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337B1 - 휴대용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337B1
KR101835337B1 KR1020160109359A KR20160109359A KR101835337B1 KR 101835337 B1 KR101835337 B1 KR 101835337B1 KR 1020160109359 A KR1020160109359 A KR 1020160109359A KR 20160109359 A KR20160109359 A KR 20160109359A KR 101835337 B1 KR101835337 B1 KR 10183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racket
wire
main board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한
조이환
강오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337B1/ko
Priority to CN201710742094.3A priority patent/CN107786922B/zh
Priority to US15/687,182 priority patent/US9973842B2/en
Priority to EP17187961.2A priority patent/EP3288282A3/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5Manufacture of mono- or stereophonic headphon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Abstract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에 있어서, 소형화 및 경량화를 만족하고, 방열 성능 및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목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일 단에 결합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상면 또는 하면에 안착되는 제1 기판, 상기 안착된 제1 기판에 적층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일면이 접하는 평면 브라켓, 상기 평면 브라켓의 측면에 결합하는 측면 브라켓, 상기 측면 브라켓에 지지되고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을 향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적층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 외측에 노출되는 사이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PORTABLE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와 음향신호를 송/수신하고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 받은 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어버드를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에 보관할 수 있으며, 하중이 귀나 머리가 아닌 사용자의 어깨 또는 쇄골 쪽에 가해지므로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다.
따라서 일정 정도의 무게까지 부담이 가능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특정 수준까지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여전히 작은 크기 및 가벼운 무게가 요구되고, 이로 인한 발열 문제, 내구성 문제가 있다.
나아가 사용자에게 착용되는 웨어러블 단말기인 점에서 착용감을 향상시켜야 하고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휴대용 음향기기에 발생하는 발열 문제를 해결하고,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며,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일 단에 결합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상면 또는 하면에 안착되는 제1 기판, 상기 안착된 제1 기판에 적층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일면이 접하는 평면 브라켓, 상기 평면 브라켓의 측면에 결합하는 측면 브라켓, 상기 측면 브라켓에 지지되고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을 향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적층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 외측에 노출되는 사이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 버튼의 내측면 영역을 감싸고, 상기 측면 브라켓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에 접하는 제1 실링(Sealing)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평면 브라켓의 타면에 적층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면 브라켓은 상기 제1 기판과 배터리를 특정 거리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평면 브라켓의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된 개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평면 브라켓,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이 안착된 메인 바디의 일면 각각에 형성된 체결 나사홀 및 상기 체결 나사홀을 관통하여 상기 평면 브라켓, 제1 기판 및 상기 메인 바디를 서로 고정시키는 제1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바디의 일단 내부에 고정되는 체결부, 상기 메인 바디의 일단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 구비된 방수 리브 및 상기 체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 리브에 결합하는 방수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결합홀 및 상기 결합홀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바디의 일영역에 구비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 리브 및 방수 홈 결합은 상기 결합홀 및 돌출부의 결합보다 상기 제1 기판 방향으로 치우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수 리브와 방수 홈 결합 영역을 경계로 상기 넥밴드 와이어 측 비방수 영역과 상기 제1 기판 측 방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체결부의 방수 영역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기판에 결합하는 제1 연결 도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넥밴드 와이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기판에 결합하는 제1 연결 도선, 상기 제1 연결 도선을 실장하는 와이어 튜브 및 상기 와이어 튜브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일단 내부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튜브 및 상기 체결부 일영역을 감싸 결합하는 제1 와이어부 및 상기 제1 와이어부 중 사용자의 목에 접촉하는 영역에 결합하는 제2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와이어 튜브에, 상기 제1 와이어부는 상기 와이어 튜브 및 상기 체결부의 일 영역에,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부에 이중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와이어부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부의 적어도 일영역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구비된 패턴 무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에 구비된 입/출력 포트(Port), 상기 입/출력 포트를 상기 메인 바디의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방수캡, 상기 방수캡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제2 실링(Sealing) 부재 및 상기 제2 실링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방수 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자 부품의 발열에 의한 문제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휴대용 음향기기의 생산 시간 및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휴대용 음향기기 전체의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넥밴드 와이어 및 메인 바디가 헛돌지 않도록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휴대용 음향기기 전체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착용감이 상승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제1 바디의 외측면을, 도 5(b)는 제2 바디의 외측면을, 도 5(c)는 제1 바디의 내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체결부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 일부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넥밴드 와이어 및 체결부의 형성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한 것이다.
