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381B1 -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381B1
KR102448381B1 KR1020220051577A KR20220051577A KR102448381B1 KR 102448381 B1 KR102448381 B1 KR 102448381B1 KR 1020220051577 A KR1020220051577 A KR 1020220051577A KR 20220051577 A KR20220051577 A KR 20220051577A KR 102448381 B1 KR102448381 B1 KR 102448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rod
handle
angle adjustmen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용
Original Assignee
윤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순용 filed Critical 윤순용
Priority to KR102022005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운동기구, 특히 바벨바 형식의 모든 운동기구에 설치가능한 것으로 손목,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운동용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의 각도를 다양한 각도로 조정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부위에 근육 자극을 함으로서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용 손잡이에 줄이 연결된 고리를 추가 연결하거나 추가 봉을 연결함으로서 별도의 운동기구를 추가할 필요없이 다양한 자세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Angle adjustable multi-purpose exercise handle}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운동기구, 특히 바벨바 형식의 모든 운동기구에 설치가능한 것으로 손목,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운동용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트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로 연결된 다수개의 추를 선택적으로 들어올렸다 내렸다 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사용자가 근육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이다.
기구 운동은 다시 운동 목적에 따라 상체 근육운동, 하체 근육운동, 복부 근육운동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면 그 중에서 상체 근육 운동을 위한 대표적인 운동기구로서, 체스트 프레스, 인크라인 체스트프레스, 디크라인체스트프레스, 쇼울더, 롱풀 머신 및 햄머류 운동기구가 있다.
현존하는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각이 특정되어 있고, 단일 각으로 고정되어져 있어 해당 부위 근육 자극을 다양하게 하지못하는 단점이 있어 원하는 부위를 운동하는 것이 힘든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75512호 (2018.07.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5340호 (2016.07.28)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의 각도를 다양한 각도로 조정하도록 함으로서 근육 자극을 다양한 각도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용 손잡이에 줄이 연결된 고리를 추가 연결하거나 추가 봉을 연결함으로서 다양한 자세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일측은 제1기둥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이 제2기둥부(120)가 형성되되 제1기둥부(110)와 제2기둥부(120) 사이에 봉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공간인 봉수용부(130)가 형성되는 봉끼움부(100)와, 상기 봉끼움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홈 형상의 각도조절홈(210)을 포함하는 각도조절부(200)와, 상기 각도조절부(200)가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축부(400)에 의해 각도조절부(200)와 연결되는 손잡이부(300)와, 손잡이부(300)와 각도조절부(200)가 만나는 부위를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축부(400)와, 손잡이부(300)를 관통하여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에 체결되도록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의 일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각도조절부고정부(500)와, 손잡이부(300)를 관통하여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에 체결되도록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의 타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각도조절부고정부(600)와, 봉끼움부(100)의 상부면에 체결되도록 봉끼움부(100)의 상단과 대응되는 크기의 봉끼움부수용홀(710)이 형성되는 봉고정부(700)와, 봉고정부(700)의 상단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의 각도를 다양한 각도로 조정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부위에 근육 자극을 함으로서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용 손잡이에 줄이 연결된 고리를 추가 연결하거나 추가 봉을 연결함으로서 별도의 운동기구를 추가할 필요없이 다양한 자세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를 운동기구에 체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를 운동기구에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의 각도조절부(200)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의 각도조절부(200)의 윗면과 아랫면이 각각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8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를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의 또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운동기구, 특히 바벨바 형식의 모든 운동기구에 설치가능한 것으로 손목,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운동용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운동용 손잡이에 관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운동용 손잡이를 분해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운동용 손잡이는 봉끼움부(100), 각도조절부(200), 손잡이부(300), 축부(400), 제1각도조절부고정부(500), 제2각도조절부고정부(600), 봉고정부(700), 체결부(800), 고리연결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봉끼움부(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에 제1기둥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기둥부(120)가 형성되되 제1기둥부(110)와 제2기둥부(120) 사이에 봉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공간인 봉수용부(130)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1기둥부(110)는 일측면이 제1결합부(111)가 형성되고, 제2기둥부(120)은 일측면이 제2결합부(121)가 형성되어 봉고정부(700)의 봉끼움부수용홀(710)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결합부(111)와 제2결합부(121)는 바람직하게는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봉고정부(700)의 봉끼움부수용홀(710)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나사결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봉수용부(130)는 운동기구(10)의 봉(11)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봉(11)의 둘레와 대응되도록 U자 형상 또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의 형태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운동용 손잡이를 운동기구에 체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운동용 손잡이를 운동기구에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와 같이 운동 봉(11)에 운동용 손잡이의 봉수용부(130)를 k1방향으로 이동시키어 도4(b)와 같이 봉수용부(130)에 봉(11)이 수용되도록 한다. 이후 봉고정부(700)가 봉수용부(130)의 상단에 체결되어 운동용 손잡이가 봉(11)에 고정된다. 상기 봉(11)의 두께는 다양한 두께가 될 수 있으며 봉수용부(130)의 크기보다 같거나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각도조절부(200)에 관한 것으로 각도조절부(200)는 상기 봉끼움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부면은 각도가 표시된 눈금부(220)가 형성되고 하부면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홈 형상의 각도조절홈(210)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5(b)는 각도조절부(200)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각도조절홈(210)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5(a)에서는 눈금부(220)를 표시한것으로 각도의 숫자가 생략된 모습이다.
