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329B1 - 휴대용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329B1
KR101943329B1 KR1020180033930A KR20180033930A KR101943329B1 KR 101943329 B1 KR101943329 B1 KR 101943329B1 KR 1020180033930 A KR1020180033930 A KR 1020180033930A KR 20180033930 A KR20180033930 A KR 20180033930A KR 101943329 B1 KR101943329 B1 KR 101943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shaft
stop
rotati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한
박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0555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27128A1/en
Priority to US16/017,738 priority patent/US1030635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Abstract

음향케이블을 감는 회전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은,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된 고정부; 오목하게 인입된 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트랙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시 상기 트랙상의 위치가 가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은,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로부터 거리가 비대칭인 제1 트랙; 상기 제2 트랙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트랙; 상기 제1 트랙과 상기 제2 트랙을 연결하는 연결트랙; 및 상기 제1 트랙과 상기 제2 트랙 사이에 위치하고 V자 형상으로 꺾인 스톱트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PORTABLE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는 음향출력부를 구비하며 음악재생, 전화통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기지국과 연결하여 전화를 통화하거나, 직접 외부 서버와 접속하여 음향데이터를 구할 수 있으며, 다른 단말기와 연결하여 페어링을 통해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와 거치부인 바디 사이를 연결하는 음향케이블은 긴 줄형태로 사용하지 않을 때 줄이 엉키거나 줄에 걸리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 음향케이블을 바디 내부로 수납하기 위한 회전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있어서 회전모듈의 부재 개수를 줄여 더 간단한 구조의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어버드 홀더를 구비한 본체;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가능하고,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 일단은 상기 본체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어버드에 음향신호를 전송하는 음향케이블; 및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실장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음향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은,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된 고정부; 오목하게 인입된 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트랙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시 상기 트랙상의 위치가 가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은,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로부터 거리가 비대칭인 제1 트랙; 상기 제2 트랙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트랙; 상기 제1 트랙과 상기 제2 트랙을 연결하는 연결트랙; 및 상기 제1 트랙과 상기 제2 트랙 사이에 위치하고 V자 형상으로 꺾인 스톱트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트랙에서 상기 샤프트와 가장 가까운 제1 위치까지 상기 샤프트로부터의 거리(x1)는 상기 샤프트로와 가장 이격된 상기 제1 트랙의 제2 위치의 상기 샤프트로부터의 거리(x2)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케이블은 상기 회전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시 감기고, 상기 제1 트랙은 경사면과 단차부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2 트랙은 제1 방향으로 트랙면이 높아지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스톱트랙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1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제1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연결트랙과 상기 스톱트랙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트랙은 상기 제1 트랙에서 상기 제2 트랙방향으로 트랙면이 높아지는 제2 경사면과 상기 연결트랙에서 상기 제2 트랙 사이에 상기 연결트랙이 더 높은 제2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트랙은 트랙면의 높이가 같을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터 상기 스톱트랙의 V자 형상으로 꺾인 부분의 트랙 바깥쪽까지 거리(x3)는 상기 샤프트부터 상기 스톱트랙의 V자 형상으로 꺾인 부분의 트랙 안쪽까지 거리(x4) 보다 더 짧을 수 있다.
형성되며 상기 트랙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샤프트 슬롯 및 상기 트랙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슬롯의 너비는 상기 샤프트의 너비에 상응하고,
상기 샤프트 슬롯의 길이는 상기 제1 트랙의 샤프트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제2 트랙의 상기 샤프트로부터 가장 먼 지점 사이의 거리의 차이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스톱 플레이트를 커버하며 상기 회전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슬롯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 및 상기 스톱 플레이트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는 가이드 보스를 더 포함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보스와 상기 스토퍼 보스는 상기 스톱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 시 상기 샤프트 슬롯이 형성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사기 회전부는,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외주면에 상기 음향케이블이 감기는 보빈을 더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모듈의 부재 개수를 줄여 회전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트랙면의 단차를 최소화 하여 음향케이블을 인출 인입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어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밴드와 하우징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회전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트랙, 브라켓 및 스톱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톱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트랙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스토퍼가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스톱트랙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트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과 관련한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구성들의 설명 편의를 위해 도 2를 함께 참조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제어부(380), 무선통신부(385), 음향출력부(340), 센싱부(375), 마이크(360), 사용자 입력부(370) 및 전원공급부(390)를 포함한다.
음향출력부(340)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버드(340)가 있다.
