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251B1 -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 - Google Patents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251B1
KR100848251B1 KR1020070081151A KR20070081151A KR100848251B1 KR 100848251 B1 KR100848251 B1 KR 100848251B1 KR 1020070081151 A KR1020070081151 A KR 1020070081151A KR 20070081151 A KR20070081151 A KR 20070081151A KR 100848251 B1 KR100848251 B1 KR 100848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knob
magnifying glass
link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렬
Original Assignee
오창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렬 filed Critical 오창렬
Priority to KR102007008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05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Len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휴대전화기를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성 커버(Hard Cover)의 내부에 휴대전화기의 표시창 또는 버튼판을 확대해서 볼 수 있는 확대경을 내장한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110), 확대경조립체(120), 확대경조립체(120)와 케이스(110)를 연결하는 좌우 2개의 링크(130), 그리고 케이스(110)에서 링크(130)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노브(140, Knob)로 구성되는 링크(Link) 방식과, 상기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와 대동소이하나, 링크(130) 대신에 가요관(230)을 사용한 볼조인트(Ball Joint) 방식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인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는, 폴더형(Folder Type), 슬립형(Slip Type), 로터리형(Rotary Type) 등 다양한 기종의 전화기에 모두 사용될 수 있고, 확대경으로 전화기의 표시창과 버튼판을 모두 볼 수 있게 하여, 눈의 피로나 시력감퇴의 위험을 줄이면서, 휴대전화기의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Figure R1020070081151
휴대전화, 평면돋보기, 표시창, 확대, 링크, 볼조인트, 커버.

Description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Mobile Phone Cover Containing Magnifier}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휴대전화기를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성 커버(Hard Cover)의 내부에 휴대전화기의 표시창 및 버튼판을 확대해서 볼 수 있는 확대경을 내장한 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전화기(이하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전화기"라 약칭함.)의 보급이 급격히 확대되어 전 국민 대다수가 전화기를 보유하고 있고, 전화기의 용도 또한 단순한 전화통화를 넘어서 문자메시지 송수신, 전자사전, TV 시청, 게임, 동영상 보기, GPS를 이용한 지도 보기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전화기의 용도가 확대됨에 따라 전화기의 표시창도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휴대의 편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 이상으로 전화기의 크기를 키울 수가 없고, 이에 따라 표시창의 크기를 키우는데 한계가 있다. 제한된 크기의 표시창으로 복잡한 내용의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표시창에 표시되는 글씨나 그림을 작게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전화기로 작은 글씨나 그림을 장시간 볼 경우, 당연히 눈의 건강을 해치게 되고, 특히 조명이 충분하지 않은 지하철 등에서는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하다. 그리고 나이가 많아 노안이 된 사람에게는 맨눈으로는 문자메시지 확인 등과 같은 간단한 수준의 이용에도 불편이 따른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돋보기 안경이나 확대경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전화기의 표시창 부위에 확대경을 부착한 전화기 커버가 특허 또는 실용신안등록으로 국내에 출원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명 또는 고안들은 돋보기의 특성상 중앙이 볼록하여 두께가 두꺼워지고, 특히 전화기를 닫았을 때 표시창과 버튼판이 서로 접하는 폴더형 전화기에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출원번호 10-2004-0025419호(휴대폰 액세서리 등으로 소지할 수 있는 휴대용 평면 돋보기)의 국내 공개특허에는 두께가 아주 얇아 휴대가 편리한 평면 돋보기를 액세서리 형태로 전화기에 매달 수 있게 하여, 필요할 때 손으로 돋보기를 잡고 사용하거나, 집게로 전화기에 집어두고 사용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 중에서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것은 볼록렌즈 대신 평면 돋보기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확대경과 기본적으로 동일한데, 한 손은 전화기를 잡고, 또 다른 손은 돋보기를 잡아야 하므로 사용이 아주 불편하다. 그리고 집게 형의 경우 돋보기가 전화기의 표시창에 접하게 되어 확대 배율이 낮을 수밖에 없고, 사용중 돋보기가 전화기와 분리될 위험이 있다.
