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537A - 촬상장치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537A
KR20110102537A KR1020100021585A KR20100021585A KR20110102537A KR 20110102537 A KR20110102537 A KR 20110102537A KR 1020100021585 A KR1020100021585 A KR 1020100021585A KR 20100021585 A KR20100021585 A KR 20100021585A KR 20110102537 A KR20110102537 A KR 20110102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device
button
cradle
pressur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곤
Original Assignee
유승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곤 filed Critical 유승곤
Priority to KR1020100021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2537A/ko
Publication of KR2011010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 가능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직경이 다른 다수의 바가 삽입 연결된 조절바(20); 상기 조절바(20)와 연결되어 촬상장치(100)가 고정되는 거치대(30); 상기 몸체(10)에는 리모트컨트롤러 버튼(11)이 구비되어 제어신호를 보내줌으로써 거치대(30)에 고정된 촬상장치 버튼(101)에 압력을 가하는 작동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40)의 내부에 구비되어 압력을 제어하는 감속장치(50); 상기 감속장치(50)는, 굴곡진 호 형상의 타단이 중앙의 축공(61)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공(62)을 구비한 본체(63); 상기 본체(63)의 축공(61)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는 축회전체(64); 상기 가이드공(62)에 끼워지며, 상기 축회전체(64)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어 상기 축회전체(64)의 회전에 따라 마찰 회전되면서 축회전체(64)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공(62)에 형성된 범위까지 가이드되는 하나 이상의 위성회전체(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촬상장치를 혼자서 촬영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찰상장치 보조기구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장치 보조기구{IMAGING DEVICE ASSISTIVE APPLIANCES}
본 발명은 촬상장치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촬상장치로 자신의 사진을 간편하게 직접 찍을 수 있는 촬상장치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사진을 찍는 방법에는 휴대폰이나 카메라를 한손으로 파지하고 팔을 길게 편 상태에서 버튼을 직접 눌러 찍는 방법과 휴대폰이나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기능을 이용하여 찍는 방법이 있다. 버튼을 직접 눌러 찍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간단한 방법이지만 팔을 길게 편 상태에서 버튼을 누르기 때문에 거리에 제한이 있으며 손 떨림으로 인한 휴대폰이나 카메라의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 삼각대를 주로 이용하는데 카메라 삼각대 위에 카메라를 고정시킨 후 카메라의 타이머를 설정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삼각대 위에 휴대폰을 고정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휴대폰의 사양에 따라 타이머 기능이 없는 기종도 있어 타이머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기기에 따라 적용되는 범위가 한정된다.
또한 자신의 사진을 찍기 위해 휴대하고 다니기에는 삼각대의 부피와 중량이 큰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며 촬상장치로 자신의 사진을 간편하게 찍을 수 있는 촬상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지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직경이 다른 다수의 바가 삽입 연결된 조절바; 상기 조절바와 연결되어 촬상장치가 고정되는 거치대;
상기 몸체에는 리모트컨트롤러 버튼이 구비되어 제어신호를 보내줌으로써 거치대에 고정된 촬상장치 버튼에 압력을 가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압력을 제어하는 감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장치는 굴곡진 호 형상의 타단이 중앙의 축공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공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축공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는 축회전체; 상기 가이드공에 끼워지며, 상기 축회전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어 상기 축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마찰 회전되면서 축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공에 형성된 범위까지 가이드되는 하나 이상의 위성회전체를 구비하고 있는 촬상장치 보조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거치대에 고정되는 촬상장치 버튼에 접할 수 있도록 위치변경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리모트컨트롤러 버튼은 회전되는 수치에 따라 촬상장치 버튼에 가하는 압력의 강도가 조절되며 누름으로써 조절된 압력의 강도로 촬상장치 버튼에 압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바가 길이조절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 몸체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며,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함으로써 거치대에 고정된 촬상장치로 자신의 사진을 간편하게 찍을 수 있다.
