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290B1 -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290B1
KR101514290B1 KR1020140045843A KR20140045843A KR101514290B1 KR 101514290 B1 KR101514290 B1 KR 101514290B1 KR 1020140045843 A KR1020140045843 A KR 1020140045843A KR 20140045843 A KR20140045843 A KR 20140045843A KR 101514290 B1 KR101514290 B1 KR 101514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grip
grip portion
hand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상용
Original Assignee
표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상용 filed Critical 표상용
Priority to KR102014004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파지부에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접속수단; 및 상기 파지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gripper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영상을 안정적으로 촬영되게 하고, 촬영 중에 모바일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 휴대가 간편한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는 사진이나 영상(이하, ?돐錯?)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어,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한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로 영상물을 촬영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지하여 영상물을 촬영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의 떨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물에 잔상이 남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영상물을 촬영하기 위한 일반 카메라나 DSLR 카메라 등에는 사용자의 손의 떨림을 방지하도록 이러한 카메라를 지지하기 위한 삼각대나 파지기가 시중에 많이 나와 있지만, 모바일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영상물이 안정적으로 촬영되게 하기 위한 파지기는 아직 많이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영상물 촬영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쉽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휴대가 간편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파지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7888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영상을 안정적으로 촬영되게 하고, 촬영 중에 모바일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 휴대가 간편한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파지기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파지부에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접속수단; 및 상기 파지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조작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수용되는 후단 파지부; 및 상기 후단 파지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폭에 대응되게 파지폭이 변화되는 전단 파지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속수단은 전단 파지부에 수납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속수단의 인접주위에는 마이크가 수납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는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명부의 일측에는 외부의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소켓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파지부로부터 슬라이드 되어 인출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파지부에서 슬라이드 된 후 회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되는 보조손잡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의 후단에는 손잡이 수용홈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수용홈으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파지부의 후단에 구비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손잡이부가 파지부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필요 시에만 손잡이부를 파지부로 인출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미사용시에는 손잡이부를 파지부에 수납하여 휴대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의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둘째, 접속수단이 파지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접속수단을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마이크가 파지부에 구비됨에 따라 촬영 시 외부의 소리를 확대시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조작부가 손잡이부에 구비됨에 따라, 손잡이부를 잡은 사용자가 손잡이부에 구비된 조작부를 조작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넷째, 파지부의 일측에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를 삼각대에 연결하기 위한 삼각대 연결부가 형성됨에 따라, 지면에 지지된 삼각대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가 지지되어 모바일 디바이스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조명부가 구비됨에 따라, 조명부에서 여러 색상의 빛을 조사하여, 촬영 중에 다양한 조명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여섯째, 조명부의 일측에 소켓이 구비됨에 따라, 외부의 이어폰을 소켓에 연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촬영하는 도중에 이어폰을 착용하여 소리가 잘 녹화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음악을 들을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의 손잡이부가 인출된 후 회전된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의 손잡이부(200)가 인출된 후 회전된 것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00)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는, 모바일 디바이스(M)를 파지하는 파지부(100), 파지부(100)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부(200), 파지부(100)에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어 모바일 디바이스(M)에 접속되는 접속수단(300), 및 파지부(100) 또는 손잡이부(2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모바일 디바이스(M)에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M)를 조작하는 조작부(500)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M)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카메라가 구비된 모든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한다.
파지부(100)는 모바일 디바이스(M)를 파지(grip)한다. 파지부(100)는 모바일 디바이스(M)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100)에는 모바일 디바이스(M)를 파지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M)의 측면이 삽입되는 가이드홈(101)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00)가 모바일 디바이스(M)의 측면을 파지하면, 모바일 디바이스(M)의 전면부인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를 향해 배치되고, 카메라가 구비된 모바일 디바이스(M)의 후면부는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파지부(100)는 모바일 디바이스(M)의 폭에 대응되게 파지부(100) 사이의 파지폭(w)을 변화시켜 다양한 크기의 모바일 디바이스(M)를 파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손잡이부(200)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를 잡기 위한 부분이다. 손잡이부(200)는 파지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파지부(100)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200)는 파지부(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파지부(100)로부터 슬라이드 되어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2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지부(100)로부 슬라이드가 완료된 후 일축(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파지부(10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200)가 파지부(100)로부터 회전될 수 있도록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방지홈(105)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가 파지부(100)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필요 시에만 손잡이부(200)를 파지부(100)로 인출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미사용시에는 손잡이부(200)를 파지부(100)에 수납하여 휴대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의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접속수단(300)은 파지부(100)에 수납 가능하게 구비된다. 접속수단(300)은 모바일 디바이스(M)의 입력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접속수단(300)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M)와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또한, 접속수단(300)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M)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가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조작부(500)는 파지부(100) 또는 손잡이부(2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조작부(500)는 모바일 디바이스(M)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500)는 모바일 디바이스(M)가 카메라로 촬영을 시작하고 종료할 수 있게 하는 녹화버튼과, 카메라를 줌인/줌아웃 시키는 줌버튼으로 구성되나, 이에 조작부(500)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지부(100)의 일측에는 모바일 디바이스(M)의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카메라 연결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연결부(140)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의 기능을 보완하는 망원렌즈 등 다양한 종류의 보조렌즈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500)는 손잡이부(200)에 구비된다. 조작부(500)가 파지부(100)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대하여는 도 6에서 후술한다.
