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654U - 휴대폰 핸들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핸들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654U
KR20120004654U KR2020100012980U KR20100012980U KR20120004654U KR 20120004654 U KR20120004654 U KR 20120004654U KR 2020100012980 U KR2020100012980 U KR 2020100012980U KR 20100012980 U KR20100012980 U KR 20100012980U KR 20120004654 U KR20120004654 U KR 201200046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grip
cigar jack
handle hold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2020100012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654U/ko
Publication of KR201200046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6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핸들에 릴리싱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휴대폰 역시 릴리싱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시거잭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계되어 휴대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핸들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 중 휴대폰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고개를 돌려 측방 또는 하방을 주시할 필요 없이 전방 주시를 계속하면서도 그 조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폰 핸들 거치대{Mobile phone cradle for steering wheel}
본 고안은 휴대폰 핸들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차량의 핸들에 릴리싱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휴대폰 역시 릴리싱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시거잭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계되어 휴대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보조장치 또는 악세사리들 중 전력 공급이 필요한 제품들은, 차량 내측의 배터리로부터 직접적으로 전원을 끌어오지 않는 한 차량의 시거잭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차량용 휴대폰 충전기는 대부분 시거잭에 연결되며, 사용자는 휴대폰을 이에 탈부착함으로써 충전을 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의 시거잭은 필연적으로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센터페시아에 위치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이를 잠시 다루는 동안에는 전방이 아닌 측방이나 하방을 바라보아야 하기에 전방 주시에 소홀하게 됨이 필연적이며, 이에 따른 불편함 또는 안전상의 위험성이 문제된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과 같이 네비게이션 또는 동영상 재생 등의 기능이 운전 중 사용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면서, 이와 같은 불편함 또는 안전상의 위험성의 해소 요구 역시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차량 운전석 정면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전방 주시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차량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하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그립; 상기 한 쌍의 그립이 위치하며 제어 패널이 내측에 실장된 그립 지지부; 차량 핸들에 릴리싱 가능하게 고정되는 핸들그립; 및 일측이 상기 그립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핸들그립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 거치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어패널은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핸들 거치대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전원 공급 방식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시거잭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휴대폰 핸들 거치대가 상기 시거잭으로부터 상기 제어패널에 무선으로 전원을 송신할 수 있는 시거잭 전원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유선 전원 공급 방식의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폰 핸들 거치대는 시거잭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시거잭 전원 케이블의 일측에 상기 제어패널과 연결되는 거치대 커넥터가 위치하고 타측에 상기 시거잭과 연결되는 시거잭 커넥터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로드 및 로드 하우징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로드는 상기 로드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립 지지부 내측에 한 쌍의 안내핀이 실장되며,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그립에는, 상기 한 쌍의 안내핀이 수용되고 내측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안내 개구가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그립은 상부 그립과 하부 그립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상부 그립의 상하 이동 변위가 상기 하부 그립의 상하 이동 변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폰 핸들 거치대는 휴대폰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휴대폰 핸들 거치대의 일측에 상기 제어패널과 연결되는 휴대폰 전원 커넥터가 위치하고 타측에 상기 휴대폰과 연결되는 휴대폰 핀 단자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 그립은 방사상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 중 휴대폰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고개를 돌려 측방 또는 하방을 주시할 필요 없이 전방 주시를 계속하면서도 안전한 조작이 가능하다.
특히, 스피커폰 기능이 있는 휴대폰의 경우, 별도의 핸즈프리 장치 없이도 운전자는 안전하게 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과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전방 주시를 계속하면서도 네비게이션 화면을 확인할 수 있기에, 별도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추가로 장치할 필요성도 적다.
또한, 차량 시거잭 등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어서, 핸들의 회전에 따라 선이 꼬이거나 사용자를 불편하게 할 우려가 적다.
