모바일기기(80)는 제1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에 고정되는 모바일기기로서, 휴대폰, 속도계 등을 의미한다. 상기 제1모바일기기(80)는 기기 뒷면에 직접 결합된 모바일기기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제1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에 고정되거나, 모바일기기 고정 케이스(70)에 삽입된 상태로 모바일기기 고정 케이스(70)의 후방에 구비된 모바일기기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제1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모바일기기(90)는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50)에 고정되거나, 제2모바일기기 고정용 브라켓(60)에 고정되는 모바일기기로서, 액션캠, 조명장치(플래쉬) 등을 의미한다.
상기 제2모바일기기(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위쪽에 배열된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50)에 상응하는 브라켓(60)을 고정핀으로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50)의 핀체결구에 결합시켜 고정시키거나,
고정핀(62)에 의하여 제2모바일기기 고정용 브라켓(6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모바일기기 고정용 브라켓(60)이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40)에 결합각도 조절수단(52)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바일기기(80)의 고정 각도는 스토퍼 프레임(12)의 말단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앵글조절 및 완충용 범퍼(14)의 높이에 의하여 조절되며, 상기 제2모바일기기(90)의 고정 각도는 결합각도 조절수단(52)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A:핸들바 B:핸들스템
10:T자형프레임 12:스토퍼프레임
14:앵글조절및완충용범퍼 20:클램프
30: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 32:레일
40:모바일기기 고정홀더 50: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
52:결합각도조절수단
60:제2모바일기기 고정용 브라켓 62:제2모바일기기 고정핀
70:모바일기기 케이스 80:제1모바일기기
90:제2모바일기기

Claims (4)

  1. T자형 지지프레임;
    상기 T자형 지지프레임의 가로방향의 양쪽 말단부에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이륜차의 핸들바에 고정시키는 2개의 클램프;
    상기 T자형 지지프레임의 세로방향의 말단부에 형성된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및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에 대한 탈부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은 T자형 지지프레임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홈으로서, 상기 홈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의 웨이브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는 하단부의 양측에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에 형성된 레일의 웨이브에 상응하는 웨이브가 구비되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 내에서 고정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고정홈의 소정의 위치에 하단부에 형성된 웨이브와 고정홈의 레일에 형성된 웨이브가 맞물린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는 상기 T자형 지지프레임의 세로방향의 프레임을 가로방향 프레임의 위쪽으로 연장시킨 스토퍼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프레임의 말단은 핸들스템의 밑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T자형 프레임과 스토퍼 프레임의 결합 프레임(열십자(+) 형태의 프레임)은 교차지점을 중심으로 둥글게 오목한 형태로 굴곡되고,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의 바로 앞부분은 상기 굴곡방향의 바깥쪽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프레임의 말단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의 앵글조절 및 완충용 범퍼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기기의 앵글조절 및 완충용 범퍼는 다양한 높이를 갖고,
    상기 결합수단은 모바일기기에 직접 결합되거나 모바일기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모바일기기 고정홀더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는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에 형성된 레일 위쪽에 모바일기기 고정 홀더의 하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레일 아래쪽에 홀더고정 플레이트를 위치시켜서 이들을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고정되며,
    상기 홀더고정 플레이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레일의 웨이브에 상응하는 웨이브가 형성되고,
    상기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는 상기 모바일기기 고정홀더 고정홈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제2모바일기기 고정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KR1020140044612A 2014-04-15 2014-04-15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KR20150118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612A KR20150118720A (ko) 2014-04-15 2014-04-15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612A KR20150118720A (ko) 2014-04-15 2014-04-15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720A true KR20150118720A (ko) 2015-10-23

Family

ID=5442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612A KR20150118720A (ko) 2014-04-15 2014-04-15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87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959B1 (ko) * 2016-02-26 2016-09-28 세화자동차주식회사 감시장비의 장착장치
WO2017146480A1 (ko) * 2016-02-26 2017-08-31 세화자동차주식회사 감시장비의 차량탑재장치
KR20210053893A (ko) 2018-08-31 2021-05-12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959B1 (ko) * 2016-02-26 2016-09-28 세화자동차주식회사 감시장비의 장착장치
WO2017146480A1 (ko) * 2016-02-26 2017-08-31 세화자동차주식회사 감시장비의 차량탑재장치
WO2017146481A1 (ko) * 2016-02-26 2017-08-31 세화자동차주식회사 감시장비의 장착장치
US10518715B2 (en) 2016-02-26 2019-12-31 Sehwa Motor Co., Ltd. Vehicle mounting device for surveillance equipment
US10611316B2 (en) 2016-02-26 2020-04-07 Sehwa Motor Co., Ltd. Installation device for surveillance equipment
KR20210053893A (ko) 2018-08-31 2021-05-12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0154B2 (en) Systems and apparatuses to support an electronic device
US20140160349A1 (en) Engaging structure of electronic imaging device
US20050236541A1 (en) Carrier rack on air-vent
KR101875432B1 (ko)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US9486897B2 (en) Foldable clamp for a mounting system
GB2526381A (en) Sleeve bracket assembly
ATE477040T1 (de) Filter mit einem filtergehäuse
TWM412106U (en) Retaining seat for roof rack of automobile
WO2011092348A8 (de) Vorrichtung zum anbringen eines tablet-computers
WO2006010160A3 (en) Moveable rail system for bed assemblies
TW200631841A (en) Bicycle seat post
CA2534716A1 (en) Buckle assembly
KR20150118720A (ko)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CN108036177B (zh) 一种支撑架
TWI557355B (zh) Can quickly disassemble the assembly
KR200455407Y1 (ko) 이륜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925080B1 (ko)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0470994Y1 (ko)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CN103115331B (zh) 灯具
US10502248B2 (en) Fixing frame
US871155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orientation
TW200605754A (en) Non-tool assembling apparatus and computer housing applying the assembling apparatus
US10232217B1 (en) Electronic gage supporting structure of exercise apparatus
US20150173220A1 (en) Cradle for Electronic Devices
CN104554046A (zh) 携车架夹持自行车的夹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