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473B1 - 다용도 건축 판넬 - Google Patents
다용도 건축 판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8473B1 KR101538473B1 KR1020150032387A KR20150032387A KR101538473B1 KR 101538473 B1 KR101538473 B1 KR 101538473B1 KR 1020150032387 A KR1020150032387 A KR 1020150032387A KR 20150032387 A KR20150032387 A KR 20150032387A KR 101538473 B1 KR101538473 B1 KR 1015384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panel
- portions
- curved
- ri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다용도 건축 판넬이 개시되며, 상기 다용도 건축 판넬은, 상호 연결되는 복수 개의 블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1 테두리 및 상기 제1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3 테두리 각각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원터치인설트부 및 상기 제1 테두리와 이웃하는 제2 테두리 및 제4 테두리 각각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판넬부; 상기 원터치인설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원터치인설트부가 삽입 체결되는 인설트클립부; 및 상기 판넬부 상에 장착 가능한 마감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복수 개의 상기 블록 플레이트 각가의 외주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 플레이트의 테두리에는 상기 홈에 삽입 체결되는 후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용도 건축 판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건축물의 시공시, 벽면 마감을 위해, 마감재로 시공할 수 있는 벽체 시스템이 개시된바 있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벽체 시스템은, 건축물의 벽을 이중 벽 구조로 시공하는 것으로서, 벽체시공을 위한 장소의 지면 및 천정면에 하부런너 및 상부런너를 설치하고, 하부런너 및 상부런너 내에 스터드를 결합하고, 스터드에 벽체판넬의 결합을 위한 인설트클립부재를 설치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터드 및 인설트클립부재의 결합은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벽체 시스템에 의하면, 스터드 및 인설트클립부재의 결합이 어렵고, 구성이 복잡한바, 설치가 매우 불편하며, 정교한 벽면을 구성할 수 없는 단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 마감 시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는 다용도 건축 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벽에 구비된 후, 벽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방지되는 다용도 건축 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건축물의 벽에 문양을 도시하게 하는 다용도 건축 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벽에 도시된 문양의 수정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블록 플레이트로부터의 장착 및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용도 건축 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감 플레이트가 블록 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다용도 건축 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다용도 건축 판넬은, 상호 연결되는 복수 개의 블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제1 테두리 및 상기 제1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3 테두리 각각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원터치인설트부 및 상기 제1 테두리와 이웃하는 제2 테두리 및 제4 테두리 각각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판넬부; 상기 원터치인설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원터치인설트부가 삽입 체결되는 인설트클립부; 및 상기 판넬부 상에 장착 가능한 마감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복수 개의 상기 블록 플레이트 각가의 외주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 플레이트의 테두리에는 상기 홈에 삽입 체결되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다용도 건축 판넬에 있어서, 상기 인설트클립부는, 배면; 상기 배면 각각의 일측부 및 타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한 쌍의 상기 측면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 한 쌍의 상기 절곡부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끝 단이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되, 서로의 끝단이 접하는 한 쌍의 호형 절곡부; 및 한 쌍의 상기 호형 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점차 이격되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다용도 건축 판넬에 있어서, 상기 인설트클립부는, 배면; 상기 배면 각각의 일측부 및 타측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호 간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한 쌍의 상기 측면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되, 서로의 끝단이 접하는 한 쌍의 호형 절곡부; 및 한 쌍의 상기 호형 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점차 이격되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다용도 건축 판넬은, 상기 배면에 장착 가능한 착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인설트클립부의 배면이 수용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일측 및 타측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다용도 건축 판넬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인설트부는 상부, 상기 상부로부터 굽어져 연장 형성되는 중간부 및 중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그 하단이 절곡되어 접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설트클립부는, 배면; 상기 배면의 일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배면의 타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의 끝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단턱부; 상기 단턱부의 끝단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곡면부; 상기 제2 측면의 끝단으로부터 S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물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치인설트부가 상기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턱부는 상기 걸림부를 걸림 지지하고, 상기 물결부와 상기 곡면부 사이에는 상기 중간부가 