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746Y1 - 폴딩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폴딩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746Y1
KR200486746Y1 KR2020150008109U KR20150008109U KR200486746Y1 KR 200486746 Y1 KR200486746 Y1 KR 200486746Y1 KR 2020150008109 U KR2020150008109 U KR 2020150008109U KR 20150008109 U KR20150008109 U KR 20150008109U KR 200486746 Y1 KR200486746 Y1 KR 200486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anel
smartphone
panel
optical
connectio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163U (ko
Inventor
신학수
Original Assignee
신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학수 filed Critical 신학수
Priority to KR2020150008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4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8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enlarging, the entrance or exit pupi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스마트폰과 결합되는 몸체;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는 문자 및 화상을 확대시키는 광학성능을 갖는 평판 형상의 광학패널; 일측이 상기 몸체의 좌우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광학패널의 좌우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링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광학패널이 상기 몸체의 후방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전방에 위치된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에 출력되는 문자 및 화상을 확대시킬 수 있는 광학패널이 몸체에 구비되므로 시력이 나쁜 사용자도 별도의 돋보기 없이도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광학패널 미사용 시 상기 광학패널이 몸체의 후면에 밀착되는바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며, 광학패널과 터치스크린 간의 이격거리가 가변될 수 있어 상기 광학패널의 초점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폴딩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Smart phone case having folding type optical pannel}
본 고안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출력되는 문자 및 화상을 확대할 수 있는 광학패널이 폴딩 구조로 몸체에 장착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은 이동 통신 기술의 괄목할 만한 발전과 통신 장비의 소형화로 인해 현대인에게 필수 소지품이 되었다. 최근에는 전화 기능 이외에도 무선인터넷 접속, 동영상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 등이 첨단기능이 부가되면서 고가의 스마트폰이 출시되어 각광받고 있다.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크기가 커지게 되고, 최근의 소비자 선호에 따라 대형 액정화면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취하고 있어 대개 바 타입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는 등 첨단화되면서 이를 장식하거나 내부 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들도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위주로 할 뿐 스마트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다.
한편, 최근 스마트폰은 영화 등을 내부에 저장한 상태로 이를 화면을 통하여 직접 시청하는 경우가 많은 데 기존의 핸드폰에 비하여 스마트폰에 채택된 액정화면의 크기가 크기는 하지만 영화 등을 장시간 시청하기에는 여전히 그 크기가 작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채택된 카메라의 경우 멀리 있는 피사체를 찍기 위해서 기존의 휴대용 카메라에 채택된 디지털 줌만을 사용하고 있게 된다. 디지털줌 기능은 CCD에 맺힌 영상을 그대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으로서, 확대과정에서 이미지의 손실을 초래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광학줌의 경우 다층의 렌즈를 움직여 영상을 CCD에 확대/축소시켜 불러들이는 것으로서, 이미지의 손실없이 그대로 영상을 확대/축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경우 그 두께가 얇아서 광학줌을 그대로 적용시키는데 한계가 있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폰 그 자체로는 화면 영상의 확대 내지는 카메라의 광학 줌 기능을 구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화면의 확대를 위하여 스마트폰과는 별도의 확대렌즈를 구비한 상태로 스마트폰과 일정간격 이격시켜 화면을 확대하여 시청하는 경우가 있으나, 스마트폰과 별도로 확대렌즈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KR 10-1375650 B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마트폰을 감싸는 몸체와 스마트폰에 출력되는 문자 및 화상을 확대시킬 수 있는 광학패널로 구성되되, 상기 광학패널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학패널이 몸체에 포개어져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스마트폰과 결합되는 몸체;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출력되는 문자 및 화상을 확대시키는 광학성능을 갖는 평판 형상의 광학패널;
일측이 상기 몸체의 좌우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광학패널의 좌우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링크;
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링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광학패널이 상기 몸체의 후방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몸체는 사전에 설정됨 범위 이내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광학패널이 후면에 적층되었을 때 상기 광학패널의 하단이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한다.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크의 일측은 회전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슬라이드홈에 결합된다.
