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535B1 -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535B1
KR101805535B1 KR1020160049507A KR20160049507A KR101805535B1 KR 101805535 B1 KR101805535 B1 KR 101805535B1 KR 1020160049507 A KR1020160049507 A KR 1020160049507A KR 20160049507 A KR20160049507 A KR 20160049507A KR 101805535 B1 KR101805535 B1 KR 101805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ousing
elastic band
side wall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935A (ko
Inventor
서상우
신설용
유현선
강정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535B1/ko
Priority to US15/203,090 priority patent/US10063955B2/en
Priority to PCT/KR2016/013352 priority patent/WO2017183784A1/en
Priority to EP16200885.8A priority patent/EP3236638B1/en
Priority to DE202016107493.2U priority patent/DE202016107493U1/de
Publication of KR2017012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8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Abstract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버튼홀; 및 상기 하우징의 버튼홀에 위치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홀을 커버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제1 방향의 길이가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길긴 탑버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의 일측은 상기 탑버튼의 하부에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된 버튼 프레임; 상기 버튼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된 액추에이터; 및 상기 탑버튼이 눌리면 상기 액추에이터가 눌러 신호를 생성하는 돔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버튼의 크기를 키워 디자인적으로 버튼이 아닌 케이스의 일부로 보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 받은 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기 때문에 땀이 유입되거나 비가 오는 경우 빗물이 유입될 수 있어 방수 성능이 우수한 제품에 대한 니즈가 있다.
또한, 실제 보고 누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버튼의 크기가 클수록 사용의 편의성이 제고되고 목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 받은 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사이즈가 큰 버튼부가 안정적으로 눌리고 버튼부를 통해 땀이나 물이 유입되어 내부에 실장 된 전자부품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방수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버튼홀; 및 상기 하우징의 버튼홀에 위치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홀을 커버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제1 방향의 길이가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길긴 탑버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의 일측은 상기 탑버튼의 하부에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된 버튼 프레임; 상기 버튼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된 액추에이터; 및 상기 탑버튼이 눌리면 상기 액추에이터가 눌러 신호를 생성하는 돔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하우징의 너비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이며, 상기 탑버튼의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하우징의 너비와 같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버튼홀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탑버튼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는 제1 방향으로 중심에서 단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탑버튼의 크기에 상응하며, 상기 탑버튼의 두께에 상응하여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며 상기 버튼홀이 위치하는 버튼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제1 방향의 양측은 개방되고 제2 방향 양측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단차를 이루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안착부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홀의 주변에 형성된 집수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홈은, 상기 버튼 안착부의 상기 제1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상부측벽을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벽 및 하면을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안착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측벽 두께에 상응하게 인입되며 상기 상부측벽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상부측벽의 단부와 상기 하부측벽의 단부는 서로 맞닿으며, 상기 버튼 안착부는 제1 방향의 양 단부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하부측벽의 단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하부측벽과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탑버튼의 제1 방향 양 단부는 상기 하부측벽의 단부와 맞닿으며, 상기 탑버튼은 상기 틈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탑버튼의 하부에서 돌출된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버튼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1 결합돌기에 상응하는 제1 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 내측에서 돌출된 제2 결합돌기; 및 상기 버튼 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제2결합돌기에 상응하는 제2 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양 단부에 한 쌍의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는 양 단부를 관통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튜브 형상이며, 상기 내부공간 단면은 상기 탄성밴드의 외측 둘레와 비대칭으로, 상기 튜브의 측벽 두께가 불균일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내부공간의 단면은 상기 탄성밴드의 단면의 사각형에 대해 기울어진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하우징 내부의 전자부품 간의 신호를 송수신 하는 신호 케이블; 및 상기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며, 외측 둘레는 내부공간의 단면형상에 상응하고, 내측둘레는 상기 신호 케이블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 케이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C자 형태로 휘어지는 탄성밴드; 상기 탄성밴드의 양 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버튼홀; 및 상기 하우징의 버튼홀에 위치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단면이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는 양 단부를 관통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튜브 형상이며, 상기 내부공간 단면은 상기 탄성밴드의 외측 둘레와 비대칭으로, 상기 튜브의 측벽 두께가 불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내부공간의 단면은 상기 탄성밴드의 단면의 사각형에 대해 기울어진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홀을 커버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제1 방향의 길이가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길긴 탑버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의 일측은 상기 탑버튼의 하부에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된 버튼 프레임; 상기 버튼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된 액추에이터; 및 상기 탑버튼이 눌리면 상기 액추에이터가 눌러 신호를 생성하는 돔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는 버튼의 크기를 키워 디자인적으로 버튼이 아닌 케이스의 일부로 보이는 효과가 있다.
