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499B1 - 휴대용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499B1
KR102583499B1 KR1020170020723A KR20170020723A KR102583499B1 KR 102583499 B1 KR102583499 B1 KR 102583499B1 KR 1020170020723 A KR1020170020723 A KR 1020170020723A KR 20170020723 A KR20170020723 A KR 20170020723A KR 102583499 B1 KR102583499 B1 KR 102583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bud
housing
main body
cable
audio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669A (ko
Inventor
오현석
김동현
최윤진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149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28299A1/en
Priority to US15/861,366 priority patent/US10491983B2/en
Publication of KR20180080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사용자의 몸에 착용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일측은 막히고 타측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이어버드 홀더;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이어버드 홀더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이어버드; 및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위치하는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버드는 일측에 음향홀이 위치하는 이어버드 하우징; 상기 음향홀에 결합하며 상기 이어버드가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결합시 상기 이어버드 홀더 내부에 위치하는 이어팁;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음향홀을 통해 소리를 출력하는 리시버; 및 상기 제1 자석과 반대극을 가지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는 이어팁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어팁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PORTABLE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에 거는 본체에 수납 가능한 이어버드를 구비한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는 본체를 구비한 휴대용 음향기기는 귀에 삽입하는 이어버드를 본체에 탈착하여 휴대성을 높인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다만, 본체와 이어버드를 연결하는 음향 케이블이 걸리적 거리거나, 이어버드의 이어팁이 노출된 상태로 휴대하게 되어 이어팁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어팁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음향 케이블이 본체에 밀착되어 음향 케이블이 손이나 옷 등이 걸려서 이어버드가 이어버드 홀더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자의 몸에 착용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일측은 막히고 타측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이어버드 홀더;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이어버드 홀더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이어버드; 및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위치하는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버드는 일측에 음향홀이 위치하는 이어버드 하우징; 상기 음향홀에 결합하며 상기 이어버드가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결합시 상기 이어버드 홀더 내부에 위치하는 이어팁;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음향홀을 통해 소리를 출력하는 리시버; 및 상기 제1 자석과 반대극을 가지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본체를 사용자가 착용시 상기 이어버드 홀더의 개구부에 인접한 둘레의 하측방향에 1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본체를 사용자가 착용시 상기 이어버드 홀더의 개구부에 인접한 둘레의 상측과 하측방향에 각각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어버드 홀더는 상기 본체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단면은 상하방향의 길이가 좌우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은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하는면의 모서리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가능하고, 제1면은 사용자의 몸에 닿으며, 일단은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제1 면에 연결되는 음향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케이블은 상기 제2 자석과 직각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제1 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요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케이블의 타단은 상기 요홈에 위치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케이블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결합하며, 상기 음향 케이블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케이블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 클립은 상기 본체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본체의 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링 형상의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링에서 상기 본체의 제1 면 방향으로 인입되며 상기 음향 케이블이 관통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가 형성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 개방되어 C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목 뒤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 클립이 결합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음향 케이블의 타단이 결합된 한 쌍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사용자의 목 뒤에 위치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단부에 결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돌출된 슬라이드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와 접하는 슬라이드 후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브라켓에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밴드부에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된 신호라인;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라인의 둘레를 감싸는 방수링을 더 포함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는 이어팁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어팁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음향 케이블이 하우징과 케이블 클립 사이 부분이 본체에 밀착되어 음향 케이블에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하우징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버드 홀더에 결합된 이어버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 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버드 홀더의 제1 자석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C-C단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버드의 제2 자석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극에 따라 이어버드를 이어버드 홀더에 결합시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 및 종래의 이어버드가 이어버드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하우징에 결합된 음향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D-D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브라켓과 하우징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하우징 내부의 신호라인에 끼워진 방수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2의 F-F단면도로,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하우징에 위치하는 버튼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제어부(380), 무선통신부(385), 음향출력부(340), 센싱부(375), 마이크(360), 사용자 입력부(370) 및 전원공급부(390)를 포함한다.
음향출력부(340)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버드(341)가 있다.
