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893A -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 - Google Patents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893A
KR20210053893A KR1020217006061A KR20217006061A KR20210053893A KR 20210053893 A KR20210053893 A KR 20210053893A KR 1020217006061 A KR1020217006061 A KR 1020217006061A KR 20217006061 A KR20217006061 A KR 20217006061A KR 20210053893 A KR20210053893 A KR 2021005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zinc phthalocyanine
mass
meth
halogenated zi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스케 사카모토
겐타로우 오오이시
히데오 가이치
노조미 시마다
아키라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7/00Porphines; Azaporphines
    • C09B47/04Phthalocyanines abbreviation: Pc
    • C09B47/08Preparation from other phthalocyanine compounds, e.g. cobaltphthalocyanineamine complex
    • C09B47/10Obtaining compounds having halogen atoms directly bound to the phthalocyanine skelet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로서, 화합물 1분자 중의 할로겐 원자의 수가 평균 8개 이상 13개 이하이고, 화합물 1분자 중의 브롬 원자의 수가 평균 11개 이하이며, 화합물 1분자 중의 염소 원자의 수가 평균 2개 미만인,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7

[식 (1) 중, X1~X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
본 발명은,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에 관한 것이다.
컬러 필터는, 백 라이트의 백색광을 투과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컬러 표시를 실현하는 부재이다. 컬러 필터의 녹색 화소부에 대해서는, 고휘도화 및 고색재현화의 요구가 있어, 보급이 예측되는 고색재현 디스플레이의 규격(AdobeRGB, DCI-P3 등)으로의 적합을 가능하게 하는 컬러 필터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색재현화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컬러 필터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고휘도가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용도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C.I. 피그먼트 그린 58 등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착색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안료를 녹색 화소부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규격에서 요구되는 설계 색도에서는, 화소부에 필요한 두께가 너무 커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안료에서는, 노광에 의해 충분히 경화된 화소부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 컬러 필터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은, 고색재현화를 위한 유효한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부터, 고색재현성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용도에서는, 두께가 얇고, 충분히 경화된 화소부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착색력이 높은 녹색 안료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의 결과, 할로겐화율이 낮은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가 높은 착색력을 가지고 있어, 이와 같은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고색재현 디스플레이의 규격(AdobeRGB, DCI-P3 등)에 있어서의 설계 색도여도, 충분히 두께가 얇은 녹색 화소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1분자 중의 할로겐 원자수가 평균 10~14개, 브롬 원자수가 평균 8~12개, 염소 원자수가 평균 2~5개인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을 사용함으로써, 휘도가 높고, 색재현역이 넓은 컬러 필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2015/118720호 팜플렛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에는, 고휘도화의 점에서 한층 더 개량의 여지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휘도 및 착색력이 우수하고, 고색재현용 컬러 필터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당해 안료를 이용한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로서, 화합물 1분자 중의 할로겐 원자의 수가 평균 8개 이상 13개 이하이고, 화합물 1분자 중의 브롬 원자의 수가 평균 11개 이하이며, 화합물 1분자 중의 염소 원자의 수가 평균 2개 미만인,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식 (1) 중, X1~X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지금까지, 컬러 필터의 설계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안료의 질량이 고정되는 경우가 많아, 컬러 필터 중에서의 안료의 몰수가 많을 수록, 바꾸어 말하면 안료의 평균 분자량이 작을 수록, 안료의 발색이 우수하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평균 분자량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브롬 원자보다 원자량이 작은 염소 원자의 수의 평균이 2개 이상이 되도록 설계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검토 결과, 놀랍게도, 브롬 원자의 수를 평균 11개 이하로 한 경우에 있어서, 염소 원자의 수를 2개 미만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휘도가 얻어지는 것이 밝혀졌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일측면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착색력이 우수함과 함께, 휘도도 우수한 것이다. 그 때문에, 상기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의하면, 고색재현 디스플레이의 규격(AdobeRGB, DCI-P3 등)에 있어서의 설계 색도여도, 충분히 두께가 얇고, 당해 설계 색도에 있어서 고휘도를 나타내는 녹색 화소부를 형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용제를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상기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함유하는 화소부를 가지는, 컬러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휘도 및 착색력이 우수하고, 고색재현용 컬러 필터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당해 안료를 이용한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안료가 단색이며 색재현 가능한 C광원에서의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안료 및 안료 조성물>
일 실시 형태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1종 또는 할로겐 원자수가 상이한 복수종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로 구성된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진다.
Figure pct00002
[식 (1) 중, X1~X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있어서,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분자 중의 할로겐 원자의 수의 평균은 8개 이상 13개 이하이다. 즉,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구성하는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자수에 대한, 당해 화합물이 가지는 할로겐 원자수의 총합의 비가, 8 이상 13 이하이다. 또,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있어서,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분자 중의 브롬 원자의 수의 평균은 11개 이하이며, 염소 원자의 수의 평균은 2개 미만이다.
본 실시 형태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상기와 같은 할로겐 원자 조성을 가지기 때문에, 녹색 안료로서 우수한 착색력을 가짐과 함께, 우수한 휘도를 가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의하면, 고색재현 디스플레이의 규격(AdobeRGB, DCI-P3 등)에 있어서의 설계 색도로 충분히 두께가 얇고, 당해 설계 색도에 있어서 고휘도를 나타내는 녹색 화소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색재현 디스플레이의 규격에서 요구되는 설계 색도는, 예를 들면, C광원을 사용한 경우에, (x, y)=(0.210, 0.670)이다(일본 특허공개 2017-16132 등 참조.) .