또한, 거치대의 높이(핸들로부터 휴대폰의 위치), 방향(가로 또는 세로) 등이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여 운전자에게 가장 적합한 설치 위치로 용이하게 제어 가능하며, 그립의 간격이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여 어떠한 휴대폰이라도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유선 전원 공급 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의 높이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의 방향 조절 방식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립의 상하 이동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휴대폰(mobile phone)"은 통신 기능을 지니며 휴대가 용이한 통신 제품을 의미한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사용자의 자유로운 선택에 따라 MP3 플레이어, PMP 등과 같은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의 거치도 가능할 것인데, 휴대폰이 아닌 다른 제품이 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본 고안의 균등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차량(vehicle)"은 운전자가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어떠한 동력 장치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핸들과 시거잭을 구비한 동력 장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핸들"은 차량의 조향 장치인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을 의미한다. "시거잭(cigar jack)"은 일반적으로 차량 실내에 위치하여 담배 또는 시거 등에 불을 붙이기 위한 가열장치를 의미하나, 본 고안에서는 차량용 배터리와 같은 차량의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되며, 소정의 장치에 케이블로 연결됨으로써 동력을 전달해줄 수 있는 어떠한 전원 장치도 이에 포함되는 것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핸들 거치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핸들 거치대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인 유선 전원 공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다른 실시예인 무선 전원 공급 방식은 별도의 참고도 없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핸들 거치대는 거치대(100), 시거잭 전원 케이블(200), 휴대폰 전원 케이블(300) 및 시거잭 전원 송신기(400)를 포함한다. 유선 전원 공급 방식의 경우 시거잭 전원 송신기(400)가 불필요하며, 무선 전원 공급 방식인 경우 시거잭 전원 케이블(200)이 불필요하다.
거치대(100)는 핸들에 거치되고 휴대폰(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거치대(100)는 그립(110), 그립 지지부(120), 연결부(130), 핸들 그립(140) 및 제어패널(150)을 포함한다.
그립(110)은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휴대폰(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부 그립과 하부 그립이루 이루어진다.
그립 지지부(120)에는 그립(110)이 고정되며, 시거잭 전원 케이블(200)이 연결될 수 있는 시거잭 전원 케이블 연결부(121)와 휴대폰 전원 케이블(300)이 연결될 수 있는 휴대폰 전원 케이블 연결부(122)가 위치한다.
그립 지지부(120) 내측에는 제어 패널(150)이 실장된다.
유선 전원 공급 방식의 경우, 제어 패널(150)은 시거잭 전원 케이블 연결부(121)를 통해 연결된 시거잭 전원 케이블(200)을 통하여 차량의 시거잭(2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휴대폰 전원 케이블 연결부(122)를 통해 연결된 휴대폰 전원 케이블(300)을 통하여 휴대폰(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무선 전원 공급 방식의 경우, 제어 패널(150)은 시거잭 전원 송신기(400)를 통하여 시거잭(20)으로부터 전원을 송신받을 수 있으며, 휴대폰 전원 케이블 연결부(122)를 통해 연결된 휴대폰 전원 케이블(300)을 통하여 휴대폰(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유무선 전원의 공급 및 전달 방식은 종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립 지지부(120) 내측에는 안내핀(미도시)이 위치한다. 안내핀은 그립(110)의 안내 개구(111)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그립(1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안내 개구(111)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도 5a, 5b 참조).
연결부(130)는 그립 지지부(120)와 핸들 그립(140)에 연결된다. 연결부(130)는 로드 하우징(미도시)과 로드(131)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31)는 그립 지지부(120)와 연결되고, 로드 하우징은 핸들 그립(140)과 연결된다. 로드(131)는 로드 하우징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회전 이동이 가능하여 휴대폰이 최적의 위치 및 방향을 갖고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핸들그립(140)은 방사상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핸들그립(140)의 개방된 일측에 힘을 주어 이를 확장시키고, 차량의 핸들이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조절한 후, 힘을 빼면 탄성력에 의해 핸들그립(140)의 형상이 원형으로 복귀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핸들 거치대가 핸들에 고정된다. 탈착시에는 역순에 따른다. 핸들그립(140)을 통하여 거치대(100)는 차량의 핸들에 릴리싱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시거잭 전원 케이블(200)은 유선 전원 공급 방식의 경우에만 사용된다. 일측에는 거치대 커넥터(210)가 위치하여 거치대(100)와 연결되며, 타측에는 시거잭 커넥터(220)가 위치하여 차량의 시거잭(20)에 연결된다.
휴대폰 전원 케이블(300)은 시거잭(20)에서 거치대(100)에 전달된 전원을 휴대폰(10)에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측에는 휴대폰 전원 커넥터(310)가 위치하여 거치대(100)와 연결되며, 타측에는 휴대폰 핀 단자(320)가 위치하여 휴대폰(10)과 연결된다. 휴대폰(10)의 종류에 따라 핀 단자(320)의 종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24핀, 표준 20핀, 아이폰®용 30핀, 또는 mini-USB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시거잭 전원 송신부(400)는 무선 전원 공급 방식의 경우에만 사용된다. 시거잭 전원 송신부(400)가 시거잭에 연결되면, 이로부터 거치대(10)의 제어패널(150)로 전력이 무선으로 송신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핸들 거치대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연결부(130)의 상하 이동을 도시한다.
