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239B1 -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239B1
KR101642239B1 KR1020150191530A KR20150191530A KR101642239B1 KR 101642239 B1 KR101642239 B1 KR 101642239B1 KR 1020150191530 A KR1020150191530 A KR 1020150191530A KR 20150191530 A KR20150191530 A KR 20150191530A KR 101642239 B1 KR101642239 B1 KR 10164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tension
antenna
fix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석
전유찬
Original Assignee
이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석 filed Critical 이형석
Priority to KR1020150191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Abstract

본 기재는, 전면에는 표시부 및 제1 카메라를 포함하며, 후면에는 제1 카메라의 화소보다 높은 화소를 가지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을 보조하기 위한 기구로, 사용자의 손에 의해 쥐어지는 손잡이부, 손잡이부로부터 연장되며, 손잡이부 내에 삽입되거나 손잡이부로부터 인출되는 원통형의 제1 연장 유닛, 제1 연장 유닛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제1 연장 유닛 내에 삽입되거나 제1 연장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 연장 유닛, 제2 연장 유닛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제2 연장 유닛 내에 삽입되거나 제2 연장 유닛로부터 인출되는 제3 연장 유닛을 포함하는 안테나형 연장부, 안테나형 연장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지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장된 탄성부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2 카메라가 손잡이부를 향하도록 휴대용 전자 기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반사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반사부 및 안테나형 연장부 또는 고정부 중 어느 하나 및 반사부에 양 단부 각각이 결합되며 안테나형 연장부와 반사부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제2 카메라가 사용자를 촬영하는 동안 휴대용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반사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기구 {ASSISTING APPARATUS FOR MOBILE ELECTRONIC EQUIPMENT}
본 기재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셀프 카메라를 촬영하는 동안 휴대용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혹은 모바일 폰으로 불리던 휴대용 통화 기기에 카메라가 부착되면서부터 사용자들은 주위 사물 및 풍경을 촬영하는 것을 즐기기도 하였지만, 그보다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여 기록을 남기는 것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스마트 폰이라 불리는 휴대용 전자 기기가 등장하고, 스마트 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들이 등장에 따라 이들에 부착되는 카메라들의 성능도 점점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든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본인의 모습을 촬영하여 기록을 남기는 것을 일상 생활로 여기고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인터넷이 결합되고, 트위터, 페이스 북,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이 발달되면서 사용자들은 본인의 경험들을 사진으로 남겨 온라인 상에 기록하는 것을 일상으로 여기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옥스퍼드 대학은 2013년에 선정한 올해의 단어로 "셀피(selfie)"를 선정하였다. "셀피"는 '자가촬영사진'의 영어식 줄임말로, 우리말로 하면 사용자가 직접 본인의 모습을 촬영하는 셀프 카메라의 의미이다.
이와 같은 전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여행지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어디서든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본인의 모습을 촬영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경우, 셀프 카메라 혹은 셀피를 촬영하는 사용자 본인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서 표시부가 배치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면에 제공되는 셀프 카메라용 카메라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후면에 제공되는 카메라보다 낮은 화소를 가지기 때문에 고화질의 셀프 카메라 혹은 셀피의 촬영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421호가 있다.
본 기재는, 사용자가 셀프 카메라를 촬영하는 동안 휴대용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는, 전면에는 표시부 및 제1 카메라를 포함하며, 후면에는 제1 카메라의 화소보다 높은 화소를 가지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을 보조하기 위한 기구로, 사용자의 손에 의해 쥐어지는 손잡이부, 손잡이부로부터 연장되며, 손잡이부 내에 삽입되거나 손잡이부로부터 인출되는 원통형의 제1 연장 유닛, 제1 연장 유닛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제1 연장 유닛 내에 삽입되거나 제1 연장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 연장 유닛, 제2 연장 유닛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제2 연장 유닛 내에 삽입되거나 제2 연장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제3 연장 유닛을 포함하는 안테나형 연장부, 안테나형 연장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지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장된 탄성부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2 카메라가 손잡이부를 향하도록 휴대용 전자 기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반사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반사부 및 안테나형 연장부 또는 고정부 중 어느 하나 및 반사부에 양 단부 각각이 결합되며 안테나형 연장부와 반사부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안테나형 연장부 또는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어 안테나형 연장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0° 초과 180° 이하의 범위에서 힌지 운동되는 원통형의 제1 연결 유닛, 제1 연결 유닛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제1 연결 유닛 내에 삽입되거나 제1 연결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 연결 유닛 및 제2 연결 유닛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제2 연결 유닛 내에 삽입되거나 제2 연결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제3 연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자바라형 와이어일 수 있다.
