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015B1 - 전자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015B1
KR101138015B1 KR1020110125547A KR20110125547A KR101138015B1 KR 101138015 B1 KR101138015 B1 KR 101138015B1 KR 1020110125547 A KR1020110125547 A KR 1020110125547A KR 20110125547 A KR20110125547 A KR 20110125547A KR 101138015 B1 KR101138015 B1 KR 101138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grip frame
case
storage uni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성
김준삼
Original Assignee
김준삼
김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1439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3801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삼, 김병성 filed Critical 김준삼
Priority to KR102011012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기의 액정이 외부로 항상 노출되게 수납하고 카드를 수납하는 구성을 전자기기의 후면으로 접철시켜 커버를 열지 않더라도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접철가능하게 한 쌍으로 결합된 제1면과 제2면에 수납구를 형성한 제2수납부를 마련하고, 상기 제1면의 바깥면에 전자기기를 수납하는 제1수납부를 결합하되, 상기 제1수납부의 전면으로 개구시킨 제1공을 통해 전자기기의 액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수납되도록 하여,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케이스{Electronic equipment case}
본 발명은 전자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액정이 외부로 항상 노출되게 수납하고 지갑기능을 부가하며 전자기기의 후면으로 확개시 거치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전자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형 멀티미디어기기는 휴대폰, 미디어플레이어, 게임기 및 이들의 기능적 조합으로 이루어져서, 사운드, 영상, 방송, 인터넷영상 등을 조합 또는 복합 제공 가능토록 이루어져 이를 소형 전자기기나 소형 복합전자기기로 칭한다.
이러한, 소형 전자기기는 휴대하면서 방송 및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PMP나 DMB, PDA, 휴대폰, 네비게이션, 태블릿PC등의 사용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자에게 문자, 그림, 영상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화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바-타입(bar type)으로 전면의 터치스크린은 강화유리로 처리되어 있다.
한편, 강화유리는 긁힘, 전면으로부터의 충격에는 강한 이점이 있으나, 측면으로부터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이 강화유리로 제작된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사용 중 부주의에 의해 지면으로 낙하한 경우, 디스플레이패널을 보호하고 있는 전면패널 또는 디스플레이패널 자체가 지면과의 충격에 의해 깨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비교적 고가이며 미려한 전자기기에 생길 수 있는 긁힘이나 흠집, 파손 등에 더욱 민감해졌으며 나아가 전자기기의 외관을 자신의 개인 취향에 알맞은 액세서리로 활용하고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처럼, 전자기기의 외관을 감싸줌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전자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을 반영하여 투명 혹은 컬러화를 시도하여 각종 디자인과 문양을 부가시켜 미려한 외관을 자랑하는 다양한 종류 및 재질의 케이스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 케이스는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의 재질로 만들어져 전자기기의 둘레와 후면을 보호하는 형태와 가죽을 재단하여 그 내부에 핸드폰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덮개를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지갑 형으로 구분된다.
