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755A - 휴대용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755A
KR20190069755A KR1020170169988A KR20170169988A KR20190069755A KR 20190069755 A KR20190069755 A KR 20190069755A KR 1020170169988 A KR1020170169988 A KR 1020170169988A KR 20170169988 A KR20170169988 A KR 20170169988A KR 20190069755 A KR20190069755 A KR 20190069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roller
cable
bobbi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우
김동순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9755A/ko
Priority to PCT/KR2018/014356 priority patent/WO2019117496A1/ko
Publication of KR20190069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실장되는 수납모듈(retractable module); 상기 본체 내부에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본체 내부에 실장된 배터리; 상기 본체의 일단에 위치하는 케이블 홀; 일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모듈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블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음향케이블; 및 상기 음향케이블 단부에 연결된 이어버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모듈은 상기 본체에 고정된 제1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고정롤러; 상기 고정롤러에 인접한 제1 위치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에 고정된 제2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이동롤러; 및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고정롤러에 가까운 제1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은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이동롤러 사이에 감기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PORTABLE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는 음향출력부를 구비하며 음악재생, 전화통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기지국과 연결하여 전화를 통화하거나, 직접 외부 서버와 접속하여 음향데이터를 구할 수 있으며, 다른 단말기와 연결하여 페어링을 통해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와 거치부인 바디 사이를 연결하는 음향케이블은 긴 줄형태로 사용하지 않을 때 줄이 엉키거나 줄에 걸리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 음향케이블을 바디 내부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있어서 슬림한 구조의 수납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실장되는 수납모듈(retractable module); 상기 본체 내부에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본체 내부에 실장된 배터리; 상기 본체의 일단에 위치하는 케이블 홀; 일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모듈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블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음향케이블; 및 상기 음향케이블 단부에 연결된 이어버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모듈은 상기 본체에 고정된 제1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고정롤러; 상기 고정롤러에 인접한 제1 위치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에 고정된 제2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이동롤러; 및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고정롤러에 가까운 제1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은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이동롤러 사이에 감기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롤러 및 상기 이동롤러는 축방향으로 양 단의 지름이 중앙의 지름보다 더 큰 보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이동롤러에 나란히 위치하는 제1 보빈 및 제2 보빈; 및 상기 고정롤러에 위치하는 제3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은 일단은 고정되고, 상기 제1 보빈, 제3 보빈 및 상기 제2 보빈에 감긴 후에 상기 케이블 홀을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납모듈은 상기 고정롤러, 상기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롤러를 수납하며 일단은 상기 음향케이블이 통과하고, 타단은 상기 탄성부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모듈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케이스는 상기 제1 위치의 너비는 상기 제2 위치의 너비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이동브라켓은 인입 또는 돌출되는 탄성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케이스는 상기 제1 위치의 측벽에 상기 스토퍼가 결합되는 후크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가 돌출된 경우 상기 이동브라켓과 상기 돌출된 스토퍼의 너비는 상기 제1 위치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후크홈에 결합된 스토퍼를 분리시키는 수납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휘어진 유선형을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 개의 단위기판 및 상기 단위기판을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이용하던 회전형의 수납모듈 대신에 단순한 구조의 수납모듈을 이용하여 수납모듈의 신뢰성을 높이고, 크기를 줄여 슬림한 구조의 휴대용 음향기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하우징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납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납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납모듈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과 관련한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구성들의 설명 편의를 위해 도 2를 함께 참조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제어부(380), 무선통신부(385), 음향출력부(340), 센싱부(375), 마이크(360), 사용자 입력부(370) 및 전원공급부(390)를 포함한다.
음향출력부(340)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버드(341)가 있다.
