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435B1 -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435B1
KR101782435B1 KR1020160065547A KR20160065547A KR101782435B1 KR 101782435 B1 KR101782435 B1 KR 101782435B1 KR 1020160065547 A KR1020160065547 A KR 1020160065547A KR 20160065547 A KR20160065547 A KR 20160065547A KR 101782435 B1 KR101782435 B1 KR 101782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storage unit
connection jack
unit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윤
권청해
송이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16006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연결잭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외장기기와 연결시켜 음악을 이어폰 혹은 외장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Neckband type earphone with Smart phone jack}
본 발명은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연결잭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외장기기와 연결시켜 음악을 이어폰 혹은 외장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 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한다.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인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면 거추장스러운 케이블 없이도 주머니 속의 MP3플레이어의 음악을 들을 수 있다.
기존에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운전 중 손을 이용하지 않고도 휴대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한 헤드셋이 이용되어 왔다.
한편, 스마트폰과 태블릿 PC가 대중화됨에 따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을 이용하여 영화나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일이 가능해졌다.
특히, 넥밴드형 블루투스 이어폰이 널리 상용화되어 대중화가 되고 있으나, 이는 단지 혼자 조용히 통화하거나, 음악을 듣기 위하여 사용될 뿐, 여러명과 함께 음악을 청취한다던가, 업무 회의시 다수의 인원들과 통화를 할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은 존재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이폰을 통해 음향 신호를 재생하거나, 외장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를 재생하는 기능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10-2015-014327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폰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연결잭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외장기기와 연결시켜 음악을 이어폰 혹은 외장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은,
넥밴드프레임(300)과;
상기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10)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제1이어폰보관부(110)와;
상기 제1이어폰보관부의 상측으로 결합되되, 스피커선과 마이크선 및 스마트폰연결잭(20)의 줄(30)을 위치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외면을 따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권회되는 권회부(120)와;
상기 권회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방사형상을 가지고 있되, 상기 권회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권회된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사형커버부(130)와;
상기 방사형커버부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권회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스피커선에 연결되어 스마트폰연결잭에 연결된 스마트폰(40)의 음향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제1외장스피커부(140)와;
상기 제1외장스피커부 주변에 형성되되, 상기 권회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마이크선에 연결되어 통화시 음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마이크부(150)와;
상기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타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제2이어폰보관부(210)와;
상기 제2이어폰보관부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연결잭에 연결된 스마트폰의 음향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제2외장스피커부(220)와;
상기 제2외장스피커부 주변에 형성되는 통화버튼부(230)와;
상기 제2이어폰보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스위치부(240)와;
상기 제2이어폰보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이어폰 혹은 외장스피커부 중 음향 신호 청취를 원하는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어폰/외장스피커전환스위치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은,
이어폰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연결잭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외장기기와 연결시켜 음악을 이어폰 혹은 외장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어폰과 스마트폰 연결잭의 줄이 감기는 영역이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어폰 휴대 시 줄 엉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휴대 용이한 넥밴드형상을 가지고 있어 목에 걸어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스피커를 통한 음악 감상과 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귀에 직접 이어폰을 꽂지 않고 음악을 청취할 수 있거나, 복수 인원들과 동시에 음악 청취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폰연결잭을 스마트폰 충전단자 등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의 외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의 방사형커버부를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자동 감김 장치의 분해사시도 및 캡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은,
넥밴드프레임(300)과;
상기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10)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제1이어폰보관부(110)와;
상기 제1이어폰보관부의 상측으로 결합되되, 마이크선 및 스마트폰연결잭(20)의 줄(30)을 위치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외면을 따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권회되는 권회부(120)와;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권회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방사형상을 가지고 있되, 권회된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사형커버부(130)와;
상기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타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제2이어폰보관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은,
넥밴드프레임(300)과;
상기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10)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제1이어폰보관부(110)와;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권회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방사형상을 가지고 있되, 권회된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사형커버부(130)와;
상기 방사형커버부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되, 스마트폰연결잭에 연결된 스마트폰(40)의 음향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제1외장스피커부(140)와;
상기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타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제2이어폰보관부(210)와;
상기 제2이어폰보관부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연결잭에 연결된 스마트폰의 음향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제2외장스피커부(220)와;
상기 제2이어폰보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이어폰 혹은 외장스피커부 중 음향 신호 청취를 원하는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어폰/외장스피커전환스위치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이어폰보관부(110)와 제2이어폰보관부(210) 및 방사형커버부(130)는,
자동감김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자동감김수단의 동작에 의해 이어폰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줄을 당겼다 놓으면, 줄을 풀거나 감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의 외형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은,
넥밴드프레임(300)과;
상기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10)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제1이어폰보관부(110)와;
제1이어폰보관부의 상측으로 결합되되, 마이크선 및 스마트폰연결잭(20)의 줄(30)을 위치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외면을 따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권회되는 권회부(120)와;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권회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방사형상을 가지고 있되, 권회된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사형커버부(130)와;
상기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타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제2이어폰보관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넥밴드프레임(300)을 구성하고 있어 목에 걸어서 본 발명의 이어폰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이어폰보관부(110)는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10)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게 된다.