도 14는 도 7의 B-B' 영역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메인 바디 타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 메인 바디의 타단 내부 및 외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 메인 바디의 타단 내부 및 외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60) 및 전원 공급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용 음향기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음향기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1), 위치정보 모듈(1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휴대용 음향기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단말기 등을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60)는 감지된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1)을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기 등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2)은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2)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 microphone, 121),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2,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2)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통화 버튼,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 전원 버튼 및 음향케이블을 메인 바디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버튼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2)는 통화 버튼, 한 쌍의 음량조절 버튼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외에 시작/정지(play/stop) 버튼, 곡순서 변경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122)는 사용자가 직접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의 개수가 많으면 각 버튼의 기능을 구분하기 힘들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을 확대할 수도 있다.
마이크(121)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활용되거나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130)는 휴대용 음향기기 내 정보, 휴대용 음향기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근접센서(13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3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microphone, 121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음향기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이어폰이 홀더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는 상기 자기 센서 등이 대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음향 출력부(141), 햅틱 모듈(142), 광 출력부(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1)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폰 및 이어폰을 끼지 않은 상태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가 있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휴대용 음향기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7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크게 넥밴드 와이어(310) 및 메인 바디(2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넥밴드 와이어(310)는 사용자의 목 일 영역을 감싸 휴대용 음향기기(100)가 사용자의 목에 거치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메인 바디(200) 및 넥밴드 와이어(310)는 결합하여 'U'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양단이 착탈되어 선택적으로 'O'자 형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메인 바디(200)는 넥백드 와이어의 양 단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메인 바디(200)는 넥밴드 와이어(310)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1 바디 및 넥밴드 와이어(310)의 타단에 결합하는 제2 바디로 구분될 수 있다.
후술하는 기술적 특징 중 메인 바디(200)에 관련된 사항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제1 바디 및 제2 바디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설명의 중복 방지를 위해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 중 일측의 메인 바디(20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 바디(20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부품 실장의 목적 등을 위해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의 결합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10) 또는 하부 케이스(220) 중 일측은 메인 바디(200)의 측면 영역까지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측면 케이스가 별개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와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케이스(210)가 메인 바디(200)의 측면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땀과 같은 수분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방수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 사이의 틈을 커버하는 리브를 형성하거나 방수부재를 개재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바디(200)는 폴리머(Polymer) 재질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PS: Polystryrene)과 같은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부분적으로 금속이나, 유리, 가죽 등을 포함하는 이형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메인 바디(200)는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메인 바디(20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할 수 있다. 메인 바디(20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체감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메인 바디(200)가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메인 바디(200)는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부분의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바디(200)에는 전술한 메인기판, 무선통신부, 배터리(260) 및 회수 모듈과 같은 각종 부품이 삽입될 수 있다.
메인기판은 무선통신부, 마이크(201) 등이 실장되며, 배터리(260), 사용자 입력부, 음향출력부 등과 연결된다. 메인 바디(200)에 실장되는 부품은 양측의 바디, 즉 제1 바디 및 제2 바디에 대칭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고, 일측만 구비될 수도 있다.
넥밴드 와이어(310)는 탄성의 성질을 가져 힘을 가하면 소정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 되었다가 힘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 될 수 있다. 탄성의 성질을 갖는 대표적인 형태로 형상기억합금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어버드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소리를 전달하며, 이어버드는 음향케이블을 통해 상기 메인기판과 연결된다. 메인기판은 이어버드를 제어하여 음향신호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메인 바디(200)는 양측에 각각 이어버드가 안착되는 홀더(410)를 구비한다. 홀더(410)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착용 시에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부 케이스(220)의 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홀더(410)는 이어버드의 형상에 상응하여 오목하게 인입된 리세스부를 포함하며, 홀더(410)에 형성된 케이블 홀을 통해 이어버드와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음향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다.
메인 바디(200)에 실장된 회전부재의 탄성에 의해 음향케이블이 회수 모듈의 둘레에 감기면서 이어버드는 자동으로 홀더(410)에 결합할 수 있다.
연장 브라켓은 홀더(410)의 둘레에 결합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메인 바디(200)의 전체 길이를 연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홀더(410)가 메인 바디(200)와 단단히 고정되기 위해 소재에 제약이 있을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닿는 경우 촉감이 좋지 않거나 충분한 마찰력을 갖지 못할 수 있다.