특히, 전자기기와 카드를 모두 한 번에 휴대하여 전자기기와 카드 이용의 편리성을 추구한 케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지갑형 케이스는 수납공간을 기준으로 커버가 상하 또는 좌우로 접어질 수 폴더 형태로서, 전자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버를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전자기기의 액정을 보거나 조작할 수 없어서 조작이 다소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던 전자기기의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메모리를 꺼내는 등 다양한 이유로 케이스와 전자기기를 분리한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수납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다양한 걸림구성이 제시되어 있지만, 단속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인해 케이스에 전자기기를 고정하거나 분리하기 어렵고 걸림구성을 반복적으로 이용시 걸림구성의 내구성이 약해지면 단속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지갑형 전자기기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카드와 전자기기의 액정이 접촉하면서 카드 또는 전자기기의 액정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덧붙여, 지갑형 전자기기 케이스는 거치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갑형의 케이스로 인해 종래의 거치대를 이용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자기기의 액정이 외부로 항상 노출되게 수납하고 카드를 수납하는 구성을 전자기기의 후면으로 접철시켜 커버를 열지 않더라도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자기기와 케이스 사이에 마감부재를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으로도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던 전자기기의 수납상태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카드와 전자기기의 액정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카드 또는 전자기기의 액정이 손상되는 않도록 수납하고 수납된 카드를 간단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케이스에 별도의 거치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제2수납부의 확개시켜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철가능하게 한 쌍으로 결합된 제1면과 제2면에 수납구를 형성한 제2수납부를 마련하고, 상기 제1면의 바깥면에 전자기기를 수납하는 제1수납부를 결합하되, 상기 제1수납부의 전면으로 개구시킨 제1공을 통해 전자기기의 액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수납되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제1공을 갖는 그립틀과, 상기 그립틀의 둘레에 연결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그립틀에서의 후면으로 절곡시켜 상기 제1면의 바깥면과 그립틀이 이격되게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폭을 제한하여 그립틀의 모서리에 제2공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그립틀의 둘레 일측으로 제1면과 결합하지 않는 마감부재를 형성하여 그립틀 일측으로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마감부재의 끝단을 제1수납부에 수납된 전자기기의 배면과 제1면의 바깥면 사이로 삽입하여 전자기기의 수납을 단속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수납부의 안쪽면에는 복수개의 수납구와 제3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면의 바깥면에는 제2단속구를 형성하며, 상기 제2면의 바깥면에 형성된 제2단속구에 체결되는 제1단속구가 형성되어 제2수납부의 접철상태를 단속하는 결착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착부재의 끝단에 일체로 연장시킨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재에는 제2단속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3단속구를 형성하여 제2면의 확개상태를 유지시켜 거치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기기 케이스는 수납구 127를 형성한 제2수납부 120 바깥면에 전자기기 10를 수납하는 제1수납부 110를 결합하되, 상기 제1수납부 110의 전면으로 개구시킨 제1공 111a을 통해 전자기기 10의 액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수납시켜, 카드가 수납된 커버를 열지 않더라도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하여,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 케이스는 그립틀 111의 둘레 일측으로 마감부재 113를 형성하여 마감부재 113의 끝단을 제1수납부 110에 수납된 전자기기 10의 배면과 제1면 121의 바깥면 사이로 삽입하여 전자기기 10의 수납을 단속시켜, 전자기기와 케이스 사이에 마감부재를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으로도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던 전자기기의 수납상태를 단속할 수 있어서, 전자기기의 인입 및 배출이 용이하면서도 단속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전자기기 케이스는 제1수납부 110의 후면으로 접철되는 제2수납부 120의 안쪽면에 복수개의 수납구 127를 형성시켜,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카드와 전자기기의 액정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카드 또는 전자기기의 액정이 손상되는 않도록 수납하고 수납된 카드를 간단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전자기기 케이스는 제2수납부 120를 일정각도로 확개시키거나 결착부재 130의 끝단에 일체로 연장시킨 거치부재 133를 통해 제2면 123의 확개상태를 유지시켜, 케이스에 별도의 거치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제2수납부의 확개시켜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성 및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2수납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2수납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2수납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2수납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1수납부를 전자기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2수납부를 확개시켜 거치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2수납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2수납부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2수납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2수납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1수납부를 전자기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2수납부를 확개시켜 거치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전자기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철가능하게 한 쌍으로 결합된 제1면 121과 제2면 123에 수납구 127를 형성한 제2수납부 120를 마련하고, 상기 제1면 121의 바깥면에 전자기기 10를 수납하는 제1수납부 110를 결합하되, 상기 제1수납부 110의 전면으로 개구시킨 제1공 111a을 통해 전자기기 10의 액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수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전자기기 케이스 100는 수납구 127를 형성한 제2수납부 120 바깥면에 전자기기 10를 수납하는 제1수납부 110를 결합하되, 상기 제1수납부 110의 전면으로 개구시킨 제1공 111a을 통해 전자기기 10의 액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수납시켜, 카드가 수납된 커버를 열지 않더라도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를 제공하여,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 10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접철가능한 제2수납부 120를 마련하고, 상기 제1면 121의 바깥면에 전자기기 10를 수납하는 제1수납부 110를 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본 발명은 대표적인 휴대용 전자기기 10인 휴대폰을 실시 예로 설명하겠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상기의 제2수납부 120는 제1면 121, 제2면 123, 수납구 127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1면 121과 제2면 123은 종래의 전자기기 10 형상과 유사한 형상입니다. 즉,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전자기기 10의 형상이 주로 사각형상임으로 제1면 121과 제2면 123은 사각의 판 형상에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상이다.
