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697B1 - 휴대폰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697B1
KR101616697B1 KR1020150012771A KR20150012771A KR101616697B1 KR 101616697 B1 KR101616697 B1 KR 101616697B1 KR 1020150012771 A KR1020150012771 A KR 1020150012771A KR 20150012771 A KR20150012771 A KR 20150012771A KR 101616697 B1 KR101616697 B1 KR 101616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weight
holder
opening
assembl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희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Priority to KR102015001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697B1/ko
Priority to PCT/KR2015/002600 priority patent/WO201612204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폰 홀더가 개시된다. 휴대폰 홀더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파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뒷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의 양쪽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부착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 홀더{PORTABLE TELEPHONE HOLDER}
본 발명은 휴대폰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사용함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는 휴대폰 홀더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휴대하고 다니면서 전화통화하거나, 문자 등의 송ㆍ수신과 인터넷 접속 등 현대인의 생활에서 필수적인 편리한 통신수단이다. 이와 같이 휴대폰은 현대인에게 필수적이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고 편리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휴대폰을 별도의 보관수단 없이 휴대하는 경우, 활동 중에 휴대폰을 떨어뜨려 충격에 의해 흡집이 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휴대폰이 이처럼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각종 휴대폰용 케이스 및 휴대폰 홀더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휴대폰용 케이스의 경우 휴대폰을 수납하여 휴대하면 휴대폰용 케이스에 의해 휴대폰의 부피가 커져서 주머니에 휴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불편이 있다.
휴대폰 홀더의 경우 종래 대부분이 허리에 착용하고 있는 혁대 등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폰 홀더는 휴대폰을 사용할 때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폰 홀더와 무관하게 휴대폰을 파지한 채로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며, 따라서 종래의 휴대폰 홀더는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휴대폰을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하는 기능만 할 뿐 오히려 휴대폰의 사용시 불편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4-0005844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폰의 사용시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폰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폰을 책상의 상면 또는 실내 바닥면 등에 거치시킬 수 있고, 차량의 대시보드와 같은 수평이 아닌 면에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파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뒷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의 양쪽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부착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체결부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의 상측에 마련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밴드; 상기 밴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의 하단측에 고정되는 제1 조립부재; 상기 밴드의 상단에 결합되어 일측이 상기 제2 개구에 삽입되는 제2 조립부재; 및 상기 제2 조립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3 조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개구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홈 내에 결합된 거치용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용 클립은 상단부의 양측이 상기 수용홈 내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홀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홀더부는, 수용공간을 갖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배면에 부착된 접착시트; 및 상기 고정몸체의 수용공간 내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홀더에 의하면,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이 손에서 미끄러져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폰을 평면, 예를 들면, 책상의 상면 또는 실내 바닥면 상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차량의 대시보드와 같은 수평이 아닌 면 상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밴드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폰 홀더를 통해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몸체부 및 홀더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거치용 클립 및 홀더부가 연결되어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몸체부(110), 지지부(120), 한 쌍의 부착시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체결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11)는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부(111)는 제1 개구(111a) 및 제2 개구(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111a) 및 제2 개구(111b)는 몸체부(110)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111a) 및 제2 개구(111b)는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개구(111a)는 제2 개구(111b)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개구(111b)는 제1 개구(111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개구(111b)는 제1 개구(111a)보다 폭이 좁을 수 있다.
지지부(120)는 몸체부(110)를 파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20)는 몸체부(1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20)는 밴드(121), 제1 내지 제3 조립부재(122, 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121)는 제1 개구(111a)의 외측으로 인출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밴드(121)는 얇은 시트 형태일 수 있다. 밴드(121)의 폭은 제1 개구(111a)의 폭보다 작을 수도 있고, 동일한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밴드(121)는 제1 개구(111a) 및 제2 개구(111b)가 갖는 길이의 합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제1 개구(111a) 및 제2 개구(111b)가 갖는 길이의 합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밴드(121)는 플렉시블한 소재로써, 예를 들면, 실리콘 또는 고무일 수 있으며, 밴드(121)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조립부재(122) 및 제2 조립부재(123)는 밴드(121)가 체결부(111)에 체결되도록 한다. 제1 조립부재(122)는 밴드(121)의 하단에 결합되고, 제1 개구(111a)의 하단측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조립부재(122)가 제1 개구(111a)의 하단측에 체결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제1 개구(111a)의 하단측에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제1 조립부재(122)의 일면에 체결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조립부재(123)는 밴드(121)의 상단에 결합되고, 일측이 제2 개구(111b)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조립부재(123)는 제2 개구(111b)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 조립부재(123)가 제2 개구(111b)를 따라 슬라이딩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제2 조립부재(123)는 일측면에 제2 개구(111b)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슬라이딩 돌기(12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조립부재(124)는 몸체부(110)의 외측에서 제2 조립부재(123)의 슬라이딩 돌기(123a)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조립부재(124)는 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조립부재(123)를 제2 개구(111b)를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제3 조립부재(124)는 슬라이딩 돌기(123a)와 결합되기 위하여, 일측면에 구멍(124a)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제3 조립부재(124)를 제외하고는 밴드(121), 제1 조립부재(122), 제2 조립부재(123)가 몸체부(110)에 내장될 수 있다. 일례로, 밴드(121), 제1 조립부재(122) 및 제2 조립부재(123)가 몸체부(110)에 내장되기 위하여, 몸체부(110)는 제1 단턱(112a) 및 제2 단턱(112b), 덮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턱(112a) 및 제2 단턱(112b)은 제1 개구(111a) 및 제2 개구(111b)가 형성된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턱(112a)은 제2 단턱(112b)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턱(112a)의 내측으로는 밴드(121), 제1 조립부재(122) 및 제2 조립부재(123)가 수용될 수 있다.