버튼의 크기가 크더라도 잘못 눌려서 의도하지 않은 입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튼을 통해 땀이나 물이 유입되어 내부에 실장 된 전자부품에 영향이 미치지 않아 수분에 의한 고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탄성밴드의 형상을 개선하여 목과 접촉점을 증가시키고 비틀림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우징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상부 케이스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버튼 안착부에 형성된 집수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탄성밴드 부분이 착용시 사용자의 목과 접촉하는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제어부(380), 무선통신부(385), 음향출력부(340), 센싱부(375), 마이크(360), 사용자 입력부(370) 및 전원공급부(390)를 포함한다.
음향출력부(340)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버드(341)가 있다.
마이크(3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3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375)는 휴대용 전자기기(3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는 장치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이어버드(ear bud)(341) 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어버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통화/재생 버튼(371),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 전원 버튼 및 음향케이블(340)을 하우징(320)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버튼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의 개수는 통화 버튼, 한 쌍의 음량조절 버튼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외에 play/stop 버튼, 곡 순서 변경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직접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의 개수가 많으면 각 버튼의 기능을 구분하기 힘들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 능한 제어명령을 확대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분실 위험이 적으나, 통상의 단말기는 분실하는 경우가 있어, 2개의 사용자 입력부(370)를 동시에 일정시간 누르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의 알람을 울려 잃어버린 단말기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의 음성녹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마이크(360)를 통해 수집된 음성을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통화와 관련된 기능 또는 사운드 미디어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제어 가능했으나,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그 제어범위가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본체는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의 곡선을 형성한다.
탄성밴드(310)는 면과 두께를 갖는 꼬여진 테이프 형상으로 목의 배면에 위치하는 탄성밴드(310)는 내측면이 목의 배면에 되고 외측면이 배면을 향한다.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이 이어지는 부분은 꼬여져 본체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하우징(320)은 외측면이 전면을 향하고 내측면이 사용자의 쇄골부분에 접한다.
탄성밴드(310)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힘을 가하면 소정 범위 내에서 변형되고 힘이 제거되면 원래 모양으로 복귀된다. 하우징(320)은 탄성밴드(310)의 양단에 결합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C자형 곡선의 양 단부에 위치한다. 내부와 외부에 메인기판(381), 무선통신부(385), 배터리(391) 회전모듈(350)와 같은 각종 부품이 삽입된다.
C자 형상의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탄성밴드(310)에 센서(375)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률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 시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단부를 벌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사용하려는 것을 판단하고,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착용한 것인지 휴대 중에 벌어진 것인지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변위센서에서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크게 변화한 이후의 곡률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제1 크기로 크게 변화하고 이후 곡률이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거치한 상태보다 완만한 제2 크기의 곡률로 고정된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센서 이외에 사용자가 착용시 목과 닿는 착용면에 온도감지 센서, 광센서 또는 심박센서와 같은 센서를 구비하여 온도가 사람의 체온 범위이거나 밝기가 어두워지고, 심박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무선통신부(385)를 활성화 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또는 물리적 방식으로 눌러지는 스위치(378)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하면 돌출된 스위치가 눌려서 ON신호를 생성하고 소정시간 이상 스위치(378) ON상태가 유지되면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상기 센서(377)와 스위치(378)는 복수 개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값을 조합하여 착용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하우징(320)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상부 케이스(321)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전술한 탄성밴드(310)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하우징(320)은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를 포함하며,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에 메인기판(381), 무선통신부(385), 배터리(391), 마이크(360) 및 회전모듈(350) 등이 실장된다.
하우징(320)은 폴리머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며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과 같은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금속이나, 유리, 가죽 등의 이형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밴드(210)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은 탄성이 있어 쉽게 변형되고 힘을 제거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며, 표면의 마찰계수가 높아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된다.
