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240B1 - 무선음향기기 - Google Patents

무선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240B1
KR101615240B1 KR1020150011500A KR20150011500A KR101615240B1 KR 101615240 B1 KR101615240 B1 KR 101615240B1 KR 1020150011500 A KR1020150011500 A KR 1020150011500A KR 20150011500 A KR20150011500 A KR 20150011500A KR 101615240 B1 KR101615240 B1 KR 101615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reel
band
housing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302A (ko
Inventor
유현선
장혁수
서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24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사용자의 목에 걸어 착용하는 곡선의 밴드; 상기 밴드의 양단에 위치하고, 단부에 리시버 홀더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리시버 홀더에 탈착되는 리시버;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수신한 신호를 상기 리시버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의 중앙에 위치하며 변형도가 큰 제1 구간 및 상기 밴드의 단부에 위치하고 변형도가 상기 제1 구간보다 작은 제2 구간을 포함하는 무선음향기기는 넥밴드의 휨 정도를 단계적으로 구현하여 착용시 편리하면서도 목에 걸었을 때 쉽게 움직이거나 목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음향기기{WIRELESS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무선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무선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무선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리시버를 귀에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목에 거치할 수 있는 밴드를 구비한 무선음향기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목에 걸고 있어 외관 디자인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얼굴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눈으로 보지 않고도 손쉽게 조작 가능한 조작성의 편의성에 대한 니즈(needs)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무선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자의 목에 걸어 착용하는 곡선의 밴드; 상기 밴드의 양단에 위치하고, 단부에 리시버 홀더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리시버 홀더에 탈착되는 리시버;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수신한 신호를 상기 리시버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의 중앙에 위치하며 변형도가 큰 제1 구간 및 상기 밴드의 단부에 위치하고 변형도가 상기 제1 구간보다 작은 제2 구간을 포함하는 무선음향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구간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구간은 강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밴드 프레임; 및 상기 제2 구간에 위치하며 상기 밴드 프레임의 둘레에 결합하는 밴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는 상기 제1 구간 상기 제2 구간 사이에 위치하는 제3 구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밴드 커버는 상기 밴드 프레임의 내측에서 결합하는 제1 밴드 커버 및 상기 밴드 프레임의 외측에서 결합하는 제2 밴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간의 상기 밴드 프레임은 노출되고, 상기 제2 구간의 상기 밴드 프레임은 상기 제1 밴드커버 및 상기 제2 밴드 커버로 둘레가 덮이며, 상기 제3 구간의 밴드 프레임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밴드의 내측에 신호선, 안테나,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밴드는 곡면을 포함하는 테이프 형상이고, 상기 곡면은 밴드의 중앙과 밴드의 단부에서 향하는 면의 방향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 단부의 곡면과 상기 하우징의 곡면은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리시버에 연결되는 음향 케이블; 상기 음향 케이블이 감기는 릴(reel); 및 상기 음향 케이블이 상기 릴에 감기도록 상기 릴을 회전시키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는 띠모양의 금속판을 평면상에 코일형상으로 감은 스파이럴 스프링이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중앙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릴의 외각 둘레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릴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릴 방향으로 미는 힘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돌기에 걸리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 힘의 반대 방향으로 사용자의 힘을 전달하는 리시버 수납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김스위치에 사용자의 힘이 인가시 상기 스토퍼와 상기 돌기가 분리되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음향 케이블이 상기 릴에 감기도록 상기 릴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릴의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을 차폐하는 차폐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케이블을 통해 상기 리시버에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전달하며 원형의 전극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음향 케이블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극부 위를 이동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전달된 신호를 상기 음향 케이블로 전달하는 음향 브러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케이블에 결합된 제1 자석과 상기 밴드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자석과 자기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제2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 홀에 결합된 제3 자석과 상기 리시버에 구비되며 상기 리시버 홀의 자석과 자기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제3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시버가 상기 리시버 홀더에 결합하면 스피커 모드로 출력을 높이고, 상기 리시버가 상기 리시버 홀더에서 분리되면 이어폰 모드로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상기 리시버는 상기 스피커 모드에서의 음향 출력방향과 상기 이어폰 모드에서의 음향 출력방향이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시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밴드의 휨 정도를 단계적으로 구현하여 착용시 편리하면서도 목에 걸었을 때 쉽게 움직이거나 목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리시버 홀더에 리시버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리시버의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음향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리시버와 리시버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부분 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릴에 감긴 음향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릴과 음향 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릴과 회동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릴과 회동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리시버 수납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무선음향기기는 제어부(250), 무선통신부(255), 리시버(240), 스피커(243), 마이크(248), 센싱부, 조작부 및 전원공급부(257)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는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거나 무선음향기기를 통해 입력된 소리 또는 신호를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무선 방식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무선통신부의 대표적인 예로 블루투스를 들 수 있다.