도 6은 각도조절부(200)를 상방으로 바라본 도면으로 각도조절부(200)의 눈금부(220)에 숫자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200)는 제1축부체결홀(230)이 형성되되 축부(400)가 손잡이부(300)의 제2축부체결홀(330)과 각도조절부(200)의 제1축부체결홀(230)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a)와 같이 손잡이부(300)에 형성된 일측 각도기준선(320)에 눈금부(220)에 표시된 0도(˚)에 맞춰져 있는 것이 기본값이다.
도 6(b)는 각도조절부(200)를 k3방향으로 회전시키어 손잡이부(300)에 형성된 일측 각도기준선(320)에 30도(˚)의 각도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손잡이부(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사용모습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도 7(a), 도 8(a)는 손잡이부(300)에 형성된 일측 각도기준선(320)에 눈금부(220)에 표시된 0도(˚)에 맞춰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동용손잡이의 손잡이부(300)를 파지한 모습을 나타낸 모습이다.
도 7(b),도 8(b)는 일측의 운동용손잡이의 각도조절부(200)를 k3과 반대방향인 k5방향으로 회전시키어 손잡이부(300)에 형성된 타측 각도기준선(320)에 눈금부(220)에 표시된 30도(˚)에 맞춰져 있는 상태와,
타측의 운동용손잡이의 각도조절부(200)를 k3와 같은 방향인 k6방향으로 회전시키어 손잡이부(300)에 형성된 일측 각도기준선(320)에 눈금부(220)에 표시된 30도(˚)에 맞춰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동용손잡이의 손잡이부(300)를 파지한 모습을 나타낸 모습이다.
손잡이부(300)는 상기 각도조절부(200)가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축부(400)에 의해 각도조절부(200)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300)는 파지부(310)와 각도기준선(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지부(310)는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과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도기준선(320)은 파지부(3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선으로서 각도조절부(200)에 표시된 눈금부(220)의 기준선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0)는 제2축부체결홀(330), 제1각도조절부고정부관통홀(340), 제2각도조절부고정부관통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축부체결홀(330), 제1각도조절부고정부관통홀(340), 제2각도조절부고정부관통홀(35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며 도 2에 그 위치만 간략하게 표시되었다.
제2축부체결홀(330)은 축부(400)가 관통되기 위한 홀로서 손잡이부(30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되 바람직하게는 각도조절부(200)의 제1축부체결홀(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1각도조절부고정부관통홀(340)은 손잡이부(30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되 제1각도조절부고정부(500)가 관통되기 위한 홀로서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의 일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각도조절부고정부관통홀(350)은 손잡이부(300)의 상부 타측에 위치하되 제2각도조절부고정부(600)가 관통되기 위한 홀로서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의 타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축부(400)는 손잡이부(300)와 각도조절부(200)가 만나는 부위를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각도조절부(200)의 제1축부체결홀(230)도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축부(400)는 각도조절부(200)의 중앙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되되 각도조절부(200)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축부(400)는 도 1과 같이 각도조절부(200)의 제1축부체결홀(230)에 관통되어 체결 시 각도조절부(2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체결될 수도 있으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각도조절부고정부(500)는 손잡이부(300)의 제1각도조절부고정부관통홀(340)을 관통하여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에 체결되도록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의 일측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제2각도조절부고정부(600)는 손잡이부(300)의 제2각도조절부고정부관통홀(350)을 관통하여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에 체결되도록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의 타측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봉고정부(700)는 봉끼움부(100)의 상부면에 체결되도록 봉끼움부(100)의 상단과 대응되는 크기의 봉끼움부수용홀(71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봉끼움부수용홀(710)은 봉끼움부(100)에 형성된 제1기둥부(110)의 제1결합부(111)와 제2기둥부(120)의 제2결합부(121)에 체결되도록 제1결합부(111)와 제2결합부(1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부(111)와 제2결합부(121)가 도 2(a)와 같이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이와 대응되는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의 형태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봉고정부(700)의 상단 일측은 체결부(800)가 체결되도록 체결부체결홀(720)이 형성되며, 체결부(800)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800)는 봉고정부(700)의 상단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800)는 봉고정부(700)의 체결부체결홀(72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으로 체결부(800)는 볼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른 체결부체결홀(720)도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800)가 체결됨으로서 봉고정부(700)의 봉끼움부수용홀(710)에 수용된 봉(11)을 밀어주어 더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봉끼움부(100)의 봉수용부(130)에 수용되는 봉(11)은 하부에서는 축부(400)가 봉(11)을 밀어주고 상부에서는 체결부(800)가 봉(11)에 맞물려 밀어줌으로서 봉(11)을 위아래로 지지해줌으로서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고리연결부(900)는 상기 체결부(800)의 상부에 위치하되 소정 크기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리연결부(900)는 고리부(1000)가 연결되어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구성된 것이다.