특히, 촬상장치 버튼을 누르는 작동부에는 압력을 제어하는 감속장치가 구비됨과 아울러 작동부의 위치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촬상장치의 종류와 버튼의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이로 인해, 촬상장치 보조기구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 보조기구의 부분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 보조기구의 부분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 보조기구 거치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 보조기구 거치대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 보조기구 작동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 보조기구 감속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 보조기구 감속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 보조기구 감속장치의 작동원리를 도해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보조장치는 파지 가능한 몸체(10)와; 몸체(10)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조절바(20)와; 조절바(20)에 연결되어 촬상장치(100)가 고정되는 거치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는 손으로 파지 가능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탄소섬유를 압착시켜 중량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강한 탄성을 지니고 있는 카본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의 외부면에는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등과 같이 그립감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재질의 그립을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촬영시 놓치게 되는 경우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복수의 핑거가이드홈을 특정의 형태로 형성시킨다.
그립의 재질로는 그립감이 우수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몸체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작동부(40)에 제어신호를 보내는 리모트컨트롤러 버튼(11)이 구비된다.
리모트컨트롤러 버튼(11)은 회전과 누름이 가능한데, 버튼이 회전되는 눈금 수치에 따라 촬상장치 버튼(101)에 가하는 압력의 강도를 조절하는 기능과, 버튼을 누름으로써 조절된 압력의 강도로 촬상장치 버튼(101)에 압력을 가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리모트컨트롤러 버튼(11)은 거치대(30)에 고정되어 있는 촬상장치 버튼(101)에 적절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조절바는 몸체(10) 내부에 직경이 각각 다른 다수의 바가 서로 삽입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몸체(10) 내부에서 원하는 길이만큼 잡아 당겨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조절바(20)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탄소섬유를 압착시켜 중량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강한 탄성을 지니고 있는 카본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전단강도, 인장강도 및 휨강도의 성능이 우수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의 내충격성강하며 그 크기와 형상 및 재질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30)는 조절바(20)의 끝단에 구비되며 촬상장치(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ㄴ'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30)에 고정되는 촬상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촬영각도를 맞추기 위해 조절바(20)의 끝단에 각도조절볼트(21)를 구비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30)의 하부면에는 카메라와 연결할 수 있는 체결볼트(34)가 구비되어 카메라 케이스 저면의 홈 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거치대(30)의 전면에는 핸드폰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31)이 구비되고 거치대의 후면에는 조절볼트(33)에 의해 나사식으로 핸드폰의 두께에 따라 조절하는 조절클램프(32)가 구비된다.
조절클램프(32)는 고정수단(31)이 핸드폰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뒤쪽에서 잡아당겨 조여 주는 역할을 하며 조절클램프(32)에 구비되어 있는 조절볼트(33)를 돌려주어 고정수단(31)이 거치대(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31)의 안쪽에는 핸드폰 케이스가 상처나지 않고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부(40)는 조절바(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몸체(10)의 리모트컨트롤러 버튼(11)에서 보내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거치대(30)에 고정되는 촬상장치 버튼(101)에 압력을 가하여 촬영되도록 한다.
작동부(40)는 리모트컨트롤러 버튼(11)을 돌려주어 회전되는 각도가 커질수록 촬상장치 버튼(101)에 가해지는 압력의 강도도 상승하며 리모트컨트롤러 버튼(11)을 누름으로써 회전되어 조절되어진 압력의 강도로 촬상장치 버튼(101)에 압력이 가해진다.
또한, 작동부(40)는 다수의 관절로 이루어져 있어 위치변경이 용이하고 작동부(40)의 끝단에는 압력제어가 가능한 압력부재(41)가 구비되어 있어 거치대(30)에 고정되는 촬상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버튼(101)의 위치에 상관없이 정확하게 접하며 거치대(30)위에 고정되는 촬상장치(100)의 버튼(101)에 적절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압력부재(41)는 촬상장치(100)의 버튼(101)에 손상을 주지 않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40)의 내부에는 리모컨트롤러 버튼(11)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50)가 구비되어 있으며 모터(50)의 회전축에는 모터(50)의 힘을 전달하기 위해 스트레이트베벨 기어(70)가 고정 연결된다.