마이크(3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3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375)는 휴대용 음향기기(3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는 장치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이어버드(ear bud)(341) 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어버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통화/재생 버튼(371),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 전원 버튼 및 음향 케이블(345)을 하우징(320)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버튼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의 개수는 통화 버튼, 한 쌍의 음량조절 버튼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외에 play/stop 버튼, 곡 순서 변경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직접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의 개수가 많으면 각 버튼의 기능을 구분하기 힘들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 능한 제어명령을 확대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분실 위험이 적으나, 통상의 단말기는 분실하는 경우가 있어, 2개의 사용자 입력부(370)를 동시에 일정시간 누르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의 알람을 울려 잃어버린 단말기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의 음성녹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마이크(360)를 통해 수집된 음성을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통화와 관련된 기능 또는 사운드 미디어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 휴대용 음향기기(300)로 제어 가능했으나,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그 제어범위가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본체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C자 형상을 이루며, 밴드부(310)와 하우징(320)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310)는 사용자의 목 뒤에 위치하고 형상이 변화가능한 탄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목에 착용하기 위해 밴드부(310)의 곡률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밴드부(310)의 양단에 결합하는 하우징(320) 사이의 신호 및 전력 전달을 위해 신호라인이 상기 밴드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밴드부(310)의 양단에 결합하는 하우징(320)은 양측에 대칭적인 형상을 위해 밴드부(310)의 양단에 결합한 형태로 한 쌍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하우징(320)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은 양 측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측의 하우징(320)에는 전력 공급부(390)가 실장되고 타측의 하우징(320)에는 메인기판(381)과 무선통신부(385)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하우징(320)에서 사용자의 몸에 닿는 부분을 하부 그 반대로 사용자가 착용시 상측을 향하며 몸과 닿지 않는 부분을 상부, 그리고 상하방향에 수직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한다.
도 3은 상기 하우징(320) 및 그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로, 메인기판(381), 배터리, 무선통신부 등 각종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0)은 강성이 있는 소재(예를 들면 사출물이나 금속재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321)과 하부 하우징(322)이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320)의 외측에 노출되는 사용자 입력부(370)는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제어하거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연결된 외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는 눌러서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 타입, 밀어서 신호를 입력하는 슬라이드 타입, 또는 ON/OFF와 같이 2가지 상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 타입,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휠 타입 등 중 채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 또는 중단하거나 전화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부(371)는 눌러서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 타입을 이용하고, 음량 조절을 위한 제2 사용자 입력부(372)는 밀어서 신호를 입력하는 슬라이드 타입을 이용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21)과 하부 하우징(322) 이외에 이어버드(341)가 결합되는 이어버드 홀더(325)에 상응하는 홀더 하우징(32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 하우징(3251)은 그릇과 같이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일측은 막히고 타측은 개방된 형태이다. 홀더 하우징(3251)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홀더 하우징(3251) 내부로 이어버드(341)가 삽입되어 본체에 이어버드(341)를 수납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된 이어버드(341)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 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이어버드 홀더(325)의 제1 자석(3253)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2의 C-C단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이어버드(341)의 제2 자석(3413)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홀더 하우징(3251)이 하우징(320) 에서 빠지지 않도록 홀더 하우징(320) 을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320) 내측면에 돌출된 제1 걸림돌기(3202)와 제1 걸림돌기(3202)에 걸려 하우징(320)에서 빠지지 않도록 홀더 하우징(3251)을 고정하는 제2 걸림돌기(3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돌기(3202)는 상부 하우징(321)과 하부 하우징(322)에 모두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개가 홀더 하우징(325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어버드(341)는 원기둥 형상의 이어버드 하우징(3411)과 그 내부에 실장되는 리시버(3415)를 포함한다. 상기 리시버(3415)에서 출력된 음은 이어버드 하우징(341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음향홀(3412)을 통해 출력되며 음향홀(34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이 있는 이어팁(3417)이 끼워질 수 있다.
이어버드 하우징(3411)의 타측은 도 4와 같이 막혀져 있으며, 이어버드 홀더(325)에 이어버드(341)가 결합되었을 때 외측으로 노출되어 하우징(320)과 함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어팁(3417)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에 삽입 시 이어버드(341)를 사용자의 귀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어팁(3417)은 교체가능하여 사용자의 귀 사이즈에 맞추어 교체하거나 오염이 되었을 경우 교체할 수 있다. 이어팁(3417)은 교체 가능하더라도 사용자의 몸에 직접 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어팁(3417)의 오염을 최소화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어버드(341)는 이어버드 홀더(325)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팁(3417)이 이어버드 홀더(325)에 완전히 인입되고 이어버드 하우징(3411)의 타단이 이어버드 홀더(325)의 입구부분을 커버하며 외부로 노출된다.