본 실시 형태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의해 상기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를,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이 추측하고 있다. 즉, 할로겐화율이 높은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서는, 할로겐 원자의 존재에 의해 분자 주변이 혼잡함으로써 입체적인 효과가 크게 흡수 특성에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할로겐 원자 중, 염소 원자보다 원자 반경이 큰 브롬 원자의 투과 스펙트럼에 미치는 영향이, 염소 원자의 투과 스펙트럼에 미치는 영향보다 커진다. 이에 반해, 할로겐화율이 낮은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서는, 흡수 특성에 대한 입체적인 효과의 영향이 약해져, 브롬 원자보다 전자 흡인성이 강한 염소 원자의 흡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브롬 원자의 흡수 특성에 미치는 영향보다 커진다. 그 때문에, 브롬 원자수가 평균 11개 이하이며, 또한, 염소 원자수가 평균 2개 이상이면, 염소 원자의 치환수 및 치환 위치가 상이한 화합물이 다양하게 존재하게 되어, 스펙트럼의 브로드화가 일어난다. 그 결과,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휘도가 저하되고, 또, 착색력이 저하된다고 추측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서는, 염소 원자수가 2개 미만임으로써, 상기와 같은 스펙트럼의 브로드화가 억제되어, 우수한 휘도와 착색력이 얻어진다고 추측된다.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할로겐 원자로서, 브롬 원자 및 염소 원자 중 적어도 한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브롬 원자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할로겐 원자로서, 염소 원자 및 브롬 원자의 한쪽 또는 양쪽 만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즉, 상기 식 (1) 중의 X1~X16은, 염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이면 된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있어서의,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분자 중의 할로겐 원자의 수의 평균은, 착색력을 더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5개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개 이하이다. 할로겐 원자의 수의 평균은, 더 우수한 휘도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개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개 이상이다. 상술한 상한치 및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할로겐 원자의 수의 평균은, 9~12.5개 또는 10~12개이면 된다. 또한, 이하의 동일한 기재에 있어서도, 개별적으로 기재한 상한치 및 하한치는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있어서의,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분자 중의 브롬 원자의 수의 평균은, 더 우수한 휘도 및 착색력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6개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개 이하이다. 브롬 원자의 수의 평균은, 더 우수한 휘도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개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개 이상이다. 브롬 원자의 수의 평균은, 9.3개 이상이어도 된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있어서의,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분자 중의 염소 원자의 수의 평균은, 더 우수한 휘도 및 착색력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9개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3개 이하이다. 염소 원자의 수의 평균은, 더 우수한 휘도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개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개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6개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8개 이상이며, 매우 바람직하게는 1개 이상이며,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3개 이상이다.
상술한 관점에서, 브롬 원자의 수의 평균이 8개 이상 11개 이하이며, 염소 원자의 수의 평균이 0.1개 이상 2개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할로겐 원자의 수(예를 들면, 브롬 원자의 수 및 염소 원자의 수)는, 형광 X선 분석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있어서의, 아연 원자와 각 할로겐 원자의 질량비로부터, 아연 원자 1개당 상대값으로서, 각 할로겐 원자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자로 구성된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일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평균 일차 입자경)은, 0.01μm 이상, 0.015μm 이상 또는 0.02μm 이상이면 된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평균 일차 입자경은, 0.20μm 이하, 0.10μm 이하 또는 0.07μm 이하이면 된다. 여기서, 평균 일차 입자경은, 일차 입자의 장경의 평균치이며, 후술하는 평균 종횡비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일차 입자의 장경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일차 입자의 평균 종횡비는, 보다 우수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1.0 이상, 1.2 이상, 1.3 이상, 1.4 이상 또는 1.5 이상이어도 된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일차 입자의 평균 종횡비는, 보다 우수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3.0 이하, 2.0 미만, 1.8 이하, 1.6 이하 또는 1.4 이하여도 된다.
일차 입자의 평균 종횡비가 1.0~3.0의 범위에 있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종횡비가 5 이상인 일차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횡비가 4 이상인 일차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종횡비가 3을 초과하는 일차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일차 입자의 종횡비 및 평균 종횡비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우선, 투과형 전자현미경(예를 들면 일본 전자 주식회사제의 JEM-2010)으로 시야 내의 입자를 촬영한다. 그리고, 이차원 화상 상에 존재하는 일차 입자의 긴 쪽의 직경(장경)과, 짧은 쪽의 직경(단경)을 측정하여, 단경에 대한 장경의 비를 일차 입자의 종횡비로 한다. 또, 일차 입자 40개에 대해서 장경과, 단경의 평균치를 구하고, 이들 값을 이용하여 단경에 대한 장경의 비를 산출하고, 이것을 평균 종횡비로 한다. 이 때, 시료인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이것을 용매(예를 들면 시클로헥산)에 초음파 분산시키고 나서 현미경으로 촬영한다. 또, 투과형 전자현미경 대신에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예를 들면,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로 구성되는 조(粗)안료(이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라고 한다)를 형성하는 공정과, 당해 조안료를 안료화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를 형성하는 공정은, 클로로설폰산법, 할로겐화 프탈로니트릴법, 용융법 등의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을 합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클로로설폰산법으로서는, 아연 프탈로시아닌을, 클로로설폰산 등의 황산화물계의 용매에 용해하고, 이것에 염소 가스, 브롬을 주입하여 할로겐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의 반응은, 예를 들면, 온도 20~120℃ 또한 3~20시간의 범위에서 행해진다.
할로겐화 프탈로니트릴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환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브롬 외에, 염소 등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프탈산 또는 프탈로디니트릴과, 아연의 금속 또는 금속염을 적당히 출발 원료로서 사용하여, 대응하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몰리브덴산 암모늄 등의 촉매를 이용해도 된다. 이 때의 반응은, 예를 들면, 온도 100~300℃ 또한 7~35시간의 범위에서 행해진다.
용융법으로서는, 염화 알루미늄, 브롬화 알루미늄 등의 할로겐화 알루미늄, 4염화 티탄 등의 할로겐화 티탄, 염화 나트륨, 브롬화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 할로겐화물(이하, 알칼리(토류) 금속 할로겐화물이라고 한다), 염화 티오닐 등, 각종의 할로겐화 시에 용매가 되는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10~170℃ 정도의 용융물 중에서, 아연 프탈로시아닌을 할로겐화제로 할로겐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적합한 할로겐화 알루미늄은, 염화 알루미늄이다. 할로겐화 알루미늄을 이용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의, 할로겐화 알루미늄의 첨가량은, 아연 프탈로시아닌에 대해, 통상은, 3배 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20배 몰이다.
할로겐화 알루미늄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지만, 알칼리(토류) 금속 할로겐화물을 할로겐화 알루미늄에 병용하면 용융 온도를 보다 낮출 수 있어, 조작상 유리하게 된다. 적합한 알칼리(토류) 금속 할로겐화물은, 염화 나트륨이다. 첨가하는 알칼리(토류) 금속 할로겐화물의 양은 용융염을 생성하는 범위 내에서 할로겐화 알루미늄 10질량부에 대해 알칼리(토류) 금속 할로겐화물이 5~15질량부가 바람직하다.
할로겐화제로서는, 염소 가스, 염화 설푸릴, 브롬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화의 온도는 10~170℃가 바람직하고, 30~14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 시간은, 5~100시간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30~45시간이다.