최근, 휴대전화기는 컴팩트하면서도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표시부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폴더형(Folder Type), 전면 표시부가 상하로 미끄러지는 슬립형(Slip Type), 표시부가 본체에서 90도로 회전할 수 있는 로터리형(Rotary Type) 등 다양한 기종의 전화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전화기의 디자인이 점점 고급화되고 미려해짐에 따라, 전화기의 외부에 장착하여 전화기의 외면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케이스로 가죽, 비닐필름, 천 등과 같은 연성재료로 제작되는 소프트커버(Soft Cover)와, 플라스틱 등의 경성재료로 제작되는 하드커버(Hard Cover)가 모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양질의 광학필름이 개발됨에 따라, 상기 출원번호 10-2004-0025419호에 사용된 평면 돋보기와 같은 평면렌즈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평면렌즈는 필름의 표면에 아주 미세한 볼록 또는 오목 면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는 얇은 평면 필름형상으로서 휴대가 편리하면서도 그 기능은 통상의 볼록렌즈 또는 오목렌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최근 휴대전화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정보가 아주 섬세해지고, 노안의 고령자도 대부분 휴대전화기를 사용하고 있고, 전화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어두운 장소에서도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전화기에 부착하여 눈의 피로를 덜고 고령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전화기의 표시창 또는 버튼판을 확대해서 볼 수 있는 확대경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휴대전화기용 확대경은 전화기에 항상 장착되어 있어서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이 없어야 하고, 크기가 컴팩트하여 전화기의 휴대와 사용에 불편이 없어야 하고, 폴더형(Folder Type), 슬립형(Slip Type), 로터리형(Rotary Type) 등 다양한 기종의 전화기에 모두 사용될 수 있어야 하고, 확대경으로 전화기의 표시창과 버튼판을 모두 볼 수 있어야 하고, 사용자의 시력 정도에 따라 확대 배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확대경과 관찰면(주로 표시창의 표면이 될 것임.)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하고, 한번 사용 위치에 고정되면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휴대전화기용 확대경에 요구되는 많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전화기 보호용 하드커버(이하, "커버"라 칭함.)의 내부에 두께가 얇은 평면확대경을 수납하고, 이 확대경을 사용하고 할 때는 전화기의 표시창 또는 버튼판의 전면에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 해결 수단으로 링크(Link) 방식과 볼조인트(Ball Joint) 방식을 채택하였다. 링크 방식은 프레임에 평면확대경이 부착된 확대경조립체를 좌우 양측의 링크에 의하여 커버에 집어넣고, 뽑아내고, 그리고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볼조인트 방식은 확대경조립체를 볼조인트를 이용하여 가요관(Flexible Pipe)에 부착하여 커버에 집어넣고, 뽑아내고, 그리고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인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는, 내부에 전화기의 표시부와 버튼판을 확대해서 볼 수 있는 확대경을 장착하고 있어서, 확대경을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이 해소되고, 여기에 사용되는 확대경으로는 필름 형태의 평면확대경을 채택하여 크기가 컴팩트하고 전화기의 휴대와 사용에 불편이 없다.
본 발명인 휴대전화기 커버는 폴더형(Folder Type), 슬립형(Slip Type), 로터리형(Rotary Type) 등 다양한 기종의 전화기에 모두 사용될 수 있고, 확대경으로 전화기의 표시창과 버튼판을 모두 볼 수 있고, 사용자의 시력 정도에 따라 확대 배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확대경과 관찰면(주로 표시창의 표면이 될 것임.)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고, 한번 사용 위치에 고정되면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위와 같은 확대경의 조작이 아주 간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인 휴대전화기 커버는 눈의 피로나 시력감퇴의 위험을 줄이면 서, 휴대전화기의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인 휴대전화기 커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의 몸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휴대전화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형, 폴더형(Folder Type), 슬립형(Slip Type), 로터리형(Rotary Type) 등 다양한 기종이 있으나, 모두 후방의 몸체를 기준으로 표시창이 부착되어 있는 전방의 표시부가 접히거나, 상하로 미끄러지거나, 회전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통상의 전화기 보호용 경질커버는 전화기 몸체의 외부에만 장착하거나, 몸체용과 표시부용을 각각 제작하여 각각에 장착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몸체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휴대전화기 커버는 링크방식과 볼조인트방식이 있는데, 먼저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 확대경조립체(120), 확대경조립체(120)와 케이스(110)를 연결하는 좌우 2개의 링크(130), 그리고 케이스(110)에서 링크(130)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노브(140, Knob)로 구성된다.