블루투스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대표적인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이다. 주로 10~2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이며, 블루투스는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한다.
이 중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들의 간섭을 막기 위해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 채널을 쓴다. ISM이란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파 사용에 대해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어 저전력의 전파를 발산하는 개인 무선기기에 많이 쓰인다. 아마추어 무선, 무선랜, 블루투스가 이 ISM 대역을 사용한다.
리시버(240)와 스피커(243)는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리시버(240)는 사용자의 귀에 인접시에 소리를 전달하는 장치이고, 스피커(243)는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리시버(240)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는 스피커(243)에서 출력되는 소리에 비해 작다.
마이크(248)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25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248)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는 무선음향기기(2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을 인자하는 장치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선세(260),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무선음향기기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리시버가 리시버 홀더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리시버 스위치(26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무선음향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통화 또는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222, 223) 또는 리시버를 리시버 수납부로 인입하기 위한 리시버 수납키(234) 등이 포함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무선음향기기(200)는 밴드(210), 하우징(220), 음향 케이블(245), 리시버(240), 무선통신부(255)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밴드(210)는 U자 형상으로 굽어진 부재로서 뒤쪽에서 끼워서 목에 걸 수 있다. 사용의 편의를 위해 쉽게 구부릴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밴드(210)의 분해사시도로서, 밴드(210)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부드러운 연성 소재의 밴드 프레임(211)과 밴드 프레임(211)의 둘레에 결합하여 밴드(210)의 형상을 잡아주는 밴드커버(212, 213)를 포함한다. 밴드(210)가 전부 강성소재로 이루어지면 목에 착용시에 불편하고 가방 등에 넣어서 휴대 시 부러질 위험이 있다. 반대로 전부 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움직임이 크면 밴드(210)가 휘면서 목에서 이탈하거나, 후술할 음향케이블(245) 인출시 밴드(210)가 고정되지 않아 무선음향기기(200)가 함께 움직이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밴드(210)는 휨변형의 정도를 구간별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시 가장 변형이 큰 가운데 부분(제1 구간(a))과, 양 단부(제2 구간(b))는 크게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이 있는 소재를 포함시켜 하우징(220)에 부착된 버튼을 조작하거나 음향케이블(250)을 인출할 때 밴드(210)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1 구간(a)은 휨 변형도를 크게 제고하기 위해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밴드 프레임(211)이 노출되도록 밴드커버(212, 213)가 결합되지 않는다. 밴드커버(212, 213)는 밴드프레임(211)을 전부 커버하지 않고 밴드 프레임(211)의 양 단부(제2 구간(b) 및 제3 구간(c))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밴드커버는 밴드프레임(211)의 내측과 외측에서 결합하는 한 쌍의 밴드커버(212, 213)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밴드커버 중 제1 밴드커버(212)는 제2 구간(b)에만 위치하고, 제2 밴드커버(213)는 제2 구간(b) 및 제3 구간(c)에 위치한다. 즉, 제2 구간(b)은 제1 밴드커버(212)와 제2 밴드커버(213)가 모두 위치함으로써, 강성이 크고, 제3 구간(c)은 제2 밴드커버(213)만 위치하여 강성이 제2 구간(b)에 비해 작다.