마이크(3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3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375)는 휴대용 음향기기(3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는 장치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선세,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휴대용 음향기기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이어버드(ear bud)(341) 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어버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통화 버튼(372),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373), 전원 버튼(371) 및 음향케이블(345)을 하우징(320)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버튼(218)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의 개수는 통화 버튼(372), 한 쌍의 음량조절 버튼(373)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외에 play/stop 버튼, 곡순서 변경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직접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의 개수가 많으면 각 버튼의 기능을 구분하기 힘들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가능한 제여명령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분실 위험이 적으나, 통상의 단말기는 분실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 입력부(370)는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2개의 사용자 입력부(370)를 동시에 일정시간 누르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의 알람을 울려 잃어버린 단말기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로 연결된 외부 단말기의 음성녹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마이크(360)를 통해 수집된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통화와 관련된 기능 또는 사운드 미디어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 휴대용 음향기기로 제어 가능했으나,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그 제어범위가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본체는 밴드(310)와 하우징(320)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의 곡선을 형성한다.
사용자의 목 뒤에 거치되는 밴드(310)의 양 단에는 전장부를 형성하는 하우징(320)이 구비된다. 상기 밴드(310)와 하우징(320)은 기능을 위주로 구분한 구성이므로, 경우에 따라 밴드(310)와 하우징(320)의 구분 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겹치는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밴드(310)의 단면 형상 및 길이는 사용자의 목에 거치 시 이물감을 최소화 하기 위한 형태로 결정된다. 일 예로, 밴드(310)는 휘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면과 두께를 갖는 꼬여진 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꼬여진 테이프 형상의 밴드(310)의 경우 밴드(310)의 내측면이 목의 배면에 되고 외측면이 배면을 향한다.
밴드(310)는 넓은 면이 사용자의 목을 향하고, 하우징(320)은 넓은 면이 상면을 향하는 형태로 입체적인 곡선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320)은 밴드(310)의 양단에 결합하여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C자형 곡선의 양 단부에 위치한다. 내부와 외부에 메인기판(381), 무선통신부(385), 배터리(391) 수납모듈(200)과 같은 각종 부품이 삽입된다.
종래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밴드는 가늘지만 양측의 하우징은 비교적 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하우징(320)은 종래의 하우징에 비해 얇게 형성하여 밴드(310)와 거의 유사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슬림한 디자인은 선호되는 디자인이고,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목에 착용시 하우징(320)이 쇄골에 부딪치거나 하우징(320)의 무게 때문에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C자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음향기기(300)에 구비된 센싱부(375)는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375)는 밴드(310)에 구비되어 밴드(310)의 곡률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변위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착용시 양 단의 하우징(320)을 벌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밴드(310)의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사용하려는 것을 판단하고,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상기 변위센서 이외에 사용자가 착용시 목과 닿는 착용면에 온도감지 센서, 광센서 또는 심박센서와 같은 센서를 구비하여 온도가 사람의 체온 범위이거나 밝기가 어두워지고, 심박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무선통신부(385)를 활성화 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또는 물리적 방식으로 눌러지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하면 돌출된 스위치가 눌려서 ON신호를 생성하고 소정시간 이상 스위치 ON상태가 유지되면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75)와 스위치는 복수 개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값을 조합하여 착용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하우징(320)에는 이어버드(341)가 안착되기 위한 이어버드 홀더(325)를 구비할 수 있다. 이어버드 홀더(325)는 이어버드(341)의 형상에 상응한 홈으로, 이어버드(341)와 결합하기 위해 자석 또는 후크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어버드 홀더(325)는 하우징(320)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어버드(341)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 시 이어버드(341)가 보이지 않도록 이어버드 홀더(325)는 하우징의 하면(사용자가 착용시 사용자의 몸과 맞닿는 방향) 방향으로 개방되고, 전면 방향은 하우징(320a)이 덮고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어버드(341)는 음향케이블(345)을 통해 하우징(320) 내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381a, 381b)과 연결되고, 인쇄회로기판(381a, 381b)은 제어부로서 음향케이블(345)을 통해 이어버드(341)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제어한다.