마이크(3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3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375)는 휴대용 음향기기(3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는 장치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휴대용 음향기기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이어버드(ear bud)(340) 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어버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통화 버튼(372),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373), 전원 버튼(371) 및 음향케이블(345)을 하우징(320)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버튼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의 개수는 통화 버튼(372), 한 쌍의 음량조절 버튼(373)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외에 play/stop 버튼, 곡순서 변경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직접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의 개수가 많으면 각 버튼의 기능을 구분하기 힘들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가능한 제어명령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분실 위험이 적으나, 통상의 단말기는 분실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 입력부(370)는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2개의 사용자 입력부(370)를 동시에 일정시간 누르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의 알람을 울려 잃어버린 단말기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로 연결된 외부 단말기의 음성녹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마이크(360)를 통해 수집된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통화와 관련된 기능 또는 사운드 미디어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 휴대용 음향기기로 제어 가능했으나,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그 제어범위가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본체는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의 곡선을 형성한다.
사용자의 목 뒤에 거치되는 탄성밴드(310)의 양 단에는 전장부를 형성하는 하우징(320)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은 기능을 위주로 구분한 구성이므로, 경우에 따라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의 구분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겹치는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탄성밴드(310)는 탄성을 가져 힘을 가하면 소정 범위내에서 변형되고 힘이 제거되면 원래 모양으로 복귀된다. 양 단의 각 하우징(320) 사이의 거리가 목을 통과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탄성밴드(310)의 탄성을 이용하여 각 하우징(320)을 벌려서 목에 거치하거나 거치를 해제할 수 있다.
탄성밴드(310)의 형상 및 길이는 사용자의 목에 거치시 이물감을 최소화 하기 위한 형태로 결정된다. 일 예로, 탄성밴드(310)는 휘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면과 두께를 갖는 꼬여진 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꼬여진 테이프 형상의 탄성밴드(310)의 경우 탄성밴드(310)의 내측면이 목의 배면을 향하고 외측면이 목의 배면방향을 향한다.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이 이어지는 부분은 꼬여져 각 하우징(320)은 외측면이 사용자의 전면 또는 상면을 향하고 내측면이 사용자의 후면 또는 쇄골부분에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320)은 탄성밴드(310)의 양단에 결합하여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C자형 곡선의 양 단부에 위치한다. 내부와 외부에 메인기판(381), 무선통신부(385), 배터리(391) 회전모듈(350)과 같은 각종 부품이 삽입된다.
C자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음향기기(300)에 구비된 센싱부(375)는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375)는 탄성밴드(310)에 구비되어 탄성밴드(310)의 곡률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변위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착용시 양 단의 하우징(320)을 벌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사용하려는 것을 판단하고,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착용한 것인지 휴대 중에 벌어진 것인지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변위센서에서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크게 변화한 이후의 곡률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제1 크기로 크게 변화하고 이후 곡률이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거치한 상태보다 완만한 제2 크기의 곡률로 고정된 경우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센서 이외에 사용자가 착용시 목과 닿는 착용면에 온도감지 센서, 광센서 또는 심박센서와 같은 센서를 구비하여 온도가 사람의 체온 범위이거나 밝기가 어두워지고, 심박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무선통신부(385)를 활성화 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또는 물리적 방식으로 눌러지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하면 돌출된 스위치가 눌려서 ON신호를 생성하고 소정시간 이상 스위치 ON상태가 유지되면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75)와 스위치는 복수 개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값을 조합하여 착용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탄성밴드(310)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하우징(320)은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를 포함하며,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에 메인기판(381), 무선통신부(385), 배터리(391), 마이크(360) 및 회전모듈(350) 등이 실장된다.