연장 브라켓은 홀더(410)와 이형 재질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닿으면서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a)는 제1 바디의 외측면을, 도 5(b)는 제2 바디의 외측면을, 도 5(c)는 제1 바디의 내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메인 바디(20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로서의 입/출력 포트(151, I/O port)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로서 통화 수신 버튼(123), 음량 조절 버튼(124), 재생곡 선택 버튼(125), 재생/정지 버튼(126)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인 바디(200)의 내측면에는 전원 버튼(127)이 구비될 수 있다. 전원 버튼은 상대적으로 잘 눌려지지 않도록 설계되어 의도하지 않게 전원이 켜지거나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 버튼(127)의 주변에는 탄성 볼(128)이 구비될 수 있고, 전원 버튼(127) 및 탄성 볼(128)을 덮는 커버 케이스(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케이스(222)는 상부 케이스(210) 또는 하부 케이스(220)의 적어도 일영역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물리적으로 가압되는 돔 키(271)(dome key)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눌리는 방식의 상기 버튼과 달리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여 입력하는 토글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버튼 전부 또는 일부는 후술하는 사이드 버튼(270)의 구성이 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입력부의 형태는 상기 개념과 유사한 범위의 기능을 하는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상술한 기능에 대해서만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
제1 기판(240)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100)에 사용되는 전자적 부품의 전체 또는 일부를 실장할 수 있다.
제1 기판(240)은 대부분의 전자 부품을 실장하므로 메인 바디(200) 내에서 비교적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제1 기판(240)은 하나의 판 형상을 띨 수 있으며, 전면 또는 배면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메인 바디(200)의 형상은 길이 방향의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유사한 경향의 형태를 띠는 납작한 바(Bar) 형상을 띨 수 있다.
바 형상의 메인 바디(200)에서 납작한 면은 메인 바디(200)의 상면 또는 하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판(240)은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게 되고, 따라서 제1 기판(240)이 메인 바디(2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경우보다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기판(240)은 메인 바디(200)의 상면, 즉 상부 케이스의 상면(2101)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기판(240)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해 제1 기판(240)의 외곽 경계 영역의 일부 영역과 대응되는 경계를 갖는 가이드 영역(215)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브라켓(251)은 메인 바디(200)에 안착된 제1 기판(240)에 적층되어 제1 기판(240)의 일면과 접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60)는 공간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납작한 직육면체의 형상을 띨 수 있다.
평면 브라켓(251)은 배터리(260)와 제1 기판(240)을 구분짓는다. 배터리(260)의 일면은 평면 브라켓(251)에, 타면은 하부 케이스(220)에 안착될 수 있다. 배터리(26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완충 시트(261)가 배터리(260)와 하부 케이스(2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평면 브라켓(251)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열가소성 플라스틱(Plastic)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브라켓(252)은 평면 브라켓(251)의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측면 브라켓(252) 및 평면 브라켓(251)은 동일 물질의 일체형의 고정 브라켓(25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평면 브라켓(251) 및 측면 브라켓(252)은 별도로 결합하는 경우보다 생산 시간 단축, 강성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측면 브라켓(252)의 일면(2511)은 메인 바디(200)의 측면을 향할 수 있다. 특히 측면 브라켓(252)의 일면은 메인 바디(200)의 측면 내측과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메인 바디(200)의 측면 외측에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이드 버튼(270)이 구비된다.
사이드 버튼(270)은 상부 케이스(210) 또는 하부 케이스(220)에 형성된 개구홀(214)을 통해 사용자가 가압 할 수 있도록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버튼(270)은 물리적으로 가압되면 신호를 인식하는 돔 키(271)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기판(280)은 측면 브라켓(252)에 지지되고 메인 바디(200)의 측면을 향할 수 있다. 사이드 버튼(270)은 메인 바디(200)의 외측에서 가압되면 돔 키(271)를 통해 제2 기판(280)에 입력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기판(280)은 측면 브라켓(252)의 모서리를 타고 제1 기판(2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돔 키(271)와 제2 기판(280)은 경우에 따라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측면 브라켓(252)은 사이드 버튼(270), 제1 실링 부재(272), 돔 키(271) 및 제2 기판(28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사이드 버튼(270)이 가압되어 메인 바디(200) 내측으로 일정 거리 압축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이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도 7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제1 실링 부재(272)는 사이드 버튼(270)과 측면 브라켓(252) 사이에 구비되어 사이드 버튼(270)과 메인 바디(200) 사이의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272)는 사이드 버튼(270)의 내측면 영역을 감쌀 수 있다.