상기 권회부(120)는 제1이어폰보관부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마이크선 및 스마트폰연결잭(20)의 줄(30)을 위치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예를 들어, T자형으로 구성된다면, T자형의 하단에 해당한다.
그리고, 외면을 따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권회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방사형커버부(130)는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권회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방사형상을 가지고 있되, 권회된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T자형의 상단에 해당한다.
따라서, 하단에 권회되어 있는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이어폰보관부(210)는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타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의 외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의 방사형커버부를 나타낸 외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은 넥밴드프레임(300)과; 제1이어폰보관부(110)와; 권회부(120)와; 방사형커버부(130)와; 제1외장스피커부(140)와; 제2이어폰보관부(210)와; 제2외장스피커부(220)와; 이어폰/외장스피커전환스위치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넥밴드프레임(300)을 구성하고 있어 목에 걸어서 본 발명의 이어폰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넥 밴드형 이어폰을 예시로 들고 있으나, 넥 밴드형에 국한하지 않고, 목걸이 형, 손목 밴드형, 귀걸이형 등, 사용자의 신체의 장착할 수 있는 웨어러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 응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이어폰보관부(110)는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어느 일측에 연이어 형성되게 된다.
이때, 내부에 이어폰줄(10)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이어폰보관부 혹은 제2이어폰보관부의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권회부(120)는 제1이어폰보관부의 상측으로 결합되어 있게 된다.
이때, 스피커선과 마이크선 및 스마트폰연결잭(20)의 줄(30)이 위치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고 있게 되는데, 상기 줄들의 일측은 중앙제어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각각 외장스피커, 마이크, 스마트폰연결잭에 연결되어 중앙제어부로부터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음향 신호 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권회부의 외면을 따라 권회부의 내부를 통과한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권회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어폰 줄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각각 분리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이유는 이어폰과 스마트폰 연결잭의 줄이 감기는 영역이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어폰 휴대 시 줄 엉킴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사형커버부(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회부의 일측에 연이어 연결되며, 방사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권회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예를 들어, T자형의 상단에 해당함)함으로써, 상기 권회된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이어폰보관부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외장스피커부(140)를 상기 방사형커버부의 중앙 부위에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권회부의 내부 공간을 통과한 스피커선에 연결되어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폰연결잭에 연결된 스마트폰(40)의 음향 신호를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외장스피커부를 제2이어폰보관부에 형성된 제2외장스피커부와 달리 방사형커버부에 구성하는 이유는 권회부를 두어 권회부를 통과한 줄을 제2이어폰보관부까지 연장하여 줄의 끝단에 제1외장스피커부를 연결하게 되어 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폰연결잭의 보관하기 위한 보관홈(미도시)을 제2이어폰보관부 혹은 넥밴드프레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평상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폰연결잭의 외형과 동일한 모양의 보관홈을 제2이어폰보관부 혹은 넥밴드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이어폰보관부(210)는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타측에 연이어 형성되게 되며, 내부에 이어폰줄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때,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제1이어폰보관부(110)와 제2이어폰보관부(210) 및 방사형커버부(130)는,