수용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구현예에 따른 다용도 건축 판넬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인설트부는 상부, 상기 상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그 하단이 절곡되어 접히는 걸림부 및 상기 상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빠짐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설트클립부는, 배면; 상기 배면의 일측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측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측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배면의 타측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의 끝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단턱부; 상기 제2 측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턱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끝단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곡면부; 상기 제2 측면의 끝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곡면부; 상기 제1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점차 이격되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사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치인설트부가 상기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턱부는 상기 걸림부를 걸림 지지하고, 상기 제1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 사이에는 상기 빠짐방지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건축물의 벽에 부착되는 인설트클립부에 판넬부의 원터치인설트부가 삽입 체결됨으로써, 판넬부는 용이하게 건축물의 벽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판넬은, 판넬부 상에 장착될 수 있는 마감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판넬은 마감 플레이트를 통해, 건축물의 벽에 하나의 문양을 도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마감 플레이트의 후크가 블록 플레이트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마감 플레이트는 블록 플레이트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 플레이트에 대한 마감 플레이트의 장착, 제거 및 재배치가 용이하며, 문양의 제거 및 수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착탈부는 인설트클립부의 배면이 수용되는 수용홈 및 수용홈의 일측 및 타측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벽에 날개부가 고정된 탈착부의 수용홈에 인설트클립부가 수용됨으로써, 인설트클립부는 건축물의 벽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원터치인설트부는 굽은 형태의 중간부 및 절곡되어 접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설트클립부는, 이러한 원터치인설트부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터치인설트부가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되는 경우, 걸림부는 단턱부로부터 이탈되기 어렵고, 굽은 형상인 중간부는 통로로부터 이탈되기 어려운바, 원터치인설트부와 인설트클립부가 더욱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원터치인설트부는 걸림부 및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빠짐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설트클립부는, 이러한 걸림부를 걸림 지지하는 단턱부 및 빠짐방지부가 수용되는 외공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걸림부는 단턱부로부터 이탈되기 어렵고, 빠짐방지부는 외공으로부터 이탈되기 어려운바, 원터치인설트부와 인설트클립부의 체결성은 더욱 긴밀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a는 착탈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b는 착탈부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a는 블록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마감 플레이트의 블록 플레이트에 대한 장착을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a는 착탈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b는 착탈부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a는 블록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마감 플레이트의 블록 플레이트에 대한 장착을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용도 건축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건축 판넬(이하 '본 판넬'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판넬은 판넬부(1)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판넬부(1)는, 상호 연결되는 복수 개의 블록 플레이트(111)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1)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는 블록 플레이트(111)를 4행 2열로 8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11)가 포함하는 블록 플레이트(11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예로서, 베이스부(11)는 블록 플레이트(111)를 3행 3열로 9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는 그 단면이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1)는 4 개의 테두리(후술하는 제1 테두리, 제2 테두리, 제3 테두리 및 제4 테두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판넬부(1)는,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연결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부(13)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의 제2 테두리 및 제4 테두리 각각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테두리 및 제4 테두리 각각은, 베이스부(11)의 테두리 중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 2개 각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한 쌍의 연결부(13)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블록 플레이트(1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보며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3)는 판넬부(1)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넬부(1)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의 면적을 고려하여 보면, 건축물의 벽 상에 배치되는 판넬부(1)는 복수 개이다. 