상기 화합물의 2종 이상을 병용하는 용융법은, 용융염 중의 염화물과 브롬화물과 요오드화물의 비율을 조절하거나, 염소 가스, 브롬, 요오드 등의 도입량 및 반응 시간을 변화시키거나 함으로써, 생성되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중에 있어서의 특정 할로겐 원자 조성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의 함유 비율을 임의로 컨트롤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용융법에 의하면, 반응 중의 원료의 분해가 적고 원료로부터의 수율이 보다 우수하며, 강산을 이용하지 않고 염가의 장치에서 반응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료 주입 방법, 촉매종 및 그 사용량,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의 최적화에 의해, 기존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과는 상이한 할로겐 원자 조성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어느 방법이어도, 반응 종료 후, 얻어진 혼합물을 물 또는 염산 등의 산성 수용액 중에 투입하여, 생성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을 침전시킴으로써,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를 얻을 수 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로서는, 이것을 그대로 이용해도 되지만, 그 후, 여과, 물 또는 황산 수소 나트륨수, 탄산 수소 나트륨수, 수산화 나트륨수 세정, 필요에 따라 아세톤, 톨루엔,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유기 용제 세정을 행하여, 건조 등의 후처리를 행하고 나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를, 필요에 따라 아트리터, 볼 밀, 진동 밀, 진동 볼 밀 등의 분쇄기 내에서 건식 마쇄하고 나서 이용해도 된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지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와 동일한 조성을 가진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를 안료화하는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를 혼련함으로써 마쇄하여,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얻는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를 안료화하는 공정은,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를, 무기염 및 유기 용제와 함께 혼련하는 공정이어도 된다. 혼련은, 예를 들면 니더, 믹스뮬러(Mix Muller)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무기염으로서는, 수용성 무기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면,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황산 나트륨 등의 무기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무기염의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0.5~50μm이다. 이와 같은 무기염은, 통상의 무기염을 미분쇄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어진다.
상술한 범위의 평균 일차 입자경을 가지는 안료가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조안료의 사용량에 대한 무기염의 사용량을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무기염의 사용량은, 조안료 1질량부에 대해 5~2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7~1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에는, 조안료 및 무기염을 용해시키지 않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결정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기 용매로서는 수용성 유기 용제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액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액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메톡시메톡시)에탄올, 2-부톡시에탄올, 2-(이소펜틸옥시)에탄올, 2-(헥실옥시)에탄올,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메톡시-2-프로판올, 1-에톡시-2-프로판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기 용제(예를 들면 수용성 유기 용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안료 1질량부에 대해 0.01~5질량부가 바람직하다.
무기염 및 유기 용제를 이용하는 경우,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와, 무기염과,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얻어지지만, 이 혼합물로부터 유기 용제와 무기염을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주체로 하는 고형물에 대해 세정, 여과, 건조, 분쇄 등의 조작을 행해도 된다.
세정으로서는, 수세, 탕세(湯洗) 모두 채용할 수 있다. 세정은, 1~5회의 범위에서 반복하여 행해도 된다. 수용성 무기염 및 수용성 유기 용제를 이용한 경우는, 수세함으로써 용이하게 유기 용제와 무기염을 제거할 수 있다. 필요하면, 산 세정, 알칼리 세정, 유기 용제 세정을 행해도 된다.
상기 세정 및 여과 후의 건조로서는, 예를 들면, 건조기에 설치한 가열원에 의한 80~120℃의 가열 등에 의해, 안료의 탈수 및/또는 탈용제를 하는 회분식 혹은 연속식의 건조 등을 들 수 있다. 건조기로서는, 일반적으로, 상자형 건조기, 밴드 건조기, 스프레이 드라이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이용하는 스프레이 드라이 건조는 페이스트 제작 시에 이(易)분산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건조 후의 분쇄는, 비표면적을 크게 하거나, 일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작게 하거나 하기 위한 조작이 아니라, 예를 들면 상자형 건조기, 밴드 건조기를 이용한 건조의 경우와 같이 안료가 램프형상 등이 되었을 때에 안료를 풀어 분말화하기 위해 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유발, 해머 밀, 디스크 밀, 핀 밀, 제트 밀 등에 의한 분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조안료를 안료화할 때에, 수지를 공존시켜도 된다. 안료화 시에 수지를 공존시킴으로써, 입자의 활성면(활성 성장면)이 수지에 의해 안정화된다. 이것에 의해, 입자 성장의 방향의 편향이 완화되기 때문에, 평균 종횡비가 작은 안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료를 이용함으로써, 화소부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피복하는 수지(이하, 피복 수지라고도 한다)와의 혼합물로서 얻어진다. 그 때문에, 이 방법은,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와, 피복 수지를 포함하는 안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라고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수지를 공존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를 안료화하는 공정은,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를 수지와 함께 혼련하는 공정이면 되고,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안료를, 수지, 무기염 및 유기 용제와 함께 혼련하는 공정이어도 된다.
무기염 및 유기 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수지와, 무기염과,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유기 용제와 무기염을 제거한 후, 필요에 따라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수지를 주체로 하는 고형물에 대해, 세정, 여과, 건조, 분쇄 등의 조작을 행해도 된다.
수지로서는, 산성기를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산성기를 가지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산성기가 활성면(활성 성장면)에 대한 상호 작용을 발현시키기 때문에, 수지가 산성기를 가짐으로써, 일차 입자의 평균 종횡비가 작은 안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산성기로서는, 카르복실기, 설폰산기, 인산기, 및 그 암모늄염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보다 우수한 콘트라스트를 얻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카르복실기가 바람직하다.
수지는, 1종 또는 복수종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비닐계 중합체는, 비닐기를 가지는 모노머(비닐계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고 있다. 비닐계 중합체는, 보다 우수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지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산성기를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를 가진다.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스티렌계 모노머, 비닐에테르계 모노머, 함질소 모노머, (할로겐 치환)탄화수소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그것에 대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비닐계 중합체는, 비닐계 모노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닐계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이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iso-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iso-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iso-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n-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세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에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파라쿠밀페녹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페녹시-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에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페놀(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나프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5-에폭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6,7-에폭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β-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가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모노머는, 1종이어도 복수종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중합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는 상이한 다른 비닐계 모노머를, 각각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것이면 된다. 즉, 중합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다른 비닐계 모노머와의 공중합체이면 된다. 다른 비닐계 모노머는,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이면 되고,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이면 된다. 다른 비닐계 모노머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로기 함유 비닐계 모노머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비닐계 방향족 모노머류,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디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또는 다이아세톤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비닐계 모노머류, N-메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또는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알콕시메틸기 함유 비닐계 모노머류,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이소프렌 등의 올레핀류, 클로로프렌, 또는 부타디엔 등의 디엔류,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n-프로필비닐에테르, 이소프로필비닐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또는 이소부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아세트산 비닐, 또는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지방산 비닐류, 3-(메타)알릴옥시-2-히드록시프로판설폰산, 2-(메타)알릴옥시에틸렌설폰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p-스티렌설폰산, α-메틸-p-스티렌설폰산, 비닐설폰산, 비닐설파민산, (메타)알릴설폰산, 이소프렌설폰산, 4-(알릴옥시)벤젠설폰산, 1-메틸-2-프로펜-1-설폰산, 1,1-디메틸-2-프로펜-1-설폰산, 3-부텐-1-설폰산, 1-부텐-3-설폰산, 2-아크릴아미드-1-메틸프로판설폰산, 2-아크릴아미드프로판설폰산, 2-아크릴아미드-n-부탄설폰산, 2-아크릴아미드-2-페닐프로판설폰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탄설폰산 등의 불포화 설폰산류 등이어도 된다.
