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546A - 휴대용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546A
KR20190019546A KR1020170104649A KR20170104649A KR20190019546A KR 20190019546 A KR20190019546 A KR 20190019546A KR 1020170104649 A KR1020170104649 A KR 1020170104649A KR 20170104649 A KR20170104649 A KR 20170104649A KR 20190019546 A KR20190019546 A KR 20190019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rotation
disk
module cas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영
김동한
한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9546A/ko
Publication of KR20190019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버드 홀더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된 음향케이블;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기판; 및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회전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제1디스크, 상기 음향케이블이의 권선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제1디스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는 제2디스크, 및 상기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케이블과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샤프트의 내측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PORTABLE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는 음향출력부를 구비하며 음악재생, 전화통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기지국과 연결하여 전화를 통화하거나, 직접 외부 서버와 접속하여 음향데이터를 구할 수 있으며, 다른 단말기와 연결하여 페어링을 통해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몸에 휴대(또는 거치)하는 타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경우,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경량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자인적인 요소를 고려하면, 휴대용 음향기기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간섭 없이 최대한 컴팩트한 형태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로서, 회전모듈에서 회전부가 회전하더라도 구성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모듈에 구비되는 부품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요 구성 중 하나인 회전모듈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어버드 홀더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된 음향케이블;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기판; 및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회전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제1디스크, 상기 음향케이블이의 권선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제1디스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는 제2디스크, 및 상기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케이블과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샤프트의 내측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샤프트는 내부가 채워진 솔리드부 및 상기 솔리드부의 상측 및 하측에 내부가 빈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는 상기 중공부에 구비되어 상기 음향케이블과 상기 메인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샤프트 내에서 상기 솔리드부에 체결되는 내측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외측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연결단자와 상기 외측연결단자 사이에 상기 신호전달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솔리드부는 상기 중공부를 향해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연결단자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는 상기 내측연결단자와 상기 음향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연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은 상기 솔리드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모듈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태엽스프링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를 고정하는 회전모듈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연결단자는 상기 회전모듈케이스에 체결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모듈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전달부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전달부의 일 단부가 상기 내측연결단자의 일면에 접하고, 상기 신호전달부의 타 단부가 상기 외측연결단자의 일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외측연결단자는 연결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크의 하측에 상기 태엽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디스크와 상기 태엽사프링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제3디스크가 상기 제2디스크와 상기 태엽스프링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는 상기 솔리드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1중공부 및 하측에 배치되는 제2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전달부는 상기 제1중공부에 배치되는 제1신호전달부 및 상기 제2중공부에 배치되는 제2신호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중공부를 향해 돌출한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중공부를 향해 돌출한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연결단자는 상기 제1중공부에서 상기 제1돌출부에 체결되는 제1내측연결단자 및 상기 제2중공부에서 상기 제2돌출부에 체결되는 제2내측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홀은 상기 제1중공부를 향해 관통되는 제1연결홀 및 상기 제2중공부를 향해 관통되는 제2연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향케이블에 구비되는 제1신호선은 상기 제1연결홀을 통해 상기 제1내측연결단자에 연결되고, 음향케이블에 구비되는 제2신호선은 상기 제2연결홀을 통해 상기 제2내측연결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홀은 상기 제2디스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홀은 상기 제2디스크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디스크에는 상기 제1신호선 및 상기 제2신호선 중 하나가 통과하는 관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케이스는 상기 제1디스크 상측을 덮는 제1회전모듈케이스 및 상기 태엽스프링의 하측을 덮으면서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와 결합되는 제2회전모듈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연결단자는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제1신호전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외측연결단자 및 상기 제2회전모듈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제2신호전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외측연결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의 하면과 상기 제1디스크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부는, 상기 제1디스크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원형 트랙을 포함하는 볼트랙;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볼슬롯; 상기 볼트랙과 상기 볼슬롯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볼트랙과 상기 볼슬롯 사이에서 이동하는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연결단자는,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신호전달부의 단부에 접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를 관통하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의 상면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연결케이블을 통해 메인기판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 상기 관통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용자의 목에 착용하는 C자 형태의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본체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모듈에서 회전부가 회전하더라도 구성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모듈에 구비되는 부품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 구성 중 하나인 회전모듈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밴드와 하우징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회전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전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볼트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볼이 볼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과 관련한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구성들의 설명 편의를 위해 도 2를 함께 참조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제어부(380), 무선통신부(385), 음향출력부(340), 센싱부(375), 마이크(360), 사용자 입력부(370) 및 전원공급부(390)를 포함한다.