케이스(110)는 일정 두께를 가진 플라스틱 등의 경성재료로 전화기의 몸체를 수용할 수 있게 전화기의 외형과 동일한 상자형으로 제작되는데, 통상의 하드커버와 동일하게 전화기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몸체(111)에 고정턱(112)이 구비되어 있고, 양 측면에는 노브(140)가 상하로 운동할 수 있는 슬롯(113)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113)은 노브(140)를 슬롯의 일정위치에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양변이 모두 직선인 직선슬롯으로 할 수도 있고, 한 변은 직선이고 다른 한 변에는 톱니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요철슬롯으로 할 수도 있다. 케이스의 상단에는 확대경조립체(120)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확대경조립체(120)는 렌즈(121), 랜즈(12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프레임(122), 프레임의 측면 상단에 부착되는 회전축(123), 그리고 고정너트(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렌즈(121)는 최근에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는 필름형태의 평면돋보기를 사용한다. 렌즈의 형상은 여러 가지로 할 수 있으나, 전화기의 표시창과 동형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는 것이 제작과 사용이 편리하다.
프레임(122)은 일정한 구조강도를 유지하여 렌즈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 가볍고 강성이 큰 재료로 제작하는데, 상기 렌즈(121)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회전축(123)은 렌즈(121)가 장착된 프레임(122)이 링크(130)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 상단에 각각 부착되고, 짧은 원기둥형으로 제작된다. 만약 플라스틱 사출 등의 방법으로 프레임(122)을 제작할 경우, 이 회전축을 프레임(122)과 일체로 몰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23)의 끝단에는 이 회전축을 링크(130)의 구멍에 고정하는 고정너트(124)가 설치된다. 프레임(122)을 링크(130)에서 회전시킬 때는 이 고정너트를 약간 풀어주어 프레임에 부착된 회전축(123)이 링크(130)의 구멍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프레임(122)의 위치 및 각도 조정이 끝난 후에는 이 고정너트를 돌려서 프레임에 부착된 회전축(120)이 링크(130)의 구멍에서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한다. 고정너트(124)는 일정한 회전저항력을 갖게 하여 힘을 주면 확대경조립체(120)가 회전을 하고, 힘을 주지 않으면 회전을 하지 않게 하면 편리하다.
링크(130)는 커버의 측면 외부에 케이스(110)의 슬롯(113)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경조립체(120)를 케이스(110)에서 뽑아내고, 집어넣고, 확대경조립체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 링크(130)는 양단에 회전구멍이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제작하면 되지만, 일정 강도를 유지하고 커버를 전체적으로 컴팩트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 폭을 가진 금속판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이 링크의 상단구멍에는 상기 확대경조립체의 회전축이 결합되고, 하단구멍에는 하기 노브(140)가 결합된다.
노브(140)는 상기 링크(130)의 하단구멍과 케이스(110)의 슬롯(113)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으로서, 링크(130)를 케이스(110)의 슬롯(113)을 따라 움직이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확대경조립체(120)를 케이스(110)에서 뽑아내고, 집어넣는 작동을 하게 한다. 이 노브(140)는 칼날을 몸체에서 뽑아내고 넣을 수 있는 커터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게 여러 가지 형태로 할 수 있다.
