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89111A1 -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89111A1
WO2016089111A1 PCT/KR2015/013062 KR2015013062W WO2016089111A1 WO 2016089111 A1 WO2016089111 A1 WO 2016089111A1 KR 2015013062 W KR2015013062 W KR 2015013062W WO 2016089111 A1 WO2016089111 A1 WO 20160891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ain body
case
storage space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0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병용
Original Assignee
유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용 filed Critical 유병용
Publication of WO20160891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891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yle smart phone case,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n in-style case to be wrapped around the entire smartphone while storing the smart phone in a wallet form, the simplicity of use and the It relates to an in-style smart phone case to improve the protection.
  • Smartphones are large in size as they have various functions, and are generally provided in a bar form because they take a large LCD screen as a basic configuration according to recent consumer preferences. Such smartphones are being advanced as various functions are added, and cases for decorating them or protecting internal structures are also developing. However, most smartphone cases are mainly designed to protect smartphones, and do not have a function for efficiently improving smartphone functions.
  • the smart phone since the smart phone includes a touch screen type liquid crystal screen, a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liquid crystal screen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case for protecting the smart phone.
  • 1a is a wallet-type case that protects the smartphone in a form that can carry a credit card or business card inside the case and wrap the whole
  • 1b is a small window on the front
  • 1c has a function to protect the edge of the smartphone. It is light in weight and has the advantage of revealing the design of the smartphone itself, but it is a bumper type case that has a disadvantage of being difficult to prevent damage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smartphone
  • 1d is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putting a memory card in the smartphone function.
  • 1e is a product that can protect the smartphone most reliably with urethane material or has the disadvantage of becoming bulky. It is a shockproof case, and 1f is a flip cover case similar to the purse case, but has the advantage that the overall volume is hardly increased and the front protective cover is made very thin in terms of portability, but it does not relieve the impact greatly when dropped. .
  • the smart phone case provided to date is limited to the protection for protecting the smart phone, which has a problem of inconvenience in use.
  • cases such as wallet type, view cover type, and flip cover type cover the front of the LCD screen so that the LCD screen is protected.
  • the LCD screen can be used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watching a video, making a video call or searching the Internet.
  • the smartphone is dropped while the case is mounted, the cover is unfolded and the LCD screen is damaged, resulting in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ality of protecting the LCD screen is degraded.
  • a separate LCD screen protection film is attached to protect the LCD screen.
  • a case such as a bumper type, a hybrid type, or an impact resistant type has a problem in that the LCD screen is easily damaged by an impact, etc., by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LCD scree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attached.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853 (2011.12.26. Notification)
  • Patent Document 2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3-8132 (published Jan. 22, 2013)
  • 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311987 (September 27, 2013)
  • Patent Document 4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375650 (announced on December 12, 2014)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in-case-type case to be wrapped around the entire smartphone while storing the smart phone in the form of a wallet, simplicity of use and smart phone To provide an in-style smartphone case to improve the protection of th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smart phone function through the film window formed on the front of the body, without attaching a separate protective film to the LCD screen of the smart phone, when the smart phone falls It is to provide an in-style smartphone case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is stored without the LCD screen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damage of the damage is extremely reduced as the entire smartphone is protected.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mart phone case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receiving the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is formed inside to protect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A main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 confirmation space opened to enable identification and touch operation on the entire LCD screen of the smartphone housed outside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The front cover of the main body is extended to extend the length to surround the opening that the smartphone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the rear cover is fixed to the rear portion to prevent the smartphon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o be randomly separated; including; It is characterized b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phone case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mobi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is formed inside to protect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phone, wherein the main body ha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martphone therein. It includes; A confirmation space opened to enable identification and touch operation on the entire LCD screen of the smartphone housed outside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includes a rear cover which extends the length and surrounds the opening through which the smart phone can be received into the storage space, and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to prevent the smartphon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from being randomly separated.
  • the front portion includes a shielding portion for shielding the confirmation space.
  • the front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lm window to protect the open confirmation space and to allow the touch of the LCD screen of the smartphone.
  • one side of the back cover includes a fasten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ide of the rear portion is a permanent magnet to prevent the rear cover from being unfolded arbitrarily by fixing the self-supporting member to be fixed.