따라서, 3개 구간(a, b, c)이 강성 또는 휨 변형도가 차이가 있어, 휨 변형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제1 구간(a)이 변형되고,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 구간(b) 및 제3 구간(c)의 강성이 무선음향기기가 사용자의 목에서 이탈되거나 작동중 일측으로 치우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밴드프레임(211)과 밴드커버(212, 213)의 결합을 위해 결합돌기(214)를 형성할 수 있다. 밴드커버(212, 213)는 밴드(210)의 단부에 결합하는 하우징(220)과 일체감을 형성하기 위해 사출물과 같이 하우징(220)의 재질과 동일한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밴드(210)의 단부와 하우징(220)이 결합되도록 결합구조(215, 227)를 구비할 수 있다. 밴드(210)의 단부에 형성된 홀(215)에 하우징에 형성된 돌기(227)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이 돌기(227)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밴드(220)의 단부에 단턱(21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밴드(210)의 내측에는 공간을 형성하여 와이어 형태의 전원공급부(257), 무선통신부(225), 신호의 전달을 위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밴드(210)는 단면이 일측방향으로 긴 형태의 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곡면을 포함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의 방향이 꼬일 수 있다. 중앙부분은 목에 걸었을 때 목의 뒤쪽에 접하도록 전면과 후면 방향을 향하고, 단부는 어께에 안착되도록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곡면의 ?향이 다르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면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꼬인 테이프 형상의 밴드(210)는 사용자의 신체 형상에 상응하는 모양으로 꼬여있는 바, 착용시 편하고 신체와 접촉부가 넓어 마찰력에 의해 목에서 의도치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밴드(2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밴드커버(212)가 짧아 사용자와 접촉하는 내측방향으로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밴드프레임(211)의 노출 부분을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와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하우징(220)은 밴드(210) 양 단부에 위치하며 밴드(210)가 이루는 곡면과 상기 하우징(220)이 이루는 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21)과 하부 하우징(222)이 결합하여 형성한 내부 공간에 인쇄회로기판(250), 진동모터(미도시), 무선통신부(255)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일측의 하우징(220)에 전원공급부(257)가 위치하고, 타측의 하우징(220)에 마이크(248), 스피커(243), 무선통신부(255) 등 다른 부품을 배치하여 하우징(220)에 실장되는 부품은 양쪽 무게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분산시킬 수 있다.
하우징(220)의 전면에는 재생하거나 통화를 위한 제1 버튼(223)이, 측면에는 음향을 조절하거나 재생되는 파일의 순서를 변경하는 등의 기능을 위한 제2 버튼(2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223, 224)은 돌리는 조그 버튼, 밀어서 신호를 입력하는 슬라이드 버튼 또는 돔스위치를 구비한 돔스위치 버튼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우징(220)에 상기 제1 버튼(223)과 제2 버튼(224)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223, 224)은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촉함으로서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220)에 위치하는 버튼(223, 224)은 각각 다른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측은 통화와 관련된 기능을 타측은 음악과 관련된 기능의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일측의 하우징(220)에 위치하는 제1 버튼(223)은 통화버튼이고 제2 버튼(224)은 음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타측의 하우징(220)에 위치하는 제1 버튼(223)은 음악의 재생 또는 정지를 위한 버튼이고 제2 버튼(224)은 재생 순서를 변경하는 버튼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음향 케이블(245)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220)과 연결되고 타단은 리시버(240)와 연결된다. 하우징(220)에 실장된 무선통신부(255)를 통해 음향신호를 수신받고 음향 케이블(245)을 통해 리시버(240)로 음향신호가 전송된다.
리시버(240)는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귀에 고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240)는 하우징(220) 의 밴드(210)와 연결된 반대쪽 단부에 위치하는 리시버 홀더(225)에 결착하여 휴대시 음향 케이블(245)이 엉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리시버 홀더는 음향이 출력되는 리시버(240)를 휴대하기 위한 리시버(240)의 안착부이며, 리시버(240) 및 리시버 홀더(225)에 자석을 구비하여 자기력을 이용해 리시버(240)를 리시버 홀더(225)에 고정시킬 수 있다. 리시버 홀더(225)는 하우징(220)의 단부에 별도의 사출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리시버 홀더(225)에는 음향케이블(245)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리시버 홀더(22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외측면에 리세스 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0)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 형태일 수도 있다.
