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22048A1 - 휴대폰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22048A1
WO2016122048A1 PCT/KR2015/002600 KR2015002600W WO2016122048A1 WO 2016122048 A1 WO2016122048 A1 WO 2016122048A1 KR 2015002600 W KR2015002600 W KR 2015002600W WO 2016122048 A1 WO2016122048 A1 WO 20161220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holder
opening
assembly memb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26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동희
Original Assignee
(유)유지피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유지피디자인 filed Critical (유)유지피디자인
Publication of WO20161220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220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holder that provides convenience in using a mobile phone.
  • a mobile phone is a convenient means of communication that is essential in modern life, such as carrying a phone call, carrying a text message, and receiving an Internet connection.
  • mobile phones are essential for modern people, so they are easily portable and developed.
  • a mobile phone holder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holder,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a belt or the like which is mostly worn on the waist.
  •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holder may cause interference when using the mobile phone, and also use the mobile phone while holding the mobile phone irrespective of the mobile phone holder, therefore,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holder does not use the mobile phone, Rather than just fixing to the waist there was a problem that gives inconvenience when using the mobile phone.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mobile phone from falling by allowing the mobile phone to be gripped stably when using the mobile phone,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or indoor floor, such as a dashboard of the vehicle It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holder that can stably mount the mobile phone on a non-horizontal surface.
  • Cell phone holder has a rectangular shape, the body portion including a fastening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shape; A support part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and capable of holding or mounting the body part; And it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it may include a pair of attachment sheet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portion.
  •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provided above the first opening,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band; A first assembly memb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and and fixed to a lower end side of the first opening; A second assembly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band and having one sid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And a third assembly member coupled to the second assembly memb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 th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around the first opening
  • the support portion further includes a mounting clip coupled in the receiving groove
  • the mounting clip is the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It is coupled to one side in the receiving groove can be rotated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 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connected to the support, wherein the holder comprises: a fixed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An adhesive sheet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body; And a holder coupl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xed body, configur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 the mobile phone holder since the mobile phone can be used while holding the mobile phone stably, the mobile phone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off the hand, and the mobile phone can be placed on a flat surface,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or the indoor floor. Can be used to mou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the mobile phone on a non-horizontal surface, such as a dashboard of the vehic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hone holder shown in FIG.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nd shown in FIG. 1 is drawn out.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phone is mounted through the mobile phone holder illustrated in FIG. 4.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and the holder portion shown in FIG.
  • FIG.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phone is mounted by connecting the mounting clip and the holder shown in FIG. 6.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hone holder shown in FIG.
  •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ortion 110, a support portion 120, and a pair of attachment sheets 130.
  • the body portion 1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111.
  • the fastening part 111 may b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rectangular shape.
  • the fastening part 111 may include a first opening 111a and a second opening 111b.
  • the first opening 111a and the second opening 111b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110 to have a rectangular shape.
  • the first opening 111a and the second opening 111b may be arranged in a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110.
  • the first opening 111a may be located below the second opening 111b, and the second opening 111b may be located above the first opening 111a.
  • the second opening 111b may be narrower in width than the first opening 111a.
  • the support part 120 may be configured to hold or mount the body part 110.
  • the support 120 may be configured to hold the body 110.
  • the support 120 may include a band 121, the first to third assembly members (122, 123, 124).
  • the band 121 may b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 the width of the band 121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 111a or may have the same width.
  • the band 121 may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opening 111a and the second opening 111b, and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opening 111a and the second opening 111b. It may have the same length.
  • the band 121 is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may be silicon or rubber, and the material of the band 1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first assembly member 122 and the second assembly member 123 allow the band 121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111.
  • the first assembly member 122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and 121 and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first opening 111a.
  •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first opening 111a, and the first assembly member 122 Fasten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 the second assembly member 123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and 121 and one side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11b.
  • the second assembly member 123 may slide along the second opening 111b.
  • the second assembly member 123 may have a sliding protrusion having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11b on one side thereof. 123a may be formed.
  • the third assembly member 124 may be coupled to the sliding protrusion 123a of the second assembly member 123 on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10.
  • the third assembly member 12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10 to slide the second assembly member 123 along the second opening 111b by a user's manipulation.
  • the third assembly member 124 may form a hole 124a on one side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sliding protrusion 123a.
  • the support unit 120 may have a band 121, a first assembly member 122, and a second assembly member 123 in the body 110 except for the third assembly member 124.
  • the body portion 110 may include the first step 112a and the second step. 112b and the cover 113 may be included.