즉, 본 판넬은, 판넬부(1)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판넬부(1)는 서로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판넬부(1) 각각의 제2 테두리의 연결부(13)는 이웃하는 다른 판넬부(1)의 제4 테두리의 연결부(13)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약, 본 판넬이 3 개의 판넬부(1), 즉, 제1 판넬부(1), 제2 판넬부(1) 및 제3 판넬부(1)를 포함하는 경우, 제1 판넬부(1)의 제2 테두리와 제2 판넬부(1)의 제4 테두리가 맞닿고, 제2 판넬부(1)의 제2 테두리에는 제3 판넬부(1)의 제4 테두리가 맞닿는 형식으로 3 개의 판넬부(1)는 서로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1 판넬부(1)와 제2 판넬부(1)는, 제1 판넬부(1)의 제2 테두리의 연결부(13)와 제2 판넬부(1)의 제4 테두리의 연결부(13)가 연결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판넬부(1)와 제3 판넬부(1)는 제2 판넬부(1)의 제2 테두리의 연결부(13)와 제3 판넬부(1)의 제4 테두리의 연결부(13)가 연결됨으로써,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테두리의 연결부(13)와 그와 맞닿는 제4 테두리의 연결부(13)의 연결은 이하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테두리(도 2 참조, 12시 방향을 향하는 테두리)의 연결부(13)의 일측(도 2 참조 9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 돌기(132)가 형성되고, 제2 테두리의 연결부(13)의 타측(도 2 참조 3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에는 삽입 돌기(132)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테두리(도 2 참조, 6시 방향을 향하는 테두리)의 연결부(13)의 타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 돌기(132)가 형성되고, 제4 테두리의 연결부(13)의 일측에는 삽입 돌기(132)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판넬부(1)의 제2 테두리와 제2 판넬부(1)의 제4 테두리가 접하게되면, 제1 판넬부(1)의 제2 테두리의 연결부(13)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 돌기(132)는 제2 판넬부(1)의 제4 테두리의 연결부(13)의 일측에 형성된 홈(131)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판넬부(1)의 제 2 테두리의 연결부(13)의 타측에 형성된 홈(131)에는 제2 판넬부(1)의 제4 테두리의 연결부(13)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 돌기(132)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판넬부(1)간의 상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판넬부(1)간의 상호 연결에 의해, 판넬부(1)가 건축물의 벽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공사 기간 및 공사 비용을 고려하여 보았을 때, 복수 개의 판넬부(1)는 서로 단순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연결될 필요가 있다.
본 판넬에 의하면, 판넬부(1)간의 연결이 홈(131)에 대한 삽입 돌기(132)의 삽입에 의해 이루어지는바, 판넬부(1)간의 연결이 단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판넬부(1)를 건축물의 벽 상에 배치하는데 있어, 공사 기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공사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판넬부(1)는, 베이스부(11)의 제 1 테두리 및 제1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3 테두리 각각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상의 원터치인설트부(12)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터치인설트부(12)는 인설트클립부(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넬부(1)는 벽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인설트클립부(2)에 대한 원터치인설트부(12)의 삽입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인설트클립부(2)에 대해 상술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판넬은, 원터치인설트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원터치인설트부(12)가 삽입 체결되는 인설트클립부(2)를 포함한다.
인설트클립부(2)의 제1 구현예로서, 인설트클립부(2)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면(21)을 포함할 수 있다. 배면(21)의 후면은 벽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인설트클립부(2)는 배면(21) 각각의 일측부 및 타측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22)은 배면(2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설트클립부(2)는 한 쌍의 측면(22)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설트클립부(2)는 한 쌍의 절곡부(25)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직선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설트클립부(2)는 한 쌍의 직선부(23)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호형 절곡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형 절곡부(24)의 끝단은 서로 접할 수 있다.
또한, 인설트클립부(2)는 한 쌍의 호형 절곡부(24)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점차 이격되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곡면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설트클립부(2)는 벽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설트클립부(2)는 그 배면(21)의 후면이 건축물의 벽에 접촉 됨으로써, 건축물의 벽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터치인설트부(12)는 인설트클립부(2)의 호형 절곡부(2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호형 절곡부(24)의 끝단이 서로 접하는바, 원터치인설트부(12)는 인설트클립부(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벽에 장착된 인설트클립부(2)에 원터치인설트부(12)가 인설트클립부(2)에 삽입 체결되면, 판넬부(1)는 벽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판넬에 의하면, 판넬부(1)가 인설트클립부(2)에 의해 건축물의 벽 상에 장착될 수 있는바, 판넬부(1)의 건축물의 벽에 대한 장착이 효율적이고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인설트클립부(2)가 배면(2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22)을 포함하는바, 인설트클립부(2)의 호형 절곡부(24) 사이에 삽입되는 판넬부(1)는 건축물의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벽과 판넬부(1)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바, 판넬부(1)에 결로 현상,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것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결로 현상의 방지 극대화를 위해, 예시적으로, 인설트클립부(2)에 의해 건축물의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판넬부(1)와 건축물의 벽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설트클립부(2)와 벽의 체결은 체결부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인설트클립부(2)를 벽에 체결시킬 수 있는 핀, 클립 등일 수 있다.