비닐계 중합체 중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유량은, 컬러 필터의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는 정도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장점인 높은 투명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비닐계 중합체에 포함되는 전체 모노머 단위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며, 92질량% 이상 또는 94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비닐계 중합체 중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단점인 내열성을 다른 비닐계 모노머로 보충하는 관점에서, 비닐계 중합체에 포함되는 전체 모노머 단위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99질량% 이하, 97질량% 이하 또는 95질량% 이하이면 된다.
수지 중의 비닐계 중합체의 함유량은, 수지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90질량% 이상이면 되고, 100질량%여도 된다. 수지 중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함유량은, 수지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90질량% 이상이면 되고, 100질량%여도 된다.
수지의 산가는, 보다 우수한 콘트라스트를 얻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mgKOH/g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mgKOH/g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90mgKOH/g 이상이다. 수지의 산가는, 현상성을 담보하는 관점에서, 150mgKOH/g 이하, 170mgKOH/g 이하 또는 200mgKOH/g 이하이면 된다. 수지가 비닐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비닐계 중합체의 산가가 상기 범위여도 되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산가가 상기 범위여도 된다.
상기 산가는, 수지 pg 및 페놀프탈레인 시액 1ml를, 톨루엔과 에탄올을 체적비 1:1로 혼합한 혼합 용액 50ml에 용해시킨 시료액을 준비하고, 0.1mol/L 에탄올제 수산화 칼륨 용액(수산화 칼륨 7.0g을 증류수 5.0ml에 용해시켜, 95vol% 에탄올을 첨가함으로써 1000ml로 조정한 것)으로 시료액이 담홍색을 나타낼 때까지 적정을 행하여, 다음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산가=q×r×5.611/p
식 중, q는 적정에 필요로 했던 0.1mol/L 에탄올제 수산화 칼륨 용액의 적정량(ml)을 나타내고, r은 적정에 필요로 했던 0.1mol/L 에탄올제 수산화 칼륨 용액의 역가를 나타내고, p는 수지의 질량(g)을 나타낸다.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200℃ 부근에서의 가열 시에 휘발하지 않도록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00 이상이며, 8000 이상, 10000 이상 또는 15000 이상이어도 된다.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안료 표면을 효율적으로 피복하는 관점에서, 20000 이하, 18000 이하 또는 17000 이하이면 된다. 수지가 비닐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비닐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여도 되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여도 된다. 또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프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보관 시의 안정성을 담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며, 45℃ 이상 또는 50℃ 이상이어도 된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현상성을 담보하는 관점과, 공업적 원료를 용이하게 입수하는 관점에서, 200℃ 이하, 95℃ 이하 또는 65℃ 이하여도 된다. 수지가 비닐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비닐계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상기 범위여도 되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상기 범위여도 된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는, 열시차 분석(DSC)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들 관점에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비닐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산가가 50mgKOH/g 이상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비닐계 중합체에 포함되는 전체 모노머 단위의 질량 기준으로 90질량% 이상 포함하고, 또한, 산성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프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4000 이상이며,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지의 사용량은, 안료를 충분히 피복할 수 있어,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키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조안료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상이며, 0.5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상 또는 1.5질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수지의 사용량은, 보다 우수한 착색력을 가지는 안료가 얻어지기 쉬운 관점 및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키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조안료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하이며, 7.0질량부 이하, 5.0질량부 이하, 3.5질량부 이하 또는 3.0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수지의 사용량은, 예를 들면, 조안료 100질량부에 대해, 0.1~10질량부, 0.5~7.0질량부, 1.0~5.0질량부, 1.0~3.5질량부 또는 1.5~3.0질량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산성기를 가지는 중합체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일 실시 형태의 안료 조성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 실시 형태의 안료 조성물은, 상술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적어도 함유한다. 안료 조성물 중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함유량은, 안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85질량% 이상, 90질량% 이상 또는 95질량% 이상이면 된다. 안료 조성물 중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함유량은, 안료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99질량% 이하, 98질량% 이하 또는 96질량% 이하이면 된다.
안료 조성물은,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피복하는 수지(피복 수지)를 더 함유해도 된다. 이 경우,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수지에 의해 완전하게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안료의 일부는, 수지에 의해 피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가 수지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경우,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수지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피복된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수지에 의해 완전하게 피복된 입자 만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수지에 의해 일부가 피복되고, 일부가 노출된 상태의 입자 만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이들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중에는, 수지에 의해 완전하게 피복되어 있지 않은 입자가 존재해도 된다.
피복 수지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술한 수지이면 된다. 안료 조성물 중의 피복 수지의 함유량은,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키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상이며, 0.5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상 또는 1.5질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안료 조성물 중의 피복 수지의 함유량은, 착색력에 의해 우수한 관점 및 콘트라스트를 보다 향상시키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하이며, 7.0질량부 이하, 5.0질량부 이하, 3.5질량부 이하 또는 3.0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안료 조성물 중의 피복 수지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100질량부에 대해, 0.1~10질량부, 0.5~7.0질량부, 1.0~5.0질량부, 1.0~3.5질량부 또는 1.5~3.0질량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산성기를 가지는 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 조성물은, 상술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피복 수지 이외의 다른 성분을 더 함유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공지의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성분은, 예를 들면, 조안료를 수지와 함께 안료화하는 공정에서 첨가되면 되고,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얻은 후에 첨가되어도 된다.