  • the first step 112a and the second step 112b may be formed at the center where the first opening 111a and the second opening 111b are formed.
  • the first step 112a may be lower than the second step 112b.
  • the band 121, the first assembly member 122, and the second assembly member 123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epped portion 112a.
  • Cover 113 may be fixed to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110).
  • the cover 113 may cover the first step 112a and the second step 112b and may prevent the band 121, the first assembly member 122, and the second assembly member 123 from being separated.
  • the cover 113 is a long rectangular plate.
  • the plate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 the cover 113 may b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110 in the form of a sheet.
  • Attachment sheet 130 allows the body portion 110 to be fixed to the body portion 110 on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or mobile phone case. Attachment sheet 130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astening portion (111).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attachment sheet 130.
  •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or mobile phone case. That is, the pair of attachment sheets 130 may be used after being fixed by being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or mobile phone cas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nd shown in FIG. 1 is drawn out.
  • the band 121 of the support 120 is usually built into the body portion 110, when using the mobile phone, the user supports 120 Only if you want to put the finger on the band 121 can be drawn out. That is, when the third assembly member 124 of the support part 120 is pushed toward the first opening 111a, the band 121 to which a finger embedded in the body part 110 can be inserted is the body part 110 as shown in FIG. 3. Can be withdrawn outside of.
  • the band 121 is easily used. Withdraw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10 by inserting the finger into the pulled band 121 can be used while holding the mobile phone stably.
  •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bile phone from slipping off the han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mobile phone. Therefore, the ease of use can be increased.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mobile phone is mounted through the mobile phone holder shown in FIG.
  • the mobile phone holder may include a body portion 210, a support portion 220, and a pair of attachment sheets (not shown).
  • the body portion 210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211 and a receiving groove 214.
  • the fastening part 211 may include a first opening 211a and a second opening 211b. Sinc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astening part 11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receiving groove 214 accommodates the mounting clip 225.
  • the receiving groove 214 may be formed around the first opening 211a of the fastening part 211.
  • the receiving groove 214 may be formed in a U shape.
  • the support part 220 may include a band 221, a first assembly member (not shown), a second assembly member (not shown), a third assembly member 224, and a mounting clip 225. Since the band 221 and the first to third assembly members are the same as the band 121 and the first to third assembly members 122, 123, and 124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mounting clip 225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14.
  • the mounting clip 225 may be formed in a U-shape.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U-shape may be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U-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214.
  • the mounting clip 225 may be rotated in and out of the receiving groove 214 with respect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fastened in the receiving groove 214.
  • pair of attachment sheets is the same as the pair of attachment sheets 1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or mobile phone case. That is, a pair of attachment sheets can be used after being fixed by attaching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or mobile phone case.
  • the mobile phone In the state fixed to the back of the mobile phone or the mobile phone cas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ulling out the band 221, the mobile phone can be stably gripped with the fingers inserted in the band 221.
  • the mounting clip 225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14 and withdrawn from the receiving groove 214 for mounting as shown in FIG.
  • the cell phone can be mounted on a plane by placing the clip 225 on a plane, such as the top of a desk or the floor of an interior.
  •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hile holding the mobile phone stab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bile phone from slipping off the hand, using the mounting clip 225 It can also be mounted on a flat surface. Therefore, the safety and ease of use to prevent the risk of damage in the use of the mobile phone can be increased.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phone holder may include a body portion 310, a support portion 320, a pair of attachment sheets (not shown), and a holder portion 340.
  • the body part 310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311 and a receiving groove 314.
  • the fastening part 311 may include a first opening 311a and a second opening 311b.
  • the fastening part 311 is the same as the fastening part 11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ceiving groove 314 is the accommod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the same as the groove 214,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support part 320 may include a band 321, a first assembly member (not shown), a second assembly member (not shown), a third assembly member 324, and a mounting clip 325.
  • Band 321, the first to the third assembly member is the same as the band 121, the first to third assembly member 122, 123, 124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1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unting clip 325 is the same as the mounting clip 22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pair of attachment sheets is the same as the pair of attachment sheets 1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holder 340 may include a fixing body 341, an adhesive sheet 342, and a holder 343.
  • the fixed body 341 may be attached to a plane, for example, a dashboard of a vehicle, and the like.
  • the fixed body 341 may have a receiving space (not shown) for receiving the holder 343.
  • the holder 343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 the adhesive sheet 342 allows the fixing body 341 to be adhesively fixed to the plane.
  • the adhesive sheet 342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body 341.