상기 운동용 손잡이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실시예는 고리부(1000)를 추가하는 것으로, 상기 고리부(1000)는 상기 고리연결부(900)에 체결되는 것으로 소정 길이의 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도 9를 참고하면 고리부(1000)가 고리연결부(900)에 연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두번째 실시예는 도 10과 같이 제1연결봉(1100)과 제2연결봉(1200)을 추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봉(1100)은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300)의 파지부(310) 일측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봉(1200)은 소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300)의 파지부(310) 타측에 체결되는 것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손잡이부(300)의 양측에 제1연결봉(1100)과 제2연결봉(1200)이 각각 연결되며, 사용자는 제1연결봉(1100)과 제2연결봉(1200)을 파지하여 운동을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연결봉(1100)과 제2연결봉(1200)은 손잡이부(300)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300)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운동기구(10)의 봉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과 같이 운동기구(10)의 봉은 원형의 봉에서 일측면이 커팅되어 커팅면(12a)을 가진 형태의 커팅면형성봉(1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팅면형성봉(12)에 봉끼움부(10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동용 손잡이를 잡고 운동 시 커팅면(12a)으로 인해 커팅면형성봉(12)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하게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운동기구
11 봉
12 커팅면형성봉
12a 커팅면
100 봉끼움부
110 제1기둥부
111 제1결합부
120 제2기둥부
121 제2결합부
130 봉수용부
200 각도조절부
210 각도조절홈
220 눈금부
230 제1축부체결홀
300 손잡이부
310 파지부
320 각도기준선
330 제2축부체결홀
340 제1각도조절부고정부관통홀
350 제2각도조절부고정부관통홀
400 축부
500 제1각도조절부고정부
600 제2각도조절부고정부
700 봉고정부
710 봉끼움부수용홀
720 체결부체결홀
800 체결부
900 고리연결부
1000 고리부
1100 제1연결봉
1200 제2연결봉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일측은 제1기둥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이 제2기둥부(120)가 형성되되 제1기둥부(110)와 제2기둥부(120) 사이에 봉이 수용되도록 소정의 공간인 봉수용부(130)가 형성되는 봉끼움부(100)와,
    상기 봉끼움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홈 형상의 각도조절홈(210)을 포함하는 각도조절부(200)와,
    상기 각도조절부(200)가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축부(400)에 의해 각도조절부(200)와 연결되는 손잡이부(300)와,
    손잡이부(300)와 각도조절부(200)가 만나는 부위를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축부(400)와,
    손잡이부(300)를 관통하여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에 체결되도록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의 일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각도조절부고정부(500)와,
    손잡이부(300)를 관통하여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에 체결되도록 각도조절부(200)의 각도조절홈(210)의 타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각도조절부고정부(600)와,
    봉끼움부(100)의 상부면에 체결되도록 봉끼움부(100)의 상단과 대응되는 크기의 봉끼움부수용홀(710)이 형성되는 봉고정부(700)와,
    봉고정부(700)의 상단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800)와,
    상기 체결부(800)의 상부에 위치하되 소정 크기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리연결부(900)를 포함하고,
    상기 봉끼움부(100)의 제1기둥부(110)는 일측면이 제1결합부(111)가 형성되고,
    제2기둥부(120)는 일측면이 제2결합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제1기둥부(110)와 제2기둥부(120)는 봉고정부(700)의 봉끼움부수용홀(710)에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봉수용부(130)는 U자 형상 또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각도조절부(200)는
    각도조절부(200)의 하부면에 각도조절홈(210)이 형성되고,
    각도조절부(200)의 상부면은 각도가 표시된 눈금부(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손잡이부(300)는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310)와,
    상기 파지부(3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선으로서 각도조절부(200)에 표시된 눈금부(220)의 기준선인 각도기준선(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축부(400)는
    각도조절부(200)의 중앙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되되 각도조절부(200)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봉고정부(700)는