음향출력부(340)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버드(340)가 있다. 상기 이어버드(340)에는 도시되지 않은 음향출력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3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3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375)는 휴대용 음향기기(3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는 장치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휴대용 음향기기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이어버드(ear bud)(340)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어버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통화 버튼(372),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373), 전원 버튼(371) 및 음향케이블(345)을 하우징(320)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버튼(375)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의 개수는 통화 버튼(372), 한 쌍의 음량조절 버튼(373)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외에 play/stop 버튼, 곡순서 변경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직접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의 개수가 많으면 각 버튼의 기능을 구분하기 힘들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가능한 제여명령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분실 위험이 적으나, 통상의 단말기는 분실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 입력부(370)는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2개의 사용자 입력부(370)를 동시에 일정시간 누르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의 알람을 울려 잃어버린 단말기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로 연결된 외부 단말기의 음성녹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마이크(360)를 통해 수집된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통화와 관련된 기능 또는 사운드 미디어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 휴대용 음향기기로 제어 가능했으나,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그 제어범위가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본체는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의 곡선을 형성한다.
사용자의 목 뒤에 거치되는 탄성밴드(310)의 양 단에는 전장부를 형성하는 하우징(320)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은 기능을 위주로 구분한 구성이므로, 경우에 따라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의 구분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겹치는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탄성밴드(310)는 탄성을 가져 힘을 가하면 소정 범위내에서 변형되고 힘이 제거되면 원래 모양으로 복귀된다. 양 단의 각 하우징(320) 사이의 거리가 목을 통과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탄성밴드(310)의 탄성을 이용하여 각 하우징(320)을 벌려서 목에 거치하거나 거치를 해제할 수 있다.
탄성밴드(310)의 형상 및 길이는 사용자의 목에 거치시 이물감을 최소화 하기 위한 형태로 결정된다. 일 예로, 탄성밴드(310)는 휘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면과 두께를 갖는 꼬여진 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꼬여진 테이프 형상의 탄성밴드(310)의 경우 탄성밴드(310)의 내측면이 목의 배면에 되고 외측면이 배면을 향한다.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이 이어지는 부분은 꼬여져 각 하우징(320)은 외측면이 사용자의 전면 또는 상면을 향하고 내측면이 사용자의 후면 또는 쇄골부분에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320)은 탄성밴드(310)의 양단에 결합하여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C자형 곡선의 양 단부에 위치한다. 내부와 외부에 메인기판(381), 무선통신부(385), 배터리(391) 회전모듈(350)과 같은 각종 부품이 삽입된다.
C자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음향기기(300)에 구비된 센싱부(375)는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부(375)는 탄성밴드(310)에 구비되어 탄성밴드(310)의 곡률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변위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착용시 양 단의 하우징(320)을 벌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사용하려는 것을 판단하고,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착용한 것인지 휴대 중에 벌어진 것인지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변위센서에서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크게 변화한 이후의 곡률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탄성밴드(310)의 곡률이 제1 크기로 크게 변화하고 이후 곡률이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거치한 상태보다 완만한 제2 크기의 곡률로 고정된 경우 휴대용 음향기기(300)를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센서 이외에 사용자가 착용시 목과 닿는 착용면에 온도감지 센서, 광센서 또는 심박센서와 같은 센서를 구비하여 온도가 사람의 체온 범위이거나 밝기가 어두워지고, 심박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무선통신부(385)를 활성화 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또는 물리적 방식으로 눌러지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하면 돌출된 스위치가 눌려서 ON신호를 생성하고 소정시간 이상 스위치 ON상태가 유지되면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375)와 스위치는 복수 개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값을 조합하여 착용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탄성밴드(310)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하우징(320)은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를 포함하며,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에 메인기판(381), 무선통신부(385), 배터리(391), 마이크(360) 및 회전모듈(350) 등이 실장된다.