  •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adhesive sheet 342.
  • the holder 343 may be coup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xed body 341.
  • the holder 343 may include an insertion body 343a and a hook portion 343b.
  • the insertion body 343a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xed body 341.
  • the insertion body 343a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 the hook portion 343b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343a integrally with the insertion body 343a and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insertion body 343a.
  • the protruding end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310 and the mounting clip 325 of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support pieces 341a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of the fixed body 341.
  • the support pieces 341a may be disposed to face the end of the hook portion 343b. At this time, the protruding end of the hook portion 343b and the support pieces 341a may b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holder 343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xed body 341.
  • the holder 343 may be configured to rotate 45 degrees and 90 degrees clockwise and also rotate 45 degrees and 90 degrees counterclockwise.
  •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nd secures the holder 343 to the holder 343 on a flat and vertical surface, for example, through the adhesive sheet 342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 the mobile phone may be mounted by connecting the unit 310 or the mounting clip 325.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dy part and a holder part illustrated in FIG. 6 are connected
  • FIG.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phone is mounted by connecting a mounting clip and a holder part illustrated in FIG. 6.
  • the hook portion 343b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311a of the fastening portion 311, and then the end of the hook portion 343b.
  • the body part 310 may be fastened to the hook part 343b.
  • the mobile phone may be mount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by the holder 343.
  • the mobile phone 10 and the mounting clip 325 may b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lower end of the mobile phone 10 may be supported by the dashboard. As a result, the mobile phone may be mount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by the holder 343.
  •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mobile phone can be used while being stably held, thereby preventing the mobile phone from slipping off the hand and using the mounting clip 325. It can also be mounted on a flat surface. As a result, safety and convenience of using the mobile phone can be increased to prevent the risk of damage. You can also mount your phone on a non-horizontal surface, such as a car dashboar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further convenience in using the mobile phone.
  •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210, 310 of the embodiments may be a coating layer.
  •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gainst external impact or external environment.
  •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 polypropylene random block copolymer composed of 75 to 95% by weight of ethylene-propylene-alpha olefin random copolymer and 5 to 25% by weight of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having an ethylene content of 20 to 50% by weight. It may include.
  • the polypropylene random block copolymer is preferably 75 to 95% by weight of the above-mentioned ethylene-propylene-alpha olefin random copolymer and 5 to 25% by weight of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ethylene-propylene-alpha olefin random copolymer Is less than 75% by weight, the rigidity is lowered, when it exceeds 95% by weight, impact resistance is lowered, when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is less than 5% by weight, impact resistance is lowered, when it exceeds 25% by weight, the rigidity is lowered do.
  • the ethylene-propylene-alpha olefin random copolymer comprises 0.5 to 7% by weight of ethylene and 1 to 15% by weight of alpha olefin having 4 to 5 carbon atoms, and maintains mechanical rigidity and heat resistance of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whitening resistance Play an effective role in maintaining
  • the ethylene content is preferably 0.5 to 5%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3% by weight, and less than 0.5% by weight of whitening resistance is lowered, when it exceeds 7% by weight the crystallinity and rigidity of the resin Degrades.
  • the alpha olefin means any alpha olefin except ethylene and propylene, preferably butene.
  • the above-mentioned alpha olefin has less than 4 or more than 5 carbon atoms, it is difficult to prepare a copolymer due to low reactivity with a comonomer when preparing a random copolymer.
  • it includes 1 to 15% by weight of the above-mentioned alpha olefin,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3 to 9% by weight. If the alpha olefin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degree of crystallinity is higher than necessary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and if the alpha olefin is more than 15% by weight, the degree of crystallinity and rigidity is lowered and heat resistance is significantly lowered.
  •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contains 20 to 50% by weight of ethylene, and imparts impact resistance to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enables fine dispersion to serve to simultaneously provide whitening resistance and transparency.
  • the ethylene content may be preferably 20 to 40% by weight, and less than 20% by weight may lower the impact resistance, while more than 50% by weight may reduce the impact resistance and the whitening resistance.
  • antiwear coating layers may be formed on the mounting clips 225 and 325 of the above embodiments.
  • the anti-wear coating layer is made of a mixture of 96 to 98% by weight of chromium oxide (Cr 2 O 3 ) and 2 to 4% by weight of titanium dioxide (TiO 2 ) to be spr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clips 225 and 325. It is made of a thickness of 50 ⁇ 600 ⁇ m, the hardness is plasma coated to maintain 900 ⁇ 1000HV.