하우징(320)은 폴리머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며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과 같은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금속이나, 유리, 가죽 등의 이형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20)은 강성이 있는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재질로 형성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우징(3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할 수 있다. 하우징(3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체감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이 모두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신체에 착용하는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땀과 같은 수분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방수기능을 부가하면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의 틈을 커버하는 리브를 형성하거나 방수부재를 개재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별도의 방수부재를 개재하지 않더라도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가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320)의 내부에 실장되는 메인기판(381)은 무선통신부(385), 마이크(360) 등이 실장되며, 배터리(391), 사용자 입력부(370), 음향출력부(340) 등과 연결된다. 하우징(320)에 실장되는 부품은 양측의 하우징(320)에 대칭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고, 비대칭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측의 하우징(320)에만 구비된 부품을 탄성밴드(310)에 실장된 신호선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부(385)가 일측의 하우징(320)에 구비된 경우 무선통신부(385)가 수신한 음향신호를 신호선을 이용하여 양측의 이어버드(340)에 전달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85)는 메인기판(381)에 실장되거나, 하우징(3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패턴(386)를 포함 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 및 음향신호를 수신하거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사용자 입력부(370)나 마이크(360)를 통해 입력받은 제어명령 및 음향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하우징(320)에는 전원을 ON/OFF하는 전원버튼(371), 재생하거나 통화를 위한 버튼(372), 음향을 조절하는 방향키(373)등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방향키는 재생곡의 이전곡 또는 이후 곡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버튼은 물리적으로 가압되는 돔 키(dome key)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정전용량 변화로 감지하는 터치 키(touch key)를 이용할 수도 있다.
터치키의 경우 위치가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320) 표면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터치키가 하우징(320)의 표면에 구현된 경우, 하우징(320)의 표면에 터치키가 구현된 부분에 LED를 이용하여 터치키 위치 및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버드(340)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소리를 전달하며, 이어버드(340)는 음향케이블(345)을 통해 상기 메인기판(381)과 연결된다. 음향출력 모듈(미도시)는 이어버드(340)에서 소리를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은 진동판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메인기판(381)은 이어버드(340)를 제어하여 음향신호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게 제어한다.
도 4는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탄성밴드(310)의 분해사시도로서, 탄성밴드(310)는 형상기억합금(311), 피복부(312, 313) 및 연결부(315)를 포함한다.
형상기억합금(311)은 변형되더라도 특정 형상으로 복원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힘을 가해 본체를 벌리는 경우 탄성밴드(310)가 변형되더라도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온다. 따라서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형상 변형 또는 손상을 막아준다.
탄성밴드(310)는 형상기억합금(311)을 감싸는 피복부(312, 313) 를 더 포함하며, 피복부(312, 313) 는 형상이 가변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을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열로 녹여 제작 가능하고, 경화되면 내유성 내마모성이 있고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다.
상기 탄성밴드(310)의 양단에 위치하는 하우징(320)과 결합하기 위해 체결 구조를 갖는 연결부(31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결부(315)는 하우징(320)과 중첩되도록 피복부(312, 313) 에서 좌우로 연장된 형태를 띠며 부분적으로 피복부(312, 313) 가 감싸는 형태로 결합한다. 즉, 형상기억합금(311)과 연결부(315)에 이중사출 방식으로 피복부를 형성한다.
형상기억합금(311)의 위치를 연결부(315)에 정확히 배치하고 양측의 하우징(320)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을 고정하기 위해 형상기억합금(311)과 신호선을 커버하는 제2 피복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복부(312)의 양 단부를 상기 한 쌍의 연결부(315)와 결합한다. 그 이후 연결부(315)와 제2 피복부(312) 및 형상기억합금(311)을 커버하는 제1 피복부(313)를 이중사출 방식으로 형성하여 착용시 쉽게 변형되면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밴드(31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피복부(312)의 양단에 형상기억합금(311, 도 4참조)이 노출되며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형상기억합금(311, 도 4참조)의 양 단부를 갈고리 형상으로 꺾어서 연결부(315)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15)는 복수개의 홀이 있어, 하우징(320)과 체결된다.