하우징(320)은 폴리머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며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과 같은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금속이나, 유리, 가죽 등의 이형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20)은 강성이 있는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재질로 형성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우징(3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할 수 있다. 하우징(3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일체감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이 모두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신체에 착용하는 휴대용 음향기기(300)는 땀과 같은 수분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방수기능을 부가하면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의 틈을 커버하는 리브를 형성하거나 방수부재를 개재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별도의 방수부재를 개재하지 않더라도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상부 케이스(321)와 하부 케이스(324) 사이가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320)의 내부에 실장되는 메인기판(381)은 무선통신부(385), 마이크(360) 등이 실장되며, 배터리(391), 사용자 입력부(370), 음향출력부(340) 등과 연결된다. 하우징(320)에 실장되는 부품은 양측의 하우징(320)에 대칭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고, 비대칭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측의 하우징(320)에만 구비된 부품을 탄성밴드(310)에 실장된 신호선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부(385)가 일측의 하우징(320)에 구비된 경우 무선통신부(385)가 수신한 음향신호를 신호선을 이용하여 양측의 이어버드(340)에 전달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385)는 메인기판(381)에 실장되거나, 하우징(3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패턴(386)를 포함 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 및 음향신호를 수신하거나,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사용자 입력부(370)나 마이크(360)를 통해 입력받은 제어명령 및 음향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하우징(320)에는 전원을 ON/OFF하는 전원버튼(371), 재생하거나 통화를 위한 버튼(372), 음향을 조절하는 방향키(373)등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방향키는 재생곡의 이전곡 또는 이후 곡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버튼은 물리적으로 가압되는 돔 키(dome key)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정전용량 변화로 감지하는 터치 키(touch key)를 이용할 수도 있다.
터치키의 경우 위치가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320) 표면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터치키가 하우징(320)의 표면에 구현된 경우, 하우징(320)의 표면에 터치키가 구현된 부분에 LED를 이용하여 터치키 위치 및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버드(340)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소리를 전달하며, 이어버드(340)는 음향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기판(381)과 연결된다. 음향출력 모듈(미도시)는 이어버드(340)에서 소리를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은 진동판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메인기판(381)은 이어버드(340)를 제어하여 음향신호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게 제어한다.
도 4는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탄성밴드(310)의 분해사시도로서, 탄성밴드(310)는 형상기억합금(311), 피복부(312, 313) 및 연결부(315)를 포함한다.
형상기억합금(311)은 변형되더라도 특정 형상으로 복원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힘을 가해 본체를 벌리는 경우 탄성밴드(310)가 변형되더라도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온다. 따라서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형상 변형 또는 손상을 막아준다.
탄성밴드(310)는 형상기억합금(311)을 감싸는 피복부(312, 313) 를 더 포함하며, 피복부(312, 313) 는 형상이 가변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을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열로 녹여 제작 가능하고, 경화되면 내유성 내마모성이 있고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다.
상기 탄성밴드(310)의 양단에 위치하는 하우징(320)과 결합하기 위해 체결 구조를 갖는 연결부(315)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결부(315)는 하우징(320)과 중첩되도록 피복부(312, 313) 에서 좌우로 연장된 형태를 띠며 부분적으로 피복부(312, 313) 가 감싸는 형태로 결합한다. 즉, 형상기억합금(311)과 연결부(315)에 이중사출 방식으로 피복부를 형성한다.
형상기억합금(311)의 위치를 연결부(315)에 정확히 배치하고 양측의 하우징(320)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을 고정하기 위해 형상기억합금(311)과 신호선을 커버하는 제2 피복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복부(312)의 양 단부를 상기 한 쌍의 연결부(315)와 결합한다. 그 이후 연결부(315)와 제2 피복부(312) 및 형상기억합금(311)을 커버하는 제1 피복부(313)를 이중사출 방식으로 형성하여 착용시 쉽게 변형되면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밴드(31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300)의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의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피복부(312)의 양단에 형상기억합금(311, 도 4참조)이 노출되며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형상기억합금(311, 도 4참조)의 양 단부를 갈고리 형상으로 꺾어서 연결부(315)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15)는 복수개의 홀이 있어, 하우징(320)과 체결된다.
