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07457A1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07457A1
WO2014007457A1 PCT/KR2013/003323 KR2013003323W WO2014007457A1 WO 2014007457 A1 WO2014007457 A1 WO 2014007457A1 KR 2013003323 W KR2013003323 W KR 2013003323W WO 2014007457 A1 WO2014007457 A1 WO 20140074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pening
mobile phone
coupled
phone cas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33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동희
Original Assignee
(유)유지피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유지피디자인 filed Critical (유)유지피디자인
Publication of WO20140074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074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case that is easy to use.
  • a mobile phone is a convenient means of communication that is essential in modern life, such as carrying a phone call, carrying a text message, and receiving an Internet connection.
  • mobile phones are essential for modern people, so they are easily portable and developed.
  • a general mobile phone case is used to protect the mobile phone from external shocks, to prevent scratches or damage to the LCD or the body, and to soften the touch felt during a call and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phone. It is done.
  •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case is mainly to have no function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use, and therefore, development of a mobile phone case that provides an advantage in use is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can store and carry business cards and card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the hinge for install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phone case in which the exterior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and the mounting of the mobile phone is facilitated.
  • a mobile phone case includes: a body part including an accommodating part formed on an inner surface, a first opening part formed on a lower side, and first hinge parts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opening part; And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and including a second hinge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wherein the first hinge portion extends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entire length except the lower end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is divided with the body portion, an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rotated upward for the opening of the first opening, the lower end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 the upper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lift upward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s a reference.
  •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finger fitting portion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user's finger can be fitted.
  •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opening, the finger fit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band, the bottom of the band is the bottom of the first opening
  • the body portion includes a second opening formed on one side, the magnifying glass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coupled to the body portion;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late-shaped magnifying glass that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and may be mounted to the magnifying glass mounting unit.
  • the fastening part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finger fitting part is coupled to a band and a lower end of the band so as to form a lower end of the first opening.
  • a first assembly member fixed to a side, a second assembly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and, one sid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and a third assembly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assembly memb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It may include.
  •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art to store and carry a business card and a card.
  • the appearance is beautiful, there is an effect such as easy mounting of the mobile phone.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of the mobile phone case shown in FIG.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nger fitting shown in FIG.
  •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shown in FIG. 1 is rotated.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gnifying glass illustrated in FIG. 5 is mounted on a mobile phone case.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of the mobile phone case shown in FIG.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shown in FIG. 1 is rotated.
  • the mobile phone case 10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 Body portion 110 may be coupled to the mobile phone to cover the side and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 the body part 110 may include a bottom part 110a and a side part 110b in order to cover the side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cell phone and be coupled with the cell phone.
  • the bottom portion 110a may protect the back portion of the mobile phone.
  • the bottom portion 110a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 the side portion 110b may protect the side portion 110b of the mobile phone.
  • the side portion 110b may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110a.
  • the side portion 110b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portion 110a.
  • the body part 110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art 111, a first opening part 113, and a first hinge part 114.
  • the accommodating part 111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art 110a.
  • the body 110 may form the mobile phone support jaw 112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portion 110b in order to form the accommodating portion 111 on the inner surface.
  • the mobile phone support jaw 112 may support the rear edge of the mobile phone when the body 110 is fastened to the mobile phone.
  •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110a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ph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fore, the accommodating part 111 may be formed by the cell supporting jaw 112 at intervals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cell phon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110a constituting the body part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first opening 113 allows the card 111 or the business card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11.
  • the first opening 113 may be formed under the bottom portion 110a.
  • the first opening 113 may have a shape of opening in a rectangular shape.
  • the first hinge part 114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 the first hinge portion 114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irst opening 113, and a pin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 the first hinge 114 is normally located inside the first opening 113, and then lifted upward along the opening 120 when the opening 120 is rotated upward.
  • the first hinge part 114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part 113 to have a rectangular shape.
  • the lower end of the first hinge portion 114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10, the entire length except the lower end may be formed to be divided from the body portion (110).
  • the thickness of the first hinge portion 114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ortion 110a of the body portion 110. Accordingly,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inge portion 114 may be lifted upward based on the lower portion, and may have some elasticity.
  •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opening 113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113.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first opening 113.
  •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may have a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may include a second hinge portion 121 to be coupled to the first opening portion 113.
  • the second hinge part 12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inge part 114.
  • the second hinge part 121 may b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and a hinge pin coupled to the first hinge part 114 on one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inge part 114. This can be formed.