종래의 이어버드(341)는 이어팁(3417) 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하였으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이어팁(3417)에 묻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은 이어팁(3417)이 이어버드 홀더(325) 내부로 인입되도록 결합된다.
종래에는 이어버드 하우징(3411)의 타측이 이어버드 홀더(325)의 내측으로 인입되므로, 이어버드 홀더(325)의 가장 내측에 제1 자석(3253)을 배치하고, 이어버드 하우징(3411)의 타측면에 상기 제1 자석(3253)과 반대극을 가지는 제2 자석(3413)을 배치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어버드 홀더(325)의 안쪽에 이어팁(3417)이 배치되므로 종래와 같은 위치에 자석이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자석(325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하우징(3251)의 개구부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할 수 있다.
도 4의 (a)와 같이 제2 자석(3413)이 이어버드 홀더(325)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거나, 도 4의 (b)와 같이 제2자석이 이어버드 홀더(325)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도 4의 (a)참조) 제2 자석(3413)은 제1 자석(3253)과 넓은 면적을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결합력이 더 우수하나 이어버드 홀더(325)의 크기가 더 커지게 되어 하우징(320)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반대로, 이어버드 홀더(325)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도 4의 (b)참조) 하우징(32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나, 제2 자석(3413)은 제1 자석(3253) 사이의 자성이 약해 이어버드(341)가 이어버드 홀더(325)에서 잘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제1 자석(3253)은 여러 개 구비하면 좋으나, 하우징(320)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도 5의 (a)와 같이 한 쌍을 구비하거나, 도 5의 (b)와 같이 하나만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320)의 크기를 최대한 키우지 않으면서 이어버드(341)와 이어버드 홀더(325)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3253)을 좌우 방향이 아닌 상하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착용시 하우징(320)의 상면이 보이기 때문에 상하방향의 두께가 두껍더라도 좌우방향의 너비가 얇으면 실제 부피보다 작아 보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1 자석(3253)은 좌우에 배치하지 않고 도 5의 (a)와 같이 상하 방향에 배치하거나 (b)와 같이 하측에만 배치할 수 있다.
하나만 구비한 경우 하측방향에 배치하는데 이는 이어버드(341)가 중력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치우치기 때문에 제1 자석(3253)이 상측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자석(3413)과 결합이 더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320)의 단면은 이어버드 홀더(325)의 원형보다 모서리 부분이 조금 더 돌출되어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자석이 실장되는 부분이 비교적 편평한 면이 되고, 하우징(320)의 좌우 부분에 위치하는 사용자 입력부가 실장되는 공간이 편평하므로 사용자 입력부의 실장공간 확보에 용이하고, 사용자가 누르기도 편리하다.
이어버드(341)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기 때문에 각이 지는 경우 착용이 불편할 수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이어버드 하우징(3411)을 가질 수 있다. 제2 자석(3413)은 제1자석(3253)과 결합을 위해 이어버드 하우징(3411)의 내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어버드 하우징(3411)의 둘레가 곡면을 가지기 때문에 직육면체의 제2 자석(3413)을 배치하면 도 6의 (b)와 같이 제2 자석(3413)의 두께(e2)가 얇아지고, 이어버드(341)의 외측면에서 부터 이격거리(d2)가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6의 (a)와 같이 제2 자석(3413)의 이어버드 하우징(3411)과 접하는 면의 모서리 부분을 잘라 완만한 각도를 형성하여 제2 자석(3413)의 두께(e1)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어버드(341) 외각으로부터 제2 자석(3413)까지의 거리(d1)를 줄여 제1 자석(3253)과 제2 자석(3413)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제2 자석(3413)은 제1 자석(3253)의 자성에 의해 결합하므로 제1 자석(3253)과 반대되는 극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1 자석(3253)이 N극의 자성을 가지면 제2 자석(3413)은 S극의 자성을 가지고, 제1 자석(3253)이 S극의 자성을 가지면 제2 자석(3413)은 N극의 자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제1 자석(3253)과 제2 자석(3413)의 극에 따라 이어버드(341)를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시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표로 도 7의 (a)는 도 5의 (a)와 같이 제1 자석(3253)이 2개인 경우이고, 도 7의 (b)는 도 5의 (b)와 같이 제1 자석(3253)이 1개인 경우 동작을 설명한다.