상기 광학패널은 상기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으로 터치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도전층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링크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거나,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중관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광학패널이 상기 스마트폰의 전방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광학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바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에 출력되는 문자 및 화상을 확대시킬 수 있는 광학패널이 몸체에 구비되므로 시력이 나쁜 사용자도 별도의 돋보기 없이도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광학패널 미사용 시 상기 광학패널이 몸체의 후면에 밀착되는바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며, 광학패널과 터치스크린 간의 이격거리가 가변될 수 있어 상기 광학패널의 초점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제4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10)의 오염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10)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되, 시력이 나쁜 사용자도 스마트폰(10)을 통해 출력되는 작은 크기의 문자나 화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돋보기 기능 즉, 스마트폰(10)을 통해 출력되는 문자 및 화상을 확대시키는 기능을 갖는 광학패널(200)을 구비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10)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스마트폰(10)과 결합되는 몸체(100)와, 상기 스마트폰(10)을 통해 출력되는 문자 및 화상을 확대시키는 광학성능을 갖는 평판 형상의 광학패널(200)과, 일측이 상기 몸체(100)의 좌우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광학패널(200)의 좌우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링크(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링크(300)가 1단으로 구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연결링크(300)는 2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패널(200)을 사용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패널(200)을 몸체(100)의 후면에 안착시켜 둔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후면에는 광학패널(200)이 적층되었을 때 상기 광학패널(200)의 하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턱(120)이 구비되는바, 상기 광학패널(200)은 별도의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한 몸체(100)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학패널(200)의 하단이 걸림턱(120)에 걸려 고정되면,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를 주머니나 가방에 넣을 때 광학패널(200)이 간섭되지 아니하므로,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광학패널(200)의 하단이 상기 걸림턱(120)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몸체(100)는 실리콘이나 합성수지 등 사전에 설정됨 범위 이내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광학패널(200)을 사용하여 스마트폰(10)의 터치스크린(12)에 출력된 문자나 화상을 확대하여 보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패널(200) 및 연결링크(3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광학패널(200)이 스마트폰(10)의 터치스크린(12) 전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링크(300)의 길이는 몸체(100)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되는바, 상기 광학패널(200)은 스마트폰(10)의 터치스크린(1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12)에 출력되는 문자 및 화상은 광학패널(200)을 통해 크게 확대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광학패널(200)은 터치스크린(12)과의 거리가 적절하게 설정되어야만 초점이 맞추어지고, 광학패널(200)의 초점이 정확하게 맞춰져야만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2) 상의 문자와 화상을 또렷하게 볼 수 있다. 이때, 몸체(100)와 광학패널(200)을 연결시키는 한 쌍의 연결링크(300)는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몸체(100)와 광학패널(2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크(300)의 기울기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광학패널(200)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때, 광학패널(200)과 터치스크린(12) 간의 이격거리는 연결링크(300)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므로, 상기 연결링크(300) 길이는 광학패널(200)의 물리적 특성이나 확대배율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광학패널(200)을 손으로 들고 있지 아니하더라도 광학패널(200)을 통해 터치스크린(12)의 문자나 화상을 크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패널(200)이 터치스크린(12)과 평행한 상태에서 광학패널(200)이나 연결링크(300)가 쉽게 회전되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연결링크(300)의 길이방향 양측은 상기 몸체(100)와 광학패널(200)에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힌지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광학패널(200)이 터치스크린(12)의 전방에 위치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12)과 이격될 수 있도록 길게 제작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학패널(200)을 몸체(100)의 후면에 밀착시켰을 때 상기 광학패널(200)의 하단이 몸체(100)보다 아래로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광학패널(200)을 몸체(100)보다 짧게 제작해야 한다. 이와 같이 광학패널(200)이 짧게 제작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패널(200)의 터치스크린(12)의 전방에 위치되었을 때 터치스크린(12) 전체를 덮지 못하므로, 터치스크린(12)의 일부(도 6에서는 터치스크린(12)의 하부)에 출력된 문자나 화상은 광학패널(200)에 의해 확대되어 표시되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광학패널(200)이 짧게 제작되더라도 터치스크린(12)에 출력되는 문자나 화상을 모두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도록,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00)의 좌우측에는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크(300)의 일측은 회전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홈(1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슬라이드홈(11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연결링크(300)의 일측이 슬라이드홈(110)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면, 광학패널(200)이 터치스크린(12)에 비해 짧게 제작되더라도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패널(200)을 승강시켜가면서 터치스크린(12)의 각 영역에 출력되는 모든 문자와 화상을 확대하여 볼 수 있다.