하우징(320)은 강성이 있는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재질로 형성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우징(3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할 수 있다. 하우징(3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일체감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이 모두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신체에 착용하는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땀과 같은 수분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방수기능을 부가하면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의 틈을 커버하는 리브를 형성하거나 방수부재를 개재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별도의 방수부재를 개재하지 않더라도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가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320)의 내부에 실장되는 메인기판(381)은 무선통신부(385), 마이크(360) 등이 실장되며, 배터리(391), 사용자 입력부(370), 음향출력부(340) 등과 연결된다. 하우징(320)에 실장되는 부품은 양측의 하우징(320)에 대칭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고, 일측만 구비된 부품을 탄성밴드(310)에 실장 된 신호선(382)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부(385)가 일측의 하우징(320)에 구비된 경우 무선통신부(385)가 수신한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양측의 이어버드(34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85)는 메인기판(381)에 실장되거나, 하우징(3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 및 음향신호를 수신하거나,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사용자 입력부(370)나 마이크(360)를 통해 입력 받은 제어명령 및 음향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하우징(320)에는 전원을 ON/OFF하는 전원버튼, 재생하거나 통화를 위한 버튼, 음향을 조절하는 방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방향키는 재생곡의 이전곡 또는 이후 곡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버튼은 물리적으로 가압되는 돔 키(dome key)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정전용량 변화로 감지하는 터치 키(touch key)를 이용할 수도 있다.
터치키의 경우 위치가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320) 표면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터치키가 하우징(320)의 표면에 구현된 경우, 하우징(320)의 표면에 터치키가 구현된 부분에 LED를 이용하여 터치키 위치 및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버드(341)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소리를 전달하며, 이어버드(341)는 음향케이블(345)을 통해 상기 메인기판(381)과 연결된다. 메인기판(381)은 이어버드(341)를 제어하여 음향신호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재생/통화를 위한 버튼(371)은 사용자가 착용시 전면을 향하는 방향, 즉 하우징(320)의 상면에 위치한다. 상기 버튼(371)은 하우징(320)에 형성된 버튼홀(322)을 통해 내부와 외부가 연결된다. 하우징(320)의 외부에 위치하는 탑버튼(3711)과 하우징(3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버튼 프레임(3715)으로 구성된다.
하우징(320)의 상부 케이스(321)에는 탑버튼(3711)이 장착되는 위치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안착부(3215)가 형성된다. 탑버튼(3711)의 두께에 상응하여 상부 케이스(321)에서 하측 방향으로 인입된 버튼 안착부(3215)에 탑버튼(3711)이 끼워지면 상부 케이스(321)의 상면과 나란히 배치되어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버튼 안착부(3215)는 제1 방향의 양측은 개방되고 제2방향 양측은 상부 케이스(321)와 단차를 이루며 막혀져 있는 형태이다. 탑버튼(3711)은 제1 방향의 좌우 방향으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 안착부(3215)의 제1 방향의 개방된 양측을 커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321)는 하우징(320)의 상면(321a)과 상부측벽(321b)을 이루고, 하부 케이스(324)는 하우징(320)의 하면(324a)과 하부측벽(324b)을 구성한다. 상부측벽(321b)의 단부와 하부측벽(324b)의 단부가 맞닿으며 하우징(32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탑버튼(3711)은 버튼 안착부(3215) 제1 방향의 생략된 상부측벽(321b)을 커버한다. 즉, 탑버튼(3711)도 제1 방향 좌우가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측벽(321b)과 나란히 배치되는 측면부분(3711b)을 포함한다. 즉, 상부 케이스(321)의 제1 방향의 상면 형상과 탑버튼(3711)의 제1 방향의 상면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안착부(3215)는 하우징(320)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의 탑버튼(3711)은 제1 방향으로 길고 제2 방향으로 짧은 장방형을 가진다. 제1 방향은 하우징(320)의 너비방향이고 제2 방향은 하우징(320)의 길이방향일 수 있다.
종래에는 탑버튼(3711)이 원형이나 좁은 면적을 차지하여 탑버튼(3711)의 어디를 누르더라도 동일한 세기의 힘이 인가되나, 일측 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경우 누르는 위치에 따라서 힘이 달라질 수 있어 내측에 위치하는 돔스위치(3718)가 눌려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3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버튼 프레임(3715)의 제2 방향의 일측(3715a)에 형성된 제1 결합홀에 상기 탑버튼(3711)에서 돌출된 제1 결합돌기(3712)가 삽입되어 상기 탑버튼(3711)과 버튼 프레임(3715)이 결합한다. 버튼 프레임(3715)의 타측(3715b)은 상부 케이스(321)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제2 결합돌기(3211)가 버튼 프레임(3715)의 타측(3715b)에 형성된 제2 결합홀에 삽입되어 버튼 프레임(3715)가 하우징(320)에 고정된다.
