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396Y1 -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396Y1
KR200464396Y1 KR2020100007141U KR20100007141U KR200464396Y1 KR 200464396 Y1 KR200464396 Y1 KR 200464396Y1 KR 2020100007141 U KR2020100007141 U KR 2020100007141U KR 20100007141 U KR20100007141 U KR 20100007141U KR 200464396 Y1 KR200464396 Y1 KR 200464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handle
holder
communication terminal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350U (ko
Inventor
허우영
Original Assignee
허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우영 filed Critical 허우영
Priority to KR2020100007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39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3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3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자 정면의 핸들측에 스마트폰 등과 같은 외부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스마트폰 등과 같인 외부기기가 운전자의 정면인 핸들측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고개를 돌리지 않고 외부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외부기기 거치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운전자가 외부기기를 봄으로 인해 운전시야를 놓치는 일없이 안전운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는 한편, 핸들의 회전축을 커버하고 있는 핸들 하우징상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거치대를 조립하는 새로운 형태의 거치대 고정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차량 주행 중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거치대의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결국 외부기기의 안정적인 사용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Exterior device holder for handle}
본 고안은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 정면의 핸들측에 스마트폰 등과 같은 외부기기를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여러 가지 외부기기들이 개발되어 장소에 구애 없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외부기기에는 CD 플레이어나 MP3 플레이어와 같은 음향기기를 비롯하여 휴대전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와 같은 외부기기들은 특히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들에게 많은 정보와 오락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부기기들은 이동하는 차량에 설치되는 특성상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내부에 외부기기들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가 대량으로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대부분의 차량용 거치대는 운전석 전방의 대시보드에 나사체결 구조 등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하단의 흡착판을 이용하여 차량의 앞유리 안쪽면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고, 그 종류 또한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는 운전자의 전면시야로부터 한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대부분 설치되는 관계로 운전 중 거치대상의 외부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충분히 확인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고, 특히 운전자가 내용 확인을 위해서는 거치대에 있는 외부기기쪽으로 어느 정도 고개를 돌려야 하므로, 이때 운전시야를 놓칠 수 있는 등 안전운전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는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하는 형태의 경우,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여 기기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고, 특히 차량 추돌이나 충돌 등의 사고시 충격에 의해 떨어져 나가면서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상해의 위협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용 거치대를 차량의 대시보드에 설치하는 형태의 경우, 설치시 나사 체결로 인해 대시보드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단점이 있고, 또 대시보드에 설치되어 있는 거치대상에 외부기기를 설치하게 되면, 이때의 외부기기로 인해 운전자의 전방 또는 측면 시야를 가리는 경우가 종종 생겨 운전 중 사고의 위험마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등과 같인 외부기기가 운전자의 정면인 핸들측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고개를 돌리지 않고 외부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외부기기 거치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운전자가 외부기기를 봄으로 인해 운전시야를 놓치는 일없이 안전운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는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핸들의 회전축을 커버하고 있는 핸들 하우징상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거치대를 조립하는 새로운 형태의 거치대 고정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차량 주행 중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거치대의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결국 외부기기의 안정적인 사용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는 전면에는 외부기기의 장착을 위한 기기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핸들의 바로 뒷쪽에 위치되는 단말기 홀더와, 상기 단말기 홀더의 후면에 결합되며 한쪽 측면에는 커넥터의 연결을 위한 인렛 접속구 및 아울렛 접속구가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후면에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통신단자와, 상기 통신단자에 있는 연결부와 연결되는 상단의 지지부를 갖고 있으며 핸들의 회전축을 커버하고 있는 핸들 하우징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하단의 체결구조에 의해 핸들 하우징상에 고정되는 홀더 브라켓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기기가 운전자 정면의 핸들측에 위치되어 운전자가 운전 