리시버 홀더(225)는 리시버 스위치(226)를 구비하여 리시버 홀더(225)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 스위치(226)의 일 예로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서 돌출된 푸시 버튼 리시버 스위치(226)를 들 수 있다. 상기 리시버(240)가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 결합되면 상기 푸시 버튼이 눌러지면서 리시버 스위치(226)가 오프가 되고 상기 리시버(240)가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서 분리되면 푸시 버튼이 돌출되면서 리시버 스위치(226)가 온 상태로 될 수 있다.
온/오프 상태는 반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시버 스위치(226)는 자기센서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리시버(240)가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 결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리시버(240)는 이어폰 모드에서는 저출력으로 소리를 출력하고 스피커 모드에서는 고출력으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스피커로 겸용할 수 도 있다. 이어폰 모드와 스피커 모드에서 소리가 출력되는 부분이 동일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리시버(240)에 별도의 음향출력홀(24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리시버(240)는 음향 케이블(245)에 연결되어 하우징에 실장된 무선통신부(255)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는 방법 이외에 리시버(240) 자체에 무선통신부(255)를 구비하면 음향 케이블(245)을 생략할 수 있다. 이때, 리시버(240) 자체에도 소형 배터리를 구비하며, 상기 리시버 홀더(225)에 리시버(40)가 결합시 리시버의 소형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하우징(220)에는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위치할 수 있으며, 평소에는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228)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음향기기(2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전원스위치(229)가 하우징(220)에 구비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충전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무선통신부(255)이 연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표시하며, 색상 및 깜빡이는 속도 등으로 무선음향기기(2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220)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1 버튼(223)의 둘레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케이블(245)이 하우징(220)으로 인입되면서 리시버(240)가 리시버 홀더(225)에 결착된다. 음향 케이블(245)은 하우징(220) 내부에 있는 릴(230)에 감기면서 하우징(220)으로 인입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부분 투시로서, 음향 케이블(245)이 감기는 릴(230)이 도시되어 있다. 릴(230)은 하우징(220)에 고정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며 릴(230)의 외주면에 음향 케이블(245)을 감아 음향 케이블(245)을 하우징(220) 내부로 인입한다.
사용자가 리시버(240)를 당겨 음향 케이블(245)을 릴(230)에서 풀면 릴(230)은 회동부재가 회전시키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음향 케이블(245)을 당긴만큼 릴(230)은 회전된 상태로 스토퍼(233)에 의해 고정된다.
사용자가 릴(230)을 고정하는 스토퍼(233)를 해제하면 릴(230)을 회동부재에 의한 회전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켜 음향 케이블(245)이 하우징(220) 내부로 인입된다.
인쇄회로기판(250)로부터 음향 케이블(245)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250)으로부터 연장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2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릴(230)에 감긴 음향 케이블(245)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릴(230)과 음향 케이블(245)의 분해 사시도이다.
릴(230)은 원통형 부재로서 중앙을 축(239)으로 회전하면서 음향 케이블(245)이 외주면에 감아 음향 케이블(245)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음향 케이블(245)가 릴(230)에 고정되도록 음향 케이블(245)을 끼우는 홈(238)을 포함할 수 있다. 릴(230)이 회전하여 음향 케이블(245)이 릴(230)의 외주면에 감기도록 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230)의 내부에 회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회동부재는 띠모양의 금속판을 평면상에 코일형상으로 감은 스파이럴 스프링(235)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235)의 중앙은 상기 하우징(2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릴(230)과 연결되어 스파이럴의 감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릴(230)을 회전하면 음향 케이블(245)이 풀려서 하우징(220) 밖으로 인출된다. 이때 스파이럴 스프링(235)이 느슨하게 풀어지며 스파이럴 스프링(235) 의 감긴방향으로 탄성력이 생긴다.
스파이럴 스프링(235)에 의해 음향 케이블(245)은 릴(230)에 감기는 방향으로 릴(230)이 힘을 받게 되는 바, 음향 케이블(245)이 풀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릴(230)이 스파이럴 스프링(235)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233)와 돌기(23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릴(230)과 스토퍼(233)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의 릴(230)과 스토퍼(233)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돌기(231), 스파이럴 스프링(235), 스토퍼(233)가 도시되어 있다.