  • This anti-wear coating layer is formed by spraying a powder obtained by mixing 96 to 98% by weight of chromium oxide (Cr 2 O 3 ) and 2 to 4% by weight of titanium dioxide (TiO 2 ).
  • Ceramic coatings are more resistant to corrosion, scratch, abrasion, impact and durability than chromium or nickel chromium plating.
  • Chromium oxide (Cr 2 O 3 ) serves to prevent rust by acting as a passivity layer that blocks oxygen invading into the metal.
  • Titanium dioxide (TiO 2 ) is very stable physicochemically and has a high hiding power, thus becoming a white pigment.
  • the refractive index is high, it is widely used in high refractive index ceramics. It has photocatalytic and superhydrophilic properties. Titanium dioxide (TiO 2 ), air purification, antibacterial, harmful substance decomposition,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discoloration prevention function. Titanium dioxide (TiO 2 ), the anti-wear coating layer to be surely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clips (225, 325), and decomposes and removes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anti-wear coating layer to prevent damage to the anti-wear coating layer. .
  • chromium oxide (Cr 2 O 3 ) and titanium dioxide (TiO 2 ) are mixed and used, the mixing ratio thereof is titanium oxide (TiO 2 ) 2 in 96 to 98% by weight of chromium oxide (Cr 2 O 3 ). It is preferable that -4 weight% is mixed.
  • titanium dioxide (TiO 2 ) When the mixing ratio of titanium dioxide (TiO 2 ) is less than 2 to 4% by weight, the effect of titanium dioxide (TiO 2 ) was so small that the purpose of mixing it with chromium oxide (Cr 2 O 3 ) is faded. That is, titanium dioxide (TiO 2 ) is decomposed and remove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clip (225, 325) to prevent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clip (225, 325) to corrode or damage, the mixing ratio If less than 2 to 4%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ng time to decompose the adhered foreign matter.
  • the coating layer made of these materials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clip (225, 325) with a thickness of 50 ⁇ 600 ⁇ m, the plasma coating to maintain the hardness of 900 ⁇ 1000HV, surface roughness 0.1 ⁇ 0.3 ⁇ m.
  • the antiwear coating layer is sprayed at 50 to 600 ⁇ ⁇ by jetting the powdered powder and the gas at 1,400 ° C onto the outer surfaces of the mounting clips 225 and 325 at a speed of about 2 Mach.
  • the thickness of the anti-wear coating layer is less than 50 ⁇ m, the effect of the above-described ceramic coating layer is not guaranteed.
  • the thickness of the anti-wear coating layer exceeds 600 ⁇ m,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insignificant, but due to excessive ceramic coat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rk time and material costs are wasted.
  •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clip (225, 325) is raised while the anti-wear coating layer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ing clip (225, 325), the deforma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ed mounting clip (225, 325) is prevented
  • the outer surfaces of the mounting clips 225 and 325 are cooled by a cooling device (not shown) so as to maintain a temperature of 150 to 200 ° C.
  • the sealing material made of chromic anhydride (CrO 3 ) made of a metallic glass quartz system may be further coated around the wear protection coating layer. Chromic anhydride is applied around the coating layer made of chromium nickel powder as the inorganic sealing material.
  • Chromic anhydride (CrO 3 ) is used in places requiring high wear resistance, lubricity, heat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and releasability, and does not discolor in the air, has great durability, and has good wear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 the coating thickness of a sealing material about 0.3-0.5 micrometer is preferable. When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is less than 0.3 ⁇ m, the sealing material is easily peeled off and peeled even in a slight scratch groove, so that the above-described effects cannot be obtained. If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is thick enough to exceed 0.5 ⁇ m, there are many pin holes, cracks, etc. in the plating surface. Therefore,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is preferably about 0.3 to 0.5 ⁇ m.
  • attachment sheet 225 mounting clip
  • holder portion 341 fixed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폰 홀더가 개시된다. 휴대폰 홀더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파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뒷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의 양쪽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부착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 홀더
본 발명은 휴대폰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사용함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는 휴대폰 홀더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휴대하고 다니면서 전화통화하거나, 문자 등의 송ㆍ수신과 인터넷 접속 등 현대인의 생활에서 필수적인 편리한 통신수단이다. 이와 같이 휴대폰은 현대인에게 필수적이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고 편리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휴대폰을 별도의 보관수단 없이 휴대하는 경우, 활동 중에 휴대폰을 떨어뜨려 충격에 의해 흡집이 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휴대폰이 이처럼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각종 휴대폰용 케이스 및 휴대폰 홀더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휴대폰용 케이스의 경우 휴대폰을 수납하여 휴대하면 휴대폰용 케이스에 의해 휴대폰의 부피가 커져서 주머니에 휴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불편이 있다.