연결부(130)의 로드(131)가 로드 하우징(미도시)에 대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그립(11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최적의 높이에 휴대폰(1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연결부(130)의 회전 이동을 도시한다.
연결부(130)의 로드(131)가 로드 하우징(미도시)에 대하여 회전 이동이 가능하여 그립(11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폰(10)을 가로로 둘 것인지 세로로 둘 것인지를 결정하여 최적의 휴대폰(10) 디스플레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휴대폰(10)이 스마트폰인 경우 가로/세로 위치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자동으로 변하며,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그 종류에 따라 가로 디스플레이가 유용한 경우와 세로 디스플레이가 유용한 경우가 각각 있기에, 이와 같은 회전 이동 방식은 특히 효과적이다.
도 5a 및 도 5b는 그립(110)의 상하 이동을 도시한다.
그립 지지부(120)에 고정되어 위치한 안내핀(미도시)은 그립(110)의 안내 개구(111) 사이에 수용되며, 안내 개구(111)가 안내핀을 따라 상하 이동함에 따라 그립(11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어떠한 크기 또는 형상의 휴대폰(10)도 그립(11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부 그립이 이동되는 경우 하부 그립도 동일한 변위만큼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휴대폰
20: 시거잭
100: 거치대
110: 그립
111: 안내 개구
120: 그립 지지부
121: 시거잭 전원 케이블 연결부
122: 휴대폰 전원 케이블 연결부
130: 연결부
131: 로드
140: 핸들그립
150: 제어패널
200: 시거잭 전원 케이블
210: 거치대 커넥터
220: 시거잭 커넥터
300: 휴대폰 전원 케이블
310: 휴대폰 전원 커넥터
320: 휴대폰 핀 단자
400: 시거잭 전원 송신기

Claims (9)

  1. 상하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그립;
    상기 한 쌍의 그립이 위치하며 제어 패널이 내측에 실장된 그립 지지부;
    핸들에 릴리싱 가능하게 고정되는 핸들그립; 및
    일측이 상기 그립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핸들그립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 거치대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어패널은 시거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핸들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시거잭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핸들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핸들 거치대는, 상기 시거잭으로부터 상기 제어패널에 무선으로 전원을 송신할 수 있는 시거잭 전원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핸들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핸들 거치대는 시거잭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시거잭 전원 케이블의 일측에 상기 제어패널과 연결되는 거치대 커넥터가 위치하고 타측에 상기 시거잭과 연결되는 시거잭 커넥터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핸들 거치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로드 및 로드 하우징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로드는 상기 로드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핸들 거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지지부 내측에 한 쌍의 안내핀이 실장되며,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그립에는, 상기 한 쌍의 안내핀이 수용되고 내측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안내 개구가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핸들 거치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그립은 상부 그립과 하부 그립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상부 그립의 상하 이동 변위가 상기 하부 그립의 상하 이동 변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핸들 거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핸들 거치대는 휴대폰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휴대폰 핸들 거치대의 일측에 상기 제어패널과 연결되는 휴대폰 전원 커넥터가 위치하고 타측에 상기 휴대폰과 연결되는 휴대폰 핀 단자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핸들 거치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그립은 방사상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핸들 거치대.