    봉끼움부(100)에 형성된 제1기둥부(110)의 제1결합부(111)와 제2기둥부(120)의 제2결합부(121)에 체결되도록 제1결합부(111)와 제2결합부(1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봉끼움부수용홀(710)과,
    상기 봉고정부(700)의 상단 일측은 체결부(800)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며, 체결부(800)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부체결홀(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끼움부(100)에 수용되는 봉은 커팅면형성봉(12)으로 형성되되,
    상기 커팅면형성봉(12)은 원형의 봉에서 일측면이 커팅되어 커팅면(12a)을 가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
  3. 삭제
  4. 삭제
KR1020220051577A 2022-04-26 2022-04-26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 KR102448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577A KR102448381B1 (ko) 2022-04-26 2022-04-26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577A KR102448381B1 (ko) 2022-04-26 2022-04-26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381B1 true KR102448381B1 (ko) 2022-09-27

Family

ID=8345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577A KR102448381B1 (ko) 2022-04-26 2022-04-26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3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8702B1 (en) * 1999-07-01 2002-01-15 Duke M. Jordan Exercise support bar
JP2009106721A (ja) * 2007-10-28 2009-05-21 Perfect Pushup Llc 回転可能なハンドルと回動可能なバーとを備えた引き上げ運動用組立体
US20120252641A1 (en) * 2010-09-14 2012-10-04 Joseph Odneal Quick Lock Kettlebell Handle
KR101645340B1 (ko) 2015-10-15 2016-08-03 (주)개선스포츠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JP2017137194A (ja) * 2015-10-08 2017-08-10 アール. デイ ナサニエル 長手方向に伸びる物体に対して取り付け可能な回転ハンドル
KR101875512B1 (ko) 2017-05-25 2018-07-06 이병돈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8702B1 (en) * 1999-07-01 2002-01-15 Duke M. Jordan Exercise support bar
JP2009106721A (ja) * 2007-10-28 2009-05-21 Perfect Pushup Llc 回転可能なハンドルと回動可能なバーとを備えた引き上げ運動用組立体
US20120252641A1 (en) * 2010-09-14 2012-10-04 Joseph Odneal Quick Lock Kettlebell Handle
JP2017137194A (ja) * 2015-10-08 2017-08-10 アール. デイ ナサニエル 長手方向に伸びる物体に対して取り付け可能な回転ハンドル
KR101645340B1 (ko) 2015-10-15 2016-08-03 (주)개선스포츠 운동기구 손잡이의 편리성을 증대한 각도 조절 장치
KR101875512B1 (ko) 2017-05-25 2018-07-06 이병돈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942A (en) Adjustable exercise device
US4591151A (en) Torsional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110028281A1 (en) Resistanc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EP1276543B1 (en) Exercise apparatus
US4585229A (en) Exercising apparatus
US20060040799A1 (en) Shoulder stabilizing and strengthening method and apparatus
US5205802A (en) Exercise apparatus
US7819789B2 (en) Exercise handle and methods of use
US4610448A (en) Hand grip for push-ups
US4930769A (en) Unified pull-push exercise device
US5761767A (en) Handle
US10252099B2 (en) Portable opposably mounted pull up device
US20080058175A1 (en) Multi-axis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9993685B2 (en) Push-up device and method of use
US4900015A (en) Exercise device
US20160175640A1 (en) Tribar
CN212789643U (zh) 可调整阻力的握力棒
US4537394A (en) Exercise apparatus for developing arm and wrist muscles
US20190282851A1 (en) Flip and grip handle system for lateral pulldown exercise machine
US6217494B1 (en) Adjustable revolving-weight lifting bar
CA2769993A1 (en) Exercise system
US6565494B1 (en) Portable and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KR102448381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운동용 손잡이
CA2530854A1 (en) Exercise apparatus
US4429870A (en) Physical exerci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