또한, 인설트클립부(2)의 제2 구현예로서, 인설트클립부(2)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인 다용도 건축 판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인설트클립부(2)의 제2 구현예에 따르면, 인설트클립부(2)는,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배면(21) 및 배면(21) 각각의 일측부 및 타측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호 간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22)은 배면(2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설트클립부(2)는 한 쌍의 측면(22)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호형 절곡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호형 절곡부(24) 각각의 끝단은 서로 접할 수 있다.
또한, 인설트클립부(2)는 한 쌍의 호형 절곡부(24)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점차 이격되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곡면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2)의 작용 및 효과는 상술한 제1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2)의 작용 및 효과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2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2)에는 착탈부(7)가 장착될 수 있다.
도 8a는 착탈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b는 착탈부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착탈부(7)는, 인설트클립부(2)의 배면이 수용되는 수용홈(71) 및 수용홈(71)의 일측 및 타측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날개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착탈부(7)의 수용홈(71)에는 제2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2)의 배면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8b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날개부(72)가 건축물의 벽에 고정됨으로써, 인설트클립부(2)는 벽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원터치인설트부(12)는 제2 구현예로서 이렇게 구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원터치인설트부(12)는 상부(121), 상기 상부로부터 굽어져 연장 형성되는 중간부(122) 및 중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그 하단이 절곡되어 접히는 걸림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원터치인설트부(12)가 삽입되는 인설트클립부(2)는 제3 구현예로서, 이하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3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2)는, 배면(27a), 배면(27a)의 일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27b), 배면(27a)의 타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27c), 제1 측면(27b)의 끝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단턱부(27d), 단턱부(27d)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곡면부(27f), 제2 측면 (27c)의 끝단으로부터 S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물결부(27e, 27g)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제1 측면(27b)과 제2 측면(27c) 사이에는 내공(2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곡면부(27f)와 물결부의 하측 만곡부(27e) 사이에는, 통로(20b)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곡면부(27f)와 물결부의 상측 만곡부(27g) 사이에는 진입구(20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현예에 따른 원터치인설트부(12)가 이러한 인설트클립부(2)에 삽입되는 경우, 원터치인설트부(12)는 진입구(20c)를 통해 인설트클립부(20) 내로 진입하여, 내공(20a)에는 걸림부(123)가 위치하고, 통로(20b)에는 중간부(122)가 위치하도록 인설트클립부(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절곡부(27d)는 걸림부(123)를 걸림 지지하고, 또한, 중간부(122) 및 통로(20b)가 곡선 형상인바, 인설트클립부(2)와 원터치인설트부(12)는 서로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원터치인설트부(12)는 제3 구현예로서 이렇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원터치인설트부가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 구현예에 따른, 원터치인설트부(12)는 상부(121), 상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그 하단이 절곡되어 접히는 걸림부(123) 및 상부(121)와 걸림부 사이에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빠짐방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3 구현예에 따른 원터치인설트부(12)는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2)에 삽입될 수 있다.