한 쌍의 제1 자석(3253)이 다른 극인 경우 제2 자석(3413)도 다른 극의 자석을 이용하고, 이 경우 N극인 제1 자석(3253)과 S극인 제2 자석(3413)이 인접하게 배치되면 이어버드(341)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하나, 180° 반대로 결합하면 이어버드 홀더(325)에서 이어버드(341)가 밀려나오게 된다. 즉 정방향으로만 결합이 가능하다.
한 쌍의 제1 자석(3253)이 같은 극(예를 들면 N극)이고 한 쌍의 제2 자석(3413)이 같은 극인 경우(예를 들면 S극) 이어버드(341)를 이어버드 홀더(325)에 정방향으로 결합하던 180도 뒤집어진 상태에서 결합하던 모두 결합된다.
종래에는 자석이 이어버드(341)의 음향홀(3412)의 반대편에 1개만 구비하여 방향성이 없었는데,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이어버드(341)는 2개의 자석을 구비하여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정방향에서 약간 비틀어진(예를 들면 45° 비스듬하게) 방향으로 이어버드(341)를 이어버드 홀더(325)에 삽입하면 자성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어버드 홀더(325)에 이어버드(341)가 결합한다.
제2 자석(3413)이 2개인 경우 제1 자석(3253)은 1개만 구비하더라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자석(3413)이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경우 제1 자석(3253)은 제2 자석(3413) 중 다른 극을 가지는 제2 자석(3413)만 당기므로, 정방향으로 결합하는 경우 이어버드(341)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되나, 180° 반대로 결합하면 이어버드 홀더(325)에서 이어버드(341)가 밀려나오게 된다. 즉 정방향으로만 결합이 가능하다.
한 쌍의 제2 자석(3413)이 같은 극을 가지는 경우 제1 자석(3253)은 한 쌍의 제2 자석(3413) 모두 결합 가능하므로 이어버드(341)를 180° 반대로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하더라도 이어버드(341)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한다. 즉, 제1 자석(3253)이 1개이던 2개이던 유사한 방식으로 이어버드(341)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 및 종래의 이어버드(341)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하우징(320)에 결합된 음향 케이블(345)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2의 D-D의 단면도이다.
음향 케이블(345)의 일단은 이어버드(341)에 결합하고, 타단은 본체의 하우징(320)에 연결된다. 즉, 이어버드(341)는 음향 케이블(345)을 통해 하우징(320) 내부에 위치하는 메인기판(381)과 전기적 연결되어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를 출력한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의 (b)는 종래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도시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향 케이블(345) 일단은 이어버드(341)의 음향홀(3412)이 형성된 방향(일측 방향)의 반대편(타측 방향)에 연결되고, 음향 케이블(345)의 타단은 하우징(320)의 바깥쪽 측방향에 연결된다. 종래의 이어버드 홀더(325)는 일부가 개방된 형태이기 때문에 음향 케이블(345)이 이어버드(341)의 타측 방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어버드(341)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버드 홀더(325)에 이어팁(3417)이 부착된 일측이 삽입되므로, 이어버드(341)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된 경우 이어버드(341)의 타측이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어버드(341)와 음향 케이블(345)과 연결되는 부분이 하우징(32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면 외관상 보기 좋지 않고, 하측방향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몸과 맞닿아 이어버드 홀더(325)에서 이어버드(341)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석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20)의 상측 또는 하측의 적어도 일측에도 위치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0)의 좌우방향에서 외측방향에 음향 케이블(345)이 위치하도록 음향 케이블(345)의 일단은 이어버드(341)의 자석에 수직방향에 결합한다.