  •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at least one or more insertion grooves to allow the body to stand at an angle as one end of the rear cover is inserted and locked;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 the rear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card insertion opening to accommodate the card in the form of a plate.
  • the shielding portion, the storage box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A shielding film wound around the storage box and shielding the front part; A fixing ring configured at an end of the shielding film; And a fixing protrusion fix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storage box to lock the fixing ring.
  • the shielding film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viewer window so as to produce a view-cover style.
  • the fixing ring and the fixing projections are omitted,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be fixed or releas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 an in-case type case to be wrapped around the entire smartphone while storing the smartphone in a wallet form, there is an effect to improve the ease of use and protection of the smartphone.
  • Figure 1a to 1f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type of a conventional smartphone cas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a is no film window
  • 2b is a film window is formed.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over of the smart phone c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 FIG. 4 is a plan view of a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card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rear cover of a smart phone ca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side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smartphone ca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shielding film configured in the smart phone cas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sed state of the shielding film configured in the smart phone cas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style smartphone case 1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12 formed therein.
  • the main body 10 has an opening 13 for closing the upper, lower, front, rear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opened to accommodate the smart phone in the storage space 12. That is, the cas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n tile to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torage space 12 through the opening 13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the front portion 14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 rear cover 16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covering the opening 13 to prevent the smartphone housed in the storage space 12 is randomly separated. do.
  • the confirmation space 14a is formed so that the entire smartphone LCD screen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 the film window 20 is formed in the confirmation space (14a) to be able to perform the smart phone function by the touch.
  • the film window 20 is preferably integrated into the front portion 14 of the main body 10 by a method such as heat fusion.
  • the back cover 16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 magnetizing member 17 to be magnetized to the permanent magnet.
  • the magnetic attachment member 17 is preferably formed at the end of the rear cover (16).
  • the magnetic attachment member 17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at can be magnetized by a permanent magnet.
  •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15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 permanent magnet 30 to allow the magnetic attachment member 17 of the rear cover 16 to be fixed.
  • the permanent magnet 30 is preferably configured inside the main body 1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ny position as long as it can prevent the rear cover 16 from being unfolded by attaching the magnetic attachment member 17 to one another. Either can be used.
  • the card insertion hole 15a is preferably formed inside the rear part 15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
  •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so that functional components such as a microphone, a speaker, a selection button, a camera, etc. configured in the smartphone are expres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depending on the type of smartphone by varying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martphone.
  • the rear cover 16 is opened from the main body 10 to open an opening 13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smartphone is inserted into the open opening 13 to be formed inside.
  • the smartphone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2.
  • the opened rear cover 16 is folded toward the rear portion 16 to close the opening 13, thereby preventing the smartphone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 from being randomly separated. do.
  • the folded back cover 16 is a magnetizing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30 by the magnetic member 17 of the rear cover 16 is fixed to the permanent magnet 30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15, By the self-locking member 17 is firmly fixed, the rear cover 16 is prevented from being unfolded in the end.
  • the smart phon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2 of the main body 10 is the LCD screen of the smart phone through the film window 20 formed in the front 14 of the main body 10 confirmation space (14a)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d furthermore, the film window 20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user's touch, it is not limited to using a smartphone.
  • the conventional cas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iquid crystal screen of the smartphone when the smartphone falls, the risk of damage was great, but in the stat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2 of the main body 1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ntire smartphone is protected, the degree of damage from damage is greatly reduced.
  • the rear end portion 15 of the main body 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such that the end of the rear cover 16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depth or communicates with at least a certain length. At least one insertion groove 19 is included.
  • the smart phone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2 of the main body 10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such as watching a video or photographing a camera.
  • the front portion 14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 shield 40 to shield the front portion 14 as shown in FIGS. 8 to 9.
  • the shielding portion 40 is a storage box 42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14, a shielding film 44 wound around the storage box 42, and fixed to the end of the shielding film 44 A ring 46, and a fixing protrusion 48 fixed to the front portion 14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storage box 42 to fix the fixing ring 46 is fixed.
  • the shielding part 40 includes a guide rail 45 for guiding smooth movement when the shielding film 44 is moved through the front part 14 front.
  • the storage box 42 is configured with a spring (not shown) to keep the shielding film 44 always wound.