제4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2)는, 배면(29a), 배면(29a)의 일측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측면(29b), 적어도 일부가 제1 측면(29b)과 평행하도록 배면(29b)의 타측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측면(29c), 제1 측면(29b) 의 끝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단턱부(29d), 제2 측면(29c)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단턱부(29d)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직선부(29h), 직선부(29h)의 끝단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곡면부(29e), 제2 측면(29c)의 끝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곡면부(29f) 및 제1 곡면부(29e) 및 제2 곡면부(29f)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점차 이격되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사선부(29g)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29b)와 제2 측면(29c) 사이에는, 내공(20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곡면부(29e)와 제2 곡면부(29f) 사이에는 외공(20e)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공(20d)에는 걸림부(123)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부(29d)는 상기 걸림부(123)를 걸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빠짐방지부(122)는 외공(20e)에 위치하며, 빠짐방지부(122)는 제1 곡면부(29e)의끝단과 제2 곡면부(29f)의 끝단에 의해, 외공(20e)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빠짐방지부(122)의 이탈이 극대화되도록, 제1 곡면부(29e)의 끝단과 제2 곡면부(29f)의 끝단은 서로 접하는게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3 구현예에 따른 원터치인설트부(12) 및 제4 구현예에 따른 인설트클립부(2)에 의하면, 내공(20d) 및 외공(20d) 각각에서 원터치인설트부(12)의 인설트클립부(2)로부터의 이탈 방지 효과가 구현될 수 있는바, 상호간의 체결성이 더욱 극대화된다.
또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판넬부(1)는 추가 원터치인설트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원터치인설트부(17)는 블록 플레이트(11) 각각의 테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되되, 원터치인설트부(12)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가 원터치인설트부(17)는 인설트클립부(2)에 삽입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판넬부(1)의 벽에 대한 고정이 강할 필요가 있을 경우, 원터치인설트부(12) 외에 추가 원터치인설트부(17)를 인설트클립부(2)에 삽입시켜 판넬부(1)의 벽에 대한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판넬은, 판넬부(1) 상에 장착 가능한 마감 플레이트(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감 플레이트(3)는 판넬부(1)의 블록 플레이트(1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감 플레이트(3)는 그 상면에 도색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마감 플레이트(111)의 장착에 의해, 건축물의 벽이 장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벽 상에 글자, 그림 등과 같은 문양이 도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건축물의 벽 상에 판넬부(1)를 배열한 후, 도시되어야 하는 문양에 따라, 판넬부(1)의 블록 플레이트(111)에 마감 플레이트(3)를 장착시켜, 문양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블록 플레이트(111) 각각에 마감 플레이트(3) 복수 개를 장착시킴으로써, 장착된 마감 플레이트(3) 복수 개가 모여 하나의 문양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판넬은 지하철 역의 벽 마감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하철 역의 특성상 벽에는 기호나 화살표 등이 들어갈 필요가 있다. 본 판넬이 지하철 역의 벽 마감에 이용되는 경우, 필요한 문양(기호, 화살표 등)이 용이하게 ?에 도시될 수 있다.
한편, 마감 플레이트(3)와 블록 플레이트(111) 간의 체결은 이하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a는 블록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A)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13은 마감 플레이트의 블록 플레이트에 대한 장착을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a 도 12b를 참조하면, 판넬부(1)를 이루는 복수 개의 블록 플레이트(111) 각각의 테두리에는 홈(1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감 플레이트(3)의 테두리에는 홈(1121)에 삽입 체결되는 후크(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판넬에 의하면, 마감 플레이트(3)의 후크(31)가 홈(1121)에 삽입됨으로써, 마감 플레이트(3)가 블록 플레이트(111)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마감 플레이트(3)의 제거가 필요한 경우, 홈(1121)으로부터 후크(31)를 이탈시키기만 하면 되는바, 마감 플레이트(3)의 제거가 용이하다. 이에 따라, 본 판넬에 의하면, 복수 개의 판넬부(1) 상에 구현되는 문양의 제거 및 수정이 필요한 경우, 마감 플레이트(3)의 제거 및 재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벽의 마감하는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크(31)는 그 외면이 홈(1121)의 내면과 마찰 접촉될 수 있도록, 마이너스 공차를 가지고 홈(1121)보다 큰 폭(도 13 참조, 12시 6시 방향(상하 방향)으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31)와 홈이 보다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다.