안료 조성물은, 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고, 예를 들면 고체상(예를 들면 분말상)이다. 안료 조성물 중의 용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0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이다. 안료 조성물을 용제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안료 분산체인 착색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이것을 함유하는 안료 조성물은, 종래의 고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일 수록, 노란빛의 색상이 아니라, 푸른빛의 색상에 특이성이 있는 것이며, 종래의 고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에서는, 달성할 수 없었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막 두께 1.5μm~2.4μm의 도막으로 했을 때에, 단체(單體)로 C광원을 사용하여 측색했을 때의 CIE의 XYZ 표색계에 있어서, 하기 식 (1)~(4)로 둘러싸이는 xy색도 좌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 및 (5)~(7)로 둘러싸이는 xy색도 좌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 및 (8)~(10)으로 둘러싸이는 xy색도 좌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막은,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우선,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2.48g(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가 상기 피복 수지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경우,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피복 수지의 합계량 2.48g)를, BYK-LPN6919(빅케미 사제, 상품명, 고형분:60질량%) 1.24g, 유니딕 ZL-295(DIC 주식회사제, 상품명, 고형분:40질량%) 1.86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mm의 지르콘 비즈를 이용하여 2시간 분산하여 안료 분산체로 한다. 얻어진 안료 분산체 4.0g에 유니딕 ZL-295(DIC 주식회사제, 상품명, 고형분:40질량%) 0.98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첨가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도액으로 한다. 다음에, 도액을 소다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트하여, 90℃에서 3분 건조시킨 후에, 230℃에서 1시간 가열함으로써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색도는, 예를 들면, 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제의 분광 광도계(U-3900)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식 (1):y=-1.766x+0.628
(식 중, x는, 0.11<x<0.17이다.)
식 (2):y=2.477x+0.161
(식 중, x는, 0.11<x<0.17이다.)
식 (3):y=-3.498x+1.177
(식 중, x는, 0.17<x<0.21이다.)
식 (4):y=2.865x-0.159
(식 중, x는, 0.17<x<0.21이다.)
식 (5):y=2.477x+0.161
(식 중, x는, 0.11<x<0.16이다.)
식 (6):y=-3.583x+1.131
(식 중, x는, 0.16<x<0.20이다.)
식 (7):y=2.865x-0.159
(식 중, x는, 0.17<x<0.20이다.)
식 (8):y=2.477x+0.161
(식 중, x는, 0.11<x<0.15이다.)
식 (9):y=-3.680x+1.085
(식 중, x는, 0.15<x<0.19이다.)
식 (10):y=2.865x-0.159
(식 중, x는, 0.17<x<0.19이다.)
본 실시 형태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이것을 함유하는 안료 조성물은 공지 관용의 용도에 사용 가능하고, 컬러 필터용이나, 도료, 플라스틱, 인쇄 잉크, 고무, 인조가죽, 나염, 전자 토너, 제트 잉크, 열전사 잉크 등의 착색용으로 적합하다. 이 중에서도, 컬러 필터용의 녹색 안료 및 녹색 안료 조성물, 특히 컬러 필터가 가지는 녹색 화소부에 이용되는 녹색 안료 및 녹색 안료 조성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술한 대로, 본 실시 형태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할로겐 원자의 수가 평균 8개 이상 13개 이하이고, 브롬 원자의 수가 평균 11개 이하이며, 염소 원자의 수가 평균 2개 미만이기 때문에, 착색력이 우수함과 함께 휘도에도 우수하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이것을 함유하는 안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xy색도 좌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며, 당해 안료 및 안료 조성물에 의하면, 고색재현 디스플레이의 규격(AdobeRGB, DCI-P3 등)에 있어서의 설계 색도여도, 충분히 두께가 얇고, 고휘도를 나타내는 녹색 화소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이것을 함유하는 안료 조성물을 컬러 필터의 녹색 화소부의 형성에 이용하는 경우, 특별히 황색 안료를 조색을 위해 병용할 필요가 없고, 병용한다고 해도 보다 소량이면 된다. 그 결과, 380~780nm의 전역에 있어서의 광투과율의 저하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다.
<착색 조성물>
일 실시 형태의 착색 조성물은, 상술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용제를 적어도 함유한다.
착색 조성물은,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피복하는 수지(피복 수지)를 더 함유해도 된다. 피복 수지의 종류 및 함유량은, 상술한 안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피복 수지로서 설명한 수지와 동일하면 되고, 바람직한 형태도 동일하다.
용제로서는,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이나 크실렌, 메톡시벤젠 등의 방향족계 용제, 아세트산 에틸이나 아세트산 부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트산 에스테르계 용제, 에톡시에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프로피오네이트계 용제,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부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제, 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제, N,N-디메틸포름아미드, γ-부티로락탐, N-메틸-2-피롤리돈, 아닐린, 피리딘 등의 질소 화합물계 용제,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계 용제, 카르바민산 메틸과 카르바민산 에틸의 48:52의 혼합물 등의 카르바민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제는, 바람직하게는, 극성을 가지고 물에 가용인 용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피오네이트계 용제, 알코올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케톤계 용제, 질소 화합물계 용제, 또는 락톤계 용제이다.
용제의 함유량은, 안료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 300질량부 이상이면 되고, 1000질량부 이하이면 된다.
착색 조성물은, 필요하면, 경제성을 고려하여,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이외의 유기 안료, 유기 염료, 유기 안료 유도체 등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유기 안료로서는, 공지 관용의 녹색 할로겐화 구리 프탈로시아닌, 그 외의 녹색 할로겐화 이종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 등의 녹색 할로겐화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조색용의 황색 안료를 이용해도 된다. 황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C.I. 피그먼트 옐로우 83, 동일 110, 동일 129, 동일 138, 동일 139, 동일 150, 동일 180, 동일 185, 동일 231 등의 황색 유기 안료를 들 수 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와 황색 안료의 병용 비율은, 예를 들면,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100질량부당, 황색 안료가 1~400질량부이다. 유기 안료 유도체는, 예를 들면, 공지의 유기 안료의 일부가, 설폰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프탈이미드메틸기 등으로 수식(치환)된 유도체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Solsperse(등록 상표명) 5000, 동일 12000, 동일 22000(루브리졸 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착색 조성물은, 상기 이외의 성분으로서, 분산제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분산제로는, 아민가를 가지는 수지 등의 공지 관용의 분산제를 이용할 수 있다.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ANTI-TERRA(등록 상표명) U/U100, 동일 204, DISPERBYK(등록 상표명) 106, 동일 108, 동일 109, 동일 112, 동일 130, 동일 140, 동일 142, 동일 145, 동일 161, 동일 162, 동일 163, 동일 164, 동일 167, 동일 168, 동일 180, 동일 182, 동일 183, 동일 184, 동일 185, 동일 2000, 동일 2001, 동일 2008, 동일 2009, 동일 2013, 동일 2022, 동일 2025, 동일 2026, 동일 2050, 동일 2055, 동일 2150, 동일 2155, 동일 2163, 동일 2164, 동일 9076, 동일 9077, BYK LPN-6919, 동일 21116, 동일 21324, 동일 22102(빅케미 주식회사제), EFKA(등록 상표명) 46, 동일 47, 동일 4010, 동일 4020, 동일 4320, 동일 4300, 동일 4330, 동일 4401, 동일 4570, 동일 5054, 동일 7461, 동일 7462, 동일 7476, 동일 7477(BASF 주식회사제), 아지스퍼(등록 상표명) PB814, 동일 821, 동일 822, 동일 881(아지노모토 파인 테크노 주식회사제), Solsperse(등록 상표명) 24000, 동일 28000, 동일 37500, 동일 76500(루브리졸 주식회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제의 함유량은, 안료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 5질량부 이상이면 되고, 120질량부 이하이면 된다.