자동감김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자동감김수단의 동작에 의해 이어폰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줄을 당겼다 놓으면, 줄을 풀거나 감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자동감김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이어폰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버튼을 누르지 않고, 줄을 당기는 조작만으로도 자동 줄감기가 가능한 특징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자동감김수단의 구조 및 동작 원리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등록특허번호 제10-1471904호인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에 개시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판(1)과, 상기 베이스판(1)의 어느 한쪽면으로부터 베이스판(1)의 수직 방향으로 뻗어나온 고정축(3), 상기 고정축(3)에 관통된 채 고정축(3)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휠(9), 일단이 상기 휠(9)의 둘레면에 고정되어 휠(9)을 따라 휠(9)의 둘레면에 감기는 와이어(15), 롤(Roll) 형태로 말려지고 일단이 고정축(3)에 고정되며 타단이 휠(9)의 어느 한 부분에 고정되는 탄성 부재(19), 상기 휠(9)과 일체로 결합 된 상태에서 휠(9)과 함께 회전되고 케이스(29)를 마주보는 면에 트랙(25)이 갖추어진 캡(27), 상기 캡(27) 위에 덮어 씌워지는 케이스(29), 및 상기 캡(27)과 케이스(29) 사이에 끼워지고 탄성을 지닌 채 원 호 형태로 굽어져 한쪽 끝이 케이스(29)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끝이 트랙(25)에 끼워지는 와이어 스프링(23)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트랙(25)은 캡(27)의 원주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외부 트랙(37)과, 상기 외부 트랙(37)의 반경 안쪽으로 형성되면서 캡(27)의 원주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내부 트랙(39),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에서 내부트랙(39)과 외부 트랙(37)을 연결하는 2개 이상의 일자형 연결 트랙(41), 및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에서 내부 트
랙(39)과 외부 트랙(37)을 연결하고 '>' 형태로 굽어지면서 어느 한 개의 일자형 연결 트랙(41)과 다른 한 개의 일자형 연결 트랙(41) 사이에 배치된 2개 이상의 스톱(Stop) 연결 트랙(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23)의 한쪽 끝에는 케이스(29) 방향으로 굽어져 케이스(29)의 고정 구멍(49)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바(51)가 갖추어지고, 상기 와이어 스프링(23)의 다른 한쪽 끝에는 캡(27) 방향으로 굽어져 캡(27)의 트랙(25)을 타고 이동하는 가이드바(53)가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29)에는 와이어 스프링(23)과 접하는 부분에 와이어 스프링(23)의 경로를 따라 케이스(29)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55)이 갖추어지고, 상기 캡(27)의 중앙에는 케이스(29) 방향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태의 중앙 돌기(57)가 갖추어지며, 상기 캡(27)을 마주보는 케이스(29)의 내측 면에는 중앙 돌기(57)가 끼워지도록 원형 홈(59)이 갖추어져, 상기 휠(9)과 캡(27)이 회전될 때 중앙 돌기(57)가 원형 홈(59)에 끼워진 채 회전된다.
또한, 상기 휠(9)과 베이스판(1) 사이에는 고정축(3)에 관통되면서 외부 전기 신호를 와이어(15)에 전달하는 PCB(45)가 갖추어지고, 상기 베이스판(1)을 마주보는 휠(9)의 한쪽 면에는 휠(9)을 따라 회전되면서 PCB(45)에 구비된 패드와 맞닿아 PCB(45)로부터 전달된 외부 전기 신호를 와이어(15)에 전달하는 브러쉬(47)가 갖추어진다.
한편, 상기 휠(9)의 상부 둘레면에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9)의 반경 바깥쪽으로 뻗어나온 상부 원형 브라켓(11)이 갖추어지고, 상기 휠(9)의 하부 둘레면에는 휠(9)의 반경 바깥쪽으로 뻗어나온 하부 브라켓(13)이 갖추어지며, 상기 와이어(15)는 상부 원형 브라켓(11)과 하부 브라켓(13) 사이에 끼워진 채 휠(9)의 둘레면에 감긴다.
또한, 상기 고정축(3)의 끝단에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3)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탄성 부재 고정홈(5)이 갖추어지고, 탄성 부재(19)의 일단은 반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달 형태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19)의 일단은 탄성 부재 고정홈(5)에 끼움 결합 된다.
또한, 상기 휠(9)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휠(9)의 수직 방향으로 뻗어나온 수직 원형 브라켓(17)이 갖추어지고, 상기 탄성 부재(19)는 수직 원형 브라켓(17)의 안쪽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원형 브라켓(17) 위에는 고정축(3)에 관통된 상태에서 수직 원형 브라켓(17) 위에 덮여져 탄성 부재(19)가 수직 원형 브라켓(17)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디스크(21)가 갖추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은 와이어(15)를 잡아당기면 와이어 스프링(23)의 한쪽 끝이 케이스(29)에 고정된 채 다른 한쪽 끝이 외부 트랙(37)에 위치하여 휠(9)이 회전됨과 동시에 와이어(15)가 연장되고, 동시에 탄성 부재(19)가 수축된다.