  • the shielding film 44 for example, the upper end
  • a simple function such as time or date, such as basic information and telephone reception
  • the viewer window 43 is formed. That is, to perform a function similar to the conventional view cover type case.
  •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of the shielding film 44 to be adhered to the bottom 14 of the main body 10.
  • the fixing ring 46 and the fixing protrusion 48 are omitted.
  • smartphone case 10 main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지갑형식으로 수납하면서 상기 스마트폰 전체에 대하여 감싸도록 하는 인스타일형의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과 스마트폰의 보호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정보통신기기를 보호하도록 내측에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내측에 스마트폰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2)이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4)에 외부에서 수납된 스마트폰의 전체 액정화면에 대하여 식별 및 터치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확인공간(14a)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4)는 길이를 연장하여 상기 수납공간(12)으로 스마트폰이 수납가능하도록 출입되는 개구(13)를 감싸면서 후면부(15)에 고정되어 상기 수납공간(12)에 수납된 스마트폰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뒷덮개(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본 발명은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지갑형식으로 수납하면서 상기 스마트폰 전체에 대하여 감싸도록 하는 인스타일형의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과 스마트폰의 보호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이동통신기술의 괄목할만한 발전과 통신장비의 소형화로 인해 현대인에게 필수 소지품이 되었다. 최근에는 전화기능 이외에도 무선인터넷 접속, 동영상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의 기능 등이 첨단기능이 부가되면서 고가의 스마트폰이 출시되어 각광받고 있다.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크기가 커지게 되고, 최근의 소비자 선호에 따라 대형 액정화면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취하고 있어 대개 바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는 등 첨단화되면서 이를 장식하거나 내부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들도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위주로 할 뿐 스마트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다.
또한, 스마트폰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액정화면을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와는 별도로 상기 액정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을 별도로 부착시켜 사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 중인 스마트폰 케이스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1a는 케이스의 안쪽에 신용카드나 명함을 넣고 다닐 수 있고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지갑형 케이스이고, 1b는 앞면의 작은 창을 만들어서 굳이 스마트폰 케이스를 열지않고도 간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시간과 배터리 상태, 음악을 재생하는 간단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뷰커버형 케이스이며, 1c는 스마트폰의 모서리부분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있으며 무게가 가볍고 스마트폰 자체의 디자인을 드러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스마트폰의 앞면과 뒷면의 손상을 막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있는 범퍼형 케이스이고, 1d는 스마트폰 기능에 메모리카드를 넣는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것이고, 대용량 메모리가 함께있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해놓고 스마트폰과 함께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정점과 스마트폰을 세울 수 있어 동영상이나 DMB등을 볼때 편리한 점이 있는 하이브리드형 케이스이며, 1e는 우레탄재질로 스마트폰을 가장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제품이나 부피가 커지는 단점을 가지는 충격방지 케이스이고, 1f는 지갑형 케이스와 비슷하지만 전체적인 부피가 거의 늘어나지 않는 장점과 휴대성에 있어서 앞면 보호커버가 상당히 얇게 제작되어 편리하지만 떨어뜨릴 경우 충격을 크게 완화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는 플립커버 케이스이다.