연결부(315)의 적어도 일 영역은 하우징(320)에 의해 감싸져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 및 하부 케이스(322, 324)는 연결부(315)의 적어도 일 영역 중 일면 및 타면을 각각 커버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는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탄성밴드(310)의 연결부(315)와 결합하는 부분부터 본체의 양 단부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부재를 이용하고, 하부 케이스(322, 32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15)를 감싸는 제1 하부 케이스(322)와 부품이 실장되는 제2 하부 케이스(3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 또는 하부 케이스(322, 324) 중 하나와 연결부(315)는 상기 연결부(315)에 형성된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부 케이스(321) 또는 하부 케이스(322, 324)에 체결되는 스크류(316)를 통해 결합하고, 스크류(316)의 헤드 부분이 노출된 부분은 반대편 케이스가 결합하여 커버하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315)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공간 확보 및 경량화를 위해서는 짧게 형성하여 최소한의 개수로 스크류(316)를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의 체결력이 약해 탄성밴드(310)에 반복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연결부(315)를 충분히 연장하여 최대한 많은 스크류(316)를 이용하여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회전모듈(350)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회전모듈(350)은 하우징(3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실장되며, 회전하면서 음향케이블(345)을 회전모듈(350)의 외측 둘레에 감아 하우징(320, 도 3참조) 내부로 음향케이블(345)을 수납하고, 이어버드(340, 도 2참조)가 이어버드 홀더(325, 도 2참조)에 체결된다. 회전모듈(350)은 하우징(320)에 고정된 고정부(350a)와 상기 고정부(350a)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부(350b)로 구성된다. 고정부(350a)는 회전모듈(350)의 외관에 위치하는 브라켓(3501, 35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50a)는 회전모듈(350)의 회전 중심 축이 되는 샤프트(351)를 포함하고, 회전부(350b)는 음향케이블(345)이 감기는 원통형상의 보빈(353)을 포함한다. 보빈(353)은 음향케이블(345)이 감기는 공간을 위해 중심방향으로 인입된 오목부(353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353)의 내부에 태엽스프링(355)을 구비하여 회전모듈(350)의 회전을 구동하는 힘을 제공하고, 태엽스프링(355)은 나선형으로 감긴 판스프링의 일종으로 가운데가 샤프트(351)에 고정되고 외측이 회전부(350b)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을 당기면 보빈(353)이 제1 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태엽스프링(355)의 감김 수가 감소하여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갖게 되고, 음향케이블(345)을 놓으면 태엽스프링(355)이 상기 복원력에 의해 보빈(353)이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도면 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보빈(353)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보빈(353)의 외주면에 음향케이블(345)이 감기며 하우징(320) 내부로 수납된다.
회전부(350b)가 회전하더라도 음향케이블(345)은 하우징(320)에 실장된 메인기판(381)과 연결되어야 하므로, 고정부(350a)에 메인기판(381)과 연결된 회전모듈기판(352)를 포함한다. 회전모듈기판(352)은 2개의 지름이 다른 전극(3521, 3522)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전극(3521, 3522)에 각각 접속하는 접속단자(354)가 회전부(350b)에 위치한다. 접속단자(354)는 음향케이블(345)과 연결되며, 회전부(350b)가 회전하더라도 회전모듈기판(352)의 전극(3521, 3522) 위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접속단자(354)가 상기 전극(3521, 3522) 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며, 접속단자(354)와 음향케이블(345)를 납땜으로 연결하기 위해 보조기판(35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엽스프링(355)의 탄성에 의해 회전부(350b)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어하는 스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톱모듈은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을 당길 때 회전부(350b)가 제1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아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을 당기는 대로 상기 회전부(350b)는 자연스럽게 회전하며 음향케이블(345)이 인출된다. 사용자가 음향 케이블(345)을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음향케이블(345)이 인출된 상태에서 하우징(320) 내부로 수납되지 않도록 스톱모듈은 회전부(350b)의 제2 방향의 회전을 막아 회전부(350b)를 고정한다.
음향케이블(345)이 인출된 상태에서 음향케이블(345)을 다시 당겼다 놓으면 회전부(350b)의 고정이 풀려 태엽스프링(355)의 탄성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음향케이블(345)이 수납될 수 있다. 스톱모듈은 회전부(350b)의 회전을 후크와 같은 부재로 고정하고 이를 제거하는 버튼을 구비한 종래의 구조를 개선하여 단순히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회전모듈(350b)에 음향케이블(345)이 감기고 풀리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스톱모듈은 오목하게 홈 형상의 트랙이 형성된 트랙모듈(357)과 상기 트랙모듈(357)이 회전시 트랙 위에서 이동하는 스토퍼(3595)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3595)는 볼 형상이나 포고핀 형태도 가능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595) 플레이트(359)에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350a)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움직임이 없고 회전부는 샤프트(351)를 중심으로 회전하나, 스토퍼(3595)는 트랙 상의 위치에 따라 회전부(350b)의 지름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한다.
도 7은 스톱모듈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톱모듈은 트랙모듈(357)과 샤프트 슬롯(3591) 및 스토퍼(3595)를 포함하는 스톱 플레이트(359)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모듈(357)은 회전부(350b)의 일부로서 보빈(353)과 같이 회전하고 스톱 플레이트(359)는 회전부(350b)가 회전시에 직선운동을 하며 이동한다.