연결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절에 의해 연결되는 둘 이상의 와이어 유닛을 포함하는 접철식 와이어일 수 있다.
연결부는 가변형 와이어일 수 있다.
연결부는 안테나형 연장부 또는 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반사부는 연결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반사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절에 의해 연결되는 둘 이상의 반사 유닛을 포함하는 접철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반사부는 관절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며, 반사 유닛의 일면은 고정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유닛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반사부는 접이식 부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둘 이상의 반사 유닛은 체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반사부는 종이, 플라스틱 및 세라믹 중 어느 하나에 금속광을 낼 수 있는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는 볼록 거울일 수 있다.
고정부는, 안테나형 연장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안테나형 연장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전축 각각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의 단부는 볼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안테나형 연장부의 단부에는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볼 형상의 홈이 형성되며, 돌출부가 홈에 수용됨으로써 고정부가 안테나형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안테나형 연장부의 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기재에 의하면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제2 카메라가 사용자를 촬영하는 동안 휴대용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반사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후면에 부착되는 보다 높은 화소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본인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촬영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고화질의 셀프 카메라 혹은 셀피의 촬영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볼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볼 형상의 홈을 포함하는 안테나형 연장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고정부와 안테나형 연장부가 나사 결합되기 위하여 고정부의 단부에 볼트가 형성되고 안테나형 연장부의 단부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라 직사각형 형상의 반사 유닛을 포함하며, 접철식 구조를 가지는 반사부가 접어져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접철식 구조를 가지는 반사부가 완전히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접철식 구조를 가지는 반사부의 측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접철식 구조를 가지는 반사부가 완전히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반사부의 일 변형예에 따라 삼각형 형상의 반사 유닛을 포함하며, 접철식 구조를 가지는 접이식 부채 형상의 반사부가 접어져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반사부의 다른 변형예에 따라 삼각형 형상의 반사 유닛이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접철식 구조의 반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연결부의 일 변형예에 따른 가변형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연결부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자바라형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연결부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접철식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나사 결합 가능한 안테나형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기재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기재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기재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기재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촬영 보조 기구(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촬영 보조 기구(100)는 전면에는 표시부(미도시) 및 제1 카메라(미도시)를, 후면에는 제1 카메라(미도시)의 화소보다 높은 화소를 가지는 제2 카메라(12)를 각각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촬영을 보조하기 위한 기구로, 손잡이부(110), 안테나형 연장부(120), 고정부(130), 반사부(140) 및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10)는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 기기(10)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쥐어지는 부분이다.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혹은 실리콘과 같은 마찰이 높은 재질로 표면이 코팅되거나 덮어질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표면이 외부를 향해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되는 요철부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안테나형 연장부(120)는 제1 연장 유닛(122), 제2 연장 유닛(124) 및 제3 연장 유닛(126)을 포함하여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와 같은 형상으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장 유닛(122)은 일 단부가 손잡이부(110)에 결합되어 손잡이부(110)로부터 연장되며, 손잡이부(110) 내에 삽입되거나 손잡이부(110)로부터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2 연장 유닛(124)은 제1 연장 유닛(12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제1 연장 유닛(122) 내에 삽입되거나 제1 연장 유닛(122)으로부터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제3 연장 유닛(126) 역시 제2 연장 유닛(12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제2 연장 유닛(124) 내에 삽입되거나 제2 연장 유닛(124)으로부터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연장 유닛을 가지는 것으로 서술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연장 유닛의 수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 범위가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삽입 또는 인출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형 연장부(120)에 의해 길이를 연장하여 보다 먼 거리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며, 길이가 단축되는 경우에는 수납 및 보관이 용이한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촬영 보조 기구(100)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안테나형 연장부(120)의 단부, 즉 안테나형 연장부(120)를 사이에 두고 손잡이부(110)에 반대되는 측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지그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부재(미도시)를 내장하고 있어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에 의해 휴대용 전자 기기(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130) 역시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10)가 고정될 때 휴대용 전자 기기(10)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코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130)에 고정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경우, 전면에 위치하는 제1 카메라(미도시)보다 높은 화소를 가지는 제2 카메라(12)가 손잡이부(110)를 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손잡이부(110)를 쥐는 사용자가 보다 높은 화소를 가지는 제2 카메라(12)를 이용하여 본인 스스로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고정부(13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테나형 연장부(12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안테나형 연장부(120)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고정부(130)는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안테나형 연장부(120)에 결합된다.