이때 버튼 프레임(3715)의 일측은 버튼 안착부(3215)에 위치하고 타측은 버튼 안착부(3215) 바깥쪽에 위치하므로, 버튼 안착부(3215)와 상부 케이스(321)의 상면의 단차가 상부 케이스(321)의 내측에서도 나타나는 바, 버튼 프레임(3715)의 상기 버튼 안착부(3215)의 경계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단차(3715c)가 형성된다.
하우징(320)(상부 케이스(321))에 결합된 버튼 프레임(3715)의 타측(3715b)은 고정되고 탑버튼(3711)에 결합한 버튼 프레임(3715)의 일측(3715a)은 탑버튼(3711)이 가압되면 가압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버튼 프레임(3715)의 하측에서 돌출된 액추에이터(3716)가 돔스위치(3718)을 눌러 신호를 생성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버튼(371)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사용자가 탑버튼(3711)을 누르기 전이고, 도 5b는 사용자가 탑버튼(3711)을 누른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우징의 상면은 제1 방향으로 가운데 부분이 가장 돌출된 곡면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면이 곡면을 이루는 경우 버튼을 가압시 비교적 가운데 부분을 누르게 되고, 수분 등이 좌우 방향으로 흐르는 효과가 있다.
탑버튼(3711)은 제1 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제1 방향의 중심에서 먼 위치를 누르면 탑버튼(3711)의 반대편이 들리면서 돔 스위치가 잘 눌려지지 않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2 방향의 타측이 상부 케이스(321)에 결합된 버튼 프레임(3715)을 포함하는 바, 탑버튼(3711)의 제1 방향의 어느 부분(①②③)을 누르더라도 버튼 프레임(3715)은 고정된 제2 방향의 타측을 중심으로 호를 그리며 제2 방향의 일측이 이동하기 때문에 돔스위치(3718)가 눌리지 않는 오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다만, 탑버튼(3711)의 제1 방향은 하우징(320)의 너비와 같기 때문에 탑버튼(3711)의 양 단부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0)의 상부 모서리에 위치하게 된다. 하우징(320)의 모서리 부분은 사용자가 버튼(371)을 누르려고 하지 않는 경우에도 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방 안에 두었을 때 가방 안의 물건에 의해 탑버튼(3711)의 단부가 눌리는 경우(④⑤)에 상기 돔스위치(3718)가 눌리지 않도록, 탑버튼(3711)의 양 모서리(3711a)는 하우징(320) 보다 정확하게는 하부측벽(324b)의 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탑버튼(3711)을 하측방향으로 누르더라도 눌려지지 않고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버튼 안착부(3215)에 해당하는 상부 케이스(321)는 제1 방향 좌우 부분은 내측으로 인입되어 하부 케이스(324)의 하부측벽(324b)을 노출시키고 더 인입되어 하부 케이스(324)의 하부측벽(324b) 사이에 틈(327)을 형성한다. 틈(327)을 통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물이 유입될 수 있습니다. 이는 버튼홀(322)을 통해 물이 유입되면 직접적으로 메인기판(381)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차라리 메인기판(381)에서 이격된 위치로 물을 흘려 물이 메인기판(381) 등의 전자부품에 영향 미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버튼 안착부(3215)에 형성된 집수홈(323)을 도시한 도면이다. 버튼홀(322)의 주변에 형성된 집수홈(323)은 땀이나 물이 버튼홀(322)에 도달하기 이전에 집수홈(323)에 머물러 버튼홀(322)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집수홈(323)은 버튼홀(322)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만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물이 흘러 집수홈(323)에 고이게 되어 버튼홀(322)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탄성밴드(310) 부분이 착용시 사용자의 목과 접촉하는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종래의 탄성밴드(310)의 단면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의 탄성밴드(310)의 단면이다. 본 발명의 탄성밴드(310)는 다각형을 이루고 있어 목(1)에 닿는 포인트(A1, A2)가 원형인 종래의 탄성밴드(310)가 목에 닿는 포인트(A)보다 많다.