스트레이트베벨 기어(70)는 모터(50)의 힘을 전달받아 감속장치(60)에 전달한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장치(60)는 본체(63)와 본체(63)의 내부에서 축 회전만을 하는 축회전체(64) 그리고 축회전체(64)의 회전에 따라 마찰 회전하면서 축회전체(64)의 회전 방향으로 전체가 일정 거리 움직이는 2개의 위성회전체(65)를 포함한다.
본체(63)의 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대향 위치의 양측에는 축회전체(64)가 축 회전할 수 있도록 축공(61a, 61b)이 형성되어 있다.
축공(61a, 61b)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굴곡진 호 형상의 가이드공(62a, 62a', 62b, 62b')이 하나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공(62a, 62a', 62b, 62b')의 타단은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중앙의 축공(61a, 61b)과 가까워지도록 되어 있다.
축공(61a, 61b)에는 축회전체(64)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각각의 가이드공(62a, 62a', 62b, 62b')에는 위성회전체(65)의 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위성회전체(65)는 가이드공(62a, 62a', 62b, 62b')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가이드공(62a, 62a', 62b, 62b')에 끼워지며, 축회전체(64)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어 축회전체(64)의 회전에 따라 마찰 회전되면서 축회전체(64)의 회전 방향으로 가이드공(62a, 62a', 62b, 62b')에 형성된 범위 내에서 동작된다.
축공(61a, 61b)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가이드공(62a, 62a', 62b, 62b')의 위치는 위성회전체(65)의 직경에 따라 조정된다.
또한, 축회전체(64)와 위성회전체(65)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호 마찰 접촉하는 부위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성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가급적 마찰에 의한 마모가 덜한 재질이 바람직할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서 고무 재질이 언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장치(60)의 원리는 축회전체(64)가 외부의 힘, 즉 모터(50)의 회전력이 스트레이트베벨 기어(70)에 의해 전달되면, 축회전체(64)의 원주면에 면접촉하는 위성회전체(65)가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때, 가이드공(62a, 62a', 62b, 62b')이 축공(61a, 61b)쪽으로 점증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축회전체(64)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위성회전체(65)가 회전함에 따라 위성회전체(65)는 가이드공(62a, 62a', 62b, 62b')의 호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며, 위성회전체(65)와의 원주면 접촉 마찰력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축회전체(64)의 속도가 감속된다.
상기와 같은 축회전체(64)의 속도가 감속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촬상장치 버튼(101)에 눌려지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위성회전체(65)의 이동된 모습, 즉, 가상선으로 그려진 모습이 비록 온전한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실상 축회전체(64)와 위성회전체(65)가 면접촉하여 둘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변형된 모습인 것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가상선 R은 위성회전체(65)가 가이드공(62a, 62a', 62b, 62b')의 구조에 따라 축회전체(64)를 기준으로 하여 내측으로 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기준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100)의 보조기구가 작동되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파지 가능한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직경이 다른 다수의 바가 삽입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바(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전 조절바(20)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거치대(30)에 촬상장치(100)를 고정하고, 조절바(20) 일측에 구비된 작동부(40)는 촬상장치 버튼(101)에 접할수 있도록 위치를 잡아준다.
조절바(20)의 길이조절이 완료되어 촬상장치(100)가 원하는 거리에 위치하면, 몸체(10)에 구비되어 있는 리모트컨트롤러 버튼(11)을 돌려 촬상장치 버튼(101)에 가하는 압력의 강도를 조절하고, 조절이 끝나면 리모트컨트롤러 버튼(11)을 눌러주어 작동부(40)에 제어신호를 보내줌으로써 작동부(40)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50)가 구동되고 감속장치(60)에 의해 제어된 압력으로 압력부재(41)가 촬상장치 버튼(101)에 압력을 가하며 촬영은 종료된다.