  • the body portion 110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115, and may further include a finger fitting portion 130.
  • the fastening part 115 allows the finger fitting part 130 to be coupled to the body part 110.
  • the fastening part 115 may include a first opening 115a and a second opening 115b.
  • the first opening 115a and the second opening 115b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110a of the body portion 110 to have a rectangular shape.
  • the first opening 115a and the second opening 115b may be arranged in the same line, the first opening 115a is located below the second opening 115b, and the second opening 115b is the first opening. It may be located above the 115a.
  • the first opening 115a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 the second opening 115b may be narrower than the first opening 115a.
  • the finger fitting portion 130 allows the user's hand to be fitted when the mobile phone case is used to easily hold the mobile phone case and the mobile phone case.
  • the finger fitting 130 may include a band 131 and first to third assembly members 132, 133, and 134.
  • the band 131 may be drawn out of the first opening 115a for use of the finger fitting 130.
  • the band 131 may b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 the width of the band 131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 115a or may have the same width.
  • the band 131 may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opening 115a and the second opening 115b, and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opening 115a and the second opening 115b. It may have the same length.
  • the band 131 is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may be silicon or rubber, and the material of the band 1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first assembly member 132 and the second assembly member 133 allow the band 131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115.
  • the first assembly member 132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and 131 and fastene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first opening 115a.
  •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first opening 115a, Fasten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 the second assembly member 133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and 131, and one side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15b.
  • the second assembly member 133 may slide along the second opening 115b.
  • the second assembly member 133 may have a sliding protrusion having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15b on one side thereof.
  • 133a may be formed.
  • the third assembly member 134 may be coupled to the sliding protrusion 133a of the second assembly member 133 on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10.
  • the third assembly member 13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10 to slide the second assembly member 133 along the second opening by a user's manipulation.
  • the third assembly member 134 may form a hole 134a on one side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sliding protrusion 133a.
  • the finger fitting portion 130 may include a band 131, a first assembly member 132, and a second assembly member 133 in the body 110 except for the third assembly member 134.
  • the body portion 110 may include a first step 116 and a second step. 117, the cover 118 may be included.
  • the first step 116 and the second step 117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110a, that is, the center in which the first opening 115a and the second opening 115b are formed.
  • the first step 116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second step 117, and the second step 117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110a.
  • the band 131, the first assembly member 132, and the second assembly member 133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p 116.
  • the cover 118 may be coupled between the second step 117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110a.
  • the cover 118 may cover the first step 116 and the second step 117 and may prevent the band 131, the first assembly member 132, and the second assembly member 133 from being separated.
  • lid 118 is a long rectangular plate.
  • the body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111 therein, it is possible to store and carry by putting a card and a business car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1.
  •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ceiving portion 111 of the body portion 110 is easy to open and close.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may be installed and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hinge portion 114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121, the first hinge portion 11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113. It extends long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since the entire length is formed to be divided with the body part 110, the first hinge part 114 has elasticity. 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114 may be elastically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110.
  •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rotated to open the first opening portion 113,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rotated at an angle of 90 ° or less,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immediately ope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hinge portion 114.
  •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closed by the first opening portion 113 and rotates at an angle of 90 ° or more,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opened because the first hinge portion 114 fully ris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portion 113.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hinge 114 acts upward in the open / closed portion 120, the open state of the open / close portion 120 may be maintained, and at this time, the mobile phone may be mounted on the floor as the open / close portion 120. .
  •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configured to have the elasticity of the first hinge portion 114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opening and closing may also have a function as a holder.
  • the first hinge portion 1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110 and is normally located inside the first opening portion 113 without protruding to the outside, but only when the opening portion 120 is rotated. Since it does not damage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phone case,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phone case can be beautiful.
  • the finger insertion unit 130 is provided, when the mobile phone case 100 is used while the mobile phone case 100 is coupled with the mobile phone while a part of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finger insertion unit 130, the mobile phone slides down from the han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mobile phone.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ease of use can be increased.
  • the finger fitting portion 130 has a configuration that is built in the body portion 110 is usually embedded in the body portion 110, only when the user wants to insert the finger in the finger fitting portion 130 Can be withdrawn to the outside. That is, when the third assembly member 134 of the finger fitting portion 130 is push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a band 131 for inserting a finger embedded in 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Can be withdrawn to the outside. Therefore, when the user using the mobile phone by combining the mobile phone case 100 pulls out the finger insertion unit 130 only when necessary,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finger insertion unit 130 is no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mobile phone in normal times. If not,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phone case 100 may be beautiful, and if necessary, the band 131 may be easily drawn out of the body 110 to use the finger fitting portion 130.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gnifying glass shown in Figure 5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case.