음향케이블(345)의 일단은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타측은 하우징(320) 외측으로 노출되므로 하우징(320)에는 음향케이블(345)이 관통하는 케이블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홀은 이어버드(341)가 결합되는 이어버드 홀더(325)에 형성될 수 있다. 이어버드 홀더(325)에 케이블홀이 형성되는 경우 음향케이블(345)이 하우징 내부로 수납되어야 이어버드(341)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 가능한 바, 하우징(320) 내부에 음향케이블(345)을 수납하는 수납모듈(21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하우징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수납모듈은 원형의 휠의 둘레에 음향케이블(345)이 감기는 형태의 구조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휠을 이용한 수납모듈(210)은 음향케이블(345)이 휠의 둘레에 감겨야 하므로 케이블의 두께가 얇아야 해서 음향케이블(345)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휠에 감긴 음향케이블(345)과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전극이 회전모듈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접속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휠의 크기 때문에 하우징(320)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림한 하우징(320)에 실장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휠에 음향케이블(345)이 감기는 형태 대신에 두께가 얇은 수납모듈(210)을 이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수납모듈(21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수납모듈(210)은 모듈케이스(211), 고정롤러(216), 이동브라켓(215), 이동롤러(214)와 같이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모듈케이스(211)는 하우징(320)에 고정되며, 내부의 일측에 고정롤러(216)가 고정되고 이동브라켓(215)은 수납모듈(210)이 길이방향(제1 방향)으로 이동 한다. 이동브라켓(215)은 고정롤러(216)를 향하는 일측에 이동롤러(214)가 결합하고, 타측에 탄성부(217)가 결합하여 이동브라켓(215)과 고정롤러(216)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고정롤러(216)는 제2 방향(수납모듈(210)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된 제1 샤프트(212a)를 축으로 회전하고, 제1 샤프트(212a)는 수납모듈(210)에 고정된다. 이동롤러(214)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샤프트(212b)를 축으로 회전하고 제2 샤프트(212b)는 이동브라켓(215)에 결합된다. 이동브라켓(215)은 고정롤러(216)에 인접한 제1 위치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고정롤러(216)와 이동롤러(214) 사이의 거리는 가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을 당기면 이동롤러(214)와 고정롤러(216)가 회전하고 음향케이블(345)이 인출된 만큼 이동브라켓(215)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고정롤러(216)와 이동롤러(214)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음향케이블(345)은 고정롤러(216)와 이동롤러(214) 사이를 왕복하며 고정롤러(216)와 이동롤러(214)에 감기고 음향케이블(345)이 샤프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한 자리에 위치하도록 제2 방향으로 가운데가 지름이 작고 양 단부의 지름이 큰 보빈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케이블(345)은 사용자가 이어버드(341)를 착용시 고개를 돌릴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고정롤러(216)와 이동롤러(214) 사이를 복수 회 왕복하며 감길 수 있다. 이 때 음향케이블(345)이 감긴 횟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보빈을 구비하여 음향케이블(345)이 서로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케이블(345)이 왕복 2회 감기는 경우 이동롤러(214)는 2개의 보빈(214a, 214b)을 포함하고 음향케이블(345)이 2회 감긴다. 고정롤러(216)는 1개의 보빈을 포함하고 1회 감기며, 음향케이블(345)의 양 단부는 제1 위치 방향으로 배치된다. 음향케이블(345)의 일단은 하우징(320)에 수납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기 위해 모듈케이스(211)에 형성된 개구부(2113)을 통해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연장된다. 개구부(2113)를 빠져나간 음향케이블(345) 부분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롤러와 감길 필요가 없이 수납모듈(210) 바깥쪽으로 빠져나가게 배치할 수 있다.
음향케이블(345)의 타단은 이어버드(341)와 연결되기 위해 케이블홀을 통과하여 하우징(320) 외측으로 연장된다. 음향케이블(345)이 수납모듈(210) 사이를 왕복하는 횟수를 증가시켜, 음향케이블(345)의 길이를 더 길게 할 수 있고, 또는 수납모듈(210)의 길이를 짧게 줄일 수 있다.
도 5및 도 6은 본 발명의 수납모듈(21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이어버드(341)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수납되어 이동브라켓(215)이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이고, 도 6은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이 수납모듈(210)에서 인출되어 이동브라켓(215)이 제1 위치에 고정된 상태이다.
