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340B1 -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340B1
KR101645340B1 KR1020150144219A KR20150144219A KR101645340B1 KR 101645340 B1 KR101645340 B1 KR 101645340B1 KR 1020150144219 A KR1020150144219 A KR 1020150144219A KR 20150144219 A KR20150144219 A KR 20150144219A KR 101645340 B1 KR101645340 B1 KR 101645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resent
frame
elastic member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현
이장범
Original Assignee
(주)개선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개선스포츠 filed Critical (주)개선스포츠
Priority to KR102015014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340B1/ko
Priority to CN201610224264.4A priority patent/CN10658193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with particular movement of the arms provided by handles moving otherwise than pivoting about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회동부를 통해 연결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및 손잡이부에 매입되되, 일단에 구비된 눌림부재가 눌리면 타단에 구비된 돌기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과의 체결이 해제되고, 눌림 동작을 해제 시 상기 돌기가 걸림홈에 걸림 가능하도록 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기구를 사용 중인 사용자가 운동 준비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손잡이부의 눌림부재를 누르는 동작으로 본인의 체형에 맞도록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Angle Adjustable handle of the Exerci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기구를 사용 중인 사용자가 운동 준비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손잡이부의 눌림부재를 누르는 동작으로 본인의 체형에 맞도록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되는 운동기구들은 사용자가 운동 중에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운동기구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운동을 중단하고 자리에서 일어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버를 당기는 등의 동작을 한 후 다시 자리에 앉아 운동을 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시 자리에 앉아 운동을 시작하려고 할 때, 각도 조절이 잘못되었을 경우도 존재하여 다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자리에서 일어나야 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운동기구에서 앉거나 서있는 등의 운동 준비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본인의 체형 또는 본인이 원하는 운동 자세에 맞도록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샤프트에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손잡이부에 단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눌림부재를 누르는 동작을 실시하고 각도 조절을 완료한 후 누름 동작을 해제하면 눌림부재가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샤프트와 돌기가 인접한 부분이 소정길이로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누름 동작 시 돌기가 외부로 돌출되고, 만입부가 가이드홈에 위치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회동부를 통해 연결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손잡이부에 매입되되, 일단에 구비된 눌림부재가 눌리면 타단에 구비된 돌기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과의 체결이 해제되고, 눌림 동작을 해제 시 상기 돌기가 걸림홈에 걸림 가능하도록 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설치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고정하는 탄성부재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고정하도록 하는 단턱을 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고정되는 회동부재 지지부재와,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재 지지부재와 축결합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눌림부재는,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안착되어 외부로 일정부분이 돌출되며, 타측이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돌기와 인접한 부분이 소정길이로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부의 회동 시 상기 가이드홈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운동기구에서 앉거나 서있는 등의 운동 준비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본인의 체형 또는 본인이 원하는 운동 자세에 맞도록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에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손잡이부에 단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눌림부재를 누르는 동작을 실시하고 각도 조절을 완료한 후 누름 동작을 해제하면 눌림부재가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와 돌기가 인접한 부분이 소정길이로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누름 동작 시 돌기가 외부로 돌출되고, 만입부가 가이드홈에 위치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의 내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의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내부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의 내부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내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는 프레임(1000), 손잡이부(100), 플레이트(500), 샤프트(110), 회동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300)는 회동부재(310) 및 회동부재 지지부재(320)를 포함하며, 손잡이부(100)는 프레임(100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회동부재(310)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회동부재(310)와 회동부재 지지부재(320)가 축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00)과 회동부재 지지부재(320)가 연결되고, 회동부재(310)와 회동부재 지지부재(320)가 축결합되며, 회동부재(310)와 손잡이부(100)가 연결되어 손잡이부(100)가 프레임(100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때, 회동부재(310)와 회동부재 지지부재(320)의 축결합은 베어링, 볼, 롤러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일반적인 연결방법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샤프트(110)는 상기 손잡이부(100)에 매입되며 일단에 돌기(120)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이 눌림부재(13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눌림부재(130)는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100)의 일단에 안착되어 외부로 일정부분이 돌출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타측은 샤프트(11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누르는 동작에 대응하여 샤프트(110)를 함께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110)의 축방향으로 설치된 탄성부재(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112)를 고정하기 위하여 탄성부재(112)의 일측을 고정하는 탄성부재 지지부재(1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112)의 타측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부(100) 내부에 단턱(140)을 마련한다.
샤프트(110)가 탄성부재(112)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눌림부재(130)를 눌러서 각도를 조절한 후 누름 동작을 멈추면 상기 눌림부재(130)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탄성부재(112)는 스프링과 같은 장치가 적용 가능하며, 눌림부재(130)를 복원할 수 있는 일정 탄성계수 이상을 가지고 있는 장치가 적용 가능하므로 실시자가 용이하게 선택이 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플레이트(500)는 상기 회동부재 지지부재(320)의 측면에 설치되며 가이드홈(51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5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홈(520)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120)가 걸림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홈(520)이 5개가 형성된 것으로 구현되어 5단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실시되었으나, 걸림홈(520)의 개수가 2개만 되어도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바, 상기 걸림홈(520)의 개수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증감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샤프트(110)는 상기 돌기(120)와 인접한 부분이 소정길이로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된 만입부(150)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눌림부재(130)를 눌렀을 때, 상기 가이드홈(510)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입부(150)의 폭이 상기 플레이트(500)의 두께보다 소정거리 넓도록 하면 상기 가이드홈(510)에서의 움직임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걸림홈(520)은 상기 돌기(120)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사용자가 운동 동작 시 상기 걸림홈(520)와 상기 돌기(120)의 체결이 해제되지 않을 정도면 충분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내부 측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인의 체형 또는 본인이 원하는 운동 자세에 맞도록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 상기 손잡이부(100)를 움켜쥔 상태에서 사용자가 눌림부재(130)를 누르면, 도 5와 같이 상기 돌기(120)가 상기 플레이트(500)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걸림홈(520)과 체결이 해제되면서 상기 가이드홈(510)에 상기 만입부(15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손잡이부(10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운동기구에 앉거나 서있는 등의 운동 준비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본인의 체형 또는 본인이 원하는 운동 자세에 맞도록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11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110)는 도 6a와 같이 상기 돌기(120)를 제외한 상기 샤프트(110)가 만입되는 형태도 가능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6b와 같이 상기 만입부(15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눌림부재(130)를 눌렀을 경우 상기 만입부(150)가 끝나는 부분이 상기 플레이트(500)와 맞닿으면, 눌리는 동작이 멈추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눌림부재(130) 및 상기 탄성부재(112)의 작용으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손잡이부 110: 샤프트
112: 탄성부재 114: 탄성부재 지지부재
120: 돌기 130: 눌림부재
140: 단턱 150: 만입부
300: 회동부 310: 회동부재
320: 회동부재 지지부재 500: 플레이트
510: 가이드홈 520: 걸림홈
1000: 프레임