노브(140)의 일 실시예로 직선슬롯에 사용하는 것으로는, 노브볼트(141)와 노브너트(142)로 구성하여 링크(130)를 움직일 때는 노브볼트(141)의 머리에 해당하는 손잡이를 돌려서 유격을 준 후 손잡이를 슬롯(113)을 따라 상하로 움직여 링크를 움직이고, 링크(130)를 고정하고자 할 때는 링크(130)의 위치와 각도를 정위 치에 조정하고 난 후 손잡이를 돌려 노브볼트(141)가 노브너트(142) 속으로 들어가면서 링크(130)가 케이스(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한다. 노브너트(142)의 케이스와 접하는 면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판 등을 접착하거나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노브볼트(141)를 돌릴 때 노브너트(142)가 헛돌지 않게 하는 것이 좋고, 노브볼트(141)의 끝단에는 분할핀 또는 스냅링을 설치하여 일정 이상으로 노브볼트(141)를 풀면 더 이상 풀리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노브볼트(141)는 일정한 회전저항력을 갖게 하여 힘을 주면 링크(130)가 회전을 하고, 힘을 주지 않으면 회전을 하지 않게 하면 편리하다.
노브(140)의 다른 실시예로 요철슬롯에 사용하는 것으로는, 상기 노브너트(142)를 사용하는 대신, 도 2의 하단 상세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프링(143)이 장착된 스토퍼(144)를 사용한 것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노브(140)는 노브를 슬롯을 따라 움직이면 스프링(143)의 작용으로 스토퍼의 머리가 슬롯(113)의 요철 홈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노브를 움직이는 것을 멈추면 링크(130)는 그 위치에서 자동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이런 형태의 노브도 링크의 회전운동을 고정할 수 있어야 하므로 손잡이를 돌려 링크(130)의 회전운동을 구속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한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는, 확대경조립체(120)의 회전축(123)을 프레임(122)의 한쪽에만 부착하고, 링크(130)과 노브를 케이스(110)의 한쪽 측면에만 부착하여도 기본적인 작동에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이 경우, 제작비용은 절감되고, 커버가 한층더 간결해지기는 하지만, 확대경조립체(120)를 한점에서만 케이스(110)에 고정하고 있는 형태가 되므로 확대경조립체(120)가 흔들리는 등의 불편함이 있을 수도 있다. 링크와 이에 수반되는 부수 구성품들을 케이스의 양쪽 측면에 모두 부착하면 확대경조립체가 안정되게 고정이 된다.
상기한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140)를 케이스(110)의 슬롯(113)을 따라 밀어 올리면 링크(130)가 위로 밀려 올라가고, 도 3의 (a)와 같이 링크(130)에 결합된 확대경조립체(120)가 밀려 올라가면서 케이스(110)에서 빠져나온다. 이와 같이 확대경이 케이스에서 빠져나오면, 도 3의 (b)와 같이 확대경조립체의 프레임(122)과 링크(130)의 각도를 조정하여 확대경조립체(120)의 자세를 대략적으로 조정하고, 도 3의 (c)와 같이 노브(140)를 다시 아래로 내려서 확대경조립체(120)를 전화기의 표시창이 있는 곳에 위치시킨다. 그 후 확대경조립체(120)의 각도와 위치를 정확히 조정한 후 노브의 노브볼트(141)와 확대경조립체(120)의 고정너트(124)를 돌려서 확대경조립체(120)를 고정하여 전화기를 사용한다.
슬립형 또는 폴더형 전화기와 같이 사용중 표시창이 전화가 몸체의 위로 올라가면 위와 같이 확대경조립체(120)를 위치시켜 확대경으로 버튼판을 보거나, 도 3의 (d)와 같이 확대경조립체(120)를 위로 회전시켜 표시창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폴더형 전화기의 경우, 전화기의 폴더를 연 후 링크(130)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확대경조립체(120)를 전화기의 전면으로 오게 할 수 있다.
로터리형 전화기의 경우, 확대경이 수평으로 회전한 표시창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케이스(110)와 확대경조립체(120)를 크게 제작하면 된다.