즉, 본 판넬은, 블록 플레이트(111)로부터의 마감 플레이트(3)의 체결성을 확보하면서, 마감 플레이트(3)의 블록 플레이트(111)에 대한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판넬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본 판넬에 있어서, 판넬부(1)는 베이스부(11)의 제2 테두리 및 제4 테두리 각각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13)를 포함한다. 연결부(13)는 판넬부(1)를 상호 연결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벽에 복수 개의 판넬부(1)가 구비되는 경우, 판넬부(1)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판넬부(1)가 벽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는 삽입 돌기(132)와 홈(131)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판넬부(1)간의 연결은, 홈(131)에 대한 삽입 돌기(132)의 삽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판넬부(1)간의 연결이 단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판넬부(1)를 건축물의 벽 상에 배치하는데 있어, 공사 기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공사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판넬은, 벽에 장착되는 인설트클립부(2)에 판넬부(1)의 원터치인설트부(12)가 삽입됨으로써, 판넬부(1)가 건축물의 벽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 마감 시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판넬에 의하면, 인설트클립부(2)에 의해, 건축물의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판넬부(1)와 건축물의 벽 사이에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판넬이 적용되는 건축물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판넬은, 판넬부(1) 상에 장착될 수 있는 마감 플레이트(3)를 포함한다. 본 판넬은 마감 플레이트(3)를 통해, 건축물의 벽에 하나의 문양을 도시할 수 있다.
또한, 마감 플레이트(3)의 후크(31)가 블록 플레이트(111)의 홈(1121)에 삽입됨으로써, 마감 플레이트(3)는 블록 플레이트(111)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 플레이트(111)에 대한 마감 플레이트(3)의 장착, 제거 및 재배치가 용이하며, 문양의 제거 및 수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크(31)는 그 외면이 홈(1121)의 내면과 마찰 접촉될 수 있도록, 마이너스 공차를 가지고 홈(1121)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31)와 홈이 보다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판넬에 있어서, 연결부(13)의 삽입돌기(132) 및 원터치인설트부(12)의 외면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마감 플레이트(3)의 후크(31)에도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돌기(132)는 홈(131)에 삽입되고, 원터치인설트부(12)는 인설트클립부(2)에 삽입되며, 후크(31)는 블록 플레이트(111)의 홈(1121)에 삽입되는바, 본 판넬이 재활용되는 경우,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2) 및 후크(31)는 잦은 삽입에 의해,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판넬에 의하면,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에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되는바,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연결부(13)의 돌기,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삽입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AAAAAA의 외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에 마모방지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의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삽입 돌기(132), 원터치인설트부(13) 및 후크(13)의 외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이에 더하여, 마감 플레이트(3)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75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0.5~7중량% 및 탄소수가 4~5인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유지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내백화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일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이면 내백화성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임의의 알파올레핀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텐이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은 탄소수가 4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시, 코모노머와의 반응성이 낮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50중량%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내백화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판넬부 11: 베이스부
111: 블록 플레이트 1121: 홈
12: 원터치인설트부 13: 연결부
131: 홈 132: 삽입 돌기
2: 인설트클립부 21: 배면
22: 측면 23: 호형 절곡부
24: 곡면부 25: 절곡부
26: 곡면부 27a: 배면
27b: 제1 측면 27c: 제2 측면
27d: 단턱부 27f: 곡면부
27e: 하측 만곡부 27g: 하측 만곡부
29a: 배면 29b: 제1 측면
29c: 제2 측면 29d: 단턱부
29e: 제1 곡면부 29f: 제2 곡면부
29g: 사선부 121: 상부
122: 중간부, 빠짐방지부 123: 걸림부
20a: 내공 20b: 통로
20c: 진입구 20d: 내공
20e: 외공 3: 마감 플레이트
31: 후크
