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120B1 -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120B1
KR102495120B1 KR1020220098635A KR20220098635A KR102495120B1 KR 102495120 B1 KR102495120 B1 KR 102495120B1 KR 1020220098635 A KR1020220098635 A KR 1020220098635A KR 20220098635 A KR20220098635 A KR 20220098635A KR 102495120 B1 KR102495120 B1 KR 102495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groove
seating
protrus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이권형
Original Assignee
유알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알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알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8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거치 된 휴대폰의 평면상 방향각도를 쉽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는 상단에 삽입홈(A11)을 가진 연결체(A1); 상기 연결체(A1)의 삽입홈(A1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A21)가 휴대폰안착패드(B)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연결체(A1)로부터 회전되도록 결합한 연결축부(A2); 상기 연결축부(A2)의 삽입돌기(A21) 끝단면과 마주보는 연결체(A1)의 삽입홈(A11) 끝단면에 동심원상으로 등간격 형성되는 다수의 볼홈(BH); 상기 연결체(A1)의 삽입홈(A11) 끝단면과 마주보는 연결축부(A2)의 삽입돌기(A21) 끝단면 내부로부터 볼홈(BH)에 삽입되도록 탄성부재(SP)로 탄지되는 다수의 볼(B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Mobile phone angle rotation device for mobile phone holder and mobile phone hold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거치 된 휴대폰의 평면상 방향각도를 쉽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이하 '휴대폰'이라 함)를 각종 차량, 자전거, 오토바이, 킥보드, 책상 등에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 거치대가 출시되고 있고, 특히 최근 배달업에 종사하는 라이더의 수가 증가하면서 오토바이에 거치대를 장착하여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종래의 오토바이에 장착된 휴대폰 거치대는 통상 클램프형태로 휴대폰을 파지되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거치대에 거치 된 휴대폰의 평면상 방향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을 파지하는 파지부의 클램프를 풀은 다음 방향각도를 조정한 후 다시 조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평면상의 방향각도를 조정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휴대폰*거치대"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최근의 선행기술문헌 4건을 등재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와 배경기술 및 그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등록/공개번호: 1020210126526, 2004953320000, 1022858900000, 1023742490000.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거치대에 거치 된 휴대폰의 평면상 방향각도를 쉽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휴대폰을 안착시킬 수 있는 휴대폰안착패드를 회전 외력을 가하면 동심원상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간격 회전하고, 그렇게 간격 회전된 각도에서 회전 외력을 놓으면 회전된 각도에서 자동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르면, 외력에 의해 일정한 각도만큼 간격을 가지고 회전하고, 회전된 각도에서 외력을 놓으면 자동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휴대폰 거치대에 거치 된 휴대폰의 평면상 방향각도를 쉽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나열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을 적용한 휴대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부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그룹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저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4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9은 도 8의 저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4에 적용되는 휴대폰안착패널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저부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평면도
도 13은 도 10의 또 다른 예시도
도 14는 도 4에 적용되는 휴대폰착탈부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요부를 나열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16은 도 14의 요부 결합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또 다른 예시도
도 18은 도 7의 작동도
도 19는 도 14의 또 다른 예시도
도 20은 도 19의 요부를 나열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21은 도 19의 요부 결합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또 다른 예시도
도 23은 도 4에 적용되는 관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결합 단면도
도 25는 도 4에 적용되는 거치대착탈부의 분해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저부 분해 사시도
도 27은 도 25의 결합 단면도
도 28은 도 25의 요부를 나열한 평면도
도 29는 도 4에 적용되는 장착부의 분해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저부 분해 사시도
도 31은 도 4에 적용되는 바람막이판 및 그 착탈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요부 결합 단면도
도 33은 도 31의 요부를 나열한 평면도 및 그 결합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구성의 모양을 특별하게 특정하지 않은 이상 그 평면의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이럴 경우 평면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HP)을 안착시킬 수 있는 휴대폰안착패드(B)에 회전 외력을 가하면 동심원상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간격 회전하고, 그렇게 간격 회전된 각도에서 회전 외력을 놓으면 회전된 각도에서 자동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회전수단;이 구성된 것을 근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회전수단은 상단에 삽입홈(A11)을 가진 연결체(A1); 상기 연결체(A1)의 삽입홈(A1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A21)가 휴대폰안착패드(B)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연결체(A1)로부터 회전되도록 결합한 연결축부(A2); 상기 연결축부(A2)의 삽입돌기(A21) 끝단면과 마주보는 연결체(A1)의 삽입홈(A11) 끝단면에 동심원상으로 등간격 형성되는 다수의 볼홈(BH); 상기 연결체(A1)의 삽입홈(A11) 끝단면과 마주보는 연결축부(A2)의 삽입돌기(A21) 끝단면 내부로부터 볼홈(BH)에 삽입되도록 탄성부재(SP)로 탄지되는 다수의 볼(BO);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연결체(A1)는 하기에 설명될 관절부(D)의 상단 상부관절체(D1)와 연결될 수 있고, 연결축부(A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안착패드(B)의 하부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회전각도는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볼홈(BH)의 각도만큼 간격 회전하고, 회전의 발동은 볼홈(BH)으로부터 볼(BO)이 등반할 수 있을 정도로 탄성부재(SP)를 이길 수 있는 외력을 휴대폰안착패드(B)에 가할 때 작동된다.