스톱 플레이트(359)는 판형의 부재로서, 사출물이나 금속 판형부재를 가공하여 만들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톱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와 측면도로서, 스톱 플레이트(359) 에는 샤프트 슬롯(3591), 스토퍼(3595) 및 가이드 보스(3597)가 형성된다. 샤프트 슬롯(3591)은 스톱 플레이트(359)에 일측으로 연장된 개구부로 샤프트(351)가 샤프트 슬롯(3591)을 관통한다.
샤프트 슬롯(3591)은 너비는 샤프트(351)의 너비에 상응하고 일측으로 샤프트(351)의 지름보다 더 길게 연장된다. 상기 샤프트 슬롯(3591)의 길이는 후술할 트랙의 제1 트랙(3571)과 제2 트랙(3572)의 지름 차이에 상응한다.
스토퍼(3595)는 스톱 플레이트(359)에서 트랙모듈(357)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서, 트랙의 단면에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트랙의 오목한 트랙면은 스토퍼(3595)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보스(3597)는 상기 스토퍼(3595)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브라켓(3501)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358)에 삽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롯(358)은 샤프트 슬롯(3591)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긴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보스(3597)와 가이드 슬롯(358)이 없는 경우 스톱 플레이트(359)가 직선운동을 하지 않고, 회전부(350b)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부인 브라켓(3501)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358)으로 스톱 플레이트(359)의 회전을 차단하고 샤프트 슬롯(3591) 방향의 직선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보스(3597)와 스토퍼(3595)는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보스(3597)와 스토퍼(3595)가 대칭을 이루는 경우 일면과 타면의 구분이 없어 조립시 일면과 타면이 뒤집혀서 발생하는 불량을 줄일 수 있어 조립성이 개선되고 조립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랙모듈(357)은 오목한 함몰부 형상을 가지는 트랙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3595)가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3595)의 트랙모듈(357)상의 위치에 따라 스톱 플레이트(359)가 이동하며, 스톱 플레이트(359)의 샤프트 슬롯(3591)은 회전하지 않고, 직선운동을 한다. 트랙모듈(357)은 회전부(350b)인 보빈(353) 상에 위치하여 회전부(350b)가 회전시 같이 회전하고, 스톱 플레이트(359)는 트랙모듈(357)이 회전 시 스토퍼(3595)의 트랙 상의 위치에 따라 직선운동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트랙모듈(357)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트랙모듈(357)에 따르면 음향 케이블이 풀리는 제1 방향의 회전을 반시계 방향 회전이라 하고, 음향 케이블이 보빈에 감기는 제2 방향의 회전을 시계방향 회전이라고 한다. 트랙모듈(357)의 형상과 태엽스프링(355)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이 시계방향이 되고 제2 방향이 반시계방향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상에 도시된 형태의 트랙모듈(357)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트랙모듈(357)은 샤프트(351)를 중심으로 하는 2개의 원형의 트랙(3571, 3572)을 포함하고 상기 원형 트랙(3571, 357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트랙(3573)과 스톱트랙(3574)을 포함한다. 제1 트랙(3571)과 제2 트랙(3572)은 직경이 상이하고, 제1 트랙(3571)은 제2 트랙(3572)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1 트랙(3571)은 샤프트(351)로부터 거리가 동일하지 않고 일측이 더 샤프트(351)로부터 먼 비대칭 구조를 가진다.
도 14는 종래의 트랙(10) 도시한 도면으로, 제1 트랙(11)은 샤프트를 중심으로하는 동심원 형태를 가진다. 종래의 제1 트랙(11)은 트랙면에 전체적으로 경사가 형성되고 연결트랙(13)이 위치하는 부분에 시계방향으로 높아지는 단차부(25)룰 포함한다. 상기 제1 트랙의 단차부(25)는 트랙모듈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스토퍼가 제1 트랙(11)에서 연결트랙(13)으로 빠지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트랙(1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단차부(25)의 높은 곳에서 낮은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계속 제1 트랙(11)에서 스토퍼가 위치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제1 트랙(357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도 단차부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트랙(3571)은 샤프트(351)로부터 거리가 차이가 나는 형상을 이용하여 단차나 경사면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0은 음향케이블(345)를 당겨서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할 때 트랙모듈(357)과 스토퍼(3595) 플레이트(359)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회전모듈(350)에 음향케이블(345)이 감겨있는 상태(도 10의 (a))에서 스토퍼(3595)는 제1 트랙(3571) 위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이어버드(341)를 이어버드 홀더(325)에서 분리하여 당기면 반시계방향으로 트랙모듈(357)이 회전하며 음향케이블(345)가 풀린다. 음향케이블(345)이 당겨지면 스토퍼(3595)가 제1 트랙(3571) 위에 위치한 상태로 트랙모듈(35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토퍼(3595)가 제1 트랙(3571)의 샤프트(351)로부터 가장 먼 지점인 제2 지점(B)을 지나(도 11의 (b)) 연결트랙(3573) 위에 위치하게 되고(도 10의 (c)) 연결트랙(3573)을 지나 제2 트랙(3572)으로 빠져나간다(도 10의 (d)).