특히, 제1면 121과 제2면 123은 접철가능하게 한 쌍으로 결합된다. 이때, 접철된 상태에서 보이는 면을 바깥면이라고 하고 연접된 면을 안쪽면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제1면 121과 제2면 123의 바깥면은 가죽 또는 수지 재질로 감싸져 있지만 내부에는 강도를 갖는 판이 내장되어 있다. 이때, 제1면 121과 제2면 123의 접철이 용이하도록 연질의 접철부재 125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면 121과 제2면 123의 안쪽면에는 복수개의 수납구 127와 제3공 129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2면 123의 안쪽면에는 복수개의 수납구 127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수납구 127에 카드, 명함, 현금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더불어, 제2면의 안쪽면 하단에는 투명창을 마련하여 사진 또는 신분증 등을 수납시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전자기기 케이스 100는 제1수납부 110의 후면으로 접철되는 제2수납부 120의 안쪽면에 복수개의 수납구 127를 형성시켜,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카드와 전자기기의 액정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카드 또는 전자기기의 액정이 손상되는 않도록 수납하고 수납된 카드를 간단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제1면 안쪽면과 바깥면을 관통하는 제3공 129을 복수개 관통하였다. 이러한, 제3공 129은 전자기기 10 후면에 형성된 카메라, 스피커 등의 위치에 맞추어 사각형상으로 관통되어 있다.
한편, 제1면 121의 바깥면에 전자기기 10를 수납하는 제1수납부 110를 결합하되, 상기 제1수납부 110의 전면으로 전자기기 10의 액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제1수납부 110는 그립틀 111, 마감부재 113, 연결부재 115, 제2공 117, 인입구 119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그립틀 111은 전면으로 개구되도록 제1공 111a을 관통한다. 이러한, 제1공 111a을 통해 전자기기 10의 액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수납되도록 한다. 특히, 그립틀 111의 폭은 전자기기 10의 액정이 전부 노출되도록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더불어, 그립틀 111의 둘레에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 115를 형성한다. 이러한, 연결부재 115는 그립틀 111에서의 후면으로 절곡시켜 상기 제1면 121의 바깥면과 그립틀 111이 이격되게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재 115의 폭을 제한하여 그립틀 111의 모서리에 제2공 117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공 117을 통해 전자기기 10의 안테나 또는 이어폰결합구멍 데이터 저장용 잭 등이 노출된다. 특히, 연결부재 115의 폭을 그립틀 111 모서리의 라운드를 제외한 폭을 갖는다.
특히, 제1수납부 110는 그립틀 111의 둘레 일측으로 제1면 121과 결합하지 않는 마감부재 113를 형성한다. 이러한, 마감부재 113는 그립틀 111의 측면으로 중앙이 길게 연장시켜 삼각형 형상을 이룬다.
아울러, 그립틀 111 일측으로 전자기기 10가 삽입되는 인입구 119가 형성된다. 이러한, 마감부재 113의 끝단을 제1수납부 110에 수납된 전자기기 10의 배면과 제1면 121의 바깥면 사이로 삽입하여 전자기기 10의 수납을 단속한다.
아울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감부재 113의 바깥면에 제4단속구 140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4단속구 140는 벨크로 타입이 적합하나 단추 또는 자석형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전자기기 10의 배면과 제1면 121의 바깥면 사이를 손으로 벌린상태에서 마감부재 113를 삽입한 다음 제2면 123의 바깥면에 제4단속구 140가 접촉하면서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제4단속구 140를 통해 전자기기 10의 단속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전자기기 케이스 100는 그립틀 111의 둘레 일측으로 마감부재 113를 형성하여 마감부재 113의 끝단을 제1수납부 110에 수납된 전자기기 10의 배면과 제2면 123의 바깥면 사이로 삽입하여 전자기기 10의 수납을 단속시켜, 전자기기와 케이스 사이에 마감부재를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으로도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던 전자기기의 수납상태를 단속할 수 있어서, 전자기기의 인입 및 배출이 용이하면서도 단속력이 향상된다.