확대경의 사용이 끝나면, 상기한 순서와 대략 역순으로 확대경조립체(120)를 케이스 속으로 도로 집어넣고, 노브볼트(141)를 돌려 링크를 케이스에 고정시켜 확대경조립체(120)가 케이스에서 저절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한다.
볼조인트 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200)는 상기한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와 대동소이하나, 링크(130) 대신에 가요관(230)을 사용한 것이다.
볼조인트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200)의 구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10), 확대경조립체(220), 확대경조립체(220)와 케이스(210)를 연결하는 가요관(230), 그리고 케이스(210)에서 가요관(230)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노브(240, Knob)로 구성된다.
케이스(210)는 상기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의 케이스(110)과 동일하다.
확대경조립체(220)도 상기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의 확대경조립체(220)와 유사하나, 프레임(222)의 상단 한쪽 측면에만 볼조인트(223)가 부착된다. 이 볼조인트(223)는 소켓(223-1)과 볼(223-2)로 구성되는데, 소켓은 프레임(222)에 고정되고, 볼에는 하기 가요관(230)이 부착된다. 이러한 볼조인트는 일반 기계구성품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일정 각도범위에서 볼이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일정한 회전저항력을 가져 힘을 가할 때만 볼이 회전하고, 힘을 가하지 않으면 회전을 하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볼조인트(223)의 소켓(223-1)을 도 4의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홈(223-3)을 형성하여 두면, 볼(223-2)에 연결된 기요관(230) 연결부위의 회전운동 범위가 넓어지고, 그만큼 가요관의 회전운동이 자유롭다.
가요관(230)은 일단은 상기 볼조인트(223)의 볼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기 노브(240)에 결합되어 확대경조립체(220)를 케이스(210)에 고정하고, 확대경조립체(22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가요관(230)의 몸체는 싱크대에 사용되는 수전의 자루와 유사한 것으로서, 일정한 힘을 가하면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굽혀지고, 힘을 가하지 않으면 굽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 가요관의 몸체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볼조인트(223)의 볼과 하기 노브(240)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다.
노브(240)는 형상과 기능이 상기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의 노브(140)과 동일하다. 다만,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에서는 링크(130)가 케이스(110)의 외부에서 노브(140)에 결합되는데 비하여, 이 볼조인트 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200)에서는 상기 가요관(230)의 연결부가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노브(240)에 결합된다.
상기한 볼조인트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2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240)를 케이스(210)의 슬롯(213)을 따라 밀어 올리면 여기에 부착된 가요관(230)이 위로 밀려 올라가고, (a)와 같이 가요관(230)에 결합된 확대경조립체(220)가 밀려 올라가면서 케이스(210)에서 빠져나온다. 이와 같이 확대경이 케이스에서 빠져나오면, (b) 또는 (c)와 같이 가요관(230)을 구부려 확대경조립체(220)를 전화기의 표시창 또는 버튼판의 위치에 이동시켜 휴대전화기를 사용한다.
볼조인트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200)는 상기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에 비하여 사용중에 확대경조립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는 못하지만, 구조가 간편하고, 모든 전화기의 기종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와 볼조인트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200)에서, 측면의 슬릿(113, 213)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 210)의 측면 상단까지 연장되게 하고, 확대경조립체(120, 220)의 프레임(122, 222)의 폭이 슬릿이 있는 곳까지 연장되게 하면, 슬릿이 확대경조립체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가 있고, 그만큼 케이스(110,210)의 폭을 좁게 제작할 수 있어 휴대전화기 커버(100, 200)가 컴팩트하게 된다.
본 발명인 휴대전화기 커버는 휴대전화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부수장치로서, 독립적인 상품으로 판매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휴대전화기와 전화기커버의 결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이다.
도 3은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볼조인트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200)이다.
도 5는 볼조인트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2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확대경조립체의 프레임이 몸체의 슬릿까지 연장된 휴대전화기 커버(100)이다.