돌기(231)는 릴(23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스파이럴 스프링(235)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에는 직선이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233)는 릴(230)의 중심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233')에 의해 릴(230) 방향으로 밀려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돌기(231)의 직선부분을 지지하며 릴(23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스토퍼(233)를 릴(23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밀면 상기 돌기(231)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릴(230)이 스파이럴 스프링(235)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한다. 스토퍼(233)에 사용자가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233')의 탄성에 의해 다시 릴(230) 방향으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스토퍼(233)를 탄성부재(233')의 탄성에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스토퍼(2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0) 표면으로 노출된 리시버 수납키(234)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 수납키(234) 슬라이드 방식(도 10 참고), 누름방식(도 11 및 12 참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리시버 수납키(23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납키(234)를 누르면 스토퍼(233)가 밀리면서 릴(230)로부터 이격된다. 릴(230)의 둘레에 형성된 돌기(231)로부터 분리되면서 릴(230)이 회전하게된다.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253)을 통해 전달된 음향신호를 음향 케이블(245)에 전달하기 위해 음향기판(236)을 릴(230)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릴(230)의 회전시 변화하는 음향케이블(245) 단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음향기판(236)이 음향 케이블(245)과 접속되도록 음향기판(236)과 음향케이블(245) 사이에 음향 브러시(237)를 구비할 수 있다.
음향기판(236)은 신호종류(예를 들면 좌측/우측 음향신호)에 반경이 다른 원형의 접속단자(236', 236')를 구비하고 상기 음향 브러시(236)는 음향기판(236)의 원형의 접속단자(236', 236")의 위를 움직이며 음향케이블(245)과 음향기판(236) 사이의 접속을 유지한다.
상기 릴(230)이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이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우징(120)에 소음 차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릴(230)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23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릴(230)의 외주면에 톱니(232)를 형성하여 상기 기어(232')와 맞물려 회전할 때 상기 기어(23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릴(2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음향기기(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 케이블(245a, 245b)이 하우징(220)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고 밴드(210)를 따라 사용자의 목 뒤쪽으로 감기고 에 결착된다.밴드(210)에 손쉽게 결착시키기 위해 음향 케이블(245a, 245b)과 밴드(210)에 각각 자석(270a, 270b, 271a, 271b)을 구비할 수 있다.
밴드(210)가 사용자의 목에 안착시 사용자의 귀 아래 부분에 자석(270a, 270b)이 위치하고, 음향 케이블(245a, 245b)의 밴드의 자석(270a, 270b)에 상응하는 위치에 자석(271a, 271b)을 구비한다.
밴드(210)를 따라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 음향 케이블(245a) 단부의 리시버(240a)는 우측의 리시버 홀더(225a)에 결착된다. 반대로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연장된 음향 케이블(245b) 단부의 리시버(240b)는 좌측의 리시버 홀더(225b)에 결착된다.
이때, 좌측에서 연장된 음향 케이블(245a)의 자석(271a)은 좌측의 자석(270a)에 결착되고 우측에서 연장된 음향 케이블(245b)의 자석(271b)은 우측의 자석(270b)에 결착된다.
도 14는 조도센서(260)가 조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조도센서(260)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조도센서(260)를 이용하여 주변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리시버(240)를 귀에 꽂고 음악을 듣는 중에 주변에 차량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없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밤에는 사람이 잘 보이지 않아 차량의 주의가 약해지기 때문에 사고 발생 위험이 더 크다.