휴대폰 홀더의 경우 종래 대부분이 허리에 착용하고 있는 혁대 등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폰 홀더는 휴대폰을 사용할 때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폰 홀더와 무관하게 휴대폰을 파지한 채로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며, 따라서 종래의 휴대폰 홀더는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휴대폰을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하는 기능만 할 뿐 오히려 휴대폰의 사용시 불편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4-0005844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폰의 사용시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폰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폰을 책상의 상면 또는 실내 바닥면 등에 거치시킬 수 있고, 차량의 대시보드와 같은 수평이 아닌 면에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고 상기 몸체부를 파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뒷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의 양쪽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부착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체결부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의 상측에 마련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밴드; 상기 밴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의 하단측에 고정되는 제1 조립부재; 상기 밴드의 상단에 결합되어 일측이 상기 제2 개구에 삽입되는 제2 조립부재; 및 상기 제2 조립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3 조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개구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홈 내에 결합된 거치용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용 클립은 상단부의 양측이 상기 수용홈 내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수용홈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홀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홀더부는, 수용공간을 갖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배면에 부착된 접착시트; 및 상기 고정몸체의 수용공간 내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홀더에 의하면,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이 손에서 미끄러져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폰을 평면, 예를 들면, 책상의 상면 또는 실내 바닥면 상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차량의 대시보드와 같은 수평이 아닌 면 상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밴드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폰 홀더를 통해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몸체부 및 홀더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거치용 클립 및 홀더부가 연결되어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몸체부(110), 지지부(120), 한 쌍의 부착시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체결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11)는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부(111)는 제1 개구(111a) 및 제2 개구(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111a) 및 제2 개구(111b)는 몸체부(110)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111a) 및 제2 개구(111b)는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개구(111a)는 제2 개구(111b)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개구(111b)는 제1 개구(111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개구(111b)는 제1 개구(111a)보다 폭이 좁을 수 있다.
지지부(120)는 몸체부(110)를 파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20)는 몸체부(1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20)는 밴드(121), 제1 내지 제3 조립부재(122, 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121)는 제1 개구(111a)의 외측으로 인출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밴드(121)는 얇은 시트 형태일 수 있다. 밴드(121)의 폭은 제1 개구(111a)의 폭보다 작을 수도 있고, 동일한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밴드(121)는 제1 개구(111a) 및 제2 개구(111b)가 갖는 길이의 합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제1 개구(111a) 및 제2 개구(111b)가 갖는 길이의 합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밴드(121)는 플렉시블한 소재로써, 예를 들면, 실리콘 또는 고무일 수 있으며, 밴드(121)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조립부재(122) 및 제2 조립부재(123)는 밴드(121)가 체결부(111)에 체결되도록 한다. 제1 조립부재(122)는 밴드(121)의 하단에 결합되고, 제1 개구(111a)의 하단측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조립부재(122)가 제1 개구(111a)의 하단측에 체결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제1 개구(111a)의 하단측에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제1 조립부재(122)의 일면에 체결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조립부재(123)는 밴드(121)의 상단에 결합되고, 일측이 제2 개구(111b)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조립부재(123)는 제2 개구(111b)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 조립부재(123)가 제2 개구(111b)를 따라 슬라이딩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제2 조립부재(123)는 일측면에 제2 개구(111b)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슬라이딩 돌기(12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조립부재(124)는 몸체부(110)의 외측에서 제2 조립부재(123)의 슬라이딩 돌기(123a)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조립부재(124)는 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조립부재(123)를 제2 개구(111b)를 따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제3 조립부재(124)는 슬라이딩 돌기(123a)와 결합되기 위하여, 일측면에 구멍(124a)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제3 조립부재(124)를 제외하고는 밴드(121), 제1 조립부재(122), 제2 조립부재(123)가 몸체부(110)에 내장될 수 있다. 일례로, 밴드(121), 제1 조립부재(122) 및 제2 조립부재(123)가 몸체부(110)에 내장되기 위하여, 몸체부(110)는 제1 단턱(112a) 및 제2 단턱(112b), 덮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턱(112a) 및 제2 단턱(112b)은 제1 개구(111a) 및 제2 개구(111b)가 형성된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턱(112a)은 제2 단턱(112b)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턱(112a)의 내측으로는 밴드(121), 제1 조립부재(122) 및 제2 조립부재(123)가 수용될 수 있다.