한편, 광학패널(200)이 터치스크린(12)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광학패널(200)을 뒤로 넘기지 아니하고서도 터치스크린(12)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광학패널(200)은 도전층을 구비하여 스마트폰(10)의 터치스크린(12)으로 터치 신호 전달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12)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터치신호 전달이 가능한 기술적 사상은, 현재 스마트폰(10)용 보호필름이나 투명창 등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광학패널(200)을 터치스크린(12) 상에 안착시켰을 때 주변의 사람들이 터치스크린(12)에 출력되는 문자나 화상을 보지 못하도록, 상기 광학패널(200)에는 편광필름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패널(200)에 편광필름이 추가로 구비되면, 사용자는 지하철이나 버스 등 공공장소에서 스마트폰(10)을 사용할 때 광학패널(200)을 터치스크린(12)에 안착시킴으로써,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출력되는 문자나 화상을 주변 사람들이 볼 수 없도록 한다는 장점 즉,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편광필름은 이미 다양한 구조로 제작되어 여러 용도로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편광필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몸체(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광학패널(200)을 손으로 들고 있지 아니하더라도 광학패널(200)을 통해 터치스크린(12)의 문자 및 화상을 크게 보기 위해서는 광학패널(200)의 하단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지 아니해야 하는바, 상기 몸체(100)에는 광학패널(200)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바(1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몸체(100)의 전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몸체(10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학패널(200)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동안에는 지지바(130)를 몸체(100) 내에 매립시켜 두었다가, 광학패널(200)을 사용할 때에는 지지바(130)를 상향으로 세워 광학패널(200) 후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광학패널(200)의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광학패널(200)의 높이가 가변되더라도 상기 지지바(130)가 광학패널(20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130)는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학패널(200)을 지지하는 높이를 보다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130)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광학패널(200)을 몸체(100)에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링크(3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치 이상의 강성을 갖도록 즉, 쉽게 휘어지지 아니하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치 이상의 외력(더 명확하게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하는 힘)이 인가될 때 휘어지며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링크(300)가 휘어질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면, 연결링크(300)를 일측으로 기울이지 아니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크(300)를 밴딩시킴으로써 광학패널(200)과 터치스크린(12)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힘에 의해 휘어지며,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연결링크(300)는, 휴대폰 거치대 등에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연성을 갖는 연결링크(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제4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광학패널(200)과 터치스크린(12)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광학패널(200)을 지지하는 연결링크(30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중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중관 구조는 인출식 안테나, 낚시대 등에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다중관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링크(300)가 다중관 구조로 구성되면, 사용자는 광학패널(200)을 승강시킴으로써 자신의 시력에 맞춰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연결링크(3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다중관 구조 이외에 어떠한 구조로도 대체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패널(200)의 좌우측에 슬라이드홈(110)과 나란한 패널슬롯(210)이 형성되고, 한 쌍의 연결링크(300)는 타측이 상기 패널슬롯(210)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링크(300)의 타측이 패널슬롯(2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링크(300)를 광학패널(200) 중단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광학패널(200)이 어느측으로도 기울어지지 아니하고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력 특성에 따라 광학패널(200)의 도수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광학패널(200) 내측으로 삽입되는 필름형돋보기(22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필름형돋보기(220)는 광학 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스마트폰 12 : 터치스크린
100 : 몸체 110 : 슬라이드홈
120 : 걸림턱 130 : 지지바
200 : 광학패널 300 : 연결링크

Claims (5)

  1. 스마트폰(10)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스마트폰(10)과 결합되는 몸체(100);
    상기 스마트폰(10)을 통해 출력되는 문자 및 화상을 확대시키는 광학성능을 갖는 평판 형상의 광학패널(200); 및