Claims (5)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회동부를 통해 연결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손잡이부에 매입되되, 일단에 구비된 눌림부재가 눌리면 타단에 구비된 돌기가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과의 체결이 해제되고, 눌림 동작을 해제 시 상기 돌기가 걸림홈에 걸림 가능하도록 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설치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고정하는 탄성부재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고정하도록 하는 단턱을 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고정되는 회동부재 지지부재, 및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재 지지부재와 축결합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부재는,
    누름 동작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안착되어 외부로 일정부분이 돌출되며, 타측이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돌기와 인접한 부분이 소정길이로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부의 회동 시 상기 가이드홈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KR1020150144219A 2015-10-15 2015-10-15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KR101645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219A KR101645340B1 (ko) 2015-10-15 2015-10-15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CN201610224264.4A CN106581937A (zh) 2015-10-15 2016-04-12 提高运动器械的手柄的便利性的角度调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219A KR101645340B1 (ko) 2015-10-15 2015-10-15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340B1 true KR101645340B1 (ko) 2016-08-03

Family

ID=5670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219A KR101645340B1 (ko) 2015-10-15 2015-10-15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5340B1 (ko)
CN (1) CN1065819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381B1 (ko) 2022-04-26 2022-09-27 윤순용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932B1 (ko) * 2018-08-16 2020-03-20 장남순 안전하고 간편한 접첩구조를 갖는 접이식 트램펄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479U (ko) * 1990-04-10 1991-12-26
KR100503140B1 (ko) * 2003-06-09 2005-07-25 김춘산 다목적 자전거 핸들
KR20110001418U (ko) * 2009-08-03 2011-02-10 이구순 등산용 지팡이의 손잡이 회전 구조
KR200463831Y1 (ko) * 2010-06-17 2012-11-27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479U (ko) * 1990-04-10 1991-12-26
KR100503140B1 (ko) * 2003-06-09 2005-07-25 김춘산 다목적 자전거 핸들
KR20110001418U (ko) * 2009-08-03 2011-02-10 이구순 등산용 지팡이의 손잡이 회전 구조
KR200463831Y1 (ko) * 2010-06-17 2012-11-27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381B1 (ko) 2022-04-26 2022-09-27 윤순용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81937A (zh)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8207B2 (en) Rotating structure for armrests
KR101645340B1 (ko)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US7008354B2 (en) Adjustable scissors-action exerciser
TW201002385A (en) Exercise apparatus and manual resistance control device thereof
JP7149539B2 (ja) 片麻痺前腕機能回復訓練装置
KR101999851B1 (ko) 악력기 겸용 복합 손운동 기구
JP2005279245A (ja) ステッピング運動器具
US9050490B2 (en) Rehabilitation mechanism for hand and leg
US8276868B2 (en) Seat adjuster for sports equipment
EP2572605A1 (en) Seat guiding apparatus for chair
JP3206001U (ja) マッサージ器具
TW201141422A (en) Chair adjustment device
US9901477B2 (en) Traction device for neck physical therapy
JP2005198951A (ja) マッサージ機
KR102246852B1 (ko) 거북목 교정 장치
US9241573B1 (en) Resilient-support adjusting device of chair backrest
US10486018B2 (en) Passive-type treadmill
JP2017016212A (ja) 自動車の操作ペダルのハンドコントロール装置
KR101902498B1 (ko) 등산스틱 길이조절장치
TWI387470B (zh) Fitness equipment transmission mechanism
JP5349236B2 (ja) 車椅子用ステップ板の支持構造
KR20140089194A (ko) 허리운동장치가 구비된 의자
KR200489321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JP3506636B2 (ja) 箸の使用法訓練具
KR101635777B1 (ko) 전후 슬라이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