덮개(113)는 몸체부(110)의 뒷면에 고정될 수 있다. 덮개(113)는 제1 단턱(112a) 및 제2 단턱(112b)을 커버하고, 밴드(121), 제1 조립부재(122) 및 제2 조립부재(12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덮개(113)는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플레이트이다. 플레이트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덮개(113)는 시트 형태로 몸체부(110)의 뒷면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시트(130)는 몸체부(110)가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뒷면에 몸체부(1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부착시트(130)는 몸체부(110)의 뒷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111)의 양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시트(130)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부착시트(130)를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하여 고정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밴드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과 같이 휴대폰(10)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120)의 밴드(121)는 평상시 몸체부(110)에 내장되어 있고, 휴대폰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지지부(120)의 밴드(121)에 손가락을 끼우고자 할 경우에만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지지부(120)의 제3 조립부재(124)를 제1 개구(111a)측으로 밀면 몸체부(110) 내에 내장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밴드(121)가 도 3과 같이 몸체부(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요시에만 지지부(120)를 외부로 인출하므로 평상시에 휴대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지부(120)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고, 필요시에는 간편하게 밴드(121)를 몸체부(110)의 외부로 인출하여 손가락을 인출된 밴드(121)에 끼워서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이용하면 휴대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휴대폰이 손에서 미끄러져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폰 홀더를 통해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몸체부(210), 지지부(220), 한 쌍의 부착시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체결부(211) 및 수용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11)는 제1 개구(211a) 및 제2 개구(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체결부(111)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용홈(214)은 거치용 클립(225)을 수용한다. 수용홈(214)은 체결부(211)의 제1 개구(211a)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홈(214)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0)는 밴드(221), 제1 조립부재(미도시), 제2 조립부재(미도시) 및 제3 조립부재(224), 거치용 클립(225)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221), 제1 내지 제3 조립부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밴드(121), 제1 내지 제3 조립부재(122, 123, 124)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거치용 클립(225)은 수용홈(214) 내에 수용된다. 일 예로, 거치용 클립(225)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U자 형상의 상단부의 양측은 수용홈(214)의 U자 형상의 양측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용 클립(225)은 수용홈(214) 내에 체결된 상단부의 양측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214)의 내외로 회전될 수 있다.
한 쌍의 부착시트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한 쌍의 부착시트(13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부착시트를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하여 고정한 후 사용할 수 있다.
휴대폰 또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밴드(221)를 인출한 후 밴드(221)에 손가락을 끼운 채로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추가적인 기능으로서, 거치용 클립(225)을 수용홈(214)의 외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서 수용홈(214)으로부터 인출한 후 도 5와 같이 거치용 클립(225)을 평면, 예를 들면, 책상의 상면 또는 실내 바닥면 등에 놓이도록 하여 휴대폰을 평면 상에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이용하면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이 손에서 미끄러져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거치용 클립(225)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평면 상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휴대폰 사용에 있어서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는 안전성 및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몸체부(310), 지지부(320), 한 쌍의 부착시트(미도시) 및 홀더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체결부(311) 및 수용홈(314)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11)는 제1 개구(311a) 및 제2 개구(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1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체결부(111)와 동일하고, 수용홈(31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용홈(214)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부(320)는 밴드(321), 제1 조립부재(미도시), 제2 조립부재(미도시) 및 제3 조립부재(324), 거치용 클립(325)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321), 제1 내지 제3 조립부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밴드(121), 제1 내지 제3 조립부재(122, 123, 124)와 동일하고, 거치용 클립(32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거치용 클립(225)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 쌍의 부착시트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한 쌍의 부착시트(13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홀더부(340)는 고정몸체(341), 접착시트(342) 및 홀더(3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몸체(341)는 평면, 예를 들면,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몸체(341)는 홀더(343)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홀더(343)는 수용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접착시트(342)는 고정몸체(341)가 평면에 접착 고정되도록 한다. 