특히,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까지 제공되는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에만 국한됨에 따라 사용의 불편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갑형, 뷰커버형, 플립 커버형과 같은 케이스는 스마트폰 액정화면의 전면을 덮기 때문에 액정화면을 보호하도록 하였으나, 동영상시청, 영상통화 또는 인터넷검색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액정화면을 덮은 커버를 펼쳐야 하는 사용의 불편함을 가진다. 특히, 케이스를 장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떨어트렸을 경우 커버가 펼쳐져 액정화면이 파손됨에 따라 결국, 액정화면을 보호하는 기능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액정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액정화면 보호용 필름을 부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범퍼형, 하이브리드형, 충격방지형과 같은 케이스는 액정화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충격 등에 의해 액정화면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액정화면 보호용 필름을 부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98523호(2011.12.26. 공고)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8132호(2013.01.22. 공개)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311987호(2013.09.27. 공고)
(특허문헌 4)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375650호(2014.03.12.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지갑형식으로 수납하면서 상기 스마트폰 전체에 대하여 감싸도록 하는 인스타일형의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과 스마트폰의 보호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에 별도의 보호필름을 부착하지않고도,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된 필름창을 통해 스마트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이 떨어질 때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스마트폰이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여 스마트폰 전체가 보호됨에 따라 파손의 피해 정도를 극히 감소시키도록 하는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정보통신기기를 보호하도록 내측에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내측에 스마트폰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외부에서 수납된 스마트폰의 전체 액정화면에 대하여 식별 및 터치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확인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전면부는 길이를 연장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 스마트폰이 수납가능하도록 출입되는 개구를 감싸면서 후면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스마트폰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뒷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정보통신기기를 보호하도록 내측에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내측에 스마트폰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외부에서 수납된 스마트폰의 전체 액정화면에 대하여 식별 및 터치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확인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전면부는 길이를 연장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 스마트폰이 수납가능하도록 출입되는 개구를 감싸면서 후면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스마트폰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뒷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확인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부에는, 개방된 상기 확인공간을 보호하고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필름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뒷덮개의 일측에는 자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의 일측에는 상기 자착부재를 자착시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뒷덮개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후면부 일측에는, 상기 뒷덮개의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됨에 따라 본체를 일정각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후면부에는, 박판형태의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폐부는, 상기 전면부의 일측에 구성되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에 권취되고 상기 전면부를 차폐시키도록 하는 차폐막; 상기 차폐막의 끝단에 구성되는 고정고리; 및 상기 보관함과 대향되는 위치의 전면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고리가 걸림되도록 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폐막에는, 뷰커버형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뷰어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페막의 저면 하단에는, 상기 고정고리 및 고정돌기를 생략하고, 본체의 전면부 하단 일측에 고정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점착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을 지갑형식으로 수납하면서 상기 스마트폰 전체에 대하여 감싸도록 하는 인스타일형의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과 스마트폰의 보호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에 별도의 보호필름을 부착하지않고도,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된 필름창을 통해 스마트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이 떨어질 때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스마트폰이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여 스마트폰 전체가 보호됨에 따라 파손의 피해 정도를 극히 감소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후면부에 박판형의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카드삽입구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1f는 종래의 스마트폰 케이스의 종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로서,
2a는 필름창이 없는 거, 2b는 필름창이 형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뒷덮개에 카드삽입구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에 구성된 차폐막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에 구성된 차폐막이 닫힘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수납공간(12)이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상,하 및 전,후면과 일단이 막혀있고, 나머지 타단이 개방되어 스마트폰을 상기 수납공간(12)으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개구(13)가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케이스(1)는,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13)를 통해 내부의 수납공간(12)으로 수납되도록 하는 인스타일 형태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4)는 일정길이 연장시켜, 상기 개구(13)를 덮어 수납공간(12)에 수납된 스마트폰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뒷덮개(1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4)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액정화면 전체가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확인공간(1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부(14)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인공간(14a)에 형성되어 터치에 의해 스마트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필름창(20)이 형성된다.
상기 필름창(20)은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4)에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뒷덮개(16)에는 영구자석에 자착될 수 있도록 자착부재(17)를 포함한다. 상기 자착부재(17)는 상기 뒷덮개(16)의 끝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자착부재(17)는 영구자석에 의해 자착될 수 있는 금속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후면부(15)의 일측에는 상기 뒷덮개(16)의 자착부재(17)가 자착되도록 하는 영구자석(3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영구자석(30)은 외부에 표출되지 않도록 본체(10)의 내측에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 자착부재(17)를 자착시켜 상기 뒷덮개(16)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면부(15)의 내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용카드, 신분증과 같은 박판 형태의 카드를 삽입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삽입구(15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카드삽입구(15a)는 수납공간(12)에 위치한 상기 후면부(15)의 내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스마트폰에 구성된 마이크, 스피커, 선택버튼, 카메라 등의 기능성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이는 스마트폰의 종류에 따라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스마트폰 기종에 따라 상기 통공의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에서 뒷덮개(16)를 펼쳐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성되는 개구(13)를 개방시키고, 개방된 상기 개구(13)로 스마트폰을 삽입시켜, 내측에 형성되는 수납공간(12)에 스마트폰을 수납시킨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뒷덮개(16)를 후면부(16) 측으로 접어서 개방된 개구(13)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수납공간(12)에 수납된 스마트폰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접혀진 뒷덮개(16)는 상기 후면부(15)의 일측에 구성된 영구자석(30)에 상기 뒷덮개(16)에 구성된 자착부재(17)가 자착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30)의 자착력에 의해 상기 자착부재(17)가 확고하게 자착되어, 결국 뒷덮개(16)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지갑형식으로 수납하면서 상기 스마트폰 전체에 대하여 감싸도록 하는 인스타일형의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과 스마트폰의 보호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수납공간(12)에 수납된 스마트폰은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4) 확인공간(14a)에 형성된 필름창(20)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을 식별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필름창(20)은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제약을 받지않는다.