이렇게 하면, 휴대폰안착패드(B)에 안착 된 휴대폰(HP)의 평면상 방향각도를 쉽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조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더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회전장치(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A1)의 삽입홈(A11) 끝단과 연결축부(A2)의 삽입돌기(A21) 끝단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원판(A3); 상기 연결축부(A2)의 삽입돌기(A21)와 마주하는 면에 연결축부(A2)의 볼(BO)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볼홈(BH); 상기 회전원판(A3)과 맞닿는 연결축부(A2)의 삽입돌기(A21) 끝단면에 동심원상으로 등간격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A22); 상기 연결축부(A2)의 걸림돌기(A22)와 맞닿는 회전원판(A3)에 걸림돌기(A22)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홈(A32); 상기 연결체(A1)의 내부로부터 연결축부(A2)의 삽입돌기(A21) 끝단면에 맞닿도록 삽입되는 결합내관(A4); 상기 연결축부(A2)의 삽입돌기(A21) 끝단면과 맞닿는 면의 결합내관(A4)에 동심원상으로 등간격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A22); 상기 결합내관(A4)의 걸림돌기(A22)와 맞닿는 결합내관(A4)에 걸림돌기(A22)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홈(A32); 상기 연결체(A1)의 삽입홈(A11) 상부 외주면을 따라 함몰형성되는 회전홈(A13); 상기 연결축부(A2)의 삽입돌기(A21) 상부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A23); 상기 결합내관(A4)의 내부로부터 연결축부(A2)의 내부로 체결되는 체결축(BT);을 포함하여 각도 회전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체결축(BT)에 의해 연결체(A1)와 연결축부(A2)가 축간 결합되면서 회전되도록 한 것이고, 회전시 회전원판(A3), 결합내관(A4), 체결축(BT)이 연결축부(A2)에 일체로 고정되어 연결체(A1)로부터 회전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회전원판(A3)과 결합내관(A4)은 걸림돌기(A22)와 걸림홈(A32)에 의해 연결축부(A2)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회전홈(A13)과 걸림턱(A23)은 연결체(A1)로부터 연결축부(A2)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회전원판(A3)에 의해 볼(BO)이 볼홈(BH)을 가압하는 깊이가 낮아지므로 각도 회전을 더욱더 부드럽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볼홈(BH)의 마모속도를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결합내관(A4)을 채용하여 연결체(A1)로부터 연결축부(A2)를 밀착하여 탈락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결합내관(A4)의 내부로부터 체결축(BT)을 이용하여 연결체(A1)로부터 타축 축부를 축간 결합함으로써 연결체(A1)와 연결축부(A2)의 축간 결합이 용이함은 물론 축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회전홈(A13)과 걸림턱(A23)을 채용하여 회전의 한계를 제한함으로써 휴대폰 거치대에 적용하여 사용시 전원케이블의 꼬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4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HP); 상기 휴대폰(HP)의 후면에 씌워지는 휴대폰커버(HC); 상기 휴대폰커버(HC)을 안착되도록 하는 휴대폰안착패드(B); 장착대상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장착부(E);포함하고, 상기 휴대폰안착패드(B)의 저부와 장착부(E)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장착부(E)로부터 휴대폰안착패드(B)에 안착되는 휴대폰(HP)의 바라보는 면의 평면각도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각도회전장치(A);를 포함하는 것을 근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과 휴대폰커버(HC)의 후면에 설치되어 휴대폰안착패드(B)로부터 휴대폰커버(HC)를 착탈되도록 하는 휴대폰착탈부(C); 상기 휴대폰안착패드(B)와 장착부(E) 사이에 설치되어 휴대폰(HP)을 바라보는 면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관절부(D); 상기 휴대폰안착패드(B)와 장착부(E) 사이에 설치되어 장착부(E)로부터 상위 그룹을 착탈되도록 하는 거치대착탈부(F); 상기 휴대폰안착패드(B)의 하부 어느 한 곳으로부터 연결설치되어 휴대폰안착패드(B)에 안착된 휴대폰(HP)의 전방을 가리게 하는 바람막이판(G); 상기 바람막이판(G)를 바람막이판(G)이 장착되는 부분으로부터 착탈되게 하는 바람막이착탈부(H);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구성은 오토바이, 자전거, 킥보드 등과 같은 오픈형 이동수단과 같은 장착대상물에 거치대가 설치되는 경우 모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 책상 등과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 거치대착탈부(F), 