※중요 구성품 번호
100 :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
110 : 케이스, 111 : 몸체, 112 : 고정턱, 113 : 슬롯,
120 : 확대경조립체, 121 : 렌즈, 122 : 프레임, 123 : 회전축,
124 : 고정너트 130 : 링크, 140 : 노브,
200 :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
210 : 케이스, 213 : 슬롯,
220 : 확대경조립체, 221 : 렌즈, 222 : 프레임, 123 : 볼조인트,
230 : 가요관, 240 : 노브

Claims (4)

  1. 휴대전화기의 몸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한쪽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롯(113)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장착되었다가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것으로서, 필름형상의 평면돋보기인 렌즈(121), 상기 렌즈(121)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122), 상기 프레임의 측면 상단에 부착되고, 짧은 원기둥형상인 회전축(123), 그리고 상기 회전축(123)의 끝단에 결합되는 고정너트(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확대경조립체(120);
    상기 케이스(110)의 한쪽 측면 외부에 케이스(110)의 슬롯(113)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에 회전구멍이 형성되어 상단 구멍에는 상기 확대경조립체(120)의 회전축(123)이 결합되고, 하단 구멍에는 하기 노브(140)가 결합되는 막대 형상 또는 일정 폭을 가진 판 형상의 링크(130);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슬롯(123)을 관통하여 상기 링크의 하단 구멍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케이스(110)의 슬롯(113)을 따라 움직면서 확대경조립체(120)를 케이스(110)에서 뽑아내고, 집어넣는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칼날을 몸체에서 뽑아내고 넣을 수 있는 커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의 노브(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양쪽 측면에 모두 길이 방향으로 슬롯(113)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10)이고, 상기 확대경조립체(120)는 프레임(122)의 양쪽 측면 상단에 모두 회전축(123)이 구비된 확대경조립체(120)이고;
    상기 링크(130)와 상기 노브(140)가 상기 케이스(110)의 좌우측면에 모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슬롯(113)은 한쪽 변에 일정주기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슬롯이고;
    상기 노브(140)는 내부에 스프링(143)이 장착된 스토퍼(144)를 구비한 노브로서, 노브(140)를 슬롯을 따라 움직이다가 멈추면 스프링(143)의 작용으로 스토퍼의 머리가 슬롯(113)의 요철 홈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노브(140)가 그 위치에서 자동으로 고정되는 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100).
  4. 제1항의 케이스(110)과 동일한 케이스(210);
    제1항의 확대경조립체(120)와 유사하나, 프레임(222)의 상단 한쪽 측면에 볼조인트(223)가 부착된 확대경조립체(220);
    일단은 상기 볼조인트(223)의 볼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기 노브(240)에 결합 되어 확대경조립체(220)를 케이스(210)에 고정하고, 확대경조립체(22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힘을 가하면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굽혀지고, 힘을 가하지 않으면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몸체와, 몸체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볼조인트(223)의 볼과 하기 노브(240)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는 가요관(230);
    그리고, 제1항의 노브(140)과 동일한 것으로서, 상기 가요관(230)의 연결부가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결합되는, 노브(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조인트방식의 휴대전화기 커버(200).