  • the mobile phone case 200 may include a body portion 210 including a second opening 211 and a guide slot 212.
  • the mobile phone case 200 may further include a magnifying glass mounting portion 240 and a magnifying glass 250. It may include.
  • the second opening 211 and the guide slot 212 allow the magnifying glass mounting portion 240 to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10.
  • the second opening 211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side portion 210b of the body portion 210.
  • the guide slot 212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10a of the body portion 210 and may extend in the second opening 211.
  • the magnifying glass mounting unit 240 may mount the magnifying glass 250.
  • the magnifying glass mounting part 24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211 and fastened to the guide slot 212, and may be received or drawn out of the body part 210 while sliding along the guide slot 212.
  • the magnifier mounting unit 240 may include a first member 241 and a second member 242 to be fastened to the guide slot 212.
  • Guide piece 241a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member 241, and a hinge part 241b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 the guide piece 241a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slot 212 and may slide along the guide slot 212.
  • the second member 242 may have a hinge portion 242a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be engaged with the hinge portion 241b of the first member 241, and a magnifier support portion 242b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 the magnifying glass support 242b may be coupled to the magnifying glass 250.
  • the first support piece 242b ′ and the second support piece 242b ′′ facing each other may be formed.
  • An insertion part 242b '′′ for inserting the magnifying glass 25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iece 242b' and the second support piece 242b ′′.
  • Receiving grooves 242c may be formed in the second member 242.
  • the receiving groove 242c is a receiving groove 242c for receiving the side portion 110b in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110b of the body portion 110 when the second member 242 is rotated about the hinge portion 242a. This can be formed.
  • the magnifying glass 25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3 of the body portion 210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magnifying glass mounting portion 240 if necessary.
  • the magnifying glass 25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gnifier 250 is a convex lens.
  • the magnifier 250 can enlarge the letters, images, and the like in the liquid crystal of the mobile phone. That is, when the magnifying glass 250 is pulled out from the accommodating part 213 of the body part 210 and mounted on the magnifying glass mounting part 240, the second member 242 of the magnifying glass mounting part 240 is rotated upward. Likewise, the magnifying glass 250 may face the upper side of the mobile phone. Therefore, through the magnifying glass 250, the letters, images, and the like in the liquid crystal of the mobile phone can be viewed l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폰 케이스가 개시된다. 휴대폰 케이스는 내면에 형성되는 수납부, 하부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 상기 제1 개구부의 좌, 우측에 마련되는 제1 힌지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제1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제1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하단을 제외한 전체 길이가 상기 몸체부와 분할되어 있고, 상기 제1 개구부의 개방을 위해 상기 개폐부가 상측으로 회동될 때,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하단을 기준으로 상부가 상기 개폐부를 따라 상측으로 들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용이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휴대하고 다니면서 전화통화하거나, 문자 등의 송ㆍ수신과 인터넷 접속 등 현대인의 생활에서 필수적인 편리한 통신수단이다. 이와 같이 휴대폰은 현대인에게 필수적이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고 편리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휴대폰을 별도의 보관수단 없이 휴대하는 경우, 활동 중에 휴대폰을 떨어뜨려 충격에 의해 흡집이 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휴대폰이 이처럼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각종 휴대폰용 케이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휴대폰용 케이스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고, 액정표시 장치나 몸체의 흠집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통화시 손에 느껴지는 촉감을 부드럽게 하고 휴대폰의 외관을 미려하게 꾸미는 용도로 사용 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용 케이스는 상술한 용도 이외에는 다른 기능이 없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사용상의 이점을 부여하는 휴대폰용 케이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납부가 마련되어 명함 및 카드 등을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으며, 수납부를 오픈하기 위한 개폐부의 설치 및 개폐가 용이하며, 개폐부의 설치를 위한 힌지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해지고, 휴대폰의 거치가 용이해지도록 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내면에 형성되는 수납부, 하부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 상기 제1 개구부의 좌, 우측에 마련되는 제1 