한편, 제1면 121의 바깥면에는 제2단속구 123a를 형성하며, 상기 제2면 123의 바깥면에 형성된 제2단속구 123a에 체결되는 제1단속구 131가 형성되어 제2수납부 120의 접철상태를 단속하는 결착부재 130를 포함한다.
특히, 결착부재 130은 제1면 121의 측방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또한, 제2면 123의 바깥쪽으로 접철할 수 있는 재질이다. 이때, 결착부재 130는 제2면 12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일 수도 있으나 제2수납부 120의 접철상태만 단속할 수 있는 최소폭을 갖는다. 이렇게, 접철된 결착부재 130 안쪽면에 형성된 제1단속구 131는 제2면 123의 바깥면에 형성된 제2단속구 123a에 체결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면 123을 전자기기 10의 후면으로 일부 확개시켜 거치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6 (a)와 같이 제1단속구 131에 제2면 123을 걸리도록 θ1각도로 확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도 6 (b)와 같이 θ1각도로 확개시켜 제2면 123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제2면 123이 지면과 마찰되는 면을 마찰력이 높은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마찰력이 높은 재질을 갖는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을 추가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도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면 123의 확개각도를 용이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접철부재 125 내부에 금속편 140을 내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착부재 130의 끝단에 일체로 연장시킨 거치부재 133를 더 포함한다. 이때, 도 7 (a)와 같이 거치부재 133에는 제2단속구 123a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3단속구 135를 형성한다. 이렇게, 거치부재 133에 형성된 제3단속구 135를 제2단속구 123a에 체결되어 θ3각도로 확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제2면 123의 측면에 고정부재 133a를 추가로 형성하고 고정부재 133a에 제2단속구 123a를 형성하였다. 이때, 제3단속구 135를 고정부재 133a에 제2단속구 123a를 연결시켜 제2면 123을 θ4각도로 확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결착부재 130를 통해 제2면 123의 확개상태를 유지시켜 거치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2단속구 123a를 복수개로 형성하여 제2수납부 120를 접철시 거치부재 133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θ1 내지 θ4의 각도는 15°내지 60°로 확개시켜 거치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15°이하로 확개시킬 경우 거치상태의 유지가 어렵고, 60°이상으로 확개시 시청이 어려울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전자기기 케이스 100는 제2수납부 120를 일정각도로 확개시키거나 결착부재 130의 끝단에 일체로 연장시킨 거치부재 133를 통해 제2면 123의 확개상태를 유지시켜, 케이스에 별도의 거치구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제2수납부의 확개시켜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성 및 호환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자기기
100 : 전자기기 케이스
110 : 제1수납부 111 : 그립틀
111a : 제1공 113 : 마감부재
115 : 연결부재 117 : 제2공
119 : 인입구
120 : 제2수납부 121 : 제1면
123 : 제2면 125 : 접철부재
123a : 제2단속구 127 : 수납구
129 : 제3공
130 : 결착부재 131 : 제1단속구
133 : 거치부재 135 : 제3단속구
140 : 금속편 150 : 제4단속구

Claims (6)

  1. 접철가능하게 한 쌍으로 결합된 제1면과 제2면 안쪽면에는 복수개의 수납구와 제3공을 형성한 제2수납부를 마련하고, 상기 제1면의 바깥면에 전자기기를 수납하는 제1수납부를 결합하되, 상기 제1수납부의 전면으로 개구시킨 제1공을 통해 전자기기의 액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수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제1공을 갖는 그립틀과,
    상기 그립틀의 둘레에 연결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그립틀에서의 후면으로 절곡시켜 상기 제1면의 바깥면과 그립틀이 이격되게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폭을 제한하여 그립틀의 모서리에 제2공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그립틀의 둘레 일측으로 제1면과 결합하지 않는 마감부재를 형성하여 그립틀 일측으로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인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마감부재의 끝단을 제1수납부에 수납된 전자기기의 배면과 제1면의 바깥면 사이로 삽입하여 전자기기의 수납을 단속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의 바깥면에는 제2단속구를 형성하며, 상기 제2면의 바깥면에 형성된 제2단속구에 체결되는 제1단속구가 형성되어 제2수납부의 접철상태를 단속하는 결착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재의 끝단에 일체로 연장시킨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재에는 제2단속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제3단속구를 형성하여 제2면의 확개상태를 유지시켜 거치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KR1020110125547A 2011-11-29 2011-11-29 전자기기 케이스 KR10113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547A KR101138015B1 (ko) 2011-11-29 2011-11-29 전자기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547A KR101138015B1 (ko) 2011-11-29 2011-11-29 전자기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015B1 true KR101138015B1 (ko) 2012-04-20