중에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외부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해주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단자 및 단말기 홀더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전체의 상하 각도를 운전자의 체형이나 앉는 자세, 핸들의 각도 등에 맞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신단자의 연결부와 홀더 브라켓의 지지부를 요철결합시킨 상태에서 결합부위에 수평으로 관통하는 핀을 체결하여, 이때의 핀 체결부위를 중심으로 통신단자 및 단말기 홀더를 포함하는 외부기기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운전자의 전면시야 바로 아래쪽에서 외부기기를 볼 수 있으므로, 운전 중 외부기기를 보기 위해 고개를 돌릴 필요가 전혀 없고,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시야를 놓치는 일없이 외부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용이하게 볼 수 있으며, 결국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외부기기 및 단말기 홀더 전체를 지지하는 홀더 브라켓이 핸들의 회전축을 커버하고 있는 핸들 하우징상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므로서, 차량 주행 중 진동이 가해지거나 차량 사고시의 충격에도 외부기기를 포함하는 거치대 전체의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외부기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의 안전 또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외부기기가 거치되어 있는 단말기 홀더의 상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체형이나 앉는 자세, 핸들의 각도 등에 맞게 외부기기의 설치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결국 외부기기 사용과 관련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의 전면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의 후면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의 전면과 후면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는 핸들(12)의 바로 뒷쪽에 설치되어, 이곳에 거치되는 스마트폰,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휴대전화, DMB, PM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기기(10)를 운전자가 전방의 운전시야를 놓치는 일없이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외부기기(10)가 핸들(12)의 바로 뒷쪽에 거치됨에 따라 운전자가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외부기기(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운전 중에도 운전자가 운전시야를 확보한 상태에서 외부기기(10)를 볼 수 있고, 결국 안전운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 등과 같은 외부기기(10)를 장착할 수 있는 대략 사각형의 단말기 홀더(13)가 마련되고, 이 단말기 홀더(13)의 전면에는 외부기기(10)를전면에서 끼우거나 빼낼 수 있도록 외부기기(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끼움 고정되는 기기 안착홈(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기 안착홈(11)은 상부 일측과 측면 일측이 각각 터져 있는 형태로서, 상부의 터진 부분은 사용자가 외부기기(10)를 빼낼 때 손가락 등을 넣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측면의 터진 부분은 외부기기(10)에 커넥터(14c)를 꽂을 때 커넥터(14c)를 진입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 홀더(13)는 핸들(12)의 바로 뒷쪽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단말기 홀더(12)에 장착되는 외부기기(10)를 핸들(12)의 스포크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을 통해 운전자가 볼 수 있게 되며, 이때의 단말기 홀더(13)는 후술하는 홀더 브라켓(22)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외부기기(10)측과의 통신 및 전원 제공을 위한 수단으로 통신단자(18)가 마련되고, 이때의 통신단자(18)는 단말기 홀더(13)의 후면에 일체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통신단자(18)의 한쪽 측면에는 위아래에 각각 인렛 접속구(15)와 아울렛 접속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쪽의 인렛 접속구(15)로는 전원공급용 어댑터(27)에 있는 커넥터(14b)가 꽂혀지게 되고, 윗쪽의 아울렛 접속구(16)로는 통신용 케이블(26)의 커넥터(14a)가 꽂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용 케이블(26)에 있는 다른 하나의 커넥터(14c)는 단말기 홀더(13)에 장착되어 있는 외부기기(10)의 접속구에 꽂혀지게 되고, 상기 전원공급용 어댑터(27)는 차량의 시거잭 등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용 케이블(16)에 있는 양단의 커넥터(14a,14c)에 의해 외부기기(10)와 통신단자(18)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 차량용 시거잭 등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공급용 어댑터(27)의 커넥터(14b)가 통신단자(18)에 연결되므로서, 차량측 전원이 제공되고 또 통신단자가 작동되면서 외부기기(10)가 가동되어 운전자가 외부기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단자(18)의 후면에는 요입형의 홈부를 갖는 연결부(17)가 형성되고, 이때의 연결부(17)는 후술하는 홀더 브라켓(22)에 있는 지지부(19)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일체식의 단말기 홀더(13)와 통신단자(18)는 연결부(17)와 지지부(19) 간의 요철식 연결구조에 의해 홀더 브라켓(22)측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통신단자(18)의 연결부(17)와 홀더 브라켓(22)의 지지부(19)는 힌지구조로 결합되고, 이때의 힌지구조에 의해 통신단자(18) 및 단말기 홀더(13)를 포함하는 외부기기(10) 전체가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기기(10)의 상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요입형의 연결부(17) 내에 지지부(17)가 끼워지게 되고, 이렇게 연결부(17)와 지지부(17)가 중첩된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때의 결합부위에 핀(23)이 수평으로 관통하면서 체결되므로서, 상기 통신단자(18)는 연결부(17)에 체결되어 있는 핀(23)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외부기기(10)의 화면 방향을 운전자가 보기 편한 각도에 맞춰 알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의 연결부와 지지부 간의 핀 체결부위를 약간 뻑뻑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핀 체결방식 대신에 볼트를 체결하고 이때의 볼트를 풀고 조이는 것에 의해 조절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단말기 홀더(13) 및 통신단자(18) 전체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홀더 브라켓(22)이 마련된다.