    일측이 상기 몸체(100)의 좌우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광학패널(200)의 좌우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링크(300);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의 좌우측에는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광학패널(200)의 좌우측에는 상기 슬라이드홈(110)과 나란한 패널슬롯(210)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크(300)의 일측은 회전 가능하면서 상기 슬라이드홈(1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슬라이드홈(110)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크(300)는 타측은 회전 가능하면서 상기 패널슬롯(21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패널슬롯(210)에 결합되며,
    상기 광학패널(200)은 그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필름형돋보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링크(3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몸체(100)의 후방 또는 상기 스마트폰(1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사전에 설정됨 범위 이내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광학패널(200)이 후면에 적층되었을 때 상기 광학패널(200)의 하단이 걸리는 걸림턱(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패널(200)은 상기 스마트폰(10)의 터치스크린(12)으로 터치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도전층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링크(300)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거나,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중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몸체(10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몸체(100)에 결합되어, 상기 광학패널(200)이 상기 스마트폰(10)의 전방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광학패널(200)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바(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20150008109U 2015-12-10 2015-12-10 폴딩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86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109U KR200486746Y1 (ko) 2015-12-10 2015-12-10 폴딩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109U KR200486746Y1 (ko) 2015-12-10 2015-12-10 폴딩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63U KR20170002163U (ko) 2017-06-20
KR200486746Y1 true KR200486746Y1 (ko) 2018-06-27

Family

ID=5924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109U KR200486746Y1 (ko) 2015-12-10 2015-12-10 폴딩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7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682B1 (ko) * 2019-04-21 2020-08-3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251B1 (ko) * 2007-08-13 2008-07-23 오창렬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
KR101375650B1 (ko) * 2012-06-04 2014-03-25 이혜원 폴더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499010B1 (ko) 2013-12-18 2015-03-12 박주현 받침대 겸용 돋보기 장착 스마트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2534A (ko) * 2011-12-05 2013-06-13 백태선 휴대, 보관 및 관리가 편리한 화면확대경이 내장된 휴대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251B1 (ko) * 2007-08-13 2008-07-23 오창렬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
KR101375650B1 (ko) * 2012-06-04 2014-03-25 이혜원 폴더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499010B1 (ko) 2013-12-18 2015-03-12 박주현 받침대 겸용 돋보기 장착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682B1 (ko) * 2019-04-21 2020-08-31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63U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38247B (zh) 便携式折叠虚拟现实装置
ES2857717T3 (es) Montaje de pantalla de visualización y terminal móvil
US8714347B2 (e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retractable stand
US10152028B2 (en) Wristwatch type smart terminal
KR101913887B1 (ko)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JP2021073780A (ja) マイクロディスプレイベースの没入型ヘッドセット
KR100754586B1 (ko) 휴대용 접이 거치대
KR20170086999A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KR101857754B1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230106580A (ko) 이동 단말기
KR20220042422A (ko) 이동 단말기
US20220263932A1 (en) Mobile terminal
KR20230107201A (ko) 이동 단말기
KR200486746Y1 (ko) 폴딩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2477192B1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US7097300B2 (en) Sports binocular assembly
KR101375650B1 (ko) 폴더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230061295A (ko) 이동 단말기
AU2014231348B2 (en) Holder for a mobile device to capture images
KR200486745Y1 (ko) 힌지식 광학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85569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055500B1 (ko) 휴대용 가상현실장치
KR20150090973A (ko) 돋보기를 갖는 플립형 휴대폰 케이스
CN105828549A (zh) 一种移动终端外壳
KR20140014967A (ko) 플레서블 전자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