착색 조성물은 또한, 상기 이외의 성분으로서, 레벨링제, 커플링제, 카티온계의 로진, 계면활성제, 바인더 수지, 감광성의 화합물(예를 들면 감광성 수지), 경화성 수지 등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감광성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은, 감광성 착색 조성물이라고 할 수도 있다. 감광성의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스티렌말레산계 수지, 스티렌무수말레산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예를 들면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비스(아크릴옥시에톡시)비스페놀 A, 3-메틸펜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모노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감광성 착색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함유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벤질디메틸케탄올, 벤조일퍼옥사이드, 2-클로로티옥산톤, 1,3-비스(4'-아지드벤잘)-2-프로판, 1,3-비스(4'-아지드벤잘)-2-프로판-2'-설폰산, 4,4'-디아지드스틸벤-2,2'-디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감광성 착색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또는 이것을 함유하는 안료 조성물과, 용제와, 필요에 따라 분산제를 이용하여 분산액(착색 조성물)을 조제하고 나서, 그것에 감광성의 화합물 등을 첨가하여 조제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감광성 수지의 함유량은, 상기의 분산액 100질량부에 대해, 3질량부 이상이면 되고, 20질량부 이하이면 된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감광성 수지 1질량부에 대해, 0.05질량부 이상이면 되고, 3질량부 이하이면 된다.
조색용의 황색 안료 등을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황색 안료와, 용제와, 필요에 따라 분산제를 이용하여 분산액을 조제하고 나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포함하는 분산액과, 황색 안료를 포함하는 분산액과, 감광성의 화합물 등을 혼합함으로써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조제해도 된다. 또,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포함하는 분산액에 감광성의 화합물 등을 첨가하여 녹색 조색용 조성물을 조제하고, 황색 안료를 포함하는 분산액에 감광성의 화합물 등을 첨가하여 황색 조색용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 녹색 조색용 조성물과 황색 조색용 조성물을 혼합함으로써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조제해도 된다.
<컬러 필터>
일 실시 형태의 컬러 필터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함유하는 화소부를 가진다. 컬러 필터는, 전형적으로는, 적색 화소부와, 청색 화소부와, 녹색 화소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함유하는 화소부는, 바람직하게는 녹색 화소부이다. 이 경우, 녹색 화소부의 두께는, 예를 들면, 3.6μm 이하이다.
화소부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피복하는 수지(피복 수지)를 더 함유해도 된다. 피복 수지의 종류 및 함유량은, 상술한 안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설명한 수지와 동일하면 되고, 바람직한 형태도 동일하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함유하는 화소부는, 상술한 착색 조성물(감광성 착색 조성물)로부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착색 조성물(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스핀 코트법, 롤 코트법, 잉크젯법 등으로 유리 기판 등의 투명 기판 상에 도포하고, 다음에 이 도포 막에 대해서, 포토마스크를 통하여 자외선에 의한 패턴 노광을 행한 후, 미노광 부분을 유기 용제나 알칼리수 등으로 세정하여 착색 패턴을 얻는, 포토리소그래피로 불리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화소부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착법, 전사법, 미셀 전해법, PVED(Photovoltaic Electrodeposition)법 등의 방법으로 화소부의 패턴을 형성하여, 컬러 필터를 제조해도 된다.
다른 화소부(예를 들면 적색 화소부 및 청색 화소부)도 공지의 안료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조안료)의 합성>
[합성예 1]
300ml 플라스크에, 염화 설푸릴(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90g, 염화 알루미늄(칸토 화학 주식회사제) 109g, 염화 나트륨(도쿄 화성공업 주식회사제) 15g, 아연 프탈로시아닌(DIC 주식회사제) 30g 및 브롬(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69g을 주입했다. 80℃까지 승온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물에 취출한 후, 여과하고, 수세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1)을 얻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1)에 대해서, 주식회사 리가쿠제의 ZSX100E를 사용한 형광 X선 분석을 행하여, 아연 원자, 염소 원자 및 브롬 원자의 질량비로부터, 아연 원자 1개당 상대값으로서, 평균 염소 원자수 및 평균 브롬 원자수를 산출했다. 또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1g을 가압 성형(成型)(25mmφ)한 것을 측정 시료로 하여, 측정 직경 20mmφ, 진공 분위기 하에서 측정했다. 그 결과,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1)에서는, 1분자 중의 할로겐 원자수가 평균 12.4개이며, 그 중 브롬 원자수가 평균 10.6개, 염소 원자수가 평균 1.9개였다.
[합성예 2]
300ml 플라스크에, 염화 설푸릴(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70g, 염화 알루미늄(칸토 화학 주식회사제) 105g, 염화 나트륨(도쿄 화성공업 주식회사제) 14g, 아연 프탈로시아닌(DIC 주식회사제) 27g 및 브롬(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52g을 주입했다. 110℃까지 승온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물에 취출한 후, 여과하고, 수세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2)을 얻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2)에 대해서, 합성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균 염소 원자수 및 평균 브롬 원자수를 산출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2)에서는, 1분자 중의 할로겐 원자수가 평균 11.8개이며, 그 중 브롬 원자수가 평균 9.9개, 염소 원자수가 평균 1.9개였다.
[합성예 3]
300ml 플라스크에, 염화 설푸릴(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70g, 염화 알루미늄(칸토 화학 주식회사제) 105g, 염화 나트륨(도쿄 화성공업 주식회사제) 14g, 아연 프탈로시아닌(DIC 주식회사제) 27g 및 브롬(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54g을 주입했다. 80℃까지 승온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물에 취출한 후, 여과하고, 수세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3)을 얻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3)에 대해서, 합성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균 염소 원자수 및 평균 브롬 원자수를 산출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3)에서는, 1분자 중의 할로겐 원자수가 평균 11.4개이며, 그 중 브롬 원자수가 평균 10.2개, 염소 원자수가 평균 1.2개였다.