연결부(315)의 적어도 일 영역은 하우징(320)에 의해 감싸져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 및 하부 케이스(322, 324)는 연결부(315)의 적어도 일 영역 중 일면 및 타면을 각각 커버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는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탄성밴드(310)의 연결부(315)와 결합하는 부분부터 본체의 양 단부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부재를 이용하고, 하부 케이스(322, 32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15)를 감싸는 제1 하부 케이스(322)와 부품이 실장되는 제2 하부 케이스(3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1) 또는 하부 케이스(322, 324) 중 하나와 연결부(315)는 상기 연결부(315)에 형성된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부 케이스(321) 또는 하부 케이스(322, 324)에 체결되는 스크류(316)를 통해 결합하고, 스크류(316)의 헤드 부분이 노출된 부분은 반대편 케이스가 결합하여 커버하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315)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공간 확보 및 경량화를 위해서는 짧게 형성하여 최소한의 개수로 스크류(316)를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탄성밴드(310)와 하우징(320)의 체결력이 약해 탄성밴드(310)에 반복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연결부(315)를 충분히 연장하여 최대한 많은 스크류(316)를 이용하여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회전모듈(350)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회전모듈(350)의 단면도이다.
회전모듈(350)은 하우징(320)의 내측에 실장되며, 회전하면서 음향케이블을 둘레에 감아 하우징(320, 도 3참조) 내부로 음향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고, 이어버드(340, 도 2참조)가 이어버드 홀더(도 2참조)에 체결될 수 있다. 회전모듈(350)은 전술한 하우징(320)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부(350a)와 상기 고정부(350a)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며 음향케이블(345)을 감거나 푸는 회전부(35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50a)는 상기 회전모듈(350)의 외관을 형성하는 회전모듈케이스(3501, 35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50b)는 음향케이블(345)이 감기는 샤프트(351), 상기 샤프트(351)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제1디스크(352), 상기 제1디스크(352)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351)에 구비되는 제2디스크(353), 및 상기 샤프트(35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스프링(3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크(352)와 상기 제2디스크(353) 사이에는 음향케이블(345)의 권선을 위한 공간(353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권선을 위한 공간(3531)에서 상기 샤프트(351)의 둘레를 따라서 음향케이블(345)이 권선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351), 상기 제1디스크(352) 및 상기 제2디스크(35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디스크(353)는 상기 샤프트(351)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디스크(353)는 상기 샤프트(351)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크(353)의 하측에 상기 태엽스프링(35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태엽스프링(355)은 나선형으로 감긴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태엽스프링(355)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회전부(350b)에 고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태엽스프링(355)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는 상기 샤프트(35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엽스프링(355)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는 상기 회전모듈케이스(3501, 350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크(353)와 상기 태엽스프링(355) 사이에는 제3디스크(35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디스크(354)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351)는 상기 제1디스크(352) 및 상기 제2디스크(353) 사이뿐만 아니라 상기 제2디스크(353) 하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디스크(354)는 상기 제2디스크(353)와 상기 태엽스프링(355)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35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디스크(354)에 의해 상기 제2디스크(353)와 상기 태엽스프링(355) 사이의 직접적인 마찰이 방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을 당기면 상기 회전부(350b)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태엽스프링(355)의 감김수가 감소하여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갖게 되고, 음향케이블(345)을 놓으면 태엽스프링(35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350b)가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샤프트(351)에 음향케이블(345)이 감기며 하우징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회전부(350b)가 회전하더라도 음향케이블(345)은 하우징(320)에 실장된 메인기판(381)과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리고, 최소한의 공간을 이용하여 음향케이블(345)과 메인기판(381) 사이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음향케이블(345)과 전술한 메인기판(381)은 상기 샤프트(341)의 내측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다른 설명이 없더라도, 구성요소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납땜 등의 방식을 통한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모듈(350)이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음향케이블(345)과 메인기판(381) 사이가 주변의 다른 구성들과 간섭 없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351)는 내부가 채워진 솔리드부(400) 및 상기 솔리드부(400)의 상측 및 하측에 내부가 빈 중공부(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리드부(400)는 상기 샤프트(351)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2디스크(353)는 상기 솔리드부(40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샤프트(35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410, 420)에는 상기 음향케이블(345)과 상기 메인기판(38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전달부(411, 41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350b)는 상기 중공부(410, 420)에 구비되어 상기 음향케이블(345)과 상기 메인기판(38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음향케이블(345)과 상기 메인기판(381)이 샤프트(351) 내의 중공부(410, 420)에 배치되는 신호전달부(411, 412)를 통해 연결되므로, 회전모듈(350)이 소형으로 컴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케이블(345)과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 