음향 케이블(345)이 걸리적 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향 케이블(345)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본체에 고정하는 케이블 클립(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클립(31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310)에 결합하며 밴드부(310)를 따라 이동하며 음향 케이블(345)이 본체에 밀착되도록 고정하여 음향 케이블(345)이 손이나 옷 등에 결려서 이어버드(341)가 이어버드 홀더(32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케이블(345)의 타단이 하우징(320)의 측방향에 결합하면 음향 케이블(345)이 하우징(320)에 결합된 부분과 케이블 클립(315)에 의해 고정된 부분 사이가 벌어져 걸리적 거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음향 케이블(345)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0)의 하면에 결합한다.
하우징(320)의 하면에 결합하는 경우 사용자의 몸과 결합부가 닿아 불편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320)의 하면에 경사면(3224)을 가지는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요홈을 따라 음향 케이블(345)이 연장되어 음향 케이블(345)의 타단이 하우징(320)에서 튀어나오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음향 케이블(345)이 경사면(3224)을 따라 배치되도록 음향 케이블(345)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러버(3223)를 이용하여 음향 케이블(345)을 하우징(320)에 고정한다. 케이블 러버(3223)는 탄성재질을 가지고 있어 음향 케이블(345)이 당겨질 때 형상이 변화 가능하여 음향 케이블(345)이 단선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음향 케이블(345) 및 하우징(320)과 밀착되어 음향 케이블(345)과 하우징(320)의 결합부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케이블 클립(315)은 밴드부(310)와 음향 케이블(345)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밴드부(310)가 위치하는 제1 고정부(3151)와 음향 케이블(345)이 위치하는 제2 고정부(3152)가 눈사람 형상(또는 8자)으로 배치된다. 제1 고정부(3151)는 밴드부(310)의 단면에 상응하고 제2 고정부(3152)는 음향 케이블(345)의 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우징(3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우징(320)의 형상과 통일성을 위해 밴드부(310)도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고정부(3151)도 밴드부(310)의 단면과 같이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케이블 클립(315)은 밴드부(310)를 축으로 쉽게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블 클립(315)의 좌우 방향의 너비(f)는 상하 방향의 너비(g) 보다 좁아 사용자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착용시 실제 크기보다 더 작아 보이는 효과가 있다.
만약 케이블 클립(315)이 밴드부(310)에서 빠지지 않으면, 휴대용 음향기기(300) 자체가 사용자의 목에서 분리되거나, 음향 케이블(345)이 단선되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클립(315)은 밴드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그 이상의 큰 힘으로 음향 케이블(345)을 잡아당길 때는 케이블 클립(315)은 밴드부(3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케이블 클립(31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는 데 음향 케이블(345)이 당겨지는 방향은 몸의 바깥쪽 방향이므로 케이블 클립(315)의 내측 방향에 개구부(3153)를 형성하여 케이블 클립(315)이 C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도 9를 참조하면 케이블 클립(315)의 개구부(3153)과 제2 고정부(3152)가 수직방향으로 배치하면, 필요 이상으로 케이블 클립(315)이 본체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블 클립(315)의 개구부(3153)와 음향 케이블(345)이 고정되는 제2 고정부(3152)가 일렬로 배치되면 (마주보는 형태) 음향 케이블(345)이 조금만 당겨져도 개구부(3153)를 통해 밴드부(310)가 이탈되기 때문에 이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필요 이상 쉽게 케이블 클립(315)가 밴드부(3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밴드부(310)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고 하우징(320)은 강성 재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밴드부(310)와 하우징(320)을 연결하는 브라켓(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복수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330)을 결합하여 밴드부(310)와 하우징(320)을 연결하였으나,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하나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브라켓(330)을 이용한다.
하나의 브라켓(330)을 이용하기 때문에 부품수와 조립공정이 줄어 들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각 부품간의 공차 등에 의한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브라켓(330)을 도시한 도면으로,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부분(331)과 하우징(3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335)으로 구분된다. 제1 부분(331)에는 좌우에 위치하는 하우징(320) 내부의 부품 간의 신호 또는 전력의 송수신을 위한 신호라인(383)이 통과하는 홀(33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부분(335)은 상기 신호라인(383)이 위치하도록 빈 공간(336)을 포함한다. 제2 부분(335)은 하우징(32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하측부분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고 상측 부분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혀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335)에서는 상부 하우징(321)과 하부 하우징(322)을 결합하는 스크류(328)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3 부분(338)을 더 포함하고, 스크류(328)의 타측부분은 신호라인(383)이 통과하도록 개방(337)된다. 따라서 스크류(328)의 일측은 브라켓(330)의 제3 부분(338)이 위치하고 타측은 신호라인(383)이 위치하여 브라켓(330)과 하우징(320)의 결합력을 높인다.