접착시트(342)는 고정몸체(341)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시트(342)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홀더(343)는 고정몸체(341)의 수용공간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홀더(343)는 삽입몸체(343a) 및 걸이부(343b)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몸체(343a)는 고정몸체(341)의 수용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몸체(343a)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걸이부(343b)는 삽입몸체(343a)와 일체로 삽입몸체(343a)의 상면에 위치하고 끝단부가 삽입몸체(343a)의 가장자리보다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돌출된 끝단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홀더의 몸체부(310) 및 거치용 클립(325)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부(343b)가 형성되는 경우, 고정몸체(341)의 원통의 외면에는 지지편들(341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들(341a)은 걸이부(343b)의 끝단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걸이부(343b)의 돌출된 끝단부와 지지편들(341a)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홀더(343)는 고정몸체(341)의 수용공간 내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343)는 시계방향으로 45도 및 90도로 회전하고,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45도 및 90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343)의 회전을 위한 구성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면, 삽입몸체(343a)의 외면에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45도 및 90도 간격으로 홈을 형성하고, 고정몸체(341)의 수용공간의 내면에 상기 홈에 체결 가능한 돌기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45도 및 90도 간격으로 형성하여, 홈 및 돌기가 간헐적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는 홀더(343)를 평면 및 수직면, 예를 들면, 차량의 대시보드 상에 접착시트(342)를 통해 부착하여 고정하고, 홀더(343)에 몸체부(310) 또는 거치용 클립(325)을 연결하여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몸체부 및 홀더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거치용 클립 및 홀더부가 연결되어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몸체부(310)를 홀더(343)에 연결하는 경우, 걸이부(343b)를 체결부(311)의 제1 개구(311a)로 삽입한 후 걸이부(343b)의 끝단부를 제1 개구(311a)의 위, 즉 제2 개구(311b)를 향해 완전히 삽입하면 몸체부(310)는 걸이부(343b)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폰은 홀더(343)에 의해 차량의 대시보드에 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거치용 클립(325)을 홀더(343)에 연결하는 경우, 거치용 클립(325)을 수용홈(314) 내에서 인출한 후 인출된 거치용 클립(325)의 하단부를 걸이부(343b)에 끼우면 휴대폰(10)과 거치용 클립(325)은 소정의 각도를 이룬 상태가 되고 휴대폰(10)의 하단부는 대시보드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폰은 홀더(343)에 의해 차량의 대시보드에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홀더를 이용하면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한 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이 손에서 미끄러져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거치용 클립(325)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평면 상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휴대폰 사용에 있어서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는 안전성 및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대시보드와 같은 수평이 아닌 면 상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의 사용에 있어서 더욱 증대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의 몸체부(110, 210, 310)의 외면은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75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0.5~7중량% 및 탄소수가 4~5인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유지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내백화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일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이면 내백화성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임의의 알파올레핀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텐이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은 탄소수가 4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시, 코모노머와의 반응성이 낮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50중량%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내백화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의 거치용 클립(225, 325)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거치용 클립(225, 325) 외면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마모방지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이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거치용 클립(225, 325)의 외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10, 210, 310 : 몸체부 111, 211, 311 : 체결부
120, 220, 320 : 지지부 121, 221, 321 : 밴드
130 : 부착시트 225 : 거치용 클립
340 : 홀더부 341 : 고정몸체
342 : 접착시트 343 : 홀더
343a : 삽입몸체 343b : 걸이부

Claims (5)

  1.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부(111, 211, 311)를 포함하는 몸체부(110, 210, 310);
    상기 체결부(111, 211, 311)에 체결되고 상기 몸체부(110, 210, 310)를 파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지지부(120, 220, 320); 및
    상기 몸체부(110, 210, 310)의 뒷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111, 211, 311)의 양쪽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부착시트(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11, 211, 311)는 제1 개구(111a, 211a, 311a) 및 상기 제1 개구(111a, 211a, 311a)의 상측에 마련된 제2 개구(111b, 211b, 311b)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20, 220, 320)는
    밴드(121, 221, 321);
    상기 밴드(1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111a)의 하단측에 고정되는 제1 조립부재(122);
    상기 밴드(1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일측이 상기 제2 개구(111b)에 삽입되는 제2 조립부재(123); 및
    상기 제2 조립부재(123)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3 조립부재(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제1 개구(211a)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2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수용홈(214) 내에 결합된 거치용 클립(2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용 클립(225)은 상단부의 양측이 상기 수용홈(214) 내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수용홈(214)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20)와 연결되는 홀더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340)는,
    수용공간을 갖는 고정몸체(341);
    상기 고정몸체(341)의 배면에 부착된 접착시트(342); 및
    상기 고정몸체(341)의 수용공간 내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320)와 연결되는 홀더(3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홀더.