손잡이부(200)가 파지부(100)로부터 슬라이드 되어 인출되면, 손잡이부(200)를 잡은 사용자는 손잡이부(200)에 구비된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모바일 디바이스(M)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파지부(100)의 일측에는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를 삼각대에 연결하기 위한 삼각대 연결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를 삼각대에 연결하면, 지면에 지지된 삼각대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가 지지되어, 모바일 디바이스(M)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파지부(100) 사이의 파지폭(w)이 변화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00)는, 손잡이부(200)가 수용되는 후단 파지부(120), 및 후단 파지부(12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모바일 디바이스(M)의 폭에 대응되게 파지폭(w)이 변화되는 전단 파지부(110)를 포함한다.
파지부(100)는 전단 파지부(110)와 후단 파지부(120)를 포함한다. 후단 파지부(120)에는 손잡이부(200)가 수용된다. 손잡이부(200)는 상술한 것과 같이 후단 파지부(120)로부터 슬라이드 되어 인출될 수 있다.
전단 파지부(110)는 모바일 디바이스(M)를 파지한다. 전단 파지부(11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M)의 폭에 대응되게 파지폭(w)이 변화될 수 있도록, 후단 파지부(12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전단 파지부(110)가 후단 파지부(120)로부터 회동되는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단 파지부(110)의 일측에는 랙(111)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랙(111)은 후단 파지부(120)로 인출과 삽입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후단 파지부(120)는 랙(111)에 맞물려 랙(111)의 인출과 삽입을 제한하는 피니언(121)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피니언(121)의 인접주위에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피니언(121)의 회전을 제어하는 피니언 걸림돌기(123)가 구비된다. 탄성체로 형성되는 피니언(121)의 돌기는 피니언(121)의 치형(gear tooth)에 억지끼움으로 걸리게 되어, 피니언(121)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피니언(121)이 회전되거나, 구속되도록 한다.
다양한 크기의 모바일 디바이스(M)는 다양한 폭을 형성한다. 모바일 디바이스(M)의 폭에 대응되게 파지폭(w)을 조절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전단 파지부(11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전단 파지부(110)의 랙(111)이 화살표 방향으로 인출된다. 피니언(121)은 랙(111)에 맞물려 회전되고, 탄성체로 형성된 피니언 걸림돌기(123)는 피니언(12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피니언(121)의 치형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피니언(121)이 회전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전단 파지부(110)를 완전히 이동시키면, 피니언 걸림돌기(123)는 피니언(121)에 걸리게 되어 피니언(121)의 회전을 구속시킨다. 피니언(121)의 회전이 구속되면, 랙(111)을 고정시켜, 전단 파지부(110) 사이의 파지폭(w)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술한 접속수단(300)은 전단 파지부(110)에 수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접속수단(300)의 인접주위에는 마이크(310)가 수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310)는 붐마이크(310)로 실시되어, 모바일 디바이스(M)로 촬영 시 외부의 소리를 확대시켜 입력할 수 있다.
접속수단(300)과 마이크(310)에 연결된 전선(301)은 전단 파지부(110)에서 후단 파지부(120)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전단 파지부(110)와 후단 파지부(120) 사이에는 전선(301)이 지나가는 연통공(S)이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400)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지부(100)의 일측에는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400)가 구비된다. 조명부(400)는 모바일 디바이스(M)를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에 파지하여 촬영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M)에 구비된 카메라가 촬영하는 대상을 선명하게 찍을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한다. 모바일 디바이스(M)의 후면부에 카메라가 구비된 경우, 조명부(400)는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조명부(400)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조명효과를 내기 위해 별도의 라이트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조명부(400)는 여러 색상의 빛을 조사하여, 촬영 중에 다양한 조명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조명부(400)의 일측에는 외부의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소켓(41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410)은 외부의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는 소켓(410)으로 형성된다. 외부의 이어폰을 소켓(410)에 연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M)로 촬영하는 도중에 이어폰을 착용하여 소리가 잘 녹화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모바일 디바이스(M)에서 출력되는 음악을 들을 수도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손잡이부(200)의 일측에는 수용부(220)가 형성되고, 수용부(220)에는 수용부(220)로부터 인출되는 보조손잡이(210)가 구비된다.
수용부(220)는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수용부(220)에는 보조손잡이(210)가 수용된다.