바람막이판(G)을 배제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관절부(D)만 포함되는 구성으로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선택적 구성을 모두 포함하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HP); 상기 휴대폰(HP)의 후면에 씌워지는 휴대폰커버(HC); 상기 휴대폰커버(HC)을 안착되도록 하는 휴대폰안착패드(B); 상기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과 휴대폰커버(HC)의 후면에 설치되어 휴대폰안착패드(B)로부터 휴대폰커버(HC)를 착탈되도록 하는 휴대폰착탈부(C); 상기 휴대폰안착패드(B)의 하부와 관절부(D)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휴대폰(HP)을 바라보는 면의 평면각도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각도회전장치(A); 상기 각도회전장치(A)의 하부와 장착부(E)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휴대폰(HP)을 바라보는 면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관절부(D); 상기 관절부(D)의 하부와 장착부(E)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장착부(E)로부터 상위 그룹을 착탈되도록 설치되는 거치대 착탈장치(F); 상기 거치대 착탈장치(F)의 하부로부터 연결설치되어 장착대상물에 고정되도록 하는 장착부(E); 상기 각도회전장치(A)의 전방으로 연결설치되어 휴대폰안착패드(B)에 안착된 휴대폰(HP)의 전방을 가리게 하는 바람막이판(G); 상기 바람막이판(G)의 하부 끝단과 각도회전장치(A) 사이에 설치되어 바람막이판(G)을 착탈되게 하는 바람막이착탈부(H);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장착대상물로부터 휴대폰(HP)을 거치한 상태에서 휴대폰착탈장치(C)에 의해 휴대폰안착패드(B)로부터 휴대폰(HP)의 착탈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각도회전장치(A)에 의해 휴대폰(HP)을 바라보는 평면상의 방향각도를 쉽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관절부(D)에 의해 휴대폰(HP)의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장착부(E)에 의해 장착대상물로부터 거치대의 장착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바람막이판(G)에 의해 자전거, 오토바이, 킥보드와 같은 각종 오픈형 이동수단의 경우 주행중 바람에 의해 휴대폰착탈부(C)로부터 휴대폰(HP)에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바람막이착탈부(H)에 의해 오픈형 이동수단 외의 차량, 책상 등과 같은 고정형 구조물의 사용시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고, 거치대 착탈장치(F)에 의해 보안이 취약한 야외에 주차된 오픈형 이동수단의 장착대상물로부터 장착부(D) 상위 그룹의 거치대를 분리시켜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치대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10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폰안착패드(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커버(HC)에 결합 된 휴대폰(HP)을 충전할 수 있게 하는 무선충전모듈(B1); 동절기 휴대폰(HP)을 따듯하게 데워질 수 있게 하는 히팅모듈(B2); 또는 하절기 휴대폰(HP)을 차갑게 식혀줄 수 있게 하는 냉각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무선충전모듈(B1)은 장착대상물이 차량, 오토바이, 킥보드 등과 같이 전력이 공급되는 대상물일 경우, 그 대상물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케이블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자전거, 책상 등과 같이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대상물일 경우 내부에 배터리를 매립하여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휴대폰(HP)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무선충전모듈(B1)은 통상의 무선충전패드에 적용된 구성을 탑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팅모듈(B2)은 내부에 열선이 매립되어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패드를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냉각모듈은 송풍팬으로 이루어지거나, 냉매가 채워진 패드로 이루어지거나, 전력에 의해 냉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모듈(B2), 냉각모듈, 무선충전모듈(B1)의 구동은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안착패드(B)의 후면에 형성되는 버튼(B3)으로 통해 작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자전거, 킥보드, 특히 오토바이와 같은 오픈형 이동수단에 거치대를 장착하였을 경우, 거치대에 휴대폰(HP)을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할 수 있음은 물론 동절기에 주변온도에 의해 휴대폰(HP)이 급격히 냉각되어 휴대폰(HP)의 배터리가 