고정부(130)가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함으로써 고정부(130)에 고정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10)를 이용한 촬영 시의 각도 조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의 고정부(130)의 단부는 볼 형상의 돌출부(132)를 포함하며, 안테나형 연장부(120)의 단부에는 돌출부(132)가 수용되는 동시에 돌출부(1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 형상의 홈(128)이 형성된다.
도 2는 볼 형상의 돌출부(132)를 포함하는 고정부(130) 및 볼 형상의 홈(128)을 포함하는 안테나형 연장부(12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 형상의 홈(128)은 중심부로부터 입구를 향할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되어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고정부(130)의 돌출부(132)가 삽입 및 고정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볼 형상의 홈(128) 및 볼 형상의 돌출부(132) 사이의 이격 거리는 구성의 구분을 위하여 실제에 비하여 다소 과장되어 도시되었다. 실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시된 것보다 훨씬 가깝게 서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볼 형상의 돌출부(132) 및 볼 형상의 홈(128)에 의해 고정부(130)는 상하좌우로 360° 범위 내에서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하도록 안테나형 연장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고정부(130)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안테나형 연장부(120)의 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고정부(130)와 안테나형 연장부(120)가 나사 결합되기 위하여 고정부(130)의 단부에 볼트형 돌출부(133)가 형성되고 안테나형 연장부(120)의 단부에 너트형 홈(129)이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부(130)가 안테나형 연장부(120)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경우에는 회전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고정부(130) 및 안테나형 연장부(120)의 단부가 나사 결합되는 경우에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고정부(130) 및 안테나형 연장부(120)의 경계로부터 고정부(130) 또는 안테나형 연장부(120) 중 어느 하나에 앞서 서술한 볼 형상의 돌출부(132) 및 볼 형상의 홈(129)이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반사부(140)는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반사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종이, 플라스틱 및 세라믹 중 어느 하나에 금속광을 낼 수 있는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빛을 반사할 수 있을 정도의 광택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140)는 이후 설명하는 연결부(150)에 결합되는 거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도 1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140)의 다양한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라 직사각형 형상의 반사 유닛(142b)을 포함하며, 접철식 구조를 가지는 반사부(142)가 접어져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접철식 구조를 가지는 반사부(142)가 완전히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접철식 구조를 가지는 반사부(142)의 측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접철식 구조를 가지는 반사부(142)가 완전히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반사부(142)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절에 의해 연결되는 둘 이상의 직사각형 반사 유닛(142b)을 포함하는 접철식 구조를 가진다. 도 4와 같이 접어져 있는 접철식 구조의 반사부(142)를 완전히 펼치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평한 면을 가지는 반사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펼쳐진 반사부(142)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둘 이상의 반사 유닛(142b)을 연결시키는 관절에는, 관절(142a)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고정 돌기(142c)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반사부에서 빛이 반사되는 면에 대향되는 후면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삽입홈(142d)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 유닛(142b)이 완전히 펼쳐지면 고정 돌기(142c)가 삽입홈(142d)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돌기(142c) 및 삽입홈(142d)을 포함하는 반사부(142)는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에 의해 삽입 및 고정,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 돌기(142c) 및 삽입홈(142d)을 포함하는 접철식 구조의 반사부(142)의 경우, 접어진 경우에는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완전히 펼쳐진 경우에는 펼쳐진 상태로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관절(144a)에 의해 연결되는 삼각형 형상의 반사 유닛(144b)을 포함하며, 접철식 구조를 가지는 접이식 부채 형상의 반사부(144)가 접어져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삼각형 형상의 반사 유닛(144b)을 포함하는 접철식 구조의 반사부(144) 역시 도 4 내지 도 7과 마찬가지로 고정 돌기(142c) 및 삽입홈(142d)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반사부(144) 역시 접어져서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에는 도 8과 유사하게 삼각형의 반사 유닛(144b)을 포함하면서, 반사 유닛(144b)들이 둘 이상의 체결구(14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역시 도 4 내지 도 8과 마찬가지로, 역시 접어져서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 외에도 볼록 거울로 이루어지는 반사부(146)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3에는 볼록 거울로 이루어지는 반사부(146)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과 관련하여서는 안테나형 연결부(158)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하기로 한다.