덮개(113)는 몸체부(110)의 뒷면에 고정될 수 있다. 덮개(113)는 제1 단턱(112a) 및 제2 단턱(112b)을 커버하고, 밴드(121), 제1 조립부재(122) 및 제2 조립부재(12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덮개(113)는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플레이트이다. 플레이트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덮개(113)는 시트 형태로 몸체부(110)의 뒷면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시트(130)는 몸체부(110)가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뒷면에 몸체부(1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부착시트(130)는 몸체부(110)의 뒷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111)의 양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시트(130)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부착시트(130)를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하여 고정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밴드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과 같이 휴대폰(10)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120)의 밴드(121)는 평상시 몸체부(110)에 내장되어 있고, 휴대폰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지지부(120)의 밴드(121)에 손가락을 끼우고자 할 경우에만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지지부(120)의 제3 조립부재(124)를 제1 개구(111a)측으로 밀면 몸체부(110) 내에 내장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밴드(121)가 도 3과 같이 몸체부(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요시에만 지지부(120)를 외부로 인출하므로 평상시에 휴대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지부(120)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고, 필요시에는 간편하게 밴드(121)를 몸체부(110)의 외부로 인출하여 손가락을 인출된 밴드(121)에 끼워서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이용하면 휴대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휴대폰이 손에서 미끄러져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폰 홀더를 통해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몸체부(210), 지지부(220), 한 쌍의 부착시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체결부(211) 및 수용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11)는 제1 개구(211a) 및 제2 개구(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체결부(111)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용홈(214)은 거치용 클립(225)을 수용한다. 수용홈(214)은 체결부(211)의 제1 개구(211a)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홈(214)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0)는 밴드(221), 제1 조립부재(미도시), 제2 조립부재(미도시) 및 제3 조립부재(224), 거치용 클립(225)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221), 제1 내지 제3 조립부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밴드(121), 제1 내지 제3 조립부재(122, 123, 124)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거치용 클립(225)은 수용홈(214) 내에 수용된다. 일 예로, 거치용 클립(225)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U자 형상의 상단부의 양측은 수용홈(214)의 U자 형상의 양측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용 클립(225)은 수용홈(214) 내에 체결된 상단부의 양측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214)의 내외로 회전될 수 있다.