111: 블록 플레이트 1121: 홈
12: 원터치인설트부 13: 연결부
131: 홈 132: 삽입 돌기
2: 인설트클립부 21: 배면
22: 측면 23: 호형 절곡부
24: 곡면부 25: 절곡부
26: 곡면부 27a: 배면
27b: 제1 측면 27c: 제2 측면
27d: 단턱부 27f: 곡면부
27e: 하측 만곡부 27g: 하측 만곡부
29a: 배면 29b: 제1 측면
29c: 제2 측면 29d: 단턱부
29e: 제1 곡면부 29f: 제2 곡면부
29g: 사선부 121: 상부
122: 중간부, 빠짐방지부 123: 걸림부
20a: 내공 20b: 통로
20c: 진입구 20d: 내공
20e: 외공 3: 마감 플레이트
31: 후크
Claims (6)
- 다용도 건축 판넬에 있어서,
상호 연결되는 복수 개의 블록 플레이트(111)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1), 상기 베이스부(11)의 제1 테두리 및 상기 제1 테두리와 마주보는 제3 테두리 각각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원터치인설트부(12) 및 상기 제1 테두리와 이웃하는 제2 테두리 및 제4 테두리 각각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13)를 포함하는 판넬부(1);
상기 원터치인설트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원터치인설트부(12)가 삽입 체결되는 인설트클립부(2); 및
상기 판넬부(1) 상에 장착 가능한 마감 플레이트(3)를 포함하되,
복수 개의 상기 블록 플레이트(111) 각가의 외주에는, 홈(1121)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 플레이트(3)의 테두리에는 상기 홈(1121)에 삽입 체결되는 후크(31)가 형성되는 것인 다용도 건축 판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설트클립부(2)는,
배면(21);
상기 배면(21) 각각의 일측부 및 타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22);
한 쌍의 상기 측면(22)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부(25);
한 쌍의 상기 절곡부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직선부(23);
한 쌍의 직선부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끝 단이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되, 서로의 끝단이 접하는 한 쌍의 호형 절곡부(24); 및
한 쌍의 상기 호형 절곡부(24)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점차 이격되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곡면부(26)를 포함하는 것인 다용도 건축 판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설트클립부(2)는,
배면(21);
상기 배면(21) 각각의 일측부 및 타측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호 간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22);
한 쌍의 상기 측면(22)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되, 서로의 끝단이 접하는 한 쌍의 호형 절곡부(24); 및
한 쌍의 상기 호형 절곡부(24)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점차 이격되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곡면부(26)를 포함하는 것인 다용도 건축 판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21)에 착탈되는 착탈부(7)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착탈부(7)는, 상기 배면(21)이 수용되는 수용홈(71) 및 상기 수용홈(71)의 일측 및 타측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날개부(72)를 포함하는 것인 다용도 건축 판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인설트부(12)는 상부(121), 상기 상부로부터 굽어져 연장 형성되는 중간부(122) 및 상기 중간부(122)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그 하단이 절곡되어 접히는 걸림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인설트클립부(2)는,
배면(27a);
상기 배면(27a)의 일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27b);
상기 배면(27a)의 타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27c);
상기 제1 측면(27b)의 끝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단턱부(27d);
상기 단턱부(27d)의 끝단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곡면부(27f);
상기 제2 측면(27c)의 끝단으로부터 S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물결부(27e, 27g)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치인설트부(12)가 상기 인설트클립부(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턱부(27d)는 상기 걸림부(123)를 걸림 지지하고,
상기 물결부(27e, 27g)와 상기 곡면부(27f) 사이에는 상기 중간부(122)가 수용되는 통로(20b)가 형성되는 것인 다용도 건축 판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인설트부(12)는 상부(121), 상기 상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그 하단이 절곡되어 접히는 걸림부(123) 및 상기 상부(121)와 상기 걸림부(123) 사이에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빠짐방지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인설트클립부(2)는,
배면(29a);
상기 배면(29a)의 일측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측면(29b);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측면(29b)과 평행하도록 상기 배면(29b)의 타측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측면(29c);
상기 제1 측면(29b)의 끝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단턱부(29d);
상기 제2 측면(29c)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턱부(29d)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직선부(29h);