연결부(150)는 안테나형 연장부(120) 또는 고정부(130) 중 어느 하나 및 반사부(140)에 양 단부가 각각 결합되며, 안테나형 연장부(120)와 반사부(140)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는 본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예에 따른 연결부(15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가변형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52)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자바라형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54)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접철식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56)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나사 결합 가능한 안테나형 연결부(158)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변형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52)의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형태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부(130)와 반사부(140) 사이의 거리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정부(130)에 고정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10)를 이용하여 셀프 카메라 혹은 셀피의 촬영 시 본인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반사부의 위치를 조절하기에 용이하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바라형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54) 역시 가변형 와이어의 변형이기 때문에 형태의 변경이 용이하여 고정부(130)와 반사부(140) 사이의 거리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절(156a)에 의해 연결되는 둘 이상의 와이어 유닛(156b)을 포함하는 접철식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56) 역시 고정부(130)와 반사부(140) 사이의 거리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도 13에는 제1 연결 유닛(158a), 제2 연결 유닛(158b) 및 제3 연결 유닛(158c)을 포함하는 안테나형 연결부(158)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연결 유닛(158a)은 안테나형 연장부(120) 또는 고정부(130)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어 안테나형 연장부(120)와 나란한 방향으로 0° 초과 180° 이하의 범위에서 힌지 운동될 수 있으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2 연결 유닛(158b)은 제1 연결 유닛(158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제1 연결 유닛(158a) 내에 삽입되거나 제1 연결 유닛(158a)으로부터 인출되어 거리 조절이 가능하다. 제3 연결 유닛(158c) 역시 마찬가지로, 제2 연결 유닛(158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제2 연결 유닛(158b) 내에 삽입되거나 제2 연결 유닛(158b)으로부터 인출되어 거리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제1 연결 유닛(158a), 제2 연결 유닛(158b) 및 제3 연결 유닛(158c)을 포함함으로써 3개의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연결 유닛의 수가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역시 본 발명의 실시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안테나형 연결부(158)의 단부는 안테나형 연장부(120) 또는 고정부(130)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안테나형 연결부(158)가 나사 결합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연결 유닛(158a)의 단부에 별도의 힌지가 마련될 수 있다.
나사 결합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연결부(158)는 안테나형 연장부(120) 또는 고정부(13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휴대성 및 보관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그에 따른 변형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촬영 보조 기구(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경우,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카메라(미도시)의 화소보다 후면에 구비되는 제2 카메라(12)의 화소가 더 높다.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기기(10)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를 촬영하는 경우, 즉, 셀프 카메라 혹은 셀피(selfie)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카메라(미도시)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높은 화질을 가지는 사진을 얻지 못하였다. 또한 고화질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2 카메라(1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에 비춰지는 모습을 확인하기 어려워 사용자 본인이 아닌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초점이 맞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그에 따른 변형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촬영 보조 기구(100)는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제2 카메라(12)가 사용자를 촬영하는 동안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반사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 기기(10)의 후면에 부착되는 보다 높은 화소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본인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촬영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고화질의 셀프 카메라 혹은 셀피의 촬영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휴대용 전자 기기
12: 제2 카메라
100: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110: 손잡이부
120: 안테나형 연장부
122: 제1 연장 유닛
124: 제2 연장 유닛
126: 제3 연장 유닛
128: 볼 형상의 홈
129: 너트형 홈
130: 고정부
132: 볼 형상의 돌출부
133: 볼트형 돌출부
140: 반사부
142: 접철식 구조의 반사부
142a: 관절
142b: 직사각형 반사 유닛
142c: 고정 돌기
142d: 삽입홈
144: 접이식 부채형 반사부
144a: 관절
144b: 삼각형 반사 유닛
145: 체결구
146: 볼록 거울 반사부
150: 연결부
152: 가변형 와이어 연결부
154: 자바라형 와이어 연결부
156: 접철식 와이어 연결부
156a: 관절
156b: 와이어 유닛
158: 안테나형 연결부
158a: 제1 연결 유닛
158b: 제2 연결 유닛
158c: 제3 연결 유닛

Claims (16)

  1. 전면에는 표시부 및 제1 카메라를 포함하며, 후면에는 상기 제1 카메라의 화소보다 높은 화소를 가지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을 보조하기 위한 기구로,
    사용자의 손에 의해 쥐어지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손잡이부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인출되는 원통형의 제1 연장 유닛, 상기 제1 연장 유닛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상기 제1 연장 유닛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1 연장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 연장 유닛, 상기 제2 연장 유닛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상기 제2 연장 유닛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연장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제3 연장 유닛을 포함하는 안테나형 연장부;
    상기 안테나형 연장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지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장된 탄성부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카메라가 상기 손잡이부를 향하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반사시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반사부; 및