한 쌍의 부착시트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한 쌍의 부착시트(13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부착시트를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하여 고정한 후 사용할 수 있다.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밴드(221)를 인출한 후 밴드(221)에 손가락을 끼운 채로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추가적인 기능으로서, 거치용 클립(225)을 수용홈(214)의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서 수용홈(214)으로부터 인출한 후 도 5와 같이 거치용 클립(225)을 평면, 예를 들면, 책상의 상면 또는 실내 바닥면 등에 놓이도록 하여 휴대폰을 평면 상에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이용하면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이 손에서 미끄러져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거치용 클립(225)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평면 상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휴대폰 사용에 있어서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는 안전성 및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몸체부(310), 지지부(320), 한 쌍의 부착시트(미도시) 및 홀더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체결부(311) 및 수용홈(314)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11)는 제1 개구(311a) 및 제2 개구(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1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체결부(111)와 동일하고, 수용홈(31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용홈(214)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부(320)는 밴드(321), 제1 조립부재(미도시), 제2 조립부재(미도시) 및 제3 조립부재(324), 거치용 클립(325)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321), 제1 내지 제3 조립부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밴드(121), 제1 내지 제3 조립부재(122, 123, 124)와 동일하고, 거치용 클립(32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거치용 클립(225)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 쌍의 부착시트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한 쌍의 부착시트(13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홀더부(340)는 고정몸체(341), 접착시트(342) 및 홀더(3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몸체(341)는 평면, 예를 들면,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몸체(341)는 홀더(343)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홀더(343)는 수용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접착시트(342)는 고정몸체(341)가 평면에 접착 고정되도록 한다. 접착시트(342)는 고정몸체(341)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시트(342)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홀더(343)는 고정몸체(341)의 수용공간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홀더(343)는 삽입몸체(343a) 및 걸이부(343b)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몸체(343a)는 고정몸체(341)의 수용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몸체(343a)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걸이부(343b)는 삽입몸체(343a)와 일체로 삽입몸체(343a)의 상면에 위치하고 끝단부가 삽입몸체(343a)의 가장자리보다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돌출된 끝단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홀더의 몸체부(310) 및 거치용 클립(325)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부(343b)가 형성되는 경우, 고정몸체(341)의 원통의 외면에는 지지편들(341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들(341a)은 걸이부(343b)의 끝단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걸이부(343b)의 돌출된 끝단부와 지지편들(341a)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홀더(343)는 고정몸체(341)의 수용공간 내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343)는 시계방향으로 45도 및 90도로 회전하고,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45도 및 90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343)의 회전을 위한 구성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면, 삽입몸체(343a)의 외면에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45도 및 90도 간격으로 홈을 형성하고, 고정몸체(341)의 수용공간의 내면에 상기 홈에 체결 가능한 돌기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45도 및 90도 간격으로 형성하여, 홈 및 돌기가 간헐적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홀더(343)를 평면 및 수직면, 예를 들면, 차량의 대시보드 상에 접착시트(342)를 통해 부착하여 고정하고, 홀더(343)에 몸체부(310) 또는 거치용 클립(325)을 연결하여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몸체부 및 홀더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거치용 클립 및 홀더부가 연결되어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몸체부(310)를 홀더(343)에 연결하는 경우, 걸이부(343b)를 체결부(311)의 제1 개구(311a)로 삽입한 후 걸이부(343b)의 끝단부를 제1 개구(311a)의 위, 즉 제2 개구(311b)를 향해 완전히 삽입하면 몸체부(310)는 걸이부(343b)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폰은 홀더(343)에 의해 차량의 대시보드에 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거치용 클립(325)을 홀더(343)에 연결하는 경우, 거치용 클립(325)을 수용홈(314) 내에서 인출한 후 인출된 거치용 클립(325)의 하단부를 걸이부(343b)에 끼우면 휴대폰(10)과 거치용 클립(325)은 소정의 각도를 이룬 상태가 되고 휴대폰(10)의 하단부는 대시보드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폰은 홀더(343)에 의해 차량의 대시보드에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이용하면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이 손에서 미끄러져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거치용 클립(325)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평면 상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휴대폰 사용에 있어서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는 안전성 및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대시보드와 같은 수평이 아닌 면 상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의 사용에 있어서 더욱 증대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의 몸체부(110, 210, 310)의 외면은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75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0.5~7중량% 및 탄소수가 4~5인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유지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내백화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일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이면 내백화성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임의의 알파올레핀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텐이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은 탄소수가 4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시, 코모노머와의 반응성이 낮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50중량%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내백화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의 거치용 클립(225, 325)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거치용 클립(225, 325) 외면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마모방지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210, 310 : 몸체부 111, 211, 311 : 체결부