10 : 몸체 11 : 리모트컨트롤러 버튼
20 : 조절바 21 : 각도조절볼트
30 : 거치대 31 : 고정수단
32 : 조절클램프 33 : 조절볼트
34 : 체결볼트 35 : 체결수단
40 : 작동부 41 : 압력부재
50 : 모터 60 : 감속장치
61a, 61b : 축공 62a, 62a', 62b, 62b' : 가이드공
63 : 본체 64 : 축회전체
65 : 위성 회전체 66 : 체결부재
70 : 스트레이트베벨 기어 100 : 촬상장치
101 : 촬상장치 버튼

Claims (3)

  1. 파지 가능한 몸체(10);
    상기 몸체(10)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직경이 다른 다수의 바가 삽입 연결된 조절바(20);
    상기 조절바(20)와 연결되어 촬상장치(100)가 고정되는 거치대(30);
    상기 몸체(10)에는 리모트컨트롤러 버튼(11)이 구비되어 제어신호를 보내줌으로써 거치대(30)에 고정된 촬상장치 버튼(101)에 압력을 가하는 작동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40)의 내부에 구비되어 압력을 제어하는 감속장치(50);
    상기 감속장치(50)는, 굴곡진 호 형상의 타단이 중앙의 축공(61)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공(62)을 구비한 본체(63); 상기 본체(63)의 축공(61)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는 축회전체(64); 상기 가이드공(62)에 끼워지며, 상기 축회전체(64)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어 상기 축회전체(64)의 회전에 따라 마찰 회전되면서 축회전체(64)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공(62)에 형성된 범위까지 가이드되는 하나 이상의 위성회전체(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40)는 거치대(30)에 고정되는 촬상장치 버튼에 접할 수 있도록 위치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보조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 버튼(11)은 회전되는 수치에 따라 촬상장치 버튼(101)에 가하는 압력의 강도가 조절되며 누름으로써 조절된 압력의 강도로 촬상장치 버튼(101)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보조기구.
KR1020100021585A 2010-03-11 2010-03-11 촬상장치 보조기구 KR20110102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585A KR20110102537A (ko) 2010-03-11 2010-03-11 촬상장치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585A KR20110102537A (ko) 2010-03-11 2010-03-11 촬상장치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537A true KR20110102537A (ko) 2011-09-19

Family

ID=4495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585A KR20110102537A (ko) 2010-03-11 2010-03-11 촬상장치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25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290B1 (ko) * 2014-04-17 2015-04-22 표상용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290B1 (ko) * 2014-04-17 2015-04-22 표상용 모바일 디바이스 파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23833U (zh) 一种自动伸缩自拍杆
CN110274140B (zh) 一种可以调节的自拍杆
JP3181673U (ja) ビデオフォトグラフィック装置のためのショルダーサポートフレーム
EP1901548A3 (en) Photography apparatus
EP2199869A3 (en) Belt memb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2006326001A (ja) マッサージ機
US20150224643A1 (en) Operator-controlled element for a positioning device of a medical apparatus and medical apparatus incorporating said operator-controlled element
CN108942886A (zh) 一种水下机器人柔性抓取装置及其方法
JP2013154420A5 (ko)
US20100190130A1 (en) Dental curing tool with automatically rotating light guide
KR20110102537A (ko) 촬상장치 보조기구
US11072130B2 (en) Hand-guided device for setting a setting element and method for using said device
KR20150124817A (ko) 촬상장치 보조기구
JP2018525127A (ja) サポートストッキング用の装着補助具
US11511185B2 (en) Operation device
JP2003503137A (ja) 可動型x線装置の操作機構
TW200839121A (en) Load sensing drive force transmission device
CN209200540U (zh) 一种穿线器
CN102697442A (zh) 基于电控驱动器械的软式内窥镜系统
KR101866255B1 (ko) 손 재활로봇
KR101645340B1 (ko)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US20230166158A1 (en) Motor resistance control structure for an exercising apparatus
CN206145381U (zh) 自动伸缩自拍杆
KR101866253B1 (ko) 손 재활로봇
JP2004337435A (ja) パチンコ機のハンドル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パチン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