    상기 안테나형 연장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반사부에 양 단부 각각이 결합되며 상기 안테나형 연장부와 상기 반사부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직사각 형상을 갖고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셋 이상의 반사 유닛;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반사 유닛 사이마다 배치되어,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반사 유닛을 연결하는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는 접철식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부는,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반사 유닛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반사 유닛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고정 돌기; 및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반사 유닛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반사 유닛이 완전히 펼쳐져 서로 평행을 이룰 때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돌기의 단부에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측벽에는 상기 걸이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기 및 상기 반사 유닛 중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영역은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안테나형 연장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형 연장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0° 초과 180° 이하의 범위에서 힌지 운동되는 원통형의 제1 연결 유닛;
    상기 제1 연결 유닛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상기 제1 연결 유닛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1 연결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 연결 유닛; 및
    상기 제2 연결 유닛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상기 제2 연결 유닛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연결 유닛으로부터 인출되는 제3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자바라형 와이어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절에 의해 연결되는 둘 이상의 와이어 유닛을 포함하는 접철식 와이어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가변형 와이어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안테나형 연장부 또는 상기 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종이, 플라스틱 및 세라믹 중 어느 하나에 금속광을 낼 수 있는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볼록 거울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테나형 연장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안테나형 연장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전축 각각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부는 볼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형 연장부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될 수 있는 볼 형상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안테나형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안테나형 연장부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촬영 보조 기구.

KR1020150191530A 2015-12-31 2015-12-31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기구 KR101642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530A KR101642239B1 (ko) 2015-12-31 2015-12-31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530A KR101642239B1 (ko) 2015-12-31 2015-12-31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239B1 true KR101642239B1 (ko) 2016-07-22

Family

ID=5668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530A KR101642239B1 (ko) 2015-12-31 2015-12-31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2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5523A1 (zh) * 2019-08-23 2021-03-04 深圳市固胜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含可视屏幕和手轮调节的多节电动摄影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6673B1 (en) * 2007-04-06 2010-04-27 Staudinger Robert J Portable remote camera control device
KR20120009083A (ko) * 2010-07-22 2012-02-01 최현재 휴대단말 반사패널
JP2012242403A (ja) * 2011-05-13 2012-12-10 Mamoru Awa 自己撮影用カメラ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6673B1 (en) * 2007-04-06 2010-04-27 Staudinger Robert J Portable remote camera control device
KR20120009083A (ko) * 2010-07-22 2012-02-01 최현재 휴대단말 반사패널
JP2012242403A (ja) * 2011-05-13 2012-12-10 Mamoru Awa 自己撮影用カメラ器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디지털타임스 블로그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5523A1 (zh) * 2019-08-23 2021-03-04 深圳市固胜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含可视屏幕和手轮调节的多节电动摄影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57303T3 (es) Aparato de autofotografía integrado
US20130005401A1 (en) Ergonomic handle for smartphone video recording
CN105049691B (zh) 拍摄装置及终端
WO2015139039A1 (en) Image capturing device support with remote controller
US20150029352A1 (en) Collapsible cell phone boom arm
US20170223236A1 (en) Wearable Camera Apparatus
US8781311B1 (en) Document holder for a portable imaging apparatus
CN207720213U (zh) 手机自拍杆
KR101840741B1 (ko) 휴대폰 연동형 셀프촬영장치
US8493507B2 (en) Glare blocking camcorder/camera stabilizing eye level viewfinder device and method
JP3196962U (ja) 支持装置
TWI574560B (zh) 電子裝置
KR101642239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기구
KR20140058786A (ko)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N106941542B (zh) 带投影功能的移动通信设备
US8878988B1 (en) Glare blocking camcorder/camera stabilizing eye level viewfinder device and method
JP2008113099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に小型望遠鏡を固定する方法。
EP1684509A2 (en) Portable display
KR200484029Y1 (ko)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KR20110006501U (ko) 휴대폰의 셀프동영상 기능을 보조하는 휴대폰거치대
ES2766423T3 (es) Lupa de escritorio articulada
JP2013168768A (ja) 撮像装置
JP2004120490A (ja) カメラ
JP4797314B2 (ja) デジタルカメラ等の撮像画面を映すマルチアングルミラー
WO2019075618A1 (zh) 自拍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