급격하게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하절기 주변온도에 의해 휴대폰(HP)이 과열되어 이상현상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히팅모듈(B2) 또는 냉각모듈은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으로부터 착탈되는 착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착돌기(A1); 상기 안착돌기(A1)로부터 측면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된 수납홈(B4); 상기 수납홈(B4)을 따라 삽입되는 히팅모듈(B2) 또는 냉각모듈 하단의 이송돌기(B5); 상기 이송돌기(B5)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쇠홈(B6); 상기 수납홈(B4)의 안쪽 내부로부터 걸쇠홈(B6)을 걸려지게 하는 걸쇠(B7); 상기 수납홈(B4)의 안쪽 내부로부터 히팅모듈(B2) 또는 냉각모듈의 이탈을 안내하는 탄성부재(SP); 상기 수납홈(B4)의 안쪽 내부로부터 히팅모듈(B2) 또는 냉각모듈과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공급단자(B8); 상기 전원연결단자(B9)와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히팅모듈(B2) 또는 냉각모듈의 전원연결단자(B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히팅모듈(B2) 또는 냉각모듈을 수납홈(B4)을 따라 안쪽까지 슬라이딩 시키면 걸쇠홈(B6)이 걸쇠(B7)에 걸려지면서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전원연결단자(B9)가 전원공급단자(B8)와 연결되면서 히팅모듈(B2)의 작동이 가능하며, 이탈시에는 히팅모듈(B2) 또는 냉각모듈을 수납홈(B4)의 안쪽으로 밀었다가 놓으면 걸쇠(B7)가 걸쇠홈(H4)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탄성부재(SP)가 히팅모듈(B2)을 바깥으로 밀어내어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히팅모듈(B2) 또는 냉각모듈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동절기와 하절기에 둘을 번갈아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14 내지 도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폰착탈부(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안착돌기(C1); 휴대폰(HP)의 후면에 씌워지는 휴대폰커버(HC)의 저면에 형성되어 안착돌기(C1)에 삽입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안착홈(C2); 상기 안착돌기(C1)의 내측 상면 또는 외주변에 매립되는 강자성체(C3); 상기 안착홈(C2)의 내측 저면 또는 외주변에 매립되어 강자성체(C3)와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C4);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C1)는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으로부터 평면상 사각형태로 돌출되고, 그 사각의 중간이 상부로 원호형태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홈(C2)은 휴대폰커버(HC)의 저면으로부터 안착돌기(C1)와 대응되는 형태가 함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휴대폰커버(HC)를 휴대폰안착패드(B)로 접근시키면 자력에 의해 부착되고, 사각형태의 안착돌기(C1)와 안착홈(C2)의 결합에 의해 안착 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안착 된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발명의 효과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자력에 의해 휴대폰(HP)이 휴대폰안착패드(B)에 근접시키면 부착되고, 자력을 이기는 외력에 의해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폰 거치대에 거치 된 휴대폰(HP)을 원터치방식으로 쉽고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각형태의 안착돌기(C1)와 안착홈(C2)의 결합에 의해 안착 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안착 된 방향이 틀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돌기(C1)는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으로부터 평면상 사각형태로 돌출되고, 그 사각의 중간이 상부로 원호형태로 돌출되되, 그 원호의 하측이 내측으로 함몰된 걸림돌기(C5);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C2)은 안착돌기(C1)와 대응되는 형태로 휴대폰커버(HC)의 저면에 함몰형성되되, 원호의 상측이 내측으로 함몰된 걸림돌기(C5);로 형성되며, 안착홈(C2)의 후측은 안착돌기(C1)보다 연장되는 유격(UG)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휴대폰안착패드(B)로부터 휴대폰(HP)을 근접시키면 자력에 의해 안착홈(C2)이 안착돌기(C1)에 삽입되면서 강자성체(C3)와 자석(C4)의 위치 그리고 유격(UG)에 의해 안착돌기(C1)와 안착홈(C2)의 걸림돌기(C5)가 상호 간에 걸려져 결합되는 방식으로 부착되고,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유격(UG)을 이용하여 휴대폰안착패드(B)로부터 휴대폰(HP)을 걸림돌기(C5)가 