도 5의 상태에서는 수납모듈(210)의 일측에 위치하는 고정롤러(216)는 수납모듈(210)의 일측에 고정된 제1 샤프트(212a)를 축으로 회전하다. 이동브라켓(215)은 수납모듈(210)의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동브라켓(215)에 결합된 탄성부(217)는 이동브라켓(215)이 수납모듈(210)의 제1 위치로 이동한 경우, 제2 위치 방향으로 되돌아 오도록 당기는 힘을 가한다. 이어버드(341)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위치하는 경우 탄성부(217)의 탄성에 의해 도 5와 같이 이동브라켓(215)은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음향케이블(345)은 수납모듈(210) 내측에 수납된다.
사용자가 이어버드(341)를 잡아당기면 음향케이블(345)이 당겨지면서 이동브라켓(215)이 제1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음향케이블(345)이 하우징(320) 외부로 인출될수록 이동롤러(214)와 고정롤러(216)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고, 도 6과 같이 이동브라켓(215)이 수납모듈(210)의 제1 위치에 도달하면 음향케이블(345)을 최대로 인출한 상태가 된다.
음향케이블(345)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동브라켓(215)을 타측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부(217)의 탄성에 저항하는 스토퍼(213)가 필요하다. 스토퍼(213)는 이동브라켓(215)에서 돌출되며, 이동브라켓(215)이 제1 위치에 도달하면 수납모듈(210)에 형성된 후크홈(2111)에 걸려 이동브라켓(215)을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을 다시 수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수납버튼(218)을 눌러 후크홈(2111)에서 스토퍼(213)를 분리시킬 수 있다. 스토퍼(213)는 수납버튼(218)을 눌러 힘을 가하면 후크홈(2111)에서 분리되도록 변형부(2132)를 가질 수 있다. 후크홈(2111)에서 스토퍼(213)가 분리되면 이동브라켓(215)이 탄성부(217)의 탄성에 의해 다시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스토퍼(213)를 이동브라켓(215)에 고정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브라켓(215)의 돌출부(2152)에 스토퍼(213)의 홀(2131)이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213)의 홀(2131)의 크기는 돌출부(2152)보다 커서 돌출부(2152)가 변형부(2132)의 변형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4을 참조하면 스토퍼(213)를 별도의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동브라켓(215)에 결합된 제2 샤프트(212b)를 스토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제2 샤프트(212b)는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가변 하도록 변형부를 포함하되 이동롤러(214)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이동브라켓(215)에 결합할 수 있다.
모듈케이스(211) 내부에서 이동브라켓(215)이 이동시 스토퍼(213)가 모듈케이스(211)의 내측벽과 맞닿은 상태로 이동을 하면 스토퍼(213)의 단부가 마모되고, 음향케이블(345)을 인입 또는 인출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어, 스토퍼(213)가 이동브라켓(215)에서 돌출되었을 때 모듈케이스(211)의 측벽과 닿지 않도록 모듈케이스(211)의 내부 너비(a)는 이동브라켓(215)의 너비와 돌출된 스토퍼(213)의 너비보다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다만, 후크홈(2111)에 스토퍼(213)가 결합하기 위해서는 스토퍼(213)를 모듈케이스(211) 내측벽이 눌러주어야 하는 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케이스(211)의 제1 위치 부근의 너비(b)는 더 작게 형성할 수 있다(b<a). 즉, 모듈케이스(211)의 내부 너비는 후크홈(2111)이 형성된 제1 위치는 좁고 제2 위치는 더 넓으며, 너비 차를 보상하기 위해 모듈케이스(211) 내측벽은 경사면(21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인 곡면을 포함한다. 종래의 하우징(320)에 비해 본 발명의 하우징(320)은 작아 하나의 판상형의 인쇄회로기판이 실장될 공간이 부족하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을 복수 개의 단위기판(381a, 381b) 분할하고 각각을 플렉서블 기판(383)을 통해 연결하여 꺾어진 공간에 인쇄회로기판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종래에 이용하던 회전형의 수납모듈 대신에 단순한 구조의 수납모듈(210)을 이용하여 수납모듈(210)의 신뢰성을 높이고, 크기를 줄여 슬림한 구조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10: 수납모듈 211: 모듈케이스
2111: 후크홈 212a: 제1 샤프트
212b: 제2 샤프트 213: 스토퍼
214: 이동롤러 215: 이동브라켓
216: 고정롤러 217: 탄성부
218: 수납버튼
300: 휴대용 음향기기 310: 밴드
317: 체결홀 318: 케이블홀
319: 신호선 수용부 320: 하우징
325: 이어버드 홀더 341: 이어버드
345: 음향케이블 360: 마이크
370: 사용자 입력부 375: 센싱부
380: 제어부 381: 메인기판
382: 신호선 385: 무선통신부
390: 전원공급부 391: 배터리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실장되는 수납모듈(retractable module);
    상기 본체 내부에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본체 내부에 실장된 배터리;
    상기 본체의 일단에 위치하는 케이블 홀;
    일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모듈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블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음향케이블; 및