특히 제1 실링 부재(272)는 사이드 버튼(270)의 내측면 및 사이드 버튼(270)의 내측면 경계의 메인 바디(200) 경계부분까지 덮을 수 있다. 측면 브라켓(252)은 제1 실링 부재(272)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제1 실링 부재(272) 및 메인 바디(200) 사이에 액체가 유입될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272)는 복원력을 갖는 탄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버튼(270)은 제1 실링 부재(272)의 복원력 및 돔 키(271)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272)의 일 영역은 제2 기판(280)에 구비된 돔 키(271)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측면 브라켓(252)에서 제1 실링 부재(272)의 경계와 대응되는 영역은 제1 실링 부재(272)를 밀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260)는 평면 브라켓 타면(2512)에 적층되어 구비된다. 평면 브라켓(251)은 제1 기판(240)과 배터리(260)를 특정 거리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사용시 배터리(260) 및 제1 기판(240) 등에 집중적으로 열이 발생할 수 있어 서로 이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전체 무게를 경량화 하고 방열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평면 브라켓(251)의 일영역에 개방홀(2513)이 형성될 수 있다.
평면 브라켓(251), 제1 기판(240) 및 메인 바디(200)는 하나의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평면 브라켓(251)에는 제1 나사홀(2541), 제1 기판(240)에는 제2 나사홀(2542), 메인 바디(200)에는 제3 나사홀(2543)을 포함하는 체결 나사홀(254)이 형성되어 제1 스크류(253)가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제1 스크류(253)를 통해 메인 바디(200)에서 제1 기판(24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생산 공정을 단순화 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체결부(320)는 넥밴드 와이어(310)와 메인 바디(200)를 체결하는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체결부(320)는 넥밴드 와이어(31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320)가 넥밴드 와이어(310)에 구비되는 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체결부(320)는 메인 바디(200)의 일단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320)에 형성된 결합홀(322)에 메인 바디(200)의 결합홀(322)에 대응되는 일영역에 구비된 돌출부(21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메인 바디(200)의 상부 케이스(210) 또는 하부 케이스(220) 일측에 구비된 돌출부(212)는 나머지 일측의 케이스와 결합 고정되어 체결부(320) 및 넥밴드 와이어(310)가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는 서로 후크 결합 또는 스크류 결합할 수 있다. 스크류 결합을 하는 경우 상부 케이스(210)에 구비된 제5 나사홀(211)과 하부 케이스(220)에 구비된 제4 나사홀(221)(221)을 제2 스크류(321)가 체결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방수 리브(213)와 방수 홈(323)은 상호 결합하여 제1 기판(240)이 구비된 메인 바디(200)의 일영역의 방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방수 리브(213)는 메인 바디(200)의 일단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방수 홈(323)은 체결부(320)에 형성되어 방수 리브(213)에 결합할 수 있다. 방수 리브(213) 및 방수 홈(323)의 결합은 방수를 외측에서 메인 바디(2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을 수행 할뿐만 아니라 체결부(320)가 메인 바디(200)에 대해 유동하지 않도록 유격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방수 리브(213)가 체결부(320) 둘레에, 방수 홈(323)이 메인 바디(200)의 둘레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메인 바디(200)의 케이스 두께를 최소화 하면서 강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서 전자의 형태가 적절하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체결부(320)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인 방수 리브(213) 및 방수 홈(323)의 결합 이외에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오링(324)(O-ring)이 방수 리브(213) 또는 방수 홈(323), 또는 양자의 역할을 대신하여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체결부(320)의 결합홀(322) 및 메인 바디(200)의 돌출부(212)의 결합은 스크류 결합 등의 구조로 인해 방수 성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방수 리브(213) 및 방수 홈(323) 결합이 결합홀(322) 및 돌출부(212)의 결합보다 제1 기판(240) 방향, 즉 메인 바디(200)의 내측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방수 리브(213)와 방수 홈(323) 결합을 통해 방수 리브(213)와 방수 홈(323) 결합 영역을 경계로 제1 기판(240) 측, 즉 메인 바디(200)의 내측은 방수 영역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수 리브(213)와 방수 홈(323) 결합 영역을 경계로 넥밴드 와이어(310) 측은 비방수 영역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 일부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연결 도선(330)은 넥밴드 와이어(310)의 내부 영역을 통해 양측의 메인 바디(200) 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 도선(330)은 넥밴드 와이어(310)의 내부에서 시작되어 체결부(320)의 방수 영역을 관통하여 제1 기판(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체결부 일단(325)에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1 연결 도선(330)이 결합홀(322)을 지나가지 않도록 체결부 일단(325) 중 일측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 도선(330)이 체결부(320)의 방수 영역에서 관통되어 나오는 경우 제1 연결 도선(330)으로 인해 방수 리브(213) 및 방수 홈(323) 결합의 결합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넥밴드 와이어(310)의 내부에서 메인 바디(200)의 방수 영역으로 바로 삽입되므로 제1 연결 도선(330) 자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넥밴드 와이어(310) 및 체결부(320)의 형성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한 것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1 연결 도선(330)은 와이어 튜브(340)에 삽입되어 보호된다. 와이어 튜브(340)는 비전도성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과 같은 물질로 구성된 복원 와이어는 넥밴드 와이어(310)의 형태가 변형된 경우 원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용 음향기기(100)가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기 위해 벌어졌다가 힘이 제거되는 경우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복원 와이어 또한 와이어 튜브(340)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부(320)는 복원 와이어 및 제1 연결 도선(330)이 실장된 와이어 튜브(340)에 이중 사출되어 결합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도 13(a)의 형태에서 와이어 튜브(340) 전체 및 체결부(320)의 일영역을 감싸도록 제1 와이어부(341)가 이중 사출되어 결합할 수 있다.