있는 상부로 슬라이드시켜 안착돌기(C1)와 안착홈(C2)의 걸림돌기(C5)를 상호 간에 이탈시킨 후 들어내는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휴대폰(HP)을 휴대폰안착패드(B)에 근접시키면 자력에 의해 휴대폰(HP)을 끌어당기면서 안착돌기(C1)에 안착홈(C2)의 걸림돌기(C5)가 상호 간에 걸림결합됨으로써 결합이 견고해짐은 물론 휴대폰(HP)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별한 분리동작으로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리동작을 모르는 타인에 의한 휴대폰(HP)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돌기(C1)는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으로부터 평면상 원형형태로 돌출되고, 그 원형의 상하가 수평으로 절개되며, 그 수평의 중간이 상하로 원형보다 내측으로 들여지게 원호형태로 돌출되면서, 그 원호의 하측이 내측으로 함몰된 걸림돌기(C5);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C2)은 휴대폰커버(HC)의 저면으로부터 평면상 원형형태로 함몰되고, 그 원형의 상하가 원형보다 내측으로 들여지게 원호형태로 돌출되면서, 그 원호의 상측이 내측으로 함몰된 걸림돌기(C5);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안착홈(C2)의 원호부분을 안착돌기(C1)의 절개공간 사이로 삽입되도록 휴대폰안착패드(B)로부터 휴대폰(HP)을 경사지게 근접시키면 자력에 의해 휴대폰(HP)이 회전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이와 동시에 안착돌기(C1)와 안착홈(C2)의 걸림돌기(C5)가 상호 간에 걸려져 결합되는 방식으로 부착되고,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휴대폰안착패드(B)로부터 휴대폰(HP)을 회전시켜 안착돌기(C1)와 안착홈(C2)의 걸림돌기(C5)를 상호 간에 이탈시킨 후 들어내는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휴대폰(HP)을 휴대폰안착패드(B)에 경사형태로 근접시키면 자력에 의해 휴대폰(HP)을 끌어당기면서 안착돌기(C1)와 안착홈(C2)이 결합됨과 동시에 자력에 의해 휴대폰(HP)이 회전하면서 안착돌기(C1)와 안착홈(C2)의 걸림돌기(C5)가 상호 간에 걸림결합됨으로써 결합이 견고해짐은 물론 휴대폰(HP)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폰(HP)을 부착시키는 방식과 분리시키는 방식이 복잡해지므로 타인에 의한 휴대폰(HP)의 도난을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돌기(C1)는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으로부터 평면상 사각형태로 돌출되고, 그 사각의 중간이 상부로 원호형태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홈(C2)은 휴대폰커버(HC)의 저면으로부터 안착돌기(C1)와 대응되는 형태가 함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안착돌기(C1)의 원호 양측의 수평부분으로부터 탄성지게 돌출되는 탄성돌기(C6); 상기 탄성돌기(C6)가 삽입되도록 안착홈(C2)의 원호 양측의 수평부분으로부터 내부로 함몰되는 돌기홈(C7);를 구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탄성돌기(C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돌기(C1)의 내부로부터 탄성부재(SP)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지게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휴대폰안착패드(B)로부터 휴대폰(HP)을 근접시키면 자력에 의해 안착홈(C2)이 안착돌기(C1)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탄성돌기(C6)가 돌기홈(C7)에 "딸깍"하고 상호 간에 견고하게 걸림결합되어 부착되고,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휴대폰(HP)의 안착홈(C2) 하부 측을 먼저 살짝 위로 들어올린 다음 그러한 상태에서 안착홈(C2)의 상부 측으로 휴대폰커버(HC)를 슬라이드 시키면 탄성돌기(C6)로부터 돌기홈(C7)이 이탈되어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휴대폰(HP)을 휴대폰안착패드(B)에 근접시키면 자력에 의해 휴대폰(HP)을 끌어당겨 안착돌기(C1)에 안착홈(C2)에 안착됨과 동시에 탄성돌기(C6)가 돌기홈(C7)에 결합되어 원터치로 휴대폰(HP)을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탄성돌기(C6)와 돌기홈(C7)의 결합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별한 분리동작으로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리동작을 모르는 타인에 의한 휴대폰(HP)의 도난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돌기(C1)는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으로부터 평면상 사각형태로 돌출되고, 그 사각의 중간이 상부와 하부로 원호형태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홈(C2)은 휴대폰커버(HC)의 저면으로부터 안착돌기(C1)와 대응되는 형태가 함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강자성체(C3)와 자석(C4)이 제거하고, 그 대신 상기 안착돌기(C1)를 상하로 분할하며, 상부 안착돌기(C1)는 