상기 홀더 브라켓(22)은 핸들(12)의 회전축(20) 외부를 감싸도록 커버하면서 핸들(12)의 회전시에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핸들 하우징(21)상에 설치되어, 외부기기(10)가 장착되어 있는 단말기 홀더(13) 및 통신단자(18) 전체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홀더 브라켓(22)은 아래쪽이 개방되어 있는 원형의 링 모양으로 이루어진 몸체를 갖고 있으며, 링 모양의 몸체 상단에는 통신단자(18)의 연결부(17)와 핀 체결 구조 등으로 연결되는 지지부(19)가 형성되고, 몸체 하단의 개방부위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체결편(24a,24b)이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 브라켓(22)은 원형의 링 부분을 이용하여 핸들 하우징(21)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하우징측에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개방부위의 양측 체결편(24a,24b)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꽉 조여지면서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홀더 브라켓(22)은 다양한 규격을 갖는 핸들 하우징(21)에 적극 적용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즉, 상기 홀더 브라켓(22)는 양쪽의 체결편(24a,24b) 사이에 개재되어 볼트 체결시 함께 체결되는 스페이서(2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핸들 하우징(21)의 규격, 예를 들면 핸들 하우징(21)의 직경 크기에 따라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스페이서없이 또는 두께가 얇은 스페이서를 사용하거나, 직경이 큰 경우에는 두께가 두꺼운 스페이서를 사용함으로써, 핸들 하우징(21)의 규격에 맞게 홀더 브라켓(22)의 링 모양 몸체를 적절히 좁히거나 벌리면서 설치할 수 있고, 결국 다양한 핸들 하우징에, 즉 다양한 차종에 외부기기 거치대를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2)의 바로 뒷쪽 핸들 하우징(21)상에 단말기 홀더(13) 및 통신단자(18)와 홀더 브라켓(22)으로 이루어진 외부기기 거치대(100)를 설치하고, 이 외부기기 거치대(100)의 단말기 본체(13)에 스마트폰 등과 같은 외부기기(10)를 거치한 다음, 통신용 케이블(26)의 양쪽 커넥터(14a,14c)를 외부기기(10)의 접속구와 통신단자(18)의 아울렛 접속구(16)를 연결한다.
그리고, 전원 공급을 위하여 전원공급용 어댑터(27)를 차실내의 시거잭 등에 연결한 후에 다른 한쪽의 커넥터(14a)를 통신단자(18)의 인렛 접속구(16)에 연결하면, 외부기기 ON 조작과 함께 외부기기를 운전자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부기기(10)가 핸들(12)의 바로 뒷쪽에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외부기기(10)를 보기 위해서 종전과 같이 고개를 옆으로 돌리지 않아도 되므로, 다시 말해 전방을 주시하고 있다가 눈만 약간 아래로 내리면 외부기기(10)의 화면을 충분히 볼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운전시야를 놓치는 일없이 안전하게 외부기기(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운전 중 외부기기를 사용하면서도 안전운전에 만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기기(10)를 포함하는 단말기 홀더(13) 및 통신단자(18) 전체가 핸들 하우징(21)상에 고정되어 있는 홀더 브라켓(22)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 상태이므로, 차량 주행시의 진동에 의한 영향이나 충격에 의한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외부기기(11) 및 외부기기 거치대(100)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스크류 체결 등과 같은 설치방식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어 차실내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10 : 외부기기 11 : 기기 안착홈
12 : 핸들 13 : 단말기 홀더
14a,14b,14c : 커넥터 15 : 인렛 접속구
16 : 아울렛 접속구 17 : 연결부
18 : 통신단자 19 : 지지부
20 : 회전축 21 : 핸들 하우징
22 : 홀더 브라켓 23 : 핀
24a,24b : 체결편 25 : 스페이서
26 : 통신용 케이블 27 : 전원공급용 어댑터

Claims (4)

  1. 전면에는 외부기기(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끼움 고정되는 기기 안착홈(11)이 상부 일측과 측면 일측에 각각 터져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핸들(12)의 바로 뒤쪽에 위치되는 단말기 홀더(13);
    상기 단말기 홀더(13)의 후면에 결합되며, 한쪽 측면에는 커넥터(14a,14b)의 연결을 위한 인렛 접속구(15) 및 아울렛 접속구(16)가 구비되어 있는 동시에 후면에는 요입형의 홈부를 갖는 연결부(17)가 형성되어 있는 통신단자(18);
    상기 통신단자(18)에 있는 연결부(17)의 요입형 홈부에 끼워짐으로써 연결부와 중첩된 형태로 결합되는 상단의 지지부(19)를 갖고 있으며, 핸들(12)의 회전축(20)을 커버하면서 핸들의 회전시에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핸들 하우징(21)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하단의 체결구조에 의해 핸들 하우징(21)상에 고정되는 홀더 브라켓(22);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단자(18)의 연결부(17)와 홀더 브라켓(22)의 지지부(19)는 중첩된 형태로 요철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부위를 수평으로 관통 체결되는 핀(23)에 의해 결합되므로서, 통신단자(18) 및 단말기 홀더(13)를 포함하는 외부기기(10) 전체의 상하 각도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홀더 브라켓(22)은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상기 핸들 하우징(21)을 감싼 다음, 개방부위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양쪽의 체결편(24a,24b)에 볼트를 체결하여 꽉 조여주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브라켓(22)는 양쪽의 체결편(24a,24b) 사이에 배치되어 함께 체결되는 스페이서(25)를 더 포함하며, 이 스페이서(25)의 유무, 또는 두께가 다른 스페이서(25)의 개재를 통해 다양한 규격의 핸들 하우징(21)에 적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