힌지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제1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제1 힌지부와 결합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개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하단을 제외한 전체 길이가 상기 몸체부와 분할되어 있고, 상기 제1 개구부의 개방을 위해 상기 개폐부가 상측으로 회동될 때,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하단을 기준으로 상부가 상기 개폐부를 따라 상측으로 들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손가락 끼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의 상측에 마련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끼움부는 밴드, 상기 밴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의 하단측에 고정되는 제1 조립부재, 상기 밴드의 상단에 결합되어 일측이 상기 제2 개구에 삽입되는 제2 조립부재, 상기 제2 조립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3 조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몸체부는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돋보기 장착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돋보기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는 판상의 돋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의 상측에 마련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끼움부는 밴드, 상기 밴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의 하단측에 고정되는 제1 조립부재, 상기 밴드의 상단에 결합되어 일측이 상기 제2 개구에 삽입되는 제2 조립부재, 상기 제2 조립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3 조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케이스는, 수납부가 마련되어 명함 및 카드 등을 보관 및 휴대할 수 있고, 수납부를 오픈하기 위한 개폐부의 설치 및 개폐가 용이하며, 개폐부의 설치를 위한 힌지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해지고, 휴대폰의 거치가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가락 끼움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개폐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돋보기가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가락 끼움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개폐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00)는 몸체부(110) 및 개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휴대폰의 측면부 및 배면부를 덮도록 휴대폰과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몸체부(110)는 휴대폰의 측면부 및 배면부를 덮어서 휴대폰과 결합되기 위하여, 저면부(110a), 측면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저면부(110a)는 휴대폰의 배면부를 보호할 수 있다. 저면부(110a)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면부(110b)는 휴대폰의 측면부(110b)를 보호할 수 있다. 측면부(110b)는 저면부(110a)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측면부(110b)는 저면부(110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수납부(111), 제1 개구부(113), 제1 힌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11)는 저면부(110a)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몸체부(110)가 내면에 수납부(111)를 형성하기 위하여, 측면부(110b)의 둘레를 따라 휴대폰 지지턱(112)을 형성할 수 있다. 휴대폰 지지턱(112)은 몸체부(110)가 휴대폰과 체결될 때 휴대폰의 배면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의 저면부(110a) 내면은 휴대폰의 배면부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지지턱(112)에 의해 휴대폰의 배면과 몸체부(110)를 구성하는 저면부(110a)의 내면이 이격되는 간격만큼 수납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개구부(113)는 수납부(111)로 카드 또는 명함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개구부(113)는 저면부(110a)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13)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1 힌지부(114)는 개폐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힌지부(114)는 제1 개구부(113)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될 수 있고, 핀삽입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부(114)는 평상시 제1 개구부(113)의 내측에 위치해있다가 개폐부(120)가 상측으로 회동될 때 개폐부(120)를 따라 상측으로 들려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힌지부(114)가 개폐부(120)와 함께 동작되기 위하여, 제1 힌지부(114)는 제1 개구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힌지부(114)의 하단은 몸체부(110)와 연결될 수 있고, 그 하단을 제외한 전체 길이가 몸체부(110)와 분할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힌지부(114)가 갖는 두께는 몸체부(110)의 저면부(110a)가 갖는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힌지부(114)는 하단을 기준으로 상부가 상측으로 들려질 수 있고,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개폐부(120)는 제1 개구부(113)에 결합되어 제1 개구부(113)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120)는 제1 개구부(113)가 갖는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개폐부(120)는 단면 형상이 ㄱ자 형상일 수 있다. 개폐부(120)는 제1 개구부(113)에 결합되기 위하여, 제2 힌지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힌지부(121)는 제1 힌지부(114)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힌지부(121)는 개폐부(120)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힌지부(114)와 대응하는 일측면에 제1 힌지부(114)에 결합되는 힌지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몸체부(110)는 체결부(115)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손가락 끼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15)는 손가락 끼움부(130)가 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체결부(115)는 제1 개구(115a) 및 제2 개구(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115a) 및 제2 개구(115b)는 몸체부(110)의 저면부(110a)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115a) 및 제2 개구(115b)는 동일 선상에 배열될 수 있고, 제1 개구(115a)는 제2 개구(115b)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2 개구(115b)는 제1 개구(115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개구(115a)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115b)는 제1 개구(115a)보다 폭이 좁을 수 있다.