휴대폰안착패드(B)에 고정하되, 하부 안착돌기(C1)는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안착돌기(C1) 방향으로 탄성 슬라이딩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안착돌기(C1)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상부로 탄성지게 돌출되는 탄성돌기(C6); 상기 상부와 하부 안착돌기(C1)의 원호 양측 수평부분으로부터 탄성지게 돌출되는 탄성돌기(C6); 상기 상부와 하부 안착돌기(C1)의 탄성돌기(C6)가 삽입되도록 안착홈(C2) 상하의 원호 양측 수평부분으로부터 내부로 함몰되는 돌기홈(C7);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탄성 슬라이딩은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안착패드(B)의 상면에 레일(RA)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안착돌기(C1)의 저면에 레일홈(RH)을 형성하여 슬라이딩시킬 수 있으며, 레일홈(RH)의 끝단에 스토퍼(ST)를 채용하여 슬라이딩 범위를 단속시키고, 상부 안착돌기(C1)와 하부 안착돌기(C1) 사이에 탄성부재(SP)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탄성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안착돌기(C1)에 안착홈(C2)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밀어 넣으면 하부 안착돌기(C1)가 상부 안착돌기(C1)로 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하의 탄성돌기(C6)가 돌기홈(C7)에 "딸깍"하고 걸림결합되면서 견고하게 부착되고, 분리할 때에는 휴대폰(HP)를 먼저 상부로 슬라이딩시켜 상부 안착돌기(C1)의 탄성돌기(C6)로부터 돌기홈(C7)을 이탈시킨 후, 휴대폰(HP)의 상부 측을 살짝 위로 들어올린 다음, 다시 휴대폰(HP)을 하부로 슬라이딩시켜 하부 안착돌기(C1)의 탄성돌기(C6)로부터 돌기홈(C7)을 이탈시키는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자석에 의존하지 않고도 휴대폰(HP)을 쉽게 착탈시킬 수 있고, 원터치로 휴대폰(HP)을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탄성돌기(C6)와 돌기홈(C7)의 결합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분리동작이 더욱더 복잡하여 분리동작을 모르는 타인에 의한 휴대폰(HP)의 도난을 더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23 내지 도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관절부(D)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회전부(A)의 연결체(A1)와 연결결합되는 연결판(D11)의 저부에 볼(BO)이 형성된 상부관절체(D1); 장착부(E)의 상부와 연결결합되는 삽입판(D12)의 상부에 볼(BO)이 형성된 하부관절체(D2); 상기 상부관절체(D1)와 하부관절체(D2)의 볼(BO)과 결합되는 볼홈(BH)이 상하에 형성되어 상부관절체(D1)와 하부관절체(D2)의 볼(BO)을 양측에서 감싼 채 가압하는 한 쌍의 조임판(D3); 상기 한 쌍의 조임판(D3)을 횡 방향에서 조임 결합하는 레버(LV); 상기 한 쌍의 조임판(D3) 사이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개재되는 탄성부재(SP);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볼(BO)과 볼홈(BH)을 이용하여 관절을 구성한 것이고, 상하에 볼(BO)이 구성된 이중 관절로 이루어지며, 그 볼(BO)을 레버(LV)의 조임력에 의해 한 쌍의 조임판(D3)이 압박함으로써 관절을 고정 및 풀어서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고, 탄성부재(SP)에 의해 풀림과 조임이 부드러워지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볼(BO)을 채용함으로써 관절의 경사각도를 동심원상으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하 이중 관절로 구성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레버(LV)의 조임력과 탄성부재(SP)의 탄성력에 의해 클램핑됨으로써 경사각도의 조정이 쉽고 편리하면 방향각의 조정이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레버(LV)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BT)를 포함하고, 그 체결구(BT)는 연결판(D11)의 외면에 체결구삽입홈(TH)을 형성하여 레버(LV)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볼홈(BH)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원을 따라 형성되는 방사형태로 돌출되는 요철(BC)을 포함하고, 이렇게 하면 요철(BC)에 의해 볼홈(BH)으로부터 볼(BO)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파지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각도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에서 관절부(D)가 하나의 관절부(D)를 채용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관절부(D)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관절부(D)가 여러 개 연결하여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관절의 