목(1)에 닿는 포인트가 많을수록 목(1)에 안정적으로 거치가능하기 때문에 좌우로 움직이거나 상하로 움직이는 문제를 줄여 착용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탄성밴드(310)는 내부에 신호선(382) 등이 배치되기 때문에 내부 공간을 가지는 튜브 형상이다. 도 7의 (a)와 같이 종래에는 균일한 두께의 튜브형태였으나, 본 발명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외측면과 내부 공간 사이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튜브 형태를 가진다. 탄성밴드(310)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인 경우 내부공간은 45도 비틀어진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각형의 모서리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넥밴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탄성밴드(310) 내부에 부분적으로 형상기억합금(311)과 신호선(382)을 고정하는 케이블 홀더(313)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 홀더(313)가 탄성밴드(310) 전체적으로 배치되면 탄성밴드(310)의 탄성이 저하되므로 부분적으로 (예를 들면 양 단부)에만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버튼(371)의 크기를 키워 디자인적으로 케이스의 일부로 보이는 효과가 있다. 버튼(371)의 크기가 크더라도 잘못 눌려서 의도하지 않은 입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튼(371)을 통해 땀이나 물이 유입되어 내부에 실장 된 전자부품에 영향이 미치지 않아 수분에 의한 고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탄성밴드(310)의 형상을 개선하여 목과 접촉점을 증가시키고 비틀림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00: 휴대용 전자기기 310: 탄성밴드
311: 형상기억합금 313: 케이블 홀더
320: 하우징 321: 상부 케이스
3215: 버튼 안착부 322: 버튼홀
323: 집수홈 324: 하부 케이스
325: 이어버드 홀더 327: 틈
341: 이어버드 345: 음향케이블
350: 회전모듈 360: 마이크
370: 사용자 입력부 371: 버튼
3711: 탑버튼 3715: 버튼 프레임
3718: 돔스위치 381: 메인기판
375: 센싱부 380: 제어부
381: 메인기판 382: 신호선
385: 무선통신부 390: 전원공급부
391: 배터리

Claims (2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버튼홀; 및
    상기 하우징의 버튼홀에 위치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홀을 커버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제1 방향의 길이가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긴 탑버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의 일측은 상기 탑버튼의 하부에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된 버튼 프레임;
    상기 버튼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된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눌러져 신호를 생성하는 돔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탑버튼이 눌리면 상기 버튼 프레임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버튼 프레임의 일측은 상기 타측을 중심으로 호를 그리며 이동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를 가압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돔스위치를 누르는 휴대용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하우징의 너비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이며,
    상기 탑버튼의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하우징의 너비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홀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탑버튼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는 제1 방향으로 중심에서 단부방향으로 기울어진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탑버튼의 크기에 상응하며, 상기 탑버튼의 두께에 상응하여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며 상기 버튼홀이 위치하는 버튼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제1 방향의 양측은 개방되고 제2 방향 양측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단차를 이루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안착부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홀의 주변에 형성된 집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홈은,
    상기 버튼 안착부의 상기 제1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상부측벽을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벽 및 하면을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안착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측벽 두께에 상응하게 인입되며 상기 상부측벽이 생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벽의 단부와 상기 하부측벽의 단부는 서로 맞닿으며, 상기 버튼 안착부는 제1 방향의 양 단부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하부측벽의 단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하부측벽과 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탑버튼의 제1 방향 양 단부는 상기 하부측벽의 단부와 맞닿으며,
    상기 탑버튼은 상기 틈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버튼의 하부에서 돌출된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버튼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1 결합돌기에 상응하는 제1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 내측에서 돌출된 제2 결합돌기; 및
    상기 버튼 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제2결합돌기에 상응하는 제2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양 단부에 한 쌍의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단면이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양 단부를 관통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튜브 형상이며, 상기 내부공간 단면은 상기 탄성밴드의 외측 둘레와 비대칭으로,
    상기 튜브의 측벽 두께가 불균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내부공간의 단면은 상기 탄성밴드의 단면의 사각형에 대해 기울어진 마름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하우징 내부의 전자부품 간의 신호를 송수신 하는 신호 케이블; 및
    상기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며, 외측 둘레는 내부공간의 단면형상에 상응하고, 내측둘레는 상기 신호 케이블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 케이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7. C자 형태로 휘어지는 탄성밴드;