연결트랙(3573)의 샤프트(351)에서 가장 가까운 제1 지점(A)까지 제1 거리(x1)는 샤프트(351)에서 제2 지점(B) 지 제2거리(x2)와 같거나 더 작아야 한다(x1≤x2). 회전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스토퍼(3595)가 제1 트랙(3571)에서 제1 지점(A)에 걸리지 않고 연결트랙(3573)으로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제2 거리(x2)는 제1 거리(x1)와 같거나 더 작아야 한다.
도 10의 (b)의 상태에서 도 10의 (c)의 상태가 될때까지 제1 트랙의 외주면 위치는 동일하므로 스톱 플레이트(359)는 직선운동하지 않고 연결트랙(3573)을 따라 제2 트랙(3572)으로 빠져나올 때 샤프트(351)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므로 스토퍼(3595)는 샤프트(3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샤프트 슬롯(3591)에서 샤프트(351)의 위치는 스토퍼(3595)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치우치게 배치된다(d).
사용자가 계속 음향 케이블을 잡아당기면 도 10의 (d)와 같이 제2 트랙(3572) 위에서 스토퍼(3595)가 위치한 상태에서 트랙모듈(357)은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한다. 제2 트랙(3572)은 스톱트랙(3574)과 연결되는 부분에 반시계방향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제1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차부의 높이를 보상하기 위한 제1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1 경사면은 연결트랙(3573)과 제2 트랙(357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단차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연결트랙(3573)과 스톱트랙(357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반시계방향으로 더 높은 제1 단차부는 회전부(350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스토퍼(3595)가 제2 트랙(3572) 상에 위치한 채로 회전부(350b)가 회전할 수 있으나, 회전부(350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 단차부(3575a)에 스토퍼(3595)가 걸려 스토퍼(3595)는 스톱트랙(3574)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1은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을 당기다가 놓는 경우(a) 회전모듈의 회전이 제한되는 상황(b) 및 다시 잡아당기는 경우(c) 고정이 풀리는 과정(d)을 도시한 도면이다. 스톱트랙(3574)은 V자 형상으로 꺽어져 있으며 제2 트랙(3572)과 연결된 제1 스톱트랙(3574) 제1 스톱트랙(3574a)과 연결된 제2 스톱트랙(3574c) 및 제1 스톱트랙(3574a)과 제2 스톱트랙(3574c)이 만나는 꺽어진 고정부(357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스톱트랙(3574)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트랙(3574)의 너비는 일정하지 않고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을 당기다가 놓는 경우(a) 스토퍼(3595)가 제1 단차부(3575a)에 도달하면 제1 스톱트랙(3574a)를 따라 이동하여 고정부(3574b)에 도달하면 트랙모듈(357)의 회전이 멈춘다(도 11의 (b)).
이때 사용자가 다시 음향 케이블을 계속 당기면 트랙모듈(35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하고 스토퍼(3595)가 스톱트랙(3574)의 고정부(3574b)에서 빠져나와 제2 스톱트랙(3574)을 따라 제1 트랙(3571)으로 이동한다. (도 11 (c), (d))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51)로부터 고정부(3574b)까지의 거리(x3) 보다 샤프트(351)로부터 제2스톱트랙(3574)의 시작점까지 거리(x4)가 같거나 더 커야 고정부에서 제2 스톱트랙(3574)을 따라 제1 트랙(3571)으로 이동한다. (x3≤x4)
도 14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톱트랙(14)은 역시 단차부(23)을 포함하나, 본 발명은 스톱트랙의 고정부와 제2 스톱트랙 시작점의 샤프트(351)로부터의 거리를 상기와 같은 관계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스토퍼(3595)가 고정부에서 제1 스톱트랙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2 스톱트랙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계속 음향케이블(345)을 당기면 도 10에서와 같이 스토퍼(3595)는 다시 연결트랙을 통해 제2 트랙으로 빠져나가고 제2 트랙에 스토퍼(3595)가 위치한 상태로 트랙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사용자가 짧게 당겼다가 음향케이블(345)을 놓으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595)가 제1 트랙(3571)에 있는 상태에서 태엽 스프링에 의해 트랙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a)(b)(c)). 음향케이블(345)이 다 감기면 도 13의 (d)와 같이 스토퍼(3595)가 제1 트랙(3571)에 위치한 상태로 멈춘다.