조도센서(260)가 밤에 차량이 근접하여 차량의 라이트에 의한 조도의 급격한 변화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경고음을 리시버(240)를 통해 출력하거나 진동모터를 이용하여 무선음향기기(200)가 진동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소정 시간내(0.5초 같은 짧은 시간)에 기준치 이상의 조도 변화가 일어난 경우 차량이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시버(240)를 귀에 꽂고 음악을 들을 때 이외에는 리시버(240)를 통한 경고음의 출력은 불필요하므로, 리시버(240)가 리시버 홀더(225)로부터 이탈된 경우에만 경고음을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경고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음향기기를 사용 중에 차가 접근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사고가 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리시버 홀더에 리시버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리시버의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00: 무선음향기기 210: 밴드
220: 하우징 250: 인쇄회로기판
223: 제1 버튼 224: 제2 버튼
225: 리시버 홀더 226: 스위치
230: 릴 231: 돌기
233: 스토퍼 234: 리시버 수납키
235: 스파이럴 스프링
240: 리시버 245: 음향 케이블
250: 제어부 255: 무선통신부
257: 전원공급부 260: 조도센서

Claims (12)

  1. 탄성을 갖는 밴드;
    상기 밴드의 양단에 위치하고, 단부에 리시버 홀더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리시버 홀더에 탈착되는 리시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회동부재;및
    일단부는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리시버에 연결되는 음향 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회전하며 상기 음향 케이블이 외측에 감기는 릴(reel);
    상기 릴에 제1 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하는 스파이럴 스프링;
    상기 릴의 외각 둘레에 돌출되는 돌기;
    상기 릴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제1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돌기에 걸리는 스토퍼; 및
    사용자가 가압시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토퍼에 힘을 전달하는 리시버 수납키를 포함하며,
    상기 리시버 수납키가 제2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스토퍼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돌기에서 분리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돌기에 걸리면 상기 릴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돌기에서 분리되면 회전하는 무선음향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리시버 수납키를 향하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 수납키는 단부에 상기 경사면에 접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리시버 수납키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경사면이 제1 경사면을 가압하여 상기 스토퍼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원형의 전극부를 포함하는 음향기판; 및
    상기 음향 케이블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전극부 위를 이동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전달된 신호를 상기 음향 케이블로 전달하는 음향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릴이 회전하는 방향은 직선이고 그 반대 방향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띠모양의 금속판을 평면상에 코일형상이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중앙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동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리시버 홀더와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수납키는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릴의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을 차폐하는 차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상부 하우징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리시버 홀더와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음향기기.
KR1020150011500A 2015-01-23 2015-01-23 무선음향기기 KR101615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500A KR101615240B1 (ko) 2015-01-23 2015-01-23 무선음향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500A KR101615240B1 (ko) 2015-01-23 2015-01-23 무선음향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3307A Division KR101507869B1 (ko) 2014-03-13 2014-03-21 무선음향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302A KR20150110302A (ko) 2015-10-02
KR101615240B1 true KR101615240B1 (ko) 2016-04-25

Family

ID=5434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500A KR101615240B1 (ko) 2015-01-23 2015-01-23 무선음향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90811B1 (en) 2016-01-04 2019-02-27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835337B1 (ko) 2016-08-26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443Y1 (ko) 2001-01-08 2001-06-15 이호식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
KR200420804Y1 (ko) 2006-04-10 2006-07-06 최동현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JP2006238437A (ja) 2005-02-21 2006-09-07 Harald Wegner 移動電話用ハンドフリーキット用イヤホーンのワイヤ巻取デバイス
KR101289244B1 (ko)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443Y1 (ko) 2001-01-08 2001-06-15 이호식 이어폰 자동 감김장치
JP2006238437A (ja) 2005-02-21 2006-09-07 Harald Wegner 移動電話用ハンドフリーキット用イヤホーンのワイヤ巻取デバイス
KR200420804Y1 (ko) 2006-04-10 2006-07-06 최동현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KR101289244B1 (ko)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302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869B1 (ko) 무선음향기기
EP3188499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CN108184184B (zh) 蓝牙耳机
US10250965B2 (en) Multi-function bone conducting headphones
US9906851B2 (en) Wireless earbud charg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84866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2163919B1 (ko) 무선음향기기
JP3159333U (ja) コード巻取装置を有するモバイル機器
CN103891311A (zh) 具有邻近度确定的耳机
KR20110111400A (ko) 전기 액세서리 및 그 제공 방법
KR101714442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60048452A (ko) 음향기기
CN109391865B (zh) 便携式音响设备
KR101615240B1 (ko) 무선음향기기
KR102104897B1 (ko) 무선음향기기
KR102369586B1 (ko) 전자기기
KR101758285B1 (ko) 휴대용 음향기기
EP3439321B1 (en) Portable sound device
KR101637369B1 (ko) 무선음향기기
JP2005191766A (ja) 携帯用電子機器
JP2005191767A (ja) 携帯用電子機器
KR20190069755A (ko) 휴대용 음향기기
CN213754910U (zh) 具有自动开关机功能的蓝牙耳机
KR102345345B1 (ko) 전자기기
KR20080105671A (ko) 휴대 기기용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