KR1020070081151A 2007-08-13 2007-08-13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 KR100848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151A KR100848251B1 (ko) 2007-08-13 2007-08-13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151A KR100848251B1 (ko) 2007-08-13 2007-08-13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251B1 true KR100848251B1 (ko) 2008-07-23

Family

ID=3982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151A KR100848251B1 (ko) 2007-08-13 2007-08-13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25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431B1 (ko) 2010-01-25 2011-05-23 백태선 휴대폰 화면 확대경 수납 어셈블리
WO2013081264A1 (ko) * 2011-11-28 2013-06-06 Kwon Moo-Hyoung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
KR101323666B1 (ko) * 2012-04-18 2013-10-30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WO2014007457A1 (ko) * 2012-07-04 2014-01-09 (유)유지피디자인 휴대폰 케이스
KR20170002163U (ko) * 2015-12-10 2017-06-20 신학수 폴딩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01563U (ko) * 2016-11-17 2018-05-25 노지성 돋보기 기능을 가진 핸드폰 케이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4341A (ja) 2001-06-18 2002-12-26 Matsuoka Seisakusho Kk 拡大表示装置
KR200310599Y1 (ko) 2003-01-22 2003-04-23 고재목 화면 확대경이 부착된 휴대폰
KR200350305Y1 (ko) 2004-02-09 2004-05-13 씬플러스 주식회사 휴대폰 액정 화면 확대경
KR200353855Y1 (ko) 2004-03-09 2004-06-26 서복수 이동통신기기용 화면확대장치
KR20050059653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용 화면확대장치
KR20050098090A (ko) * 2004-04-06 2005-10-11 태현통상 주식회사 휴대폰 표시창 확대구조
KR200420556Y1 (ko) 2006-04-17 2006-07-04 이종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표시부 확대경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4341A (ja) 2001-06-18 2002-12-26 Matsuoka Seisakusho Kk 拡大表示装置
KR200310599Y1 (ko) 2003-01-22 2003-04-23 고재목 화면 확대경이 부착된 휴대폰
KR20050059653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용 화면확대장치
KR200350305Y1 (ko) 2004-02-09 2004-05-13 씬플러스 주식회사 휴대폰 액정 화면 확대경
KR200353855Y1 (ko) 2004-03-09 2004-06-26 서복수 이동통신기기용 화면확대장치
KR20050098090A (ko) * 2004-04-06 2005-10-11 태현통상 주식회사 휴대폰 표시창 확대구조
KR200420556Y1 (ko) 2006-04-17 2006-07-04 이종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표시부 확대경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431B1 (ko) 2010-01-25 2011-05-23 백태선 휴대폰 화면 확대경 수납 어셈블리
WO2013081264A1 (ko) * 2011-11-28 2013-06-06 Kwon Moo-Hyoung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
KR101323666B1 (ko) * 2012-04-18 2013-10-30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WO2014007457A1 (ko) * 2012-07-04 2014-01-09 (유)유지피디자인 휴대폰 케이스
KR20170002163U (ko) * 2015-12-10 2017-06-20 신학수 폴딩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86746Y1 (ko) * 2015-12-10 2018-06-27 신학수 폴딩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01563U (ko) * 2016-11-17 2018-05-25 노지성 돋보기 기능을 가진 핸드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251B1 (ko)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
US770229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leaning
KR102005904B1 (ko)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US10156735B2 (en) Dual-folding eyeglasses and eyeglass collapsible case
WO2017140255A1 (zh) 一种可调节视角的显示装置
USD607035S1 (en) Portable front projection screen
KR20190114863A (ko)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US20110069404A1 (en) Detachable magnifier apparatus
WO2005112732A1 (en) Compact cleaning apparatus
US20050132585A1 (en) Flexible mirror attachment for electric shaver
KR20150090973A (ko) 돋보기를 갖는 플립형 휴대폰 케이스
JP3608781B2 (ja) 携帯型機器表示部用拡大鏡
CA3024952A1 (en) Dual-folding eyeglasses and eyeglass collapsible case
KR200353853Y1 (ko) 휴대 단말기의 휴대용 표시창 확대장치
KR200446727Y1 (ko) 액정 확대가 가능한 휴대폰 하드 케이스
KR101538265B1 (ko) 돋보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0631047B1 (ko) 돋보기패널을 구비한 이동통신장치
JP3166641U (ja) 携帯電話に装着できる携帯ルーペ
CN205792827U (zh) 一种手机壳
JPS5983128A (ja) 眼鏡
KR101935914B1 (ko) 손잡이가 구비된 휴대용 접이식 확대경
KR101642239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기구
ES2766423T3 (es) Lupa de escritorio articulada
KR200157399Y1 (ko) 망원경
US20220308334A1 (en) Devices for magnification of objects to assist people with low 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