도 1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브라켓(330)과 하우징(320)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체에 힘을 가해 밴드부(31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경우 브라켓(330)과 하우징(320) 사이가 벌어질 수 있어, 브라켓(330)과 하우징(320) 사이의 틈에 사용자의 머리카락 등이 끼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브라켓(330)과 하우징(3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으로 슬라이드 가이드(339)와 슬라이드 후크(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330)의 제2 부분(335) 좌우에 슬라이드 가이드(339)가 형성되고, 도 12의 (a)에 도시된 방향으로 하우징(320)이 결합하면 하우징(3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후크(323)가 슬라이드 가이드(339)와 맞물려 하우징(320)과 브라켓(330)이 슬라이드 결합하게 된다.
도 12의 (b)는 도 2의 E-E 단면도로서, 브라켓(330)의 슬라이드 레일 사이로 하우징(320)의 슬라이드 후크(323)가 위치하며, 하우징(320)의 상하방향으로 휘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우징(320)과 브라켓(330)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하우징(320) 내부의 신호라인(383)에 끼워진 방수링(327)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상 방수링(327)의 위쪽(밴드에 가까운 부분)은 브라켓(330)과 결합을 위해 개방되어 있으며, 스크류(328) 결합을 위한 홀이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의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320)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메인기판(381) 등의 주요 부품까지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도 13과 같이 하우징(320) 내부를 구획하는 방수링(3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수링(327)은 신호라인(383)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가운데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이 하우징(320)을 구획할 수 있게 방수링(327)을 고정하는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호라인(383)이 하우징(320) 내부에서 움직여서 소리가 나거나 신호라인(383)과 메인기판(381) 사이의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호라인(383)을 하우징(320)에 고정하기 위한 폼 구조물(38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폼 구조물(38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0)의 상하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라인(383)과 하우징(320) 사이에 고정되기 때문에 신호라인(383)이 안정적으로 하우징(3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4는 도 2의 F-F단면도로,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하우징(320)에 위치하는 버튼(37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버튼(371)은 하우징(320) 외측으로 노출되는 탑버튼(3711)과 탑버튼(3711)이 눌릴 때 신호를 생성하는 돔스위치(3713) 및 돔스위치(3713)에서 생성한 신호를 메인기판(381)으로 전달하는 플렉서블 기판(3714)으로 구성된다. 탑버튼(3711)이 하우징(32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우징(320)에 형성된 버튼홀을 통해 물이 유입되어 하우징(320) 내부의 메인기판(381) 등의 전자부품이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4와 같이 탑버튼(3711)과 돔스위치(3713) 사이에 방수기능을 하는 탄성버튼(3712)을 개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이어팁(3417)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어팁(3417)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음향 케이블(345)이 하우징(320)과 케이블 클립(315) 사이 부분이 본체에 밀착되어 음향 케이블(345)에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00: 휴대용 음향기기 310: 밴드부
315: 케이블 클립 3151: 제1 고정부
3152: 제2 고정부 320: 하우징
321: 상부 하우징 322: 하부 하우징
3202: 제1 걸림돌기 3223: 케이블 러버
3224: 경사면 325: 이어버드 홀더
327: 방수링 328: 스크류
3251: 홀더 하우징 3252: 제2 걸림돌기
3253: 제1 자석 330: 브라켓
331: 제1 부분 335: 제2 부분
323: 슬라이드 후크 339: 슬라이드 가이드
340: 음향출력부 341: 이어버드
3411: 이어버드 하우징 3412: 음향홀
3413: 제2 자석 3415: 리시버
3417: 이어팁 345: 음향 케이블
360: 마이크 370: 사용자 입력부
371: 버튼 3711: 탑버튼
3712: 탄성버튼 375: 센싱부
380: 제어부 381: 메인기판
383: 신호라인 385: 무선통신부
390: 전원공급부

Claims (14)

  1. 사용자의 몸에 착용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일측은 막히고 타측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이어버드 홀더;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이어버드 홀더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이어버드;
    일단은 상기 이어버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음향 케이블;
    상기 음향 케이블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는 케이블 클립; 및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위치하는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버드는
    일측에 음향홀이 위치하는 이어버드 하우징;
    상기 음향홀에 결합하며 상기 이어버드가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결합시 상기 이어버드 홀더 내부에 위치하는 이어팁;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음향홀을 통해 소리를 출력하는 리시버; 및
    상기 제1 자석과 반대극을 가지는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클립은,