제1 와이어부(341)는 넥밴드 와이어(310)의 전체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체결부(320) 및 와이어 튜브(34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와이어부(341)는 상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와 같은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탄성 소재의 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도 13(b)의 형태에서 제2 와이어부(342)가 이중 사출되어 제1 와이어부(341)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와이어부(341)는 특히 사용자의 목에 직접적으로 닿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와이어부(342)는 제1 와이어부(341)와 비교하여 마찰력이 더 높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영역에 패턴 음각 또는 양각의 무늬가 형성될 수도 있다. 패턴 무늬는 제2 와이어부(342)가 제1 와이어부(341)에 이중 사출될 때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와이어부(342)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나 고무와 같이 제1 와이어부(341)와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리콘과 같은 물질을 포함하여 마찰력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제1 와이어부(341) 및 제2 와이어부(342)가 분리된 공정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 영역이 다른 색상으로 구현되게 할 수 있다. 투톤 색상의 구현을 통해 디자인적으로 상승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와이어부(342)가 제1 와이어부(341)의 내측면 중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비대칭으로 구비되는 경우 휴대용 음향기기(100) 전체의 위아래 방향을 쉽게 인식할 수도 있다.
도 14은 도 7의 B-B' 영역 단면도이다.
메인 바디(200)는 인터페이스부의 일 예로 입/출력 포트(151)를 구비할 수 있다. 입/출력 포트(151)는 좀 더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유에스비(USB:Universal Sirial Bus) 포트가 될 수도 있고, USB-C 타입 포트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출력 포트(151)는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방수 구현을 위해 방수캡(291)이 결합할 수 있다.
방수캡(291)은 입/출력 포트(151)를 메인 바디(200)의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방수캡(291)의 내측면에는 제2 실링(Sealing) 부재가 결합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292)는 입/출력 포트(151)를 일차적으로 방수하고, 제2 실링 부재(292)의 내측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방수 띠(293)를 통해 이차적으로 방수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메인 바디(200) 타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어버드는 메인 바디(200)의 타단에 형성된 홀더(410)에 구비된 회수 홀(411)을 관통하는 제2 연결 도선(413)을 통해 내부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수 홀(411)은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외부와 메인 바디(200) 내부로 이어지는 통로가 되므로 방수 구현을 위한 구조가 문제될 수 있다.
방수 구현을 위해 회수 홀(411)을 특정 값 이하의 직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회수 홀(411)을 특정 값 이하의 직경으로 형성하는 경우 홀더(410)를 제조할 때 회수 홀(411)이 막힐 여지가 있다.
따라서 일정 직경 이하의 회수 홀(411)을 형성하기 위해 홀더(410)에 별도의 홀 부재(412)를 구비할 수 있다. 홀 부재(412)는 특정 값 이하의 직경을 포함하는 회수 홀(411)을 구비하여 홀더(410)와 결합할 수 있다.