사이 그리고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와 상기 메인기판(38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단자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회전부(350b)는 상기 샤프트(351) 내에서 상기 솔리드부(400)에 체결되는 내측연결단자(421, 4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350a)는 상기 샤프트(351)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외측연결단자(430, 4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연결단자(421, 422)와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 사이에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연결단자(421, 422)는 상기 샤프트(351) 내에서 상기 솔리드부(400)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351)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솔리드부(400)는 상기 중공부(410, 420)를 향해 돌출한 돌출부(401, 40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연결단자(421, 422)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401, 40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는 상기 회전모듈케이스(3501, 3501)에 체결되되 상기 샤프트(351)의 길이방향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와 전술한 메인기판(381)은 연결케이블(383)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는 상기 내측연결단자(421, 422)와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연결단자(421, 422)와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는 일 단부가 상기 내측연결단자(412, 422)의 일 면에 접하고, 타 단부가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의 일 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350b)의 회전에 의해 신호전달부(411, 412)와 내측연결단자(412, 422)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에 의해 내측연결단자(421, 422)와 외측연결단자(430, 44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기판(381)으로부터의 전기신호는 상기 연결케이블(383),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 상기 내측연결단자(421, 422) 및 상기 음향케이블(345)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전술한 음향출력부(34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내측연결단자(421, 422)에는 상기 음향케이블(345)이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샤프트(351)의 측면에는 상기 내측연결단자(421, 422)와 상기 음향케이블(345)의 연결을 위한 연결홀(3515, 35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향케이블(345)의 일단부가 상기 연결홀(3515, 3516)을 통하여 상기 내측연결단자(421, 4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3515, 3516)에 의해 상기 샤프트(351)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홀(3515, 3516)은 상기 솔리드부(40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샤프트(351)는 솔리드부(400) 근방에서 가장 강성이 크기 때문이다.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는 상기 회전모듈케이스(3501, 3502)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모듈케이스(3501, 350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회전모듈케이스(3501, 3502)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와 메인기판(381)이 연결케이블(383)에 의해 다른 구성과 간섭 없이 그리고 회전부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안전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전달부(411,412)는 회전부(350b)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내측연결단자(412, 422)와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는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는 상기 내측연결단자(412, 422)와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를 향해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내측연결단자(412, 422)와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는 기설정된 힘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내측연결단자(412, 422)와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의 일 단부는 내측연결단자(412, 422)의 일면에 접하고,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의 타 단부는 외측연결단자(430, 440)의 일면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의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에 의해, 상기 회전부(350b)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내측연결단자(412, 422)와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음향케이블(345)은 적어도 2개의 신호선(3451, 345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신호선(3451, 3452)에 대응하여 신호전달부(411, 412)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중공부(410, 420)는 상기 솔리드부(400)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1중공부(410) 및 하측에 배치되는 제2중공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전달부(411, 412)는 상기 제1중공부(410)에 배치되는 제1신호전달부(411) 및 상기 제2중공부(420)에 배치되는 제2신호전달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신호전달부(411)는 상기 제1신호선(34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전달부(412)는 상기 제2신호선(34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솔리드부(400)에 구비되는 돌출부(401, 402)는 상기 제1중공부(410)를 향해 돌출한 제1돌출부(401) 및 상기 제2중공부(420)를 향해 돌출한 제2돌출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연결단자(421, 422)는 상기 제1중공부(410)에서 상기 제1돌출부(401)에 체결되는 제1내측연결단자(421) 및 상기 제2중공부(420)에서 상기 제2돌출부(402)에 체결되는 제2내측연결단자(4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신호전달부(411)는 상기 제1내측연결단자(421)를 통해 상기 제1신호선(34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전달부(412)는 상기 제2내측연결단자(422)를 통해 상기 제2신호선(34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연결홀(3515, 3516)은 상기 제1중공부(410)를 향해 샤프트(351)의 측면을 관통하는 제1연결홀(3515) 및 상기 제2중공부(420)를 향해 샤프트(351)의 측면을 관통하는 제2연결홀(35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홀(3515)은 상기 제1중공부(410)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중공부(410) 내측을 향해 상기 샤프트(35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홀(3516)은 상기 제2중공부(42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중공부(420) 내측을 향해 상기 샤프트(35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음향케이블(345)에 