KR2020100012980U 2010-12-15 2010-12-15 휴대폰 핸들 거치대 KR201200046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980U KR20120004654U (ko) 2010-12-15 2010-12-15 휴대폰 핸들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980U KR20120004654U (ko) 2010-12-15 2010-12-15 휴대폰 핸들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54U true KR20120004654U (ko) 2012-06-28

Family

ID=4685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980U KR20120004654U (ko) 2010-12-15 2010-12-15 휴대폰 핸들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654U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74B1 (ko) * 2012-08-09 2014-01-24 부용식 오토바이용 휴대폰 충전거치시스템
KR101414385B1 (ko) * 2012-07-09 2014-07-01 김성민 스마트폰을 악기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1514290B1 (ko) * 2014-04-17 2015-04-22 표상용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WO2015129980A1 (ko) * 2014-02-26 2015-09-03 (주)신형아이엔티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WO2017007069A1 (ko) * 2015-07-06 2017-01-12 주식회사 티티알 차량 핸들에 설치되는 휴대폰 거치대
GB2545219A (en) * 2015-12-09 2017-06-14 Panasonic Mfg Uk Ltd Computer cradle
CN108099808A (zh) * 2018-01-19 2018-06-01 东莞市煜宸电子科技有限公司 车载设备支架
KR200488233Y1 (ko) 2018-02-07 2018-12-31 강영철 비행기용 휴대폰 거치대
KR20190073431A (ko) * 2017-05-12 2019-06-26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차량 내 지불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291192B1 (ko) * 2020-12-15 2021-08-18 김영수 디지털 디바이스 거치대
WO2021170943A1 (fr) * 2020-02-28 2021-09-02 Psa Automobiles Sa Agencement de support adapte pour maintenir un appareil multimedia nomade dans un vehicule et vehicule correspondant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385B1 (ko) * 2012-07-09 2014-07-01 김성민 스마트폰을 악기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1355374B1 (ko) * 2012-08-09 2014-01-24 부용식 오토바이용 휴대폰 충전거치시스템
WO2015129980A1 (ko) * 2014-02-26 2015-09-03 (주)신형아이엔티 이종 대상체 거치를 위한 두 클램프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마운트
KR101514290B1 (ko) * 2014-04-17 2015-04-22 표상용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WO2017007069A1 (ko) * 2015-07-06 2017-01-12 주식회사 티티알 차량 핸들에 설치되는 휴대폰 거치대
CN106335441A (zh) * 2015-07-06 2017-01-18 洪兑沅 可安装于车辆方向盘上的手机支架
US10821908B2 (en) 2015-12-09 2020-11-03 Panasonic Manufacturing Uk Limited Computer cradle
WO2017098284A1 (en) * 2015-12-09 2017-06-15 Panasonic Manufacturing Uk Limited Computer cradle
CN109070810A (zh) * 2015-12-09 2018-12-21 英国松下制造股份有限公司 电脑支架
GB2545219A (en) * 2015-12-09 2017-06-14 Panasonic Mfg Uk Ltd Computer cradle
GB2545219B (en) * 2015-12-09 2021-06-16 Panasonic Mfg Uk Limited Computer cradle
KR20190073431A (ko) * 2017-05-12 2019-06-26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차량 내 지불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N108099808A (zh) * 2018-01-19 2018-06-01 东莞市煜宸电子科技有限公司 车载设备支架
KR200488233Y1 (ko) 2018-02-07 2018-12-31 강영철 비행기용 휴대폰 거치대
WO2021170943A1 (fr) * 2020-02-28 2021-09-02 Psa Automobiles Sa Agencement de support adapte pour maintenir un appareil multimedia nomade dans un vehicule et vehicule correspondant
FR3107676A1 (fr) * 2020-02-28 2021-09-03 Psa Automobiles Sa Agencement de support adapte pour maintenir un appareil multimedia nomade dans un vehicule et vehicule correspondant
KR102291192B1 (ko) * 2020-12-15 2021-08-18 김영수 디지털 디바이스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4654U (ko) 휴대폰 핸들 거치대
US8922354B2 (en) External haptic genera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20091895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CN109587312B (zh) 一种滑盖隐藏的手机夹持装置
CN101442145A (zh) 车载蓝牙多功能充电器
JP2014187782A (ja) 車両用無線充電装置
CN205647659U (zh) 一种多功能支架
KR20180068397A (ko) 차량의 휴대 단말기 트레이
CN209267647U (zh) 手机支架
CN108616629B (zh) 一种多功能手机支架
CN204615893U (zh) 便携式多功能手机支架
JP5811792B2 (ja) 携帯端末用ホルダ
KR20100119191A (ko) 차량용 내비게이션 거치대
US20150340905A1 (en) Sun visor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KR20180039354A (ko) 차량용 무선충전기
CN212572641U (zh) 一种新型车载充电手机支架
CN210609304U (zh) 一种带有充电接头的车载手机支架
CN107959320B (zh) 车载太阳能充电装置
CN210517864U (zh) 一种稳定性能好的车载充电器
KR200477035Y1 (ko) 자동차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CN208457473U (zh) 移动终端支架
CN209526846U (zh) 一种带呼吸灯的蓝牙耳机充电盒
CN204136891U (zh) 新型多功能车载手机架
CN214230287U (zh) 一种电动升降桌
CN201646580U (zh) 车载蓝牙电话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