홀 부재(412)와 홀더(410)는 본딩 물질 등을 통해 결합하여 경계의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홀 부재(412)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나 실리콘과 같은 일정 정도 탄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 메인 바디(200)의 타단 내부 및 외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방수 구조에도 불구하고 메인 바디(200)의 내측에 물이 유입된 경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유입된 물이 전자 부품에 닿지 않고 다시 외부로 잘 빠져나갈 수 있는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 기기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전제로 전방 하단이 기울어져 구비된다는 특성을 전제로 전방 하단 방향으로 물길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가 전방 하단으로 물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바디(200)의 전방 하단에는 배수홀이 구비될 수 있다. 배수홀은 특히 메인 바디(200)와 홀더(410)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이 메인 바디(200)의 전방 하단에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착용한 경우에도 눈에 띠지 않아 디자인적 상승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가이드부는 배수홀에 가까워 질수록 좁아지는 노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에는 방수 메쉬가 구비될 수 있다. 방수 메쉬는 액체가 외부에서 배수홀을 통해 내부로 들어오는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도 내부에 있는 액체가 배수홀을 통해 빠져나가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지 않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휴대용 음향기기 151: 입/출력 포트
122: 사용자 입력부 200: 메인 바디
201: 마이크 210: 상부 케이스
2101: 상부 케이스 상면 211: 제5 나사홀
212: 돌출부 213: 방수 리브
214: 개구홀 215: 가이드 영역
220: 하부 케이스 221: 제4 나사홀
222: 커버 케이스 240: 제1 기판
250: 고정 브라켓 251: 평면 브라켓
2511: 평면 브라켓 일면 2512: 평면 브라켓 타면
2513: 개방홀 252: 측면 브라켓
253: 제1 스크류 254: 체결 나사홀
2541: 제1 나사홀 2542: 제2 나사홀
2543: 제3 나사홀 260: 배터리
261: 완충 시트 270: 사이드 버튼
271: 돔 키 272: 제1 실링 부재
280: 제2 기판 291: 방수캡
292: 제2 실링 부재 293: 방수 띠
310: 넥밴드 와이어 320: 체결부
321: 제2 스크류 322: 결합홀
323: 방수 홈 324: 오링
325: 체결부 일단 330: 제1 연결 도선
340: 와이어 튜브 341: 제1 와이어부
342: 제2 와이어부 410: 홀더
411: 회수 홀 412: 홀 부재
413: 제2 연결 도선 414: 연장 브라켓
510: 배수홀 511: 방수 메쉬
520: 가이드부 600: 이어버드
610: 회수 모듈

Claims (19)

  1. 사용자의 목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일 단에 결합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메인 기판;
    상기 안착된 메인 기판에 적층되어 상기 메인 기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평면 브라켓;
    상기 평면 브라켓의 일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측면 브라켓;
    상기 측면 브라켓에 지지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기판; 및
    상기 사이드 기판에 적층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 외측에 노출되는 사이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평면 브라켓 및 상기 측면 브라켓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버튼의 내측면 영역을 감싸고, 상기 측면 브라켓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에 접하는 제1 실링(Sealing)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브라켓의 타면에 적층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면 브라켓은 상기 메인 기판과 배터리를 특정 거리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브라켓의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된 개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 기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브라켓, 메인 기판 및 상기 메인 기판이 안착된 메인 바디의 일면 각각에 형성된 체결 나사홀; 및
    상기 체결 나사홀을 관통하여 상기 평면 브라켓, 메인 기판 및 상기 메인 바디를 서로 고정시키는 제1 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구비된 입/출력 포트(Port);
    상기 입/출력 포트를 상기 메인 바디의 외측면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방수캡;
    상기 방수캡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제2 실링(Sealing) 부재; 및
    상기 제2 실링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방수 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3. 사용자의 목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일 단에 결합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수평으로 안착되는 메인 기판;
    상기 안착된 메인 기판에 적층되어 상기 메인 기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평면 브라켓;
    상기 평면 브라켓의 일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측면 브라켓;
    상기 측면 브라켓에 지지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기판;
    상기 사이드 기판에 적층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 외측에 노출되는 사이드 버튼;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바디의 일단 내부에 고정되는 체결부;
    상기 메인 바디의 일단 내측 둘레를 따라 돌출 구비된 방수 리브; 및
    상기 체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 리브에 결합하는 방수 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결합홀; 및
    상기 결합홀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바디의 일영역에 구비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 리브 및 방수 홈 결합은 상기 결합홀 및 돌출부의 결합보다 상기 메인 기판 방향으로 치우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리브와 방수 홈 결합 영역을 경계로 상기 넥밴드 와이어 측 비방수 영역과 상기 메인 기판 측 방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체결부의 방수 영역 일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 기판에 결합하는 제1 연결 도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6. 사용자의 목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일 단에 결합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수평으로 안착되는 메인 기판;