구비되는 제1신호선(3451)은 상기 제1연결홀(3515)을 통해 상기 제1내측연결단자(42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음향케이블(345)에 구비되는 제2신호선(3452)은 상기 제2연결홀(3516)을 통해 상기 제2내측연결단자(4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홀(3515)은 전술한 제2디스크(353)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홀(3516)은 상기 제2디스크(35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크(353)에는 상기 제1신호선(3451) 및 상기 제2신호선(3452) 중 하나가 통과하는 관통홀(3535)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신호선(3452)이 상기 관통홀(3535) 및 상기 제2연결홀(3516)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2내측연결단자(4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케이스(3501, 3502)는 상기 제1디스크(352)의 상측을 덮는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 및 상기 태옆스프링(355)의 하측을 덮으면서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와 결합되는 제2회전모듈케이스(35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연결단자(430, 440)는 사익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에 체결되는 상기 제1신호전달부(4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외측연결단자(430) 및 상기 제2회전모듈케이스(3502)에 체결되어 상기 제2신호전달부(4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외측연결단자(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모듈케이스(3502)에는 샤프트(351)의 하단이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홀(35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연결단자(440)는 상면이 상기 샤프트(351)의 하단에 접하도록 상기 제2회전모듈케이스(350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351)의 하단 및 상기 체결홀(3503)은 상기 제2외측연결단자(440)의 상면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350)은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의 하면과 상기 제1디스크(352)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부(3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부(356)는 제1디스크(352)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원형 트랙을 포함하는 볼트랙(357),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의 하면에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볼슬롯(359), 및 상기 볼트랙(357)과 상기 볼슬롯(359)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부(350b)의 회전 시 상기 볼트랙(357)과 상기 볼슬롯(359) 사이에서 이동하는 볼(358)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랙(357)과 볼슬롯(359)은 상기 볼(358)이 볼트랙(357)과 볼슬롯(35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볼(358)의 형상에 상응한 곡면을 가지는 오목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볼슬롯(359)은 회전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볼(358)이 볼슬롯(359)을 따라서만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볼트랙(357)은 원형의 트랙을 포함한다. 볼트랙(357)이 회전하면 볼(358)이 고정된 볼슬롯(359) 상에서 볼트랙(357)을 따라 이동한다. 즉, 볼(358)은 볼트랙(357) 상의 위치에 따라 볼슬롯(359)을 따라 이동한다. 볼(358)은 회전하는 볼트랙(357)의 궤적을 따라 상대 변위를 하되 고정된 볼슬롯(359)의 경로에 종속되어 볼슬롯(359)이 형성된 방향의 성분에 대해서만 이동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356)는 태엽스프링(355)의 탄성에 의해 회전부(350b)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356)는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을 당김으로 인해 회전부(350b)가 제1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것은 방해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가 음향케이블을 놓으면 회전가이드(356)는 음향케이블(345)이 인출된 상태에서 하우징(320) 내부로 수납되지 않도록 회전부(350b)의 제2 방향의 회전을 막아 회전부(350b)를 고정하고, 음향케이블(345)을 다시 당겼다 놓으면 고정이 풀려 태엽스프링(355)의 탄성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음향케이블(345)이 수납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가이드부(356)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제1외측연결단자(430)는 상기 회전가이드부(356)의 구성요소와 간섭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제1외측연결단자(430)는 상기 회전가이드부(356)에 구비되는 볼(358)과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 및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외측연결단자(430)는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신호전달부(411)의 일단부에 접하는 접촉부(431), 상기 접촉부(431)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를 관통하는 관통부(432), 및 상기 관통부(432)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된 연결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31), 상기 관통부(432) 및 상기 연결부(43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31)는 그 하면이 상기 제1신호전달부(411)의 일 단부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431)는 상기 제1디스크(352)의 상면과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의 하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431)는 전술한 볼트랙(357)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제1중공부(410)의 상단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432)는 상기 접촉부(431)의 일 단부에서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에는 전술한 볼슬롯(359)의 맞은편에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홀(350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432)는 상기 수직홀(3505)을 통해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33)는 상기 관통부(432)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3501)의 상면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33)는 연결케이블(383)을 통해 메인기판(38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외측연결단자(430)의 형상을 통해, 상기 제1외측연결단자(430) 및 상기 제1신호전달부(411)가 볼슬롯(359) 및 볼(358)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볼트랙(357)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볼(358)이 볼트랙(357)을 따라 이동하는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볼트랙(357)이 회전부(350b)에 위치하고 볼슬롯(359)이 고정부(350a)에 위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볼트랙(357)이 회전하므로 볼(358)은 회전부(350b)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트랙(357)을 따라 이동한다.