120, 220, 320 : 지지부 121, 221, 321 : 밴드
130 : 부착시트 225 : 거치용 클립
340 : 홀더부 341 : 고정몸체
342 : 접착시트 343 : 홀더
343a : 삽입몸체 343b : 걸이부

Claims (5)

  1.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부(111, 211, 311)를 포함하는 몸체부(110, 210, 310);
    상기 체결부(111, 211, 311)에 체결되고 상기 몸체부(110, 210, 310)를 파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지지부(120, 220, 320); 및
    상기 몸체부(110, 210, 310)의 뒷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111, 211, 311)의 양쪽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부착시트(13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111, 211, 311)는 제1 개구(111a, 211a, 311a) 및 상기 제1 개구(111a, 211a, 311a)의 상측에 마련된 제2 개구(111b, 211b, 311b)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20, 220, 320)는, 밴드(121, 221, 321)와, 상기 밴드(1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111a)의 하단측에 고정되는 제1 조립부재(122)와, 상기 밴드(1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일측이 상기 제2 개구(111b)에 삽입되는 제2 조립부재(123)와, 상기 제2 조립부재(123)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3 조립부재(124)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제1 개구(211a)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2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수용홈(214) 내에 결합된 거치용 클립(2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용 클립(225)은 상단부의 양측이 상기 수용홈(214) 내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수용홈(214) 내에 수용되며;
    상기 지지부(320)와 연결되는 홀더부(3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340)는, 수용공간을 갖는 고정몸체(341)와, 상기 고정몸체(341)의 배면에 부착된 접착시트(342)와, 상기 고정몸체(341)의 수용공간 내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320)와 연결되는 홀더(343)를 포함하고;
    몸체부(110, 210, 310)의 외면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거치용 클립(225)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거치용 클립(225) 외면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되고, 상기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되되, 상기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홀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12771A 2015-01-27 2015-01-27 휴대폰 홀더 KR101616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771A KR101616697B1 (ko) 2015-01-27 2015-01-27 휴대폰 홀더
PCT/KR2015/002600 WO2016122048A1 (ko) 2015-01-27 2015-03-18 휴대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771A KR101616697B1 (ko) 2015-01-27 2015-01-27 휴대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697B1 true KR101616697B1 (ko) 2016-04-29

Family

ID=5591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771A KR101616697B1 (ko) 2015-01-27 2015-01-27 휴대폰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6697B1 (ko)
WO (1) WO201612204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20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홀더
KR101987581B1 (ko) * 2018-03-05 2019-06-10 이기만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25187B1 (ko) * 2019-05-09 2019-09-25 여창기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EP3481036A4 (en) * 2016-06-30 2019-12-25 Chang-Ki Yeo MAGIC BOOST
US11452365B2 (en) 2019-11-22 2022-09-27 Shawshank Ledz Inc. Grip device to enable a number of operations associat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attachment theret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922B1 (ko) * 2017-09-26 2018-02-27 유현주 스마트 단말기용 핑거 그립
US11405067B2 (en) * 2018-10-18 2022-08-02 Po Ching SUNG H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tilizing a strip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867B1 (ko) * 2012-07-04 2012-10-16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 케이스
KR20140123837A (ko) * 2013-04-15 2014-10-23 백광현 스마트폰 거치대
KR20140005844U (ko) 2013-05-08 2014-11-19 이건영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용품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520A (ko) * 2007-02-16 2008-08-20 데이비드 학모 리 휴대폰용 배터리 및 그 배터리를 구비한 휴대폰
US20120025039A1 (en) * 2010-07-28 2012-02-02 Segal Stanley H Cell Phone Holder and Stand
KR101323666B1 (ko) * 2012-04-18 2013-10-30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867B1 (ko) * 2012-07-04 2012-10-16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 케이스
KR20140123837A (ko) * 2013-04-15 2014-10-23 백광현 스마트폰 거치대
KR20140005844U (ko) 2013-05-08 2014-11-19 이건영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용품 홀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20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홀더
EP3481036A4 (en) * 2016-06-30 2019-12-25 Chang-Ki Yeo MAGIC BOOST
KR101987581B1 (ko) * 2018-03-05 2019-06-10 이기만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25187B1 (ko) * 2019-05-09 2019-09-25 여창기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US11452365B2 (en) 2019-11-22 2022-09-27 Shawshank Ledz Inc. Grip device to enable a number of operations associat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attachment there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2048A1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697B1 (ko) 휴대폰 홀더
US8746448B1 (e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finger retaining loop
US5383091A (en) Grip and protective casing for cellular telephone
US6141417A (en) Holder for mobile telephone
US20080105694A1 (en) Skidproof structure for container
KR200460676Y1 (ko) 휴대폰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고정밴드
CA2308240A1 (en) Tape measure
US20130200117A1 (en) Bracket assembly
US10461795B2 (en) Mobile computing/communicating attachment device
US20050002519A1 (en) Carabiner communication device
CN212497679U (zh) 一种手机检修工具箱
JP5506708B2 (ja) 容器ホルダー
US20080075275A1 (en) Carabiner Communication Device
US20200253364A1 (en) Magnetic Multi-tool Carrier-and-Opener and Method of Use
US20210368895A1 (en) Utility glove with retention feature
CN210329723U (zh) 一种可重复使用抽屉式四色粉盒
US20210289927A1 (en) Phone holder
JP2004270930A (ja) 保護キャップ
KR101647684B1 (ko) 휴대용 장착 롤러
JP2020021993A (ja) 携帯機器保持具
CN206850860U (zh) 多功能手机壳
KR101538473B1 (ko) 다용도 건축 판넬
KR200496832Y1 (ko) 휴대폰의 손바닥 이탈 방지를 위한 자석 반지를 이용한 휴대폰 케이스 패키지
US6252555B1 (en) Antenna clip for electronic components
CN215225264U (zh) 一种防丢器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