[합성예 4]
300ml 플라스크에, 염화 설푸릴(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70g, 염화 알루미늄(칸토 화학 주식회사제) 105g, 염화 나트륨(도쿄 화성공업 주식회사제) 14g, 아연 프탈로시아닌(DIC 주식회사제) 27g 및 브롬(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52g을 주입했다. 80℃까지 승온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물에 취출한 후, 여과하고, 수세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4)을 얻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4)에 대해서, 합성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균 염소 원자수 및 평균 브롬 원자수를 산출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4)에서는, 1분자 중의 할로겐 원자수가 평균 10.4개이며, 그 중 브롬 원자수가 평균 9.3개, 염소 원자수가 평균 1.2개였다.
[합성예 5]
300ml 플라스크에, 염화 설푸릴(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91g, 염화 알루미늄(칸토 화학 주식회사제) 109g, 염화 나트륨(도쿄 화성공업 주식회사제) 15g, 아연 프탈로시아닌(DIC 주식회사제) 30g 및 브롬(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63g을 주입했다. 130℃까지 승온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물에 취출한 후, 여과하고, 수세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5)을 얻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5)에 대해서, 합성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균 염소 원자수 및 평균 브롬 원자수를 산출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5)에서는, 1분자 중의 할로겐 원자수가 평균 13.0개이며, 그 중 브롬 원자수가 평균 10.3개, 염소 원자수가 평균 2.7개였다.
[합성예 6]
300ml 플라스크에, 염화 설푸릴(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90g, 염화 알루미늄(칸토 화학 주식회사제) 105g, 염화 나트륨(도쿄 화성공업 주식회사제) 14g, 브롬(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14g을 주입하여 혼합했다. 아연 프탈로시아닌(DIC 주식회사제) 22g 및 브롬(후지필름 와코순약 주식회사제) 136g을 주입한 후, 50℃로 승온하여, 2시간 교반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물에 취출한 후, 여과하고, 수세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6)을 얻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6)에 대해서, 합성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균 염소 원자수 및 평균 브롬 원자수를 산출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6)에서는, 1분자 중의 할로겐 원자수가 평균 9.8개이며, 그 중 브롬 원자수가 평균 9.5개, 염소 원자수가 평균 0.3개였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1>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1) 40g, 분쇄한 염화 나트륨 400g 및 디에틸렌글리콜 63g을 쌍완형 니더에 주입하여, 80℃에서 8시간 혼련했다. 혼련 후, 얻어진 혼합물을 80℃의 물 2kg에 취출했다. 1시간 교반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탕세하여, 건조시키고, 분쇄함으로써, 녹색 안료로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RP1)를 얻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RP1) 2.48g을, BYK LPN-6919(빅케미 사제, 상품명, 고형분:60질량%) 1.24g, 유니딕 ZL-295(DIC 주식회사제, 상품명, 고형분:40질량%) 1.86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92g과 함께 0.3~0.4mm의 지르콘 비즈를 이용하여, 도요정기 주식회사제의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하여, 녹색 안료 분산체(RMG1)를 얻었다.
<실시예 2~4, 비교예 1>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1) 대신에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2)~(R5)를 각각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RP2)~(RP4) 및 (RP6)을 각각 얻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RP1) 대신에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RP2)~(RP4) 및 (RP6)을 각각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녹색 안료 분산체(RMG2)~(RMG4) 및 (RMG6)을 각각 얻었다.
<실시예 5>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3) 40g, 아크릴 수지인 TS-1316(세이코우 PMC 주식회사제, 상품명) 1.2g, 분쇄한 염화 나트륨 400g 및 디에틸렌글리콜 63g을 쌍완형 니더에 주입하여, 80℃에서 8시간 혼련했다. 혼련 후, 얻어진 혼합물을 80℃의 물 2kg에 취출했다. 1시간 교반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탕세하여, 건조시키고, 분쇄함으로써, 아크릴 수지(TS-1316)로 피복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RP5)를 포함하는 녹색 안료 조성물(RG5)을 얻었다. 아크릴 수지(TS-1316)의 함유량은,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RP5) 100질량부에 대해, 3.0질량부였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RP1) 2.48g 대신에 녹색 안료 조성물(RG5) 2.48g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녹색 안료 분산체(RMG5)를 얻었다.
<실시예 6>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1) 대신에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R6)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RP7)를 얻었다.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RP1) 대신에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RP7)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녹색 안료 분산체(RMG7)를 얻었다.
<컬러 필터 특성의 평가(1)>
(평가용 조성물(RCG)의 조제)
녹색 안료 분산체(RMG1) 4.0g에 유니딕 ZL-295(DIC 주식회사제, 상품명, 고형분:40질량%) 0.98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첨가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컬러 필터용 녹색 화소부로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용 조성물(RCG1)을 얻었다. 또, 녹색 안료 분산체(RMG1) 대신에 녹색 안료 분산체(RMG2)~(RMG7)를 각각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조성물(RCG2)~(RCG7)을 각각 제작했다.
(평가용 기판의 제작)
평가용 조성물(RCG1)~(RCG7)을, 각각, 소다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트하여, 90℃에서 3분 건조시킨 후에, 230℃에서 1시간 가열했다. 이것에 의해, 착색막을 소다 유리 기판 상에 가지는, 평가용 유리 기판을 제작했다. 또한, 스핀 코트할 때에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230℃에서 1시간 가열하여 얻어지는 착색막의 막 두께를 조정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착색막의 막 두께가 1.5μm인 평가용 유리 기판, 착색막의 막 두께가 1.9μm인 평가용 유리 기판 및 착색막의 막 두께가 2.4μm인 평가용 유리 기판을 각각 제작했다. 막 두께는, 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제의 백색 간섭 현미경(VS1330)으로 측정했다.
(평가)
각 평가용 유리 기판에 대해서, 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제의 분광 광도계(U-3900)를 이용하여, 착색막의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얻어진 착색막의 색도(x, y)를, CIE의 XYZ 표색계에 있어서의 xy색도 좌표에 플롯했다. 또한, 도 1에는, 하기 식 (1)~(4)로 둘러싸이는 색도 좌표 영역 A, 하기 식 (1) 및 (5)~(7)로 둘러싸이는 xy색도 좌표 영역 B, 하기 식 (1) 및 (8)~(10)으로 둘러싸이는 xy색도 좌표 영역 C를 나타냈다.
식 (1):y=-1.766x+0.628
(식 중, x는, 0.11<x<0.17이다.)
식 (2):y=2.477x+0.161
(식 중, x는, 0.11<x<0.17이다.)
식 (3):y=-3.498x+1.177
(식 중, x는, 0.17<x<0.21이다.)