볼트랙(357)은 원형의 제1 트랙(3571)과 제2 트랙(3572) 및 제1 트랙(3571)과 제2 트랙(3572) 사이에 형성된 연결트랙(3573)과 고정트랙(3574)을 포함한다. 제1 트랙(3571)과 제2 트랙(3572)은 직경이 상이하고, 제1 트랙(3571) 및 제2 트랙(3572)은 트랙의 깊이가 변화(경사)한다. 걸림부(3571a, 3572a)는 제1 트랙(3571) 및 제2 트랙(3572)의 깊이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단차가 형성한다.
도 9는 음향케이블(345)이 보빈(353)에 감기는 상황에서 볼(358)과 볼트랙(357) 및 볼슬롯(359)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트랙(3571)은 볼(358)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볼트랙(357)이 제2 방향으로 회전) 계속 제1 트랙(3571)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도 8의 (a) (b)), 볼(358)이 제2 방향으로 회전(볼트랙(357)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3571a)에 걸려 연결트랙(3573)을 따라 제2 트랙(3572)으로 이동한다(도 8의 (c), (d), (e)).
도 10은 음향케이블이 고정되고 고정이 풀리는 상황에서 볼(358)과 볼트랙(357) 및 볼슬롯(359)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트랙(3572)은 제1 트랙(3571)과 반대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제2 방향으로 볼(358)이 회전하는 경우 제2 트랙(3572)을 따라 회전한다. 그러나, 도 10의 (a)및 (b)와 같이 음향케이블(345)을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태엽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볼트랙(357)이 제2 방향으로 회전 볼(358)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볼(358)은 제2 트랙(3572)의 걸림부(3572a)에 결려 고정트랙(3574)으로 이동한다.
고정트랙(3574)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3574a)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부분(3574b)으로 구성되어 꺽어진 형상을 가지고, 제1 부분(3574a)과 제2 부분(3574b)이 연결된 모서리 부분(3574c)에서 멈추어 볼(358)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지한다.
사용자가 다시 음향케이블을 당기면 볼(358)은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제2 부분(3574b)을 따라 제1 트랙(3571)으로 이동한다. (도 10의 (c), (d))
사용자가 음향케이블을 짧게 당겼다가 다시 놓으면 제1 트랙(3571)에서 제1 방향으로 계속 볼(358)이 회전하면서 음향케이블이 보빈(353)에 감기고(도 9의 (a), (b)) 사용자가 음향케이블(345)을 길게 당기는 경우 제1 트랙(3571)에서 연결트랙(3573)을 따라 제2 트랙(3572)으로 이동하여 볼(358)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음향케이블은 계속 인출된다(도 9의 (c), (d), (e)).