종래의 트랙(10)은 제1 트랙(11)과 스톱트랙(14) 사이에 단차(24)를 형성하여 트랙(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스토퍼(3595)가 제1 트랙(11)에서 스톱트랙(14)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 한다.
반면, 본 발명은 제1 트랙(1)과 스톱트랙(14) 사이의 단차를 없애고 스톱트랙(3574)과 제1 트랙(3571)의 연결부의 샤프트(351)로부터 거리를 통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샤프트(351)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더 앞선 위치(C)까지의 거리(x5)가 뒤의 위치(D)까지의 거리(x6)와 같거나 더 짧게 형성할 수 있다. 트랙모듈(35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스토퍼(3595)가 C에서 D에 걸리거나 스톱트랙(3574)로 빠지지 않고 제1 트랙(3571) 상에 계속 위치한 채로 회전할 수 있다. (x5≤x6)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회전모듈의 부재 개수를 줄여 회전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트랙면의 단차를 최소화 하여 음향케이블을 인출 인입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어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00: 휴대용 음향기기 310: 탄성밴드
31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312: 제2 피복부
313: 제1 피복부 315: 연결부
317: 체결홀 318: 신호선홀
319: 신호선 수용부 320: 하우징
321: 상부 케이스 322: 제1 하부 케이스
324: 제2 하부 케이스 325: 이어버드 홀더
340: 이어버드 345: 음향케이블
350: 회전모듈 360: 마이크
370: 사용자 입력부 375: 센싱부
380: 제어부 381: 메인기판
382: 신호선 385: 무선통신부
390: 전원공급부 391: 배터리
350a: 고정부 350b: 회전부
351: 샤프트 353: 보빈
355: 태엽스프링 357: 트랙
3571: 제1 트랙 3572: 제2 트랙
3573: 연결트랙 3574: 스톱트랙
358: 가이드슬롯 359: 스톱 플레이트
3591: 샤프트 슬롯 3595: 스토퍼

Claims (12)

  1. 이어버드 홀더를 구비한 본체;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가능하고,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
    일단은 상기 본체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어버드에 음향신호를 전송하는 음향케이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실장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음향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은,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고정된 고정부;
    오목하게 인입된 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트랙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시 상기 트랙 상의 위치가 가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은,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로부터 거리가 비대칭인 제1 트랙;
    상기 제1 트랙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트랙;
    상기 제1 트랙과 상기 제2 트랙을 연결하는 연결트랙; 및
    상기 제1 트랙과 상기 제2 트랙 사이에 위치하고 V자 형상으로 꺾인 스톱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로부터 상기 연결트랙 상의 가장 가까운 위치인 제1 위치까지 거리(x1)는 상기 샤프트로부터 상기 제1 트랙 상의 가장 이격된 위치인 제2 위치까지 거리(x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케이블은 상기 회전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시 감기고,
    상기 제1 트랙은 경사면과 단차부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제2 트랙은 제1 방향으로 트랙면이 높아지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스톱트랙이 위치하는 부분에 제1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제1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연결트랙과 상기 스톱트랙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트랙은 상기 제1 트랙에서 상기 제2 트랙방향으로 트랙면이 높아지는 제2 경사면과 상기 연결트랙에서 상기 제2 트랙 사이에 상기 연결트랙이 더 높은 제2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트랙은 트랙면의 높이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터 상기 스톱트랙의 V자 형상으로 꺾인 부분의 트랙 바깥쪽까지 거리(x3)는 상기 샤프트부터 상기 스톱트랙의 V자 형상으로 꺾인 부분의 트랙 안쪽까지 거리(x4) 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샤프트 슬롯 및 상기 트랙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슬롯의 너비는 상기 샤프트의 너비에 상응하고,
    상기 샤프트 슬롯의 길이는 상기 제1 트랙의 샤프트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제2 트랙의 상기 샤프트로부터 가장 먼 지점 사이의 거리의 차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스톱 플레이트를 커버하며 상기 회전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슬롯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 및
    상기 스톱 플레이트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는 가이드 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보스와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톱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부가 회전 시 상기 샤프트 슬롯이 형성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외주면에 상기 음향케이블이 감기는 보빈을 더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180033930A 2017-08-03 2018-03-23 휴대용 음향기기 KR101943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5558 WO2019027128A1 (en) 2017-08-03 2018-05-15 PORTABLE SOUND DEVICE