상기 직선부(29h)의 끝단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곡면부(29e);
상기 제2 측면(29c)의 끝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호형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곡면부(29f);
상기 제1 곡면부(29e) 및 상기 제2 곡면부(29f)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서로 점차 이격되게 기울어져 형성되는 한 쌍의 사선부(29g)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치인설트부(12)가 상기 인설트클립부(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턱부(29d)는 상기 걸림부(123)를 걸림 지지하고,
상기 제1 곡면부(29e) 및 상기 제2 곡면부(29f) 사이에는 상기 빠짐방지부가 수용되는 공간(20d)이 형성되는 것인 다용도 건축 판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2387A KR101538473B1 (ko) | 2015-03-09 | 2015-03-09 | 다용도 건축 판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2387A KR101538473B1 (ko) | 2015-03-09 | 2015-03-09 | 다용도 건축 판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8473B1 true KR101538473B1 (ko) | 2015-07-22 |
KR101538473B9 KR101538473B9 (ko) | 2023-02-21 |
Family
ID=5387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2387A KR101538473B1 (ko) | 2015-03-09 | 2015-03-09 | 다용도 건축 판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847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2385A (ko) * | 2019-12-09 | 2021-06-17 | 주식회사 포스코 | 패널지지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46784A (ja) * | 1996-07-31 | 1998-02-17 | Morimura Kinzoku Kk | 外壁パネル用ジョイナー |
KR101047852B1 (ko) * | 2010-10-26 | 2011-07-08 | 석승호 | Abs수지를 이용한 욕실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161112B1 (ko) * | 2011-09-23 | 2012-06-28 |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 패널조립구조체 |
KR101326756B1 (ko) * | 2012-07-10 | 2013-11-08 | 주신기업(주) |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
-
2015
- 2015-03-09 KR KR1020150032387A patent/KR1015384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46784A (ja) * | 1996-07-31 | 1998-02-17 | Morimura Kinzoku Kk | 外壁パネル用ジョイナー |
KR101047852B1 (ko) * | 2010-10-26 | 2011-07-08 | 석승호 | Abs수지를 이용한 욕실용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161112B1 (ko) * | 2011-09-23 | 2012-06-28 |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 패널조립구조체 |
KR101326756B1 (ko) * | 2012-07-10 | 2013-11-08 | 주신기업(주) |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2385A (ko) * | 2019-12-09 | 2021-06-17 | 주식회사 포스코 | 패널지지장치 |
KR102405036B1 (ko) * | 2019-12-09 | 2022-06-07 | 주식회사 포스코 | 패널지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8473B9 (ko) | 2023-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8473B1 (ko) | 다용도 건축 판넬 | |
US9609964B1 (en) | Positive locking hanging system | |
BR102014003920A2 (pt) | conjunto de acoplamento elástico | |
US8826574B2 (en) | Interchangeable display system | |
KR20230043131A (ko) | 구부러진 유리 시트를 리지드 프레임에 접합하기 위한 플렉시블 중간 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리 물품 | |
US20070169953A1 (en) | Dual action sealing gasket and use thereof in an electrical housing assembly | |
KR20220019014A (ko) | 자동차 인테리어 커버 유리 적용을 위한 캐리어 상의 프레임 | |
EP0615315B1 (en) | Panel-mounted electrical connector | |
WO2017215307A1 (zh) | 洗碗机 | |
CA2612809A1 (en) | Mounting system for ballistic panel | |
PL1722061T3 (pl) | Brama | |
US20100132268A1 (en) | Slat wall assembly | |
CN117938037A (zh) | 一种用于支撑太阳能板的集成系统 | |
IT201800006820A1 (it) | Segmento di curva per trasportatore di articoli | |
KR20200048077A (ko) |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벽 패널 조립체 | |
KR101964553B1 (ko) | 건축 마감용 패널 및 코너 패널 | |
TWM621338U (zh) | 金屬板 | |
CN210520734U (zh) | 一种防断裂式新型门帘夹板 | |
GB2348443A (en) | Panel and glazing support system | |
US20060068108A1 (en) | Mask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 |
CN103774787A (zh) | 一种结构性薄壁冷弯构件 | |
CN2767553Y (zh) | 一种便于安装的锁扣地板 | |
CN207984735U (zh) | 防电镀汽车饰件结构 | |
CN218832345U (zh) | 一种层架及其组合式导板 | |
CN210011653U (zh) | 汽车座椅护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5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