즉, 음향케이블을 인출할 때 회전부(350b)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볼(358)은 제2 트랙(3572)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음향케이블을 수납할 때 회전부(350b)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볼(358)은 제1 트랙(3571)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볼(358)은 제1 트랙(3571)에 있을 때 볼슬롯(359)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 트랙(3572)에 있을 때 볼슬롯(359)의 외측에 위치하며, 고정트랙(3574) 또는 연결트랙(3573)에 위치하는 경우 볼슬롯(359)의 가운데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모듈에서 회전부가 회전하더라도 구성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모듈에 구비되는 부품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 구성 중 하나인 회전모듈을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00: 휴대용 음향기기 310: 탄성밴드
31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312: 제2 피복부
313: 제1 피복부 315: 연결부
317: 체결홀 318: 신호선홀
319: 신호선 수용부 320: 하우징
321: 상부 케이스 322: 제1 하부 케이스
324: 제2 하부 케이스 325: 이어버드 홀더
340: 이어버드 345: 음향케이블
350: 회전모듈 360: 마이크
370: 사용자 입력부 375: 센싱부
380: 제어부 381: 메인기판
382: 신호선 385: 무선통신부
390: 전원공급부 391: 배터리
350a: 고정부 350b: 회전부
351: 샤프트 352: 제1디스크
353: 제2디스크 354: 제3디스크
355: 태엽스프링 357: 볼트랙
3571: 제1 트랙 3572: 제2 트랙
3573: 연결트랙 3574: 고정트랙
358: 볼 359: 볼슬롯

Claims (20)

  1. 이어버드 홀더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이어버드;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된 음향케이블;
    상기 본체 내측에 위치하는 메인기판; 및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회전하며 상기 음향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회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제1디스크, 상기 음향케이블이의 권선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제1디스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는 제2디스크, 및 상기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케이블과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샤프트의 내측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내부가 채워진 솔리드부 및 상기 솔리드부의 상측 및 하측에 내부가 빈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중공부에 구비되어 상기 음향케이블과 상기 메인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호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샤프트 내에서 상기 솔리드부에 체결되는 내측연결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외측연결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연결단자와 상기 외측연결단자 사이에 상기 신호전달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부는 상기 중공부를 향해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연결단자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는 상기 내측연결단자와 상기 음향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연결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은 상기 솔리드부에 근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모듈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태엽스프링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를 고정하는 회전모듈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연결단자는 상기 회전모듈케이스에 체결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모듈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부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신호전달부의 일 단부가 상기 내측연결단자의 일면에 접하고, 상기 신호전달부의 타 단부가 상기 외측연결단자의 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결단자는 연결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크의 하측에 상기 태엽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2디스크와 상기 태엽사프링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제3디스크가 상기 제2디스크와 상기 태엽스프링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솔리드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1중공부 및 하측에 배치되는 제2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전달부는 상기 제1중공부에 배치되는 제1신호전달부 및 상기 제2중공부에 배치되는 제2신호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중공부를 향해 돌출한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중공부를 향해 돌출한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연결단자는 상기 제1중공부에서 상기 제1돌출부에 체결되는 제1내측연결단자 및 상기 제2중공부에서 상기 제2돌출부에 체결되는 제2내측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은 상기 제1중공부를 향해 관통되는 제1연결홀 및 상기 제2중공부를 향해 관통되는 제2연결홀을 포함하고,
    음향케이블에 구비되는 제1신호선은 상기 제1연결홀을 통해 상기 제1내측연결단자에 연결되고, 음향케이블에 구비되는 제2신호선은 상기 제2연결홀을 통해 상기 제2내측연결단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홀은 상기 제2디스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홀은 상기 제2디스크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디스크에는 상기 제1신호선 및 상기 제2신호선 중 하나가 통과하는 관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케이스는 상기 제1디스크 상측을 덮는 제1회전모듈케이스 및 상기 태엽스프링의 하측을 덮으면서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와 결합되는 제2회전모듈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연결단자는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제1신호전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외측연결단자 및 상기 제2회전모듈케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제2신호전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외측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의 하면과 상기 제1디스크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는,
    상기 제1디스크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원형 트랙을 포함하는 볼트랙;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볼슬롯;
    상기 볼트랙과 상기 볼슬롯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볼트랙과 상기 볼슬롯 사이에서 이동하는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측연결단자는,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신호전달부의 단부에 접하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를 관통하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1회전모듈케이스의 상면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연결케이블을 통해 메인기판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상기 관통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용자의 목에 착용하는 C자 형태의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본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170104649A 2017-08-18 2017-08-18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9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649A KR20190019546A (ko) 2017-08-18 2017-08-18 휴대용 음향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649A KR20190019546A (ko) 2017-08-18 2017-08-18 휴대용 음향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546A true KR20190019546A (ko) 2019-02-27

Family

ID=6556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649A KR20190019546A (ko) 2017-08-18 2017-08-18 휴대용 음향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95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623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83533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US9131309B2 (en)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US10306351B2 (en) Portable sound device
KR101763600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94332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70136293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2302328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58285B1 (ko) 휴대용 음향기기
US10244305B2 (en) Portable sound device
KR10175994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55324B1 (ko) 다목적 넥밴드형 이어폰
KR20160048452A (ko) 음향기기
KR20190019546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6843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22138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4980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4979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82435B1 (ko)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
KR20190014978A (ko) 회전모듈 및 휴대용 음향기기
KR101615240B1 (ko) 무선음향기기
KR2019001684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8002423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6844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22137A (ko) 휴대용 음향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