US16/017,738 US10306351B2 (en) 2017-08-03 2018-06-25 Portable soun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41075P 2017-08-03 2017-08-03
US62/541,075 2017-08-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329B1 true KR101943329B1 (ko) 2019-01-29

Family

ID=6410075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744A KR20190015034A (ko) 2017-08-03 2017-08-18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170104745A KR20190015035A (ko) 2017-08-03 2017-08-18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170154846A KR101913263B1 (ko) 2017-08-03 2017-11-20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180033930A KR101943329B1 (ko) 2017-08-03 2018-03-23 휴대용 음향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744A KR20190015034A (ko) 2017-08-03 2017-08-18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170104745A KR20190015035A (ko) 2017-08-03 2017-08-18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170154846A KR101913263B1 (ko) 2017-08-03 2017-11-20 휴대용 음향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4) KR20190015034A (ko)
CN (1) CN10939186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2564A (zh) * 2019-05-05 2019-09-27 河北艾普达起重设备制造有限公司 助力器及其承导盘
KR102152132B1 (ko) * 2019-10-04 2020-09-04 주식회사 이엠텍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775B1 (ko) * 2019-01-11 2020-07-09 주식회사 이엠텍 자동 줄 감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6607B2 (en) * 2013-01-07 2015-04-28 Dongguan Pengteng Hardware Electronic Co., Ltd. Multi-stage retractable cord winder device
KR101687623B1 (ko) * 2015-06-15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KR20170087035A (ko) * 2016-01-18 2017-07-27 주식회사 비에스이 이어폰용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820U (ja) * 2009-12-15 2010-03-04 益成 陳 単一自由端コードの巻取り器
CN102843626A (zh) * 2011-06-20 2012-12-26 新疆天地集团有限公司 耳机线收线装置及终端设备
CN102674084B (zh) * 2012-03-27 2014-08-27 东莞达电电子有限公司 一种线材卷放装置
US9055364B1 (en) * 2014-08-18 2015-06-09 Bulecom Co., Ltd. Earset having an automatic rewinding unit of ball/wire spring type
CN204180240U (zh) * 2014-08-19 2015-02-25 黄学政 一种分体式运动型蓝牙耳机
KR101710140B1 (ko) * 2016-03-09 2017-02-27 주식회사 동신 전선 자동감김 장치
KR101752771B1 (ko) * 2016-04-06 2017-06-30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6607B2 (en) * 2013-01-07 2015-04-28 Dongguan Pengteng Hardware Electronic Co., Ltd. Multi-stage retractable cord winder device
KR101687623B1 (ko) * 2015-06-15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KR20170087035A (ko) * 2016-01-18 2017-07-27 주식회사 비에스이 이어폰용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2564A (zh) * 2019-05-05 2019-09-27 河北艾普达起重设备制造有限公司 助力器及其承导盘
KR102152132B1 (ko) * 2019-10-04 2020-09-04 주식회사 이엠텍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035A (ko) 2019-02-13
KR20190015034A (ko) 2019-02-13
CN109391865B (zh) 2020-05-15
KR101913263B1 (ko) 2018-10-30
CN109391865A (zh)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53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US9918155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101687623B1 (ko) 휴대용 음향기기
US10306351B2 (en) Portable sound device
KR101763600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94332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TW201439818A (zh) 用於行動終端機的應用程式控制方法及設備、耳機裝置和應用程式控制系統
KR20170136293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2302328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58285B1 (ko) 휴대용 음향기기
US10244305B2 (en) Portable sound device
KR20160048452A (ko) 음향기기
KR10175994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6843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6975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615240B1 (ko) 무선음향기기
KR20190022138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9546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4978A (ko) 회전모듈 및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4980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4979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684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6844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70116376A (ko) 휴대용 전자기기
KR20190022137A (ko) 휴대용 음향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