    상기 탄성밴드의 양 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버튼홀; 및
    상기 하우징의 버튼홀에 위치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홀을 커버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제1 방향의 길이가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긴 탑버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의 일측은 상기 탑버튼의 하부에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된 버튼 프레임;
    상기 버튼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된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눌러져 신호를 생성하는 돔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탑버튼이 눌리면 상기 버튼 프레임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버튼 프레임의 일측은 상기 타측을 중심으로 호를 그리며 이동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를 가압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돔스위치를 누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탑버튼의 크기에 상응하며, 상기 탑버튼의 두께에 상응하여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며 상기 버튼홀이 위치하는 버튼 안착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상부측벽을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벽 및 하면을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안착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측벽 두께에 상응하게 인입되며 상기 상부측벽이 생략되고, 상기 상부측벽의 단부와 상기 하부측벽의 단부는 서로 맞닿으며, 상기 버튼 안착부는 제1 방향의 양 단부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하부측벽의 단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하부측벽과 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단면이 다각형이고, 양 단부를 관통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튜브 형상이며, 상기 내부공간 단면은 상기 탄성밴드의 외측 둘레와 비대칭으로,
    상기 튜브의 측벽 두께가 불균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내부공간의 단면은 상기 탄성밴드의 단면의 사각형에 대해 기울어진 마름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0. 삭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탑버튼의 제1 방향 양 단부는 상기 하부측벽의 단부와 맞닿으며,
    상기 탑버튼은 상기 틈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0160049507A 2016-04-22 2016-04-22 휴대용 전자기기 KR10180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507A KR101805535B1 (ko) 2016-04-22 2016-04-22 휴대용 전자기기
US15/203,090 US10063955B2 (en) 2016-04-22 2016-07-06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PCT/KR2016/013352 WO2017183784A1 (en) 2016-04-22 2016-11-18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EP16200885.8A EP3236638B1 (en) 2016-04-22 2016-11-28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DE202016107493.2U DE202016107493U1 (de) 2016-04-22 2016-11-28 Tragbare elektronische Apparatu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507A KR101805535B1 (ko) 2016-04-22 2016-04-22 휴대용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935A KR20170120935A (ko) 2017-11-01
KR101805535B1 true KR101805535B1 (ko) 2017-12-07

Family

ID=5753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507A KR101805535B1 (ko) 2016-04-22 2016-04-22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63955B2 (ko)
EP (1) EP3236638B1 (ko)
KR (1) KR101805535B1 (ko)
DE (1) DE202016107493U1 (ko)
WO (1) WO2017183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35065S1 (en) * 2016-07-29 2018-12-0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JP1577261S (ko) * 2016-09-05 2017-05-29
USD843347S1 (en) * 2016-10-18 2019-03-19 Samson Technologies Corp. Head-worn microphone
USD837184S1 (en) * 2016-12-02 2019-01-01 Shenzhen Cannice Technology Co., Ltd. Wireless earphone
USD831609S1 (en) * 2016-12-28 2018-10-23 Shenzhen Shuaixian Electronic Equipment Co., Ltd. Neck strap wireless headset
USD815616S1 (en) * 2017-01-13 2018-04-17 Mpow Technology Co., Limited Wireless headset
USD847779S1 (en) 2017-04-14 2019-05-07 Bose Corporation Headset
USD860967S1 (en) 2017-04-14 2019-09-24 Bose Corporation Headset
USD861637S1 (en) * 2017-04-14 2019-10-01 Bose Corporation Headset with boom microphone
USD854512S1 (en) * 2017-04-20 2019-07-23 Shenzhen Shuaixian Electronic Equipment Co., Ltd. Neck strap wireless headset
USD826896S1 (en) * 2017-04-20 2018-08-28 Shenzhen Shuaixian Electronic Equipment Co., Ltd. Neck strap wireless headset
USD858480S1 (en) * 2017-05-09 2019-09-03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Part of a pair of headphones
USD830335S1 (en) * 2017-05-23 2018-10-09 Spigen Korea Co., Ltd. Wireless headset
USD843968S1 (en) * 2017-06-14 2019-03-26 Qunru Li Headset
USD856965S1 (en) * 2017-08-21 2019-08-20 Bluecom Co., Ltd. Neckband wireless headset
USD856966S1 (en) * 2017-08-21 2019-08-20 Bluecom Co., Ltd. Neckband wireless headset
USD842837S1 (en) * 2017-09-29 2019-03-12 Qunru Li Headset
USD842838S1 (en) * 2017-09-29 2019-03-12 Qunru Li Headset
USD843969S1 (en) * 2017-10-06 2019-03-26 Qunru Li Headset