한편, 잡아당기던 와이어(15)를 놓으면, 외부 트랙(37)에 위치한 와이어 스프링(23)의 다른 한쪽 끝이 스톱 연결 트랙(43)의 골 부분에 걸치면서 휠(9)이 정지됨과 동시에 연장된 와이어(15)가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연장된 와이어(15)를 당겼다가 놓으면, 와이어 스프링(23)의 다른 한쪽 끝이 스톱 연결 트랙(43)으로부터 빠져나와 내부 트랙(39)으로 이동하고, 휠(9)은 탄성 부재(1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역회전 되면서 연장된 와이어(15)를 감아 넣는다.
또한, 다시 와이어(15)를 잡아당기면, 와이어 스프링(23)의 다른 한쪽 끝이 일자형 연결 트랙(41)을 통해 외부 트랙(37)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와이어(15)가 휠(9)로부터 연장되면서, 탄성 부재(19)가 수축된다.
따라서, 자동 감김 장치는 사용자의 이용 목적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휠(9)로부터 와이어(15)를 연장시켜 사용할 수 있고,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휠(9)의 안쪽으로 와이어(15)를 감아 넣기만 하면 되므로, 와이어(15)를 별도 정리할 필요가 없고, 와이어(15)가 엉킬 위험도 없으며, 엉킨 와이어(15)를 풀어내는데, 별도 시간을 투자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줄을 당겼다 놓기만 하면, 와이어(15)를 풀거나 감을 수 있고, 넥 밴드 리시버가 바닥뿐만 아니라 불특정 방향을 바라보고 있어도 와이어(15)를 당겼다 놓기만 하면, 와이어(15)를 풀거나 감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외장스피커부(220)는 제2이어폰보관부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연결잭에 연결된 스마트폰의 음향 신호를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어폰/외장스피커전환스위치부(250)를 제2이어폰보관부의 측면에 형성시켜 사용자가 이어폰 혹은 외장스피커부 중 음향 신호 청취를 원하는 수단(이어폰 또는 외장스피커부 중 어느 하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제1외장스피커부 주변에 형성되되, 상기 권회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마이크선에 연결되어 통화시 음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마이크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마이크부의 경우에도 제1이어폰보관부(110)와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방사형커버부(130)에 형성되게 되므로 권회부 내부에 마이크선을 통과시켜야 하며, 마이크선의 끝단에 연결되어 통화시 음성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부는 제1이어폰보관부에서 마이크부 주변에 접시 모양의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음성을 더 잘 잡아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시 모양이 사용자의 입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외장스피커에서 흘
러나오는 소리보다 사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음성 신호를 더욱 잘 잡아내도록 함으로써, 좀 더 깨끗한 통화 품질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제2외장스피커부 주변에 형성되는 통화버튼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화버튼부를 통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의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제2이어폰보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스위치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볼률조절스위치부를 통해 볼륨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권회부에 권회된 스마트폰연결잭을 풀고 난 후, 이어폰줄을 아래로 내려 귀에 착용한 후, 스마트폰의 연결포트에 상기 스마트폰연결잭을 연결하여 음향을 청취하게 된다.
이때, 이어폰/외장스피커전환스위치부(250)의 스위치 위치를 외장스피커로 조작하게 되면, 귀에 착용한 이어폰을 귀에서 분리하여 편안하게 음악을 청취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이어폰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연결잭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외장기기와 연결시켜 음악을 이어폰 혹은 외장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어폰과 스마트폰 연결잭의 줄이 감기는 영역이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어폰 휴대 시 줄 엉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휴대 용이한 넥밴드형상을 가지고 있어 목에 걸어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10 : 제1이어폰보관부
130 : 방사형커버부
140 : 제1외장스피커부
210 : 제2이어폰보관부
220 : 제2외장스피커부
250 : 이어폰/외장스피커전환스위치부
300 : 넥밴드프레임

Claims (3)

  1. 넥밴드형 자동줄감기 이어폰에 있어서,
    넥밴드프레임(300)과;
    상기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10)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제1이어폰보관부(110)와;
    상기 제1이어폰보관부의 상측으로 결합되되, 마이크선 및 스마트폰연결잭(20)의 줄(30)을 위치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외면을 따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권회되는 권회부(120)와;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권회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방사형상을 가지고 있되, 권회된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사형커버부(130)와;
    상기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타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제2이어폰보관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이어폰보관부(110)와 제2이어폰보관부(210) 및 방사형커버부(130)는,
    자동감김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자동감김수단의 동작에 의해 이어폰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줄을 당겼다 놓으면, 줄을 풀거나 감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
  2. 넥밴드형 자동줄감기 이어폰에 있어서,
    넥밴드프레임(300)과;
    상기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10)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제1이어폰보관부(110)와;
    상기 제1이어폰보관부의 상측으로 결합되되, 마이크선 및 스마트폰연결잭(20)의 줄(30)을 위치시킬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외면을 따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권회되는 권회부(120)와;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권회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방사형상을 가지고 있되, 권회된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사형커버부(130)와;