수가 많아지므로 방향각의 조정이 더욱더 자유로워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25 내지 도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대착탈부(F)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부(D)의 하부관절체(D2)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원판(D21); 상기 삽입원판(D21)의 외주면을 따라 동심원으로 등간격 돌출되는 다수의 착탈돌기(F1); 상기 삽입원판(D21)이 삽입되는 장착부(E) 상부의 삽입관체(F2); 상기 삽입관체(F2)의 상단에 착탈돌기(F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착탈홈(F3); 상기 삽입관체(F2)의 착탈홈(F3) 저부로부터 일측의 동심원으로 따라 일정간격 함몰형성되는 피난홈(F4); 상기 삽입관체(F2)의 내부에 삽입되어 착탈홈(F3)의 하부에서 상부로 탄지되는 탄지판(F5);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탄지판(F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체(F2)의 하부으로부터 피난홈(F4)을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 되도록 내부에 삽입되고, 삽입관체(F2)의 하단에 체결구(BT)를 이용하여 고정판(F6)이 결합되며, 고정판(F6)과 탄지판(F5) 사이에 탄성부재(SP)를 삽입하여 상부로 탄지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착탈돌기(F1)를 착탈홈(F3)으로 수직 하강하여 삽입한 상태에서 피난홈(F4) 측으로 회전시키면 착탈돌기(F1)가 피난홈(F4)에 걸림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되고, 분리 시에는 다시 역동작을 취함으로써 분리되도록 한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장착부(E)로부터 거치대 상위 그룹의 결합과 분리가 쉽고 간편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착탈부(F)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돌기(F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돌기(F7); 상기 피난홈(F4)으로부터 상부로 함몰되어 돌기(F7)가 결합되도록 한 돌기홈(F8);을 더 포함 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걸쇠(B7)와 걸쇠홈(B6)이 채용될 때에는 착탈돌기(F1)가 피난홈(F4)에 위치할 때 상호 간에 결합되어 착탈돌기(F1)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을 방지되게 함과 아울러 분리 시 착탈돌기(F1)를 다시 눌러 걸쇠홈(B6)으로부터 걸쇠(B7)를 이탈시킨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야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일측 몸체가 타측 몸체에 결합 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분리동작을 더 어려워지게 함으로써 분리동작을 모르는 타인에 의한 장착부(E) 상위 그룹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29 내지 도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부(E)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착탈부(F)의 고정판(F6) 하부와 연결되어 장착대상물에 장착되는 장착판(E1); 그 장착판(E1)에 결합되는 U볼트(E2); 또는 그 장착판(E1)의 상부에 결합되는 체결구고정판(E3); 그 체결구고정판(E3)의 내부 체결구삽입홈(TH)으로부터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구(BT);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체결구고정판(E3)은 체결구(BT)를 이용하여 저부로부터 고정판(F6)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장착판(E1)은 체결구(BT)를 이용하여 저부로부터 체결구고정판(E3)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체결구(BT)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장착판(E1)과 U볼트(E2)를 제거하고 사용하면 되고, 반대로 U볼트(E2)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체결구고정판(E3)으로부터 체결구(BT)를 제거하고 사용하면 된다.
상기한 U볼트(E2)의 경우는 자전거, 오토바이, 킥보드 등의 핸들 파이프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체결구(BT)와 같은 경우 오토바이 손잡이부의 브레이크마스터실린더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장착부(E)는 장착판(E1)의 저부에 삼발대, 집게, CD판 등이 결합될 수 있고, 삼발대와 같은 경우, 바닥이나 책상 등에 놓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집게와 같은 경우 책상과 같은 각종 판재에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CD판과 같은 경우, 차량의 CD플레이어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접착패드가 부가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대상물에 고정 시킬 수 있다.