KR2020100007141U 2010-07-06 2010-07-06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 KR200464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141U KR200464396Y1 (ko) 2010-07-06 2010-07-06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141U KR200464396Y1 (ko) 2010-07-06 2010-07-06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50U KR20120000350U (ko) 2012-01-12
KR200464396Y1 true KR200464396Y1 (ko) 2013-01-02

Family

ID=4584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141U KR200464396Y1 (ko) 2010-07-06 2010-07-06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3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99Y1 (ko) * 2013-12-18 2014-02-12 한국오텍공업(주) 착탈이 가능한 차량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핸들
KR101989436B1 (ko) * 2017-12-26 2019-06-14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농기계용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495Y1 (ko) * 2000-06-24 2000-11-15 신영달 온열치료기용 리모콘 거치대
KR200218325Y1 (ko) * 2000-10-26 2001-03-15 이양원 핸들에 부착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1050264B1 (ko) 2011-03-25 2011-07-19 최병삼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495Y1 (ko) * 2000-06-24 2000-11-15 신영달 온열치료기용 리모콘 거치대
KR200218325Y1 (ko) * 2000-10-26 2001-03-15 이양원 핸들에 부착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1050264B1 (ko) 2011-03-25 2011-07-19 최병삼 휴대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99Y1 (ko) * 2013-12-18 2014-02-12 한국오텍공업(주) 착탈이 가능한 차량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핸들
KR101989436B1 (ko) * 2017-12-26 2019-06-14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농기계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50U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599B1 (ko) 안장형 차량
US8955728B2 (en) Electronic enclosure and a method for moun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n motorcycles
US9079545B2 (en) Gear shift mounted accessory holder
US9296325B2 (en) Vehicle USB port
CA2701250A1 (en) D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0464396Y1 (ko) 핸들용 외부기기 거치대
JP4648889B2 (ja) 車両用ミラー・方向指示器装置
WO2010034943A1 (fr) Sous-ensemble de poste de pilotage avec colonne de direction apte a recevoir un dispositif de visualisation d'information nomade
JP5907779B2 (ja) 車両の収納ボックス構造
CN112758169A (zh) 一种集成显示功能的方向盘
JP6055600B2 (ja) 鞍乗型車両における携帯情報端末用電圧変換器の配置構造
WO2018162820A1 (fr) Véhicule motorisé comprenant un té de direction connecté
JP5469945B2 (ja) 自動二輪車
JP6175217B2 (ja) 携帯情報端末の充電構造
KR20120044404A (ko)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JP7345064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装置
FR2987584A1 (fr)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support d'appareil electronique nomade
JP3213613U (ja) 車載機器の保持台座およびその周辺部品
JP5938236B2 (ja) 携帯情報端末用ケース
CN206719100U (zh) 汽车后视镜
KR100522812B1 (ko) 영상 시스템의 휴대 및 설치용 케이스
KR20210080927A (ko) 차량 데쉬보드 고정용 각도분할 회전 가능한 고정 브라켓의 구조
KR20050097766A (ko) Av 시스템용 케이스
CN109642700A (zh) 用于便携式电子装置的安装件
JP2006327557A (ja) 2輪車用タンクバックへ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取り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