USD914634S1 (en) 2017-10-17 2021-03-30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USD853987S1 (en) * 2017-10-17 2019-07-16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USD860162S1 (en) * 2017-11-06 2019-09-17 Dan Yuan Headphone
JP1617786S (ko) * 2017-12-27 2018-11-12
USD876390S1 (en) * 2018-01-24 2020-02-25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USD876391S1 (en) * 2018-01-24 2020-02-25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USD873790S1 (en) * 2018-04-18 2020-01-28 Bluecom Co., Ltd. Wireless headset
USD878326S1 (en) * 2018-09-19 2020-03-17 Creative Technology Ltd Audio device
USD890130S1 (en) * 2018-09-20 2020-07-14 Shenzhen Shuaixian Electronic Equipment Co., Ltd. Wireless headset
KR102059417B1 (ko) * 2018-11-07 2019-12-27 주식회사 이엠텍 블루투스 이어버드
USD870067S1 (en) * 2019-08-29 2019-12-17 Shenzhen Qianhai Patuoxun Network And Technology Co., Ltd Wireless headset
JP1658488S (ko) * 2019-09-30 2020-04-27
USD942413S1 (en) * 2019-11-29 2022-02-01 Lg Electronics Inc. Wireless neckband
USD934836S1 (en) * 2019-11-29 2021-11-02 Lg Electronics Inc. Wireless neckband
USD933633S1 (en) * 2019-12-20 2021-10-19 Yamaha Corporation Earphone
USD951904S1 (en) * 2020-04-20 2022-05-17 Black & Decker Inc. Head phone
USD964315S1 (en) * 2020-07-03 2022-09-20 Epos Group A/S Heads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98B1 (ko) * 2014-08-06 2015-08-07 주식회사 블루콤 교체 가능한 텐션바를 갖는 블루투스 이어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3800B1 (ko) 1997-07-22 1999-10-15 구자홍 세탁기의 스위치
JP4018813B2 (ja) 1998-07-03 2007-12-05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6888950B2 (en) * 2002-07-02 2005-05-03 Jovid Designs, Llc Ear warming article including electronic device and easily interchangeable advertising areas
KR101186608B1 (ko) 2006-07-14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US7920902B2 (en) 2007-04-04 2011-04-05 Carroll David W Mobile personal audio device
KR101050024B1 (ko) 2007-11-05 2011-07-19 (주) 지.티 텔레콤 블루투스헤드셋
US8995677B2 (en) * 2008-09-03 2015-03-31 Apple Inc. Accessory controller for electronic devices
US8314354B2 (en) * 2009-07-27 2012-11-20 Apple Inc. Accessory controller for electronic devices
KR101108652B1 (ko) 2010-03-18 2012-01-31 (주) 지.티 텔레콤 다기능 헤드셋
KR20110115720A (ko) 2010-04-16 2011-10-24 이능규 골전도를 이용한 방수 헤드셋 플레이어
EP2656634B1 (en) 2010-12-22 2017-04-19 GN Audio A/S A headset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ng headband
JP6026235B2 (ja) 2011-12-22 2016-11-16 株式会社ディーアンドエムホールディングス ネックバンド型イヤーホン
US9529391B2 (en) 2013-09-27 2016-12-27 Apple Inc. Button retention, assembly, and water sealing
CN105636831A (zh) 2013-10-15 2016-06-0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传声器
KR102212156B1 (ko) 2014-09-22 2021-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 방수장치
EP3022589B1 (en) 2014-10-01 2024-01-03 Ocean Floor Geophysics Inc. Compensation of magnetic data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mapping survey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98B1 (ko) * 2014-08-06 2015-08-07 주식회사 블루콤 교체 가능한 텐션바를 갖는 블루투스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6638A1 (en) 2017-10-25
KR20170120935A (ko) 2017-11-01
WO2017183784A1 (en) 2017-10-26
DE202016107493U1 (de) 2017-01-23
US20170311072A1 (en) 2017-10-26
US10063955B2 (en) 2018-08-28
EP3236638B1 (en)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53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183533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CN113766386A (zh) 用于固定无线聆听设备的磁体阵列
EP2894875B1 (en) Headphone
KR20170136293A (ko) 휴대용 음향기기
US10959010B1 (en) Earphone device
KR10194332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2302328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0468763Y1 (ko) 음향기기 제어 패드가 내장된 이어폰
KR101758285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832776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84866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179052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2018002423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6843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70116376A (ko) 휴대용 전자기기
KR2019006975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258349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4978A (ko) 회전모듈 및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9642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684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9546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22138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4979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4980A (ko) 휴대용 음향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