이로 인해, 본체(10)를 통해 스마트폰의 전체를 커버하여 보호함에 따라 낙하 등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에 별도의 보호필름을 부착하지않고도, 본체(10)의 전면부(14)에 형성된 필름창(20)을 통해 스마트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종래의 케이스는 스마트폰이 떨어질 때 상기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파손의 위험성이 컸지만, 본 발명과 같이 본체(10)의 수납공간(12)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스마트폰 전체가 보호됨에 따라 파손의 피해 정도를 극히 감소시킨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본체(10)의 후면부(15)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덮개(16)의 끝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하는 일정깊이 또는 연통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19)을 포함한다.
즉, 뒷덮개(16)를 상기 삽입홈(19)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일정각도 세워진 상태를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일정각도 세워진 본체(10)의 수납공간(12)에 수납된 스마트폰을 통해 동영상시청 또는 카메라촬영 등의 작업등이 용이하도록 한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에 따른 본체(10)의 전면부(14)에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4)를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폐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부(40)는 상기 전면부(14)의 일측에 구성되는 보관함(42)과, 상기 보관함(42)에 권취되어 있는 차폐막(44)과, 상기 차폐막(44)의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고리(46), 및 상기 보관함(42)과 대향되는 위치로 상기 전면부(14)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고리(46)가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4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폐부(40)에는 상기 차폐막(44)을 전면부(14) 전면을 통해 이동시킬 때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45)을 포함한다.
상기 보관함(42)에는 상기 차폐막(44)을 항상 감긴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태엽(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폐막(44)의 일측 예컨대, 상단부에는 상기 차폐막(44)으로 스마트폰의 전면을 차폐할 때, 시간 또는 날짜 등과 기본적인 정보와 전화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간편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뷰어창(43)이 형성된다. 즉, 종래의 뷰커버형 케이스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차폐막(44)에 의해 차폐된 전면부(14)의 차폐를 해제하고 싶을 경우에는 고정돌기(48)에서 고정고리(46)를 이탈시키면, 상기 보관함(42)에 구성된 태엽(도시하지 않음)의 회수작용에 의해 상기 차폐막(44)이 안내레일(45)을 따라 용이하게 상기 보관함(42)에 권취된다.