    상기 본체의 둘레를 감싸며 일측이 개방된 C자 형상의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1 고정부의 개방된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인입되며 상기 음향 케이블이 관통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본체를 사용자가 착용시 상기 이어버드 홀더의 개구부에 인접한 둘레의 하측방향에 1개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본체를 사용자가 착용시 상기 이어버드 홀더의 개구부에 인접한 둘레의 상측과 하측방향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버드 홀더는 상기 본체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의 단면은 상하방향의 길이가 좌우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은 원통 형상이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이어버드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하는 상기 제2 자석의 모서리가 모따기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가능하고, 사용자의 몸에 닿는 제1면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의 타단은 상기 본체의 제1 면에 연결되는 음향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케이블은 상기 제2 자석과 직각방향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1 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요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케이블의 타단은 상기 요홈에 위치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케이블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결합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상기 본체의 제1 면 방향으로 인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목 뒤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 클립이 결합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음향 케이블의 타단이 결합된 한 쌍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사용자의 목 뒤에 위치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단부에 결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돌출된 슬라이드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와 접하는 슬라이드 후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브라켓에 슬라이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에서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된 신호라인;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라인의 둘레를 감싸는 방수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돌출되며 상기 방수링이 끼워지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170020723A 2017-01-04 2017-02-15 휴대용 음향기기 KR102583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4924 WO2018128299A1 (en) 2017-01-04 2017-12-18 Portable sound equipment
US15/861,366 US10491983B2 (en) 2017-01-04 2018-01-03 Portable sound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2365P 2017-01-04 2017-01-04
US62/442,365 2017-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669A KR20180080669A (ko) 2018-07-12
KR102583499B1 true KR102583499B1 (ko) 2023-09-27

Family

ID=6291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723A KR102583499B1 (ko) 2017-01-04 2017-02-15 휴대용 음향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4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107B1 (ko) * 2012-01-02 2013-01-03 (주) 지.티 텔레콤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
US20140211959A1 (en) * 2011-09-02 2014-07-31 Advanced Audio Llc Headphone system for earbud speake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897B1 (ko) * 2014-03-13 202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1959A1 (en) * 2011-09-02 2014-07-31 Advanced Audio Llc Headphone system for earbud speakers
KR101218107B1 (ko) * 2012-01-02 2013-01-03 (주) 지.티 텔레콤 블루투스 헤드셋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669A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983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83533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80553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CN110972005B (zh) 附接机构、入耳式听力设备和无线聆听设备
US7664287B2 (en) Headset capable of receiving signals from a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ear loop and earplug capable of removable engagement with same
US20200100011A1 (en) Ear tip designed to enable in-ear detect with pressure change in acoustic volume
WO2020155694A1 (zh) 用于无线耳机的线控盒及无线耳机
CN110448014B (zh) 耳机及可穿戴式智能终端设备
KR101507869B1 (ko) 무선음향기기
WO2020155695A1 (zh) 用于无线耳机的线控盒及无线耳机
US20220279263A1 (en) Wireless listening device
KR101713808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넥밴드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KR10194332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258349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58285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60048452A (ko) 음향기기
US10244305B2 (en) Portable sound device
KR10175994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615240B1 (ko) 무선음향기기
KR200700303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JP2020512792A (ja) モバイル端末外部アセンブリおよびモバイル端末保護スリーブ
KR20150145488A (ko) 음향 기기를 위한 이어폰
CN212086274U (zh) 具有防尘功能的保护壳
KR10179052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200425760Y1 (ko) 휴대폰의 이어폰 세트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