    상기 안착된 메인 기판에 적층되어 상기 메인 기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평면 브라켓;
    상기 평면 브라켓의 일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측면 브라켓;
    상기 측면 브라켓에 지지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기판;
    상기 사이드 기판에 적층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 외측에 노출되는 사이드 버튼;
    상기 넥밴드 와이어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 기판에 결합하는 제1 연결 도선;
    상기 제1 연결 도선을 실장하는 와이어 튜브; 및
    상기 와이어 튜브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일단 내부에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튜브 및 상기 체결부 일영역을 감싸 결합하는 제1 와이어부; 및
    상기 제1 와이어부 중 사용자의 목에 접촉하는 영역에 결합하는 제2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와이어 튜브에, 상기 제1 와이어부는 상기 와이어 튜브 및 상기 체결부의 일 영역에, 상기 제2 와이어부는 상기 제1 와이어부에 이중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부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부의 적어도 일영역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구비된 패턴 무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9. 사용자의 목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일 단에 결합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수평으로 안착되는 메인 기판;
    상기 안착된 메인 기판에 적층되어 상기 메인 기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평면 브라켓;
    상기 평면 브라켓의 일 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측면 브라켓;
    상기 측면 브라켓에 지지되고 상기 메인 바디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사이드 기판;
    상기 사이드 기판에 적층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측면 외측에 노출되는 사이드 버튼;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 하단에 구비되는 배수홀;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홀에 가까워 질수록 좁아지는 노즐을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160109359A 2016-08-26 2016-08-26 휴대용 음향기기 KR10183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359A KR101835337B1 (ko) 2016-08-26 2016-08-26 휴대용 음향기기
CN201710742094.3A CN107786922B (zh) 2016-08-26 2017-08-25 便携式音响设备
US15/687,182 US9973842B2 (en) 2016-08-26 2017-08-25 Portable sound equipment
EP17187961.2A EP3288282A3 (en) 2016-08-26 2017-08-25 Portable sound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359A KR101835337B1 (ko) 2016-08-26 2016-08-26 휴대용 음향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337B1 true KR101835337B1 (ko) 2018-03-07

Family

ID=5971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359A KR101835337B1 (ko) 2016-08-26 2016-08-26 휴대용 음향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73842B2 (ko)
EP (1) EP3288282A3 (ko)
KR (1) KR101835337B1 (ko)
CN (1) CN10778692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485A (ko)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메카비전 가상 오브젝트의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 안경
KR102128298B1 (ko) 2019-04-19 2020-06-30 (주)모비프렌 넥밴드형 이어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3828S1 (en) * 2016-07-29 2018-07-2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USD835065S1 (en) * 2016-07-29 2018-12-0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USD824361S1 (en) * 2016-07-29 2018-07-31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USD837184S1 (en) * 2016-12-02 2019-01-01 Shenzhen Cannice Technology Co., Ltd. Wireless earphone
USD830996S1 (en) * 2016-12-09 2018-10-1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USD830999S1 (en) * 2016-12-14 2018-10-1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USD830995S1 (en) * 2016-12-16 2018-10-1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USD831611S1 (en) * 2016-12-16 2018-10-23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USD830998S1 (en) * 2016-12-16 2018-10-1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USD850419S1 (en) * 2017-01-03 2019-06-04 Lg Electronics Inc. Earphone
USD858480S1 (en) * 2017-05-09 2019-09-03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Part of a pair of headphones
USD843968S1 (en) * 2017-06-14 2019-03-26 Qunru Li Headset
USD855035S1 (en) * 2017-08-08 2019-07-30 Shenzhen Dacom Electronics Co., Ltd. Wireless earphone
CN109587591A (zh) * 2017-09-28 2019-04-0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耳挂式音乐播放器
USD842838S1 (en) * 2017-09-29 2019-03-12 Qunru Li Headset
USD842837S1 (en) * 2017-09-29 2019-03-12 Qunru Li Headset
USD843969S1 (en) * 2017-10-06 2019-03-26 Qunru Li Headset
USD851061S1 (en) * 2017-10-16 2019-06-11 Gn Audio A/S Headset
USD853987S1 (en) * 2017-10-17 2019-07-16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USD914634S1 (en) 2017-10-17 2021-03-30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JP1617786S (ko) * 2017-12-27 2018-11-12