PCT/KR2015/002600 2015-01-27 2015-03-18 휴대폰 홀더 WO201612204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771A KR101616697B1 (ko) 2015-01-27 2015-01-27 휴대폰 홀더
KR10-2015-0012771 2015-0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2048A1 true WO2016122048A1 (ko) 2016-08-04

Family

ID=5591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2600 WO2016122048A1 (ko) 2015-01-27 2015-03-18 휴대폰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6697B1 (ko)
WO (1) WO20161220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5500A (zh) * 2018-10-18 2020-11-27 宋宝庆 与便携式电子设备一起使用的手持装置及使用方法
EP3691232A4 (en) * 2017-09-26 2021-06-16 Momostick Co., Ltd. FINGERGRIP FOR AN INTELLIGEN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19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푸시
KR101705820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홀더
KR101987581B1 (ko) * 2018-03-05 2019-06-10 이기만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25187B1 (ko) * 2019-05-09 2019-09-25 여창기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US11452365B2 (en) 2019-11-22 2022-09-27 Shawshank Ledz Inc. Grip device to enable a number of operations associat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attachment theret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520A (ko) * 2007-02-16 2008-08-20 데이비드 학모 리 휴대폰용 배터리 및 그 배터리를 구비한 휴대폰
US20120025039A1 (en) * 2010-07-28 2012-02-02 Segal Stanley H Cell Phone Holder and Stand
KR101191867B1 (ko) * 2012-07-04 2012-10-16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 케이스
KR20130117212A (ko) * 2012-04-18 2013-10-25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KR20140123837A (ko) * 2013-04-15 2014-10-23 백광현 스마트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844U (ko) 2013-05-08 2014-11-19 이건영 탈부착이 용이한 휴대용품 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520A (ko) * 2007-02-16 2008-08-20 데이비드 학모 리 휴대폰용 배터리 및 그 배터리를 구비한 휴대폰
US20120025039A1 (en) * 2010-07-28 2012-02-02 Segal Stanley H Cell Phone Holder and Stand
KR20130117212A (ko) * 2012-04-18 2013-10-25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KR101191867B1 (ko) * 2012-07-04 2012-10-16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 케이스
KR20140123837A (ko) * 2013-04-15 2014-10-23 백광현 스마트폰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1232A4 (en) * 2017-09-26 2021-06-16 Momostick Co., Ltd. FINGERGRIP FOR AN INTELLIGENT DEVICE
CN112005500A (zh) * 2018-10-18 2020-11-27 宋宝庆 与便携式电子设备一起使用的手持装置及使用方法
EP3759826A4 (en) * 2018-10-18 2021-12-08 Sung, Po Ching HOLDING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7434279B2 (ja) 2018-10-18 2024-02-20 チン ソン,ポー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と一緒に使用するための保持装置及び保持装置を使用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697B1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22048A1 (ko) 휴대폰 홀더
WO2019066243A1 (ko) 스마트 단말기용 핑거 그립
WO2019103321A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US20080311369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ES2010233A6 (es) Revestimientos ceramicos, metodo para su produccion y dispositivos electronicos asi revestidos. .
ES2010234A6 (es) Revestimientos ceramicos,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on y dispositivos electronicos asi revestidos.
CA2164085A1 (en) Knife with Detachable Support
AU2002240137A1 (en) Antiviral activities of primate theta defensins and mammalian cathelicidins
AU3288993A (en) Coated ceramic article
SG146417A1 (en) Coating transfer device
WO2019013457A1 (ko) 사용자 맞춤형 손 보조기
DE59406576D1 (de) Thermisches auftragsverfahren für hydrophile schichten auf hydrophoben substraten und verwendung so beschichteter substrate als trägerkörper für offsetdruckplatten
WO2015093881A1 (ko) 배터리 교체 도어가 부착된 배터리커버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WO2016032214A1 (ko) 냉장고 케이스의 공용 발포 금형
CA2236156A1 (en) Article having a coating
WO2022154151A1 (ko) 친환경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WO2014003495A1 (ko) 휴대폰 화면보호필름 구조체
WO2019107744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BR9509007A (pt) Artigo refratário de carboneto de silicio ligado por reação e cara básica e processo para produzir o artigo
WO2011145782A1 (ko) 편면 용융도금강판의 제조방법
GB2344820A (en) Chemical vapour deposition precursors
WO2011162468A2 (ko) 이동전화기 배터리 커버의 보호 장치
WO2018084378A1 (ko) 스탬핑네일아트용 기구
WO2020032360A1 (ko) 버튼 분리형 팩트
WO2023287268A1 (ko) 자석 밴드를 활용하여 휴대폰을 자유롭게 파지하고 거치할 수 있는 휴대폰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802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802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