한편, 상기 차폐막(44)의 저면 하단에는 점착제를 도포하여, 본체(10)의 저면부(14)에 점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고리(46) 및 고정돌기(48)는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스마트폰 케이스 10: 본체
12: 수납공간 13: 개구
14: 전면부 15: 후면부
16: 뒷덮개 17: 자착부재
19: 삽입홈 20: 필름창
30: 영구자석 40: 차폐부
42: 보관함 44: 차폐막
45: 안내레일 46: 고정고리
48: 고정돌기

Claims (7)

  1.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정보통신기기를 보호하도록 내측에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내측에 스마트폰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2)이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4)에 외부에서 수납된 스마트폰의 전체 액정화면에 대하여 식별 및 터치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확인공간(14a)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4)는 길이를 연장하여 상기 수납공간(12)으로 스마트폰이 수납가능하도록 출입되는 개구(13)를 감싸면서 후면부(15)에 고정되어 상기 수납공간(12)에 수납된 스마트폰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뒷덮개(16)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14)에는, 개방된 상기 확인공간(14a)을 보호하고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필름창(20)을 포함하며;
    상기 뒷덮개(16)의 일측에는 자착부재(17)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15)의 일측에는 상기 자착부재(17)를 자착시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뒷덮개(16)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영구자석(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2.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정보통신기기를 보호하도록 내측에 상기 휴대정보통신기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내측에 스마트폰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2)이 형성된 본체(1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4)에 외부에서 수납된 스마트폰의 전체 액정화면에 대하여 식별 및 터치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확인공간(14a)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4)는 길이를 연장하여 상기 수납공간(12)으로 스마트폰이 수납가능하도록 출입되는 개구(13)를 감싸면서 후면부(15)에 고정되어 상기 수납공간(12)에 수납된 스마트폰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뒷덮개(16)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14)에는 상기 확인공간(14a)을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차폐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14)에는, 개방된 상기 확인공간(14a)을 보호하고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필름창(20)을 포함하고;
    상기 뒷덮개(16)의 일측에는 자착부재(17)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부(15)의 일측에는 상기 자착부재(17)를 자착시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뒷덮개(16)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영구자석(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15) 일측에는, 상기 뒷덮개(16)의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됨에 따라 본체(10)를 일정각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19);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15)에는,
    박판형태의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삽입구(15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40)는,
    상기 전면부(14)의 일측에 구성되는 보관함(42);
    상기 보관함(42)에 권취되고 상기 전면부(14)를 차폐시키도록 하는 차폐막(44);
    상기 차폐막(44)의 끝단에 구성되는 고정고리(46); 및
    상기 보관함(42)과 대향되는 위치의 전면부(14)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고리(46)가 걸림되도록 하는 고정돌기(4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44)에는,
    뷰커버형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뷰어창(4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페막(44)의 저면 하단에는,
    상기 고정고리(46) 및 고정돌기(48)를 생략하고, 본체(10)의 전면부(14) 하단 일측에 고정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점착제;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PCT/KR2015/013062 2014-12-02 2015-12-02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WO201608911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419A KR101523477B1 (ko) 2014-12-02 2014-12-02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14-0170419 2014-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9111A1 true WO2016089111A1 (ko) 2016-06-09

Family

ID=5339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062 WO2016089111A1 (ko) 2014-12-02 2015-12-02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3477B1 (ko)
WO (1) WO2016089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20059A1 (en) * 2019-10-17 2023-04-20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device with main unit having a removable cover el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6011A (ja) * 1998-01-30 1999-08-10 Sakura Color Prod Corp ケース
KR100934120B1 (ko) * 2009-03-09 2009-12-29 황성남 휴대폰 케이스
KR101138015B1 (ko) * 2011-11-29 2012-04-20 김준삼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70736Y1 (ko) * 2012-02-15 2014-01-10 주식회사 뉴빛 태블릿 피씨용 케이스
KR20140099384A (ko) * 2013-02-01 2014-08-12 백승륜 멀티미디어 기기의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6011A (ja) * 1998-01-30 1999-08-10 Sakura Color Prod Corp ケース
KR100934120B1 (ko) * 2009-03-09 2009-12-29 황성남 휴대폰 케이스
KR101138015B1 (ko) * 2011-11-29 2012-04-20 김준삼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70736Y1 (ko) * 2012-02-15 2014-01-10 주식회사 뉴빛 태블릿 피씨용 케이스
KR20140099384A (ko) * 2013-02-01 2014-08-12 백승륜 멀티미디어 기기의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477B1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192B2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KR102131392B1 (ko) 보호 커버
US20120305422A1 (en) Portable device protector case
KR200464767Y1 (ko)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2396862B1 (ko) 접혀지는 휴대폰을 위한 그립톡 카드수납 휴대폰 케이스
KR20140141401A (ko) 전자 기기의 방수 케이스
US10021228B2 (en) Cradle with privacy protection func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2423199B1 (ko) 카드수납구조를 포함하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KR20110025939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WO2018174363A1 (ko) 핸드폰 케이스
WO2018236074A2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KR101419199B1 (ko) 휴대폰용 케이스
WO2016089111A1 (ko)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KR101530212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701633B1 (ko) Usb 케이블을 장착한 휴대폰케이스
WO2019107744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20090011327A (ko) 휴대 단말기
KR2014004864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용 파우치
KR20047214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WO2020060109A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375089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외장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386471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652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652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