TWI748101B (zh) * 2018-05-30 2021-12-01 美律實業股份有限公司 固定結構及具有其的頸掛帶體
WO2020021877A1 (ja) * 2018-07-27 2020-01-30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出力装置
EP3884357A4 (en) * 2019-01-04 2022-01-12 Vuzix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WEARABLE SYSTEM
USD870067S1 (en) * 2019-08-29 2019-12-17 Shenzhen Qianhai Patuoxun Network And Technology Co., Ltd Wireless headset
JP1658488S (ko) * 2019-09-30 2020-04-27
JP6719140B1 (ja) * 2019-11-15 2020-07-08 Fairy Devices株式会社 首掛け型装置
USD942413S1 (en) * 2019-11-29 2022-02-01 Lg Electronics Inc. Wireless neckband
CN111031432A (zh) * 2019-12-20 2020-04-17 歌尔股份有限公司 颈戴式耳机及功能切换方法、系统、设备、计算机介质
USD951904S1 (en) * 2020-04-20 2022-05-17 Black & Decker Inc. Head phone
US11890622B2 (en) * 2020-07-30 2024-02-06 Ible Technology Inc. Wearable air purifier
US20220078537A1 (en) * 2020-09-04 2022-03-10 Plantronics, Inc. Performance neckband for wireless earbuds
WO2022116068A1 (zh) * 2020-12-03 2022-06-09 阿宜准(惠州)电子科技有限公司 多功能挂脖音响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7803A (ja) * 2007-12-27 2009-08-06 Kyocera Corp 電子機器
JP2014120203A (ja) * 2012-12-13 2014-06-30 Kyocera Corp 防水構造を有する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5106A (en) * 1985-05-13 1987-09-22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 miniature connector
JP4798219B2 (ja) * 2008-12-26 2011-10-19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及び再生装置
KR20110115720A (ko) 2010-04-16 2011-10-24 이능규 골전도를 이용한 방수 헤드셋 플레이어
CN201995259U (zh) * 2011-04-11 2011-09-28 肖辉亮 防水运动型mp3
JP6026235B2 (ja) * 2011-12-22 2016-11-16 株式会社ディーアンドエムホールディングス ネックバンド型イヤーホン
CN104349236A (zh) * 2013-08-07 2015-02-11 深圳宝嘉能源有限公司 电源插头和带电源插头的蓝牙耳机
US20150208535A1 (en) * 2014-01-22 2015-07-23 Da-chung Wu Waterproof container
EP2919482B1 (en) * 2014-03-13 2019-11-0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ear piece
KR20150112436A (ko) 2014-03-28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버튼을 갖는 전자 장치
WO2015149247A1 (zh) 2014-03-31 2015-10-08 刘骏涛 一种便携式迷你音响
KR101570299B1 (ko) * 2014-09-04 2015-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셋
EP3007029B1 (en) * 2014-10-07 2017-1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wearable device
KR101615240B1 (ko) 2015-01-23 2016-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KR101687623B1 (ko) * 2015-06-15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US10129647B2 (en) * 2016-05-25 2018-11-13 Lg Electronics Inc. Wireless sound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7803A (ja) * 2007-12-27 2009-08-06 Kyocera Corp 電子機器
JP2014120203A (ja) * 2012-12-13 2014-06-30 Kyocera Corp 防水構造を有する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485A (ko)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메카비전 가상 오브젝트의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 안경
KR102218207B1 (ko) * 2018-03-09 2021-02-19 주식회사 메카비전 가상 오브젝트의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 안경
KR102128298B1 (ko) 2019-04-19 2020-06-30 (주)모비프렌 넥밴드형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86922A (zh) 2018-03-09
US20180063620A1 (en) 2018-03-01
CN107786922B (zh) 2020-12-04
EP3288282A3 (en) 2018-04-25
US9973842B2 (en) 2018-05-15
EP3288282A2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33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80553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1861690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587138B1 (ko) 이동 단말기
US969954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0155694A1 (zh) 用于无线耳机的线控盒及无线耳机
EP3340645B1 (en) Ear unit for a portable sound device
US10491983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160029524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20155695A1 (zh) 用于无线耳机的线控盒及无线耳机
KR20170136293A (ko) 휴대용 음향기기
CN109391865B (zh) 便携式音响设备
KR102643055B1 (ko) 헤드셋 전자 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KR10175994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919801B1 (ko) 휴대용 음향기기
US10244305B2 (en) Portable sound device
KR2018002423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80125919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210036406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20934A (ko) 모기 퇴치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10258349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9052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JP2024502856A (ja) マイクモジュールを含む電子装置
KR20190014978A (ko) 회전모듈 및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22137A (ko) 휴대용 음향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