손가락 끼움부(130)는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시 사용자의 손이 끼워져서 휴대폰 케이스 및 휴대폰 케이스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손가락 끼움부(130)는 밴드(131) 및 제1 내지 제3 조립부재(132, 133, 134)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131)는 손가락 끼움부(130)의 사용을 위해 제1 개구(115a)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밴드(131)는 제1 개구(115a)의 외측으로 인출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밴드(131)는 얇은 시트 형태일 수 있다. 밴드(131)의 폭은 제1 개구(115a)의 폭보다 작을 수도 있고, 동일한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밴드(131)는 제1 개구(115a) 및 제2 개구(115b)가 갖는 길이의 합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제1 개구(115a) 및 제2 개구(115b)가 갖는 길이의 합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밴드(131)는 플렉시블한 소재로써, 예를 들면, 실리콘 또는 고무일 수 있으며, 밴드(131)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조립부재(132) 및 제2 조립부재(133)는 밴드(131)가 체결부(115)에 체결되도록 한다. 제1 조립부재(132)는 밴드(131)의 하단에 결합되고, 제1 개구(115a)의 하단측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조립부재(132)가 제1 개구(115a)의 하단측에 체결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제1 개구(115a)의 하단측에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제1 조립부재(132)의 일면에 체결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조립부재(133)는 밴드(131)의 상단에 결합되고, 일측이 제2 개구(115b)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조립부재(133)는 제2 개구(115b)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 조립부재(133)가 제2 개구(115b)를 따라 슬라이딩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제2 조립부재(133)는 일측면에 제2 개구(115b)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슬라이딩 돌기(13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조립부재(134)는 몸체부(110)의 외측에서 제2 조립부재(133)의 슬라이딩 돌기(133a)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조립부재(134)는 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조립부재(133)를 제2 개구를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제3 조립부재(134)는 슬라이딩 돌기(133a)와 결합되기 위하여, 일측면에 구멍(134a)을 형성할 수 있다.
손가락 끼움부(130)는 제3 조립부재(134)를 제외하고는 밴드(131), 제1 조립부재(132), 제2 조립부재(133)가 몸체부(110)에 내장될 수 있다. 일례로, 밴드(131), 제1 조립부재(132) 및 제2 조립부재(133)가 몸체부(110)에 내장되기 위하여, 몸체부(110)는 제1 단턱(116) 및 제2 단턱(117), 덮개(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턱(116) 및 제2 단턱(117)은 저면부(110a) 중앙, 즉 제1 개구(115a) 및 제2 개구(115b)가 형성된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턱(116)은 제2 단턱(117)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단턱(117)은 저면부(110a)의 내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턱(116)의 내측으로는 밴드(131), 제1 조립부재(132) 및 제2 조립부재(133)가 수용될 수 있다.
덮개(118)는 제2 단턱(117)과 저면부(110a)의 내면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덮개(118)는 제1 단턱(116) 및 제2 단턱(117)을 커버하고, 밴드(131), 제1 조립부재(132) 및 제2 조립부재(13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덮개(118)는 길이가 긴 직사각형 플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이용하면, 몸체부(110)가 내측에 수납부(111)를 구비하므로 수납부(111) 내에 카드 및 명함 등을 넣어서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몸체부(110)의 수납부(11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120)의 설치 및 개폐가 용이하다. 즉, 개폐부(120)는 제1 힌지부(114) 및 제2 힌지부(121)에 의해 설치 및 개폐될 수 있는데, 제1 힌지부(114)는 제1 개구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전체 길이가 몸체부(110)와 분할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힌지부(114)는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1 힌지부(114)와 연결되는 개폐부(120)는 탄력적으로 몸체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120)가 제1 개구부(113)를 개방하기 위하여 회동될 때는, 개폐부(120)가 90°이하의 각도로 회동되면 제1 힌지부(114)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120)는 즉시 제1 개구부(113)에 닫히게 되고, 개폐부(120)가 90°이상의 각도로 회동되면 제1 힌지부(114)가 제1 개구부(113)의 외측으로 완전히 상승하므로 개폐부(120)는 열리게 된다. 개폐부(120)가 열린 상태에서 제1 힌지부(114)의 탄성력은 상측으로 작용하므로 개폐부(120)의 열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이때, 개폐부(120)로서 휴대폰을 바닥에 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부(120)는 제1 힌지부(114)가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설치 및 개폐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거치대로서의 기능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힌지부(114)는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평상시 제1 개구부(113) 내측에 위치하였다가 개폐부(120)의 회동시에만 제1 개구부(113)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형태이므로 휴대폰 케이스의 외관을 헤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 케이스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끼움부(130)가 구비되므로 휴대폰 케이스(100)를 휴대폰과 결합한 상태에서 손가락 끼움부(130)에 손가락 일부를 끼운 채로 사용하면, 휴대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휴대폰이 손에서 미끄러져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손가락 끼움부(130)는 몸체부(110)에 내장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평상시에는 몸체부(110)에 내장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손가락 끼움부(130)에 손가락을 끼우고자 할 경우에만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손가락 끼움부(130)의 제3 조립부재(134)를 개폐부(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면 몸체부(110) 내에 내장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밴드(131)가 몸체부(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 케이스(100)를 결합하여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요시에만 손가락 끼움부(130)를 외부로 인출하므로 평상시에 휴대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가락 끼움부(130)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고, 휴대폰 케이스(100)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고, 필요시에는 간편하게 밴드(131)를 몸체부(110)의 외부로 인출하여 손가락 끼움부(13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돋보기가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200)는 몸체부(210)가 제2 개구부(211), 가이드 슬롯(212)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돋보기 장착부(240) 및 돋보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부(211) 및 가이드 슬롯(212)은 돋보기 장착부(240)가 몸체부(2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제2 개구부(211)는 몸체부(210)의 측면부(210b)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212)은 몸체부(210)의 저면부(210a)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개구부(211)에 연장될 수 있다.