    상기 방사형커버부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되, 스마트폰연결잭에 연결된 스마트폰(40)의 음향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제1외장스피커부(140)와;
    상기 넥밴드프레임의 하측의 타측에 형성되되, 내부에 이어폰줄을 권회시켜 보관하고 있는 제2이어폰보관부(210)와;
    상기 제2이어폰보관부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연결잭에 연결된 스마트폰의 음향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제2외장스피커부(220)와;
    상기 제2이어폰보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이어폰 혹은 외장스피커부 중 음향 신호 청취를 원하는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어폰/외장스피커전환스위치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이어폰보관부(110)와 제2이어폰보관부(210) 및 방사형커버부(130)는,
    자동감김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자동감김수단의 동작에 의해 이어폰과 스마트폰연결잭의 줄을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줄을 당겼다 놓으면, 줄을 풀거나 감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외장스피커부 주변에 형성되되, 상기 권회부(12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마이크선에 연결되어 통화시 음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마이크부(150);
    상기 마이크부(150)는 제1이어폰보관부에서 마이크부 주변에 접시 모양의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음성을 잘 잡아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
  3. 삭제
KR1020160065547A 2016-05-27 2016-05-27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 KR101782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547A KR101782435B1 (ko) 2016-05-27 2016-05-27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547A KR101782435B1 (ko) 2016-05-27 2016-05-27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435B1 true KR101782435B1 (ko) 2017-09-27

Family

ID=6003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547A KR101782435B1 (ko) 2016-05-27 2016-05-27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4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2491A (zh) * 2019-01-05 2019-06-0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US11363362B2 (en) 2018-06-15 2022-06-14 Shenzhen Shokz Co., Ltd. Speaker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04B1 (ko) * 2014-09-05 2014-12-11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1507869B1 (ko) * 2014-03-21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869B1 (ko) * 2014-03-21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KR101471904B1 (ko) * 2014-09-05 2014-12-11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3362B2 (en) 2018-06-15 2022-06-14 Shenzhen Shokz Co., Ltd. Speaker device
US11825259B2 (en) 2018-06-15 2023-11-21 Shenzhen Shokz Co., Ltd. Speaker device
CN109862491A (zh) * 2019-01-05 2019-06-0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WO2020140446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US11109142B2 (en) 2019-01-05 2021-08-31 Shenzhen Voxtech Co., Ltd Loudspeaker device
US11197086B2 (en) 2019-01-05 2021-12-07 Shenzhen Voxtech Co., Ltd. Speaker device
US11438689B2 (en) 2019-01-05 2022-09-06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CN109862491B (zh) * 2019-01-05 2023-11-24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US11877116B2 (en) 2019-01-05 2024-01-16 Shenzhen Shokz Co., Ltd. Speake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4987B2 (en) Audio player headset earhook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US6370401B1 (en) Storage case and method for a wireless headset with a microphone suspended between earpieces of the headset
US7565179B2 (en) No-cable stereo handsfree accessory
US7734055B2 (en) User configurable headset for monaural and binaural modes
CA2826426C (en) Repositionab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8713324A (zh) 多功能骨传导耳机
JP2008193688A (ja) ヘッドセット
TW201334573A (zh) 超小型耳機
US20080170740A1 (en) Self-contained dual earbud or earphone system and uses thereof
US20080298613A1 (en) Wireless headset with mic-side driver cut-off
TWM332341U (en) Multi-functional Bluetooth earphone
KR101755324B1 (ko) 다목적 넥밴드형 이어폰
US20150382098A1 (en) Proximity ear buds for earphone listening
KR101782435B1 (ko) 스마트폰연결잭을 포함하고 있는 넥밴드형 이어폰
KR200471685Y1 (ko) 이어폰 케이블 엉킴 방지 액세서리
EP2553913B1 (en) A handsfree accessory
KR100901361B1 (ko)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 및 이어폰
KR101862571B1 (ko) 와이어 감김 장치
KR200371355Y1 (ko) 줄 길이가 조절되는 이어폰
KR101218822B1 (ko) 블루투스 헤드셋
TWM454688U (zh) 無線耳機
JP3155362U (ja) ヘッドホン
KR101911808B1 (ko) 내장형 신축성 이어폰 단말장치
JP3196657U (ja) ヘッドホン
CN203057440U (zh) 一种自动收线的保暖型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