    상기 음향케이블 단부에 연결된 이어버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모듈은
    상기 본체에 고정된 제1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고정롤러;
    상기 고정롤러에 인접한 제1 위치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에 고정된 제2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하는 이동롤러; 및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고정롤러에 가까운 제1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은 상기 고정롤러와 상기 이동롤러 사이에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롤러 및 상기 이동롤러는 축방향으로 양 단의 지름이 중앙의 지름보다 더 큰 보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이동롤러에 나란히 위치하는 제1 보빈 및 제2 보빈; 및
    상기 고정롤러에 위치하는 제3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은
    일단은 고정되고, 상기 제1 보빈, 제3 보빈 및 상기 제2 보빈에 감긴 후에 상기 케이블 홀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모듈은
    상기 고정롤러, 상기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롤러를 수납하며 일단은 상기 음향케이블이 통과하고, 타단은 상기 탄성부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모듈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케이스는 상기 제1 위치의 너비는 상기 제2 위치의 너비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라켓은 인입 또는 돌출되는 탄성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케이스는 상기 제1 위치의 측벽에 상기 스토퍼가 결합되는 후크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돌출된 경우 상기 이동브라켓과 상기 돌출된 스토퍼의 너비는 상기 제1 위치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홈에 결합된 스토퍼를 분리시키는 수납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휘어진 유선형을 가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 개의 단위기판 및 상기 단위기판을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170169988A 2017-12-12 2017-12-12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69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988A KR20190069755A (ko) 2017-12-12 2017-12-12 휴대용 음향기기
PCT/KR2018/014356 WO2019117496A1 (ko) 2017-12-12 2018-11-21 휴대용 음향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988A KR20190069755A (ko) 2017-12-12 2017-12-12 휴대용 음향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755A true KR20190069755A (ko) 2019-06-20

Family

ID=6710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988A KR20190069755A (ko) 2017-12-12 2017-12-12 휴대용 음향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97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87094A (zh) * 2023-08-15 2023-10-13 浙江臻星舞台工程有限公司 一种高防护性的户外蓝牙音响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87094A (zh) * 2023-08-15 2023-10-13 浙江臻星舞台工程有限公司 一种高防护性的户外蓝牙音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33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687623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80553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US20120114154A1 (en) Using accelerometers for left right detection of headset earpieces
KR101763600B1 (ko) 휴대용 음향기기
TW201439818A (zh) 用於行動終端機的應用程式控制方法及設備、耳機裝置和應用程式控制系統
US10306351B2 (en) Portable sound device
KR101507869B1 (ko) 무선음향기기
US10491983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94332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9536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60048452A (ko) 음향기기
KR2019006975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58285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70011320A (ko) 전자기기
EP3439321B1 (en) Portable sound device
KR10175994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615240B1 (ko) 무선음향기기
WO2019117496A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6843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4978A (ko) 회전모듈 및 휴대용 음향기기
KR20170116376A (ko) 휴대용 전자기기
KR20190016845A (ko) 휴대용 음향기기
WO2020138565A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22137A (ko) 휴대용 음향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