이하, 도31 내지 도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바람막이판(G)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회전장치(A)의 연결체(A1)로부터 휴대폰안착패드(B)에 안착 된 휴대폰(HP)의 전방을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람막이착탈부(H)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막이판(G)의 하부 끝단에 각도회전장치(A)의 연결체(A1)에 삽입되는 끼움홈(H1); 그 끼움홈(H1)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연결체(A1)의 전방 주변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홈(H3);을 포함하고, 그 끼움홈(H1)의 전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턱(H2); 그 절개홈(H3)의 전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어 걸턱(H2)을 걸려지게 하는 걸턱홈(H4);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연결체(A1)의 둘레를 전방으로 절개하고, 그렇게 절개된 절개홈(H3)으로부터 바람막이판(G)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끼움홈(H1)을 형성함으로써 연결체(A1)에 바람막이판(G)이 상하좌우로 견고하게 끼움 고정되고, 그렇게 끼움 고정된 연결체(A1)의 전방에 걸턱(H2)과 걸턱홈(H4)으로 걸림결합함으로써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분리 시에는 바람막이판(G)을 전방으로 당겨내면 걸턱(H2)이 걸턱(H2) 좌우의 홈에 의해 탄성지게 휘어지면서 걸턱홈(H4)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바람막이판(G)을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으며, 착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넓은 권리를 갖는 청구항부터 순서를 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 및 하술 될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휴대폰(HP)을 안착시킬 수 있는 휴대폰안착패드(B)에 회전 외력을 가하면 동심원상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간격 회전하고, 그렇게 간격 회전된 각도에서 회전 외력을 놓으면 회전된 각도에서 자동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회전수단;이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회전수단은, 상단에 삽입홈(A11)을 가진 연결체(A1); 상기 연결체(A1)의 삽입홈(A1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A21)가 휴대폰안착패드(B)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연결체(A1)로부터 회전되도록 결합한 연결축부(A2); 상기 연결축부(A2)의 삽입돌기(A21) 끝단면과 마주보는 연결체(A1)의 삽입홈(A11) 끝단면에 동심원상으로 등간격 형성되는 다수의 볼홈(BH); 상기 연결체(A1)의 삽입홈(A11) 끝단면과 마주보는 연결축부(A2)의 삽입돌기(A21) 끝단면 내부로부터 볼홈(BH)에 삽입되도록 탄성부재(SP)로 탄지되는 다수의 볼(B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98635A 2022-08-08 2022-08-08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KR102495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635A KR102495120B1 (ko) 2022-08-08 2022-08-08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635A KR102495120B1 (ko) 2022-08-08 2022-08-08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120B1 true KR102495120B1 (ko) 2023-02-06

Family

ID=8522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635A KR102495120B1 (ko) 2022-08-08 2022-08-08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1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8382A (ja) * 2004-04-30 2005-11-10 Masaki Kishida 携帯電話ホルダー
KR20180060460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티티알 자전거 거치기능을 갖는 셀카봉
JP2018157353A (ja) * 2017-03-17 2018-10-04 弘幸 前田 電子機器ホルダー
KR102196015B1 (ko) *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20210126526A (ko) 2021-09-30 2021-10-20 장종현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8382A (ja) * 2004-04-30 2005-11-10 Masaki Kishida 携帯電話ホルダー
KR20180060460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티티알 자전거 거치기능을 갖는 셀카봉
JP2018157353A (ja) * 2017-03-17 2018-10-04 弘幸 前田 電子機器ホルダー
KR102196015B1 (ko) *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20210126526A (ko) 2021-09-30 2021-10-20 장종현 휴대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127B1 (ko) 휴대폰 거치대의 거치대 착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TWI357865B (en) A swift pluggable and lockable battery structure
JP3166805U (ja) 電動車用電池パックの位置決め構造
US20190198212A1 (en) Personal electronic device case and mounting system
US7518337B2 (en) Retention of inductively rechargeable devices on an inductive charger
JP5364788B2 (ja) 磁性支持部材が設けられた固定装置を有する携帯用電子機器支持用装置
TW201330410A (zh) 充電連接器用夾持具及利用此夾持具之充電控制裝置
WO2020067604A1 (en) Detachable ring holder, compatible with wireless charging, for smartphone
US7270208B2 (en) Battery carrier sliding device of an electrical wheel chair
KR102495120B1 (ko)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각도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CN101626668A (zh) 电子设备组件及其固定装置
KR102495123B1 (ko)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 착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KR102495129B1 (ko)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안착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CN215528673U (zh) 一种带灯背夹旅充
US20150069961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208348835U (zh) 吸附手机用按压式真空吸盘
KR102093261B1 (ko) 휴대용 코드릴 어셈블리
CN208461874U (zh) 手机支架底座
CN217804347U (zh) 一种用于连接新能源汽车充电的充电设备
US20070236172A1 (en) Electrical device
CN205882858U (zh) 一种磁吸固定式抗震动无线充电器
JP2002284061A (ja) 自転車等へ装着するための取付具を備えた照明器具
CN211377646U (zh) 一种具有快速拼接机构的便携式无线充电器
CN217575439U (zh) 一种易拆装的自行车灯
CN216383161U (zh) 一种用于承托投影模组和手机的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