돋보기 장착부(240)는 돋보기(250)를 장착할 수 있다. 돋보기 장착부(240)는 제2 개구부(211)에 삽입되어 가이드 슬롯(212)에 체결되고, 가이드 슬롯(21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몸체부(210)의 내측 및 외측으로 수납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돋보기 장착부(240)는 가이드 슬롯(212)에 체결되기 위하여, 제1 부재(241) 및 제2 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241)는 일측 단부에 가이드편(241a)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일단에 힌지부(241b)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편(241a)은 가이드 슬롯(212)이 갖는 넓이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가이드 슬롯(212)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 부재(242)는 일측에 제1 부재(241)의 힌지부(241b)와 체결되기 위한 힌지부(242a)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일측에는 돋보기 지지부(242b)가 형성될 수 있다. 돋보기 지지부(242b)는 돋보기(250)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돋보기 지지부(242b)는 돋보기(250)가 결합되기 위하여, 서로 마주하는 제1 지지편(242b') 및 제2 지지편(242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편(242b') 및 제2 지지편(242b'')의 사이에는 돋보기(25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24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242)는 상면부에 수용홈(242c)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242c)은 제2 부재(242)가 힌지부(242a)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몸체부(110)의 측면부(110b)와 접하여 그 측면부(110b)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42c)이 형성될 수 있다.
돋보기(250)는 몸체부(210)의 수납부(213)에 수납되고, 필요시 돋보기 장착부(24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돋보기(25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돋보기(250)의 중앙부는 볼록렌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200)를 이용하면, 돋보기(250)를 통해 휴대폰의 액정 내의 글자, 이미지 등을 확대하여 크게 볼 수 있다. 즉, 몸체부(210)의 수납부(213)에서 돋보기(250)를 인출하여 돋보기 장착부(240)에 장착한 후 돋보기 장착부(240)의 제2 부재(242)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도 6과 같이 돋보기(250)는 휴대폰의 상측으로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돋보기(250)를 통하여 휴대폰의 액정 내의 글자, 이미지 등을 크게 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내면에 형성되는 수납부(111, 213), 하부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113), 상기 제1 개구부(113)의 좌, 우측에 마련되는 제1 힌지부(114)를 포함하는 몸체부(110, 210);
    상기 제1 개구부(113)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113)를 개폐하며, 상기 제1 힌지부(114)와 결합되는 제2 힌지부(121)를 포함하는 개폐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114)는
    상기 제1 개구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0, 210)와 연결되는 하단을 제외한 전체 길이가 상기 몸체부(110, 210)와 분할되어 있고, 상기 제1 개구부(113)의 개방을 위해 상기 개폐부(120)가 상측으로 회동될 때, 상기 몸체부(110, 210)와 연결된 하단을 기준으로 상부가 상기 개폐부(120)를 따라 상측으로 들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는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21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부(211)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210)와 결합되는 돋보기 장착부(240);
    상기 수납부(213)에 수납되고, 상기 돋보기 장착부(240)에 장착될 수 있는 판상의 돋보기(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제2 개구부(211)에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212)을 포함하며,
    상기 돋보기 장착부(240)는 상기 가이드 슬롯(212)에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212)을 따라 상기 몸체부(210)의 내측 및 외측으로 수납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 210)는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체결부(115)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115)에 체결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손가락 끼움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15)는 제1 개구(115a) 및 상기 제1 개구(115a)의 상측에 마련되는 제2 개구(115b)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끼움부(130)는 밴드(131), 상기 밴드(13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115a)의 하단측에 고정되는 제1 조립부재(132), 상기 밴드(131)의 상단에 결합되어 일측이 상기 제2 개구(115b)에 삽입되는 제2 조립부재(133), 상기 제2 조립부재(133)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10, 2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3 조립부재(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PCT/KR2013/003323 2012-07-04 2013-04-19 휴대폰 케이스 WO201400745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24 2012-07-04