식 (4):y=2.865x-0.159
(식 중, x는, 0.17<x<0.21이다.)
식 (5):y=2.477x+0.161
(식 중, x는, 0.11<x<0.16이다.)
식 (6):y=-3.583x+1.131
(식 중, x는, 0.16<x<0.20이다.)
식 (7):y=2.865x-0.159
(식 중, x는, 0.17<x<0.20이다.)
식 (8):y=2.477x+0.161
(식 중, x는, 0.11<x<0.15이다.)
식 (9):y=-3.680x+1.085
(식 중, x는, 0.15<x<0.19이다.)
식 (10):y=2.865x-0.159
(식 중, x는, 0.17<x<0.19이다.)
Figure pct00004
<컬러 필터 특성의 평가(2)>
(조색용 조성물(TY)의 조제)
C.I. 피그먼트 옐로우 185(BASF 주식회사제, Paliotol Yellow D1155) 1.65g을, DISPERBYK-161(빅케미 사제, 고형분:30질량%) 3.85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1.00g과 함께 0.3~0.4mm의 지르콘 비즈를 이용하여,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하여, 황색 안료 분산체(MY1)를 얻었다. 황색 안료 분산체(MY1) 4.0g에, 유니딕 ZL-295(DIC 주식회사제, 상품명, 고형분:40질량%) 0.98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22g을 첨가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조색용 조성물(TY1)을 얻었다.
(평가용 조성물(RDG)의 조제)
평가용 조성물(RCG1)~(RCG7)을, 각각, 조색용 조성물(TY1)과 혼합하여, 컬러 필터용 녹색 화소부로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용 조성물(RDG1)~(RDG7)을 조제했다. 조색용 조성물(TY)과 평가용 조성물(RCG)의 배합비(TY:RCG, 질량비)는,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가 (0.210, 0.670)인 녹색 화소부가 얻어지도록 조정했다.
(평가용 기판의 제작)
평가용 조성물(RDG1)~(RDG7)을, 각각, 소다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트하여, 90℃에서 3분 건조시켰다. 이것에 의해, C광원에 있어서의 색도(x, y)가 (0.210, 0.670)인 착색막을 소다 유리 기판 상에 가지는, 평가용 유리 기판을 제작했다. 색도(x, y)는, 분광 광도계(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제의 U-3900)에 의해 측정했다.
(평가)
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제의 분광 광도계(U-3900)로 휘도 Y를 측정하고, 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제의 백색 간섭 현미경(VS1330)으로 착색막의 막 두께를 측정했다. 또한, 막 두께가 얇을 수록 고착색력이라고 할 수 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휘도 및 착색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고색재현용 컬러 필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로서,
    상기 화합물 1분자 중의 할로겐 원자의 수가 평균 8개 이상 13개 이하이고,
    상기 화합물 1분자 중의 브롬 원자의 수가 평균 11개 이하이며,
    상기 화합물 1분자 중의 염소 원자의 수가 평균 2개 미만인,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Figure pct00006

    [식 (1) 중, X1~X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2. 청구항 1에 기재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와, 용제를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
  3. 청구항 1에 기재된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함유하는 화소부를 가지는, 컬러 필터.
KR1020217006061A 2018-08-31 2019-08-21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 KR202100538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63801 2018-08-31
JPJP-P-2018-163801 2018-08-31
PCT/JP2019/032704 WO2020045199A1 (ja) 2018-08-31 2019-08-21 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893A true KR20210053893A (ko) 2021-05-12

Family

ID=6964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061A KR20210053893A (ko) 2018-08-31 2019-08-21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09649B2 (ko)
KR (1) KR20210053893A (ko)
CN (1) CN112601790B (ko)
TW (1) TWI828743B (ko)
WO (1) WO20200451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231A (ko) 2021-09-14 2023-03-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148A (ko) * 2020-10-15 2023-06-13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필터용 안료,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
EP4266094A1 (en) 2020-12-16 2023-10-25 FUJIFILM Corporation Composition, membrane, optical filter, solid image pickup element,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nfrared ray sensor
JPWO2022130773A1 (ko) 2020-12-17 2022-06-23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720A (ko) 2014-04-15 2015-10-23 임상범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947A (ja) * 2001-12-26 2003-07-09 Dainippon Ink & Chem Inc カラーフィルター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JP5689586B2 (ja) * 2009-01-13 2015-03-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顔料分散組成物、着色感光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2803396B (zh) * 2009-06-05 2014-10-22 大日精化工业株式会社 绿色颜料、其制造方法、含有该绿色颜料的着色剂以及使用了该绿色颜料的着色方法
CN105829925B (zh) * 2014-02-07 2019-04-30 Dic株式会社 滤色器用绿色颜料组合物以及滤色器
KR102186496B1 (ko) * 2015-03-27 2020-12-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6704675B2 (ja) * 2015-03-30 2020-06-03 住友化学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
KR102558752B1 (ko) * 2015-04-21 2023-07-24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필터용 녹색 안료 조성물 및 컬러 필터
WO2018051876A1 (ja) * 2016-09-13 2018-03-22 Dic株式会社 ポリ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ポリ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及びこれを画素部に有するカラー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720A (ko) 2014-04-15 2015-10-23 임상범 이륜차용 모바일기기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231A (ko) 2021-09-14 2023-03-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표시장치
KR20230053574A (ko) 2021-09-14 2023-04-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01790A (zh) 2021-04-02
TWI828743B (zh) 2024-01-11
WO2020045199A1 (ja) 2020-03-05
CN112601790B (zh) 2023-05-09
JPWO2020045199A1 (ja) 2020-09-03
JP6809649B2 (ja) 2021-01-06
TW202016222A (zh) 202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0701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緑色顔料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4752590B2 (ja) ポリ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KR20210053893A (ko) 할로겐화 아연 프탈로시아닌 안료,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
KR102475159B1 (ko) 폴리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폴리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이것을 화소부에 갖는 컬러필터
JP4882515B2 (ja) ポリ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KR102558752B1 (ko) 컬러 필터용 녹색 안료 조성물 및 컬러 필터
JP2007284589A (ja) ポリ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7047679B2 (ja) 顔料組成物、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6938871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6477977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4539477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2018180023A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2019038958A (ja) 塩素化臭素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及びこれを含有するカラーフィルタ
JP2020033526A (ja) ハロゲン化亜鉛フタロシアニン顔料、顔料組成物、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TWI797294B (zh) 香豆素化合物及含有香豆素化合物的顏料組成物
JP7236567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2018036520A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KR20190138738A (ko) 잔텐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한 안료 조성물, 그리고 그들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