Family

ID=4614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547A KR101138015B1 (ko) 2011-11-29 2011-11-29 전자기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01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287B1 (ko) 2012-05-24 2012-10-17 서경진 투시창이 마련된 지갑형 핸드폰 케이스
KR200463462Y1 (ko) * 2012-04-23 2012-11-06 주식회사 다스텍 다이어리형 휴대폰 단말기 수납케이스
KR200469081Y1 (ko) * 2012-11-15 2013-09-17 (주)대성이엔티 개량형 스마트폰 커버
WO2013172495A1 (ko) * 2012-05-16 2013-11-21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1373747B1 (ko) 2012-02-16 2014-03-17 (주)플레이스아이티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KR101491951B1 (ko) 2014-03-10 2015-02-09 맹용주 입력수단으로 활용가능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KR101523477B1 (ko) * 2014-12-02 2015-05-28 유병용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01083U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뉴빛 단말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022A (ko) * 2002-02-18 2002-05-09 유니온정보기술 주식회사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KR100934120B1 (ko) * 2009-03-09 2009-12-29 황성남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022A (ko) * 2002-02-18 2002-05-09 유니온정보기술 주식회사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KR100934120B1 (ko) * 2009-03-09 2009-12-29 황성남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747B1 (ko) 2012-02-16 2014-03-17 (주)플레이스아이티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KR200463462Y1 (ko) * 2012-04-23 2012-11-06 주식회사 다스텍 다이어리형 휴대폰 단말기 수납케이스
WO2013172495A1 (ko) * 2012-05-16 2013-11-21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1192287B1 (ko) 2012-05-24 2012-10-17 서경진 투시창이 마련된 지갑형 핸드폰 케이스
KR200469081Y1 (ko) * 2012-11-15 2013-09-17 (주)대성이엔티 개량형 스마트폰 커버
KR101491951B1 (ko) 2014-03-10 2015-02-09 맹용주 입력수단으로 활용가능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보호커버
KR101523477B1 (ko) * 2014-12-02 2015-05-28 유병용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WO2016089111A1 (ko) * 2014-12-02 2016-06-09 유병용 인스타일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01083U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뉴빛 단말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015B1 (ko) 전자기기 케이스
US8763795B1 (en) Dual support flap case
US8380264B2 (en) Case for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CN110426910B (zh) 相机壳
KR101265220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EP2988478A1 (en) Protective cover
KR101705084B1 (ko) 휴대폰용 플립 케이스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384089B1 (ko) 입설 거치구조를 갖는 스마트폰 커버
KR101274090B1 (ko) 휴대단말기용 양면케이스
KR101251936B1 (ko) 휴대기기용 지퍼케이스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464254B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70099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7214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KR101480872B1 (ko) 접이식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404024B1 (ko) 스마트폰 커버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KR20130006934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464932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74706Y1 (ko) 분리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463606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433005B1 (ko) 수납된 카드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휴대폰케이스
CN212543843U (zh) 电子设备壳套及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719

Effective date: 201307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