보조손잡이(210)는 수용부(220)로부터 인출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다. 보조손잡이(210)가 인출되면, 디텐트구조로 손잡이부(20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는, 보조손잡이(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213)과, 스프링(213)의 상측에 구비되어 스프링(213)에 의해 탄발하는 걸림캡(211)과, 손잡이부(200)에 형성된 걸림홈(203)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보조손잡이(210)를 인출하여 슬라이드 시키면, 보조손잡이(210)의 양단에 구비된 걸림캡(211)이 스프링(213)에 의해 탄발되고, 손잡이부(200)에 형성된 걸림홈(203)에서 걸리게 되어, 보조손잡이(210)가 손잡이부(200)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보조손잡이(210)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보조손잡이(210)를 수용부(220) 방향으로 밀면, 걸림캡(211)이 걸림홈(203)에서 이탈되어 측벽(201)에 슬라이드 된다. 걸림캡(211)은 스프링(213)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보조손잡이(210)는 수용부(220)까지 슬라이드 되어, 수용부(220)에 수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200)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지부(100)의 후단에는 손잡이 수용홈(130)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손잡이부(700)는 파지부(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손잡이 수용홈(130)으로부터 인출된다.
손잡이 수용홈(130)은 파지부(100)의 후단에 파지부(10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조작부(500)는 파지부(100)의 후단 중 손잡이 수용홈(130)의 인접주위에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700)는 파지부(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손잡이부(700)는 파지부(100)에서 회전되어 손잡이 수용홈(130)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700)는 손잡이 수용홈(130)에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손잡이부(700)는 사용시 손잡이 수용홈(130)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미사용시에 손잡이부(700)가 손잡이 수용홈(130)에 수용되고, 필요 시에 손잡이부(700)가 손잡이 수용홈(130)에서 인출되어 사용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의 휴대가 간편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파지부 200 : 손잡이부
300 : 접속수단 400 : 조명부

Claims (11)

  1.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파지부에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접속수단; 및
    상기 파지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수용되는 후단 파지부 및
    상기 후단 파지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폭에 대응되게 파지폭이 변화되는 전단 파지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전단 파지부에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의 인접주위에는 마이크가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는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구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일측에는 외부의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소켓이 구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파지부로부터 슬라이드 되어 인출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파지부에서 슬라이드 된 후 회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되는 보조손잡이가 구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후단에는 손잡이 수용홈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파지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수용홈으로부터 인출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파지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KR1020140045843A 2014-04-17 2014-04-17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KR101514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843A KR101514290B1 (ko) 2014-04-17 2014-04-17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843A KR101514290B1 (ko) 2014-04-17 2014-04-17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290B1 true KR101514290B1 (ko) 2015-04-22

Family

ID=5305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843A KR101514290B1 (ko) 2014-04-17 2014-04-17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2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537A (ko) * 2010-03-11 2011-09-19 유승곤 촬상장치 보조기구
KR20120004654U (ko) * 2010-12-15 2012-06-28 이상훈 휴대폰 핸들 거치대
KR20120096831A (ko) * 2011-02-23 2012-08-31 박인정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130005683U (ko) * 2012-03-20 2013-09-30 권태경 문서 촬영기능을 위한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조명 스탠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537A (ko) * 2010-03-11 2011-09-19 유승곤 촬상장치 보조기구
KR20120004654U (ko) * 2010-12-15 2012-06-28 이상훈 휴대폰 핸들 거치대
KR20120096831A (ko) * 2011-02-23 2012-08-31 박인정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130005683U (ko) * 2012-03-20 2013-09-30 권태경 문서 촬영기능을 위한 스마트폰 거치 기능을 갖는 조명 스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7944B2 (ja) 撮像装置
TWI495947B (zh) 成像單元及安裝裝置
TWI480619B (zh) 成像裝置
TWI482489B (zh) 成像裝置
US20140132781A1 (en) Mobile device camera accessory
CN105049691B (zh) 拍摄装置及终端
US20090003822A1 (en) Hand-held photographic support system
TW201503681A (zh) 智慧型手機的附加式相機
KR101718441B1 (ko) 카메라 일체형 셀카봉
JP2007078827A (ja) 撮像装置
CN208832067U (zh) 手持云台
KR10151429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WO2016017054A1 (ja) 撮像装置
JP2015186084A (ja) 撮像装置
JP2008191419A (ja) 水中撮影機器
JP2007173909A (ja) 光学装置
KR102021045B1 (ko) 스마트폰 보조장치
CN205859551U (zh) 一种自拍杆及其操作杆
KR20080061844A (ko) 영상촬영장치
JP4547338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683859B1 (ko)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WO2014155431A1 (ja) カメラユニットに装着可能なアタッチメント、カメラシステム
JP5798272B1 (ja) 撮像装置
JP2006157398A (ja) カメラ及び電子機器
JP2015216636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