KR1020120073024A KR101191867B1 (ko) 2012-07-04 2012-07-04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7457A1 true WO2014007457A1 (ko) 2014-01-09

Family

ID=4728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3323 WO2014007457A1 (ko) 2012-07-04 2013-04-19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1867B1 (ko)
WO (1) WO20140074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162U (ko) * 2015-12-10 2017-06-20 신학수 힌지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666B1 (ko) * 2012-04-18 2013-10-30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KR101366108B1 (ko) 2013-01-30 2014-02-28 함정우 스마트폰 떨어뜨림 방지장치
DE202013105423U1 (de) * 2013-11-28 2014-12-03 Vodafone Holding Gmbh Schutzvorrichtung für ein elektronisches Endgerät
KR101616697B1 (ko) * 2015-01-27 2016-04-29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 홀더
KR200479192Y1 (ko) * 2015-04-24 2015-12-30 박찬우 휴대기기 손가락 거치대
KR20180001563U (ko) * 2016-11-17 2018-05-25 노지성 돋보기 기능을 가진 핸드폰 케이스
KR101765766B1 (ko) 2017-01-23 2017-08-08 (주) 우성인터내셔날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375387B1 (ko) * 2020-06-30 2022-03-18 주식회사 모모스틱 스마트 단말기 케이스 일체형 핑거 그립
WO2022005148A1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모모스틱 스마트 단말기 케이스 일체형 핑거 그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970U (ko) * 1993-08-23 1995-03-20 강호용 필기구와 메모지등을 부설한 휴대용 명함케이스
KR100848251B1 (ko) * 2007-08-13 2008-07-23 오창렬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
KR200458135Y1 (ko) * 2011-01-14 2012-01-20 주식회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101122400B1 (ko) * 2011-08-01 2012-03-09 이성복 체결식 구조의 금속 판재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와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970U (ko) * 1993-08-23 1995-03-20 강호용 필기구와 메모지등을 부설한 휴대용 명함케이스
KR100848251B1 (ko) * 2007-08-13 2008-07-23 오창렬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
KR200458135Y1 (ko) * 2011-01-14 2012-01-20 주식회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101122400B1 (ko) * 2011-08-01 2012-03-09 이성복 체결식 구조의 금속 판재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와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162U (ko) * 2015-12-10 2017-06-20 신학수 힌지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86745Y1 (ko) 2015-12-10 2018-06-27 신학수 힌지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867B1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07457A1 (ko) 휴대폰 케이스
WO2011152597A1 (ko)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KR101323666B1 (ko) 휴대폰용 케이스
WO2011037324A2 (ko)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US20110195759A1 (en) Electronic mobile device having interchangeable covers
WO2016068440A1 (ko) 왕복 이동 슬라이더를 가지는 유닛 및 이를 장착한 케이스
WO2018174363A1 (ko) 핸드폰 케이스
WO2018236074A2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WO2018190545A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483146B1 (ko)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WO2019205801A1 (zh) 一种结构新颖的蓝牙耳机充电装置
WO2014073757A1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WO2019107744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20047214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WO2009091215A1 (en) Support device for electronic devices
WO2014200209A1 (ko) 액정 투시창이 형성된 덮개를 갖는 플립형 휴대폰 케이스
WO2013187566A1 (ko) 메모지 홀더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WO2021100892A1 (ko) 다이어리 케이스
CN216249660U (zh) 一种英语助学器
WO2014133299A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N220383100U (zh) 保护壳
JP2008263433A (ja) 電子機器
KR101312763B1 (ko) 스마트폰용 클립
CN210299885U (zh) 耳机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134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134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