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299B1 - 헤드셋 - Google Patents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299B1
KR101570299B1 KR1020140117390A KR20140117390A KR101570299B1 KR 101570299 B1 KR101570299 B1 KR 101570299B1 KR 1020140117390 A KR1020140117390 A KR 1020140117390A KR 20140117390 A KR20140117390 A KR 20140117390A KR 101570299 B1 KR101570299 B1 KR 101570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ound output
guide
user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선
박명현
김재영
박형우
서상우
이건우
오세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299B1/ko
Priority to PCT/KR2014/010463 priority patent/WO2016035927A1/en
Priority to US14/553,551 priority patent/US934480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은, 사용자의 목에 걸어지는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음향 출력부; 및 상기 한 쌍의 음향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모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클립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음향 출력부 각각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을 감싸고, 가장자리에 제 1 스피커 홀이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핑 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연장는 가이드 슬리브;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내주면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걸림턱; 사용자의 귀를 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에 배치되는 고정 클립; 상기 고정 클립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고정 클립과 한 몸으로 움직여서, 상기 고정 클립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클립 버튼; 상기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리며, 상기 걸림턱을 벗어날 때 상기 클립 버튼을 밀어내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일 면에 밀착되며, 상기 스토퍼를 밀어주기 위한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셋{Head set}
본 발명은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셋이라 함은 사용자가 음악 등을 듣기 위하여 머리에 장착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말한다.
최근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한 무선 헤드셋이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헤드셋이 모자에 장착되어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출시되고 있는 모자 부착형 헤드셋의 경우, 헤드셋이 모자에 고정 장착되어 있어서 모자에서 분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헤드셋이 모자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기 때문에 모자를 세탁할 수 없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모자 전용 블루투스 헤드셋의 경우, 모자를 벗으면 음악을 들을 수 없어 스마트폰이나 뮤직 플레이어에 별도의 이어폰을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헤드셋이 모자와 결합되어 있어 헤드셋을 충전할 때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은,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음향 출력부; 및 상기 한 쌍의 음향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모자에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향 출력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클립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음향 출력부 각각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을 감싸고, 가장자리에 제 1 스피커 홀이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핑 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슬리브;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내주면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걸림턱; 사용자의 귀를 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에 배치되는 고정 클립; 상기 고정 클립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고정 클립과 한 몸으로 움직여서, 상기 고정 클립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클립 버튼; 상기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리며, 상기 걸림턱을 벗어날 때 상기 클립 버튼을 밀어내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일 면에 밀착되며, 상기 스토퍼를 밀어주기 위한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 버튼은, 제 2 스피커 홀이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내부가 빈 통 형상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단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몸통부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누름 돌기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몸통부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돌기는 상기 다수의 누름 돌기에 대응하는 지점들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가이드 돌기의 중심과 상기 누름 돌기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바닥면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턱과,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 리브들 사이에는 가이드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들은 상기 가이드 홈들에 끼워져서, 상기 클립 버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은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 리브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원주 방향으로 교번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리브의 단부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정의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가이드 리브의 경사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일면에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토퍼 바디 및 상기 스토퍼 바디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걸림 돌기들 각각은, 상기 누름 돌기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누름면을 형성하고, 상기 누름면은 상기 가이드 리브의 경사면 및 상기 걸림턱과 형합하는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누름 돌기에 의하여 밀려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스프링은 압축되며,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벗어난 지점에서 상기 클립 버튼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리브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 버튼은,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지점까지 후퇴하고,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지점에서, 상기 클립 버튼의 외주면과 상기 안착턱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클립 버튼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 버튼이 재차 눌러지면,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누름 돌기에 의하여 밀려서 상기 안착턱으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스프링은 압축되며,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가이드 리브를 벗어난 지점에서 상기 클립 버튼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리브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며, 상기 클립 버튼은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하여 밀려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턱에 닿을 때까지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클립 버튼의 외주면과 상기 안착턱과의 마찰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걸이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걸이부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제 2 스피커홀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세워지는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스피커홀이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는 제 2 위치로의 회동 또는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역방향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회전 각도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넥과, 상기 연결넥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는, 상기 연결 넥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부는, 내측 중심에 형성되는 센터 홀과, 상기 센터홀의 가장자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들 각각이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끼움 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끼움홀들은, 상기 센터 홀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들의 개수는 상기 다수의 끼움 홀들의 개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은, 상기 센터홀을 통하여 상기 걸이부 내부에 삽입되며, 양 단부가 상기 음향 출력부에 연결되는 신축 부재와, 상기 센터홀을 통하여 상기 걸이부 내부에 삽입되며, 단부가 상기 음향 출력부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들이 상기 다수의 끼움 홀들에 삽입되면, 상기 연결 넥의 단부는 상기 걸이부의 단부에 밀착되고, 상기 연결 넥의 단부가 상기 걸이부의 단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음향 출력부가 당겨지면, 상기 연성 기판과 상기 신축 부재가 소정 길이만큼 늘어나며,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들은 상기 다수의 끼움 홀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들이 상기 다수의 끼움 홀들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음향 출력부를 회전시킨 후, 상기 음향 출력부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들은, 분리 전에 삽입되었던 끼움홀에 인접하는 다른 끼움 홀에 삽입되고, 상기 연성 기판과 상기 신축 부재는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스피커 홀과 상기 제 2 스피커 홀의 음향 지향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스피커 홀과 상기 제 2 스피커 홀의 음향 지향 방향은 90도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은, 상기 음향 출력부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음향 출력부가 사용자의 모자에 장착되었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의 귀에 근접하게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가 사용자의 모자에 장착되거나, 사용자의 귀에 근접하게 위치하였음이 감지되면, 상기 스피커 모듈의 볼륨이 설정 레벨로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은, 상기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이 장착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 기판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중앙에 배치되는 파워 버튼과, 상기 파워 버튼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음향 조절 버튼 및 검색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조절 버튼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볼륨업 버튼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볼륨 다운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 버튼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포워드 검색 버튼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백워드 검색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은, 상기 음향 출력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음향 출력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상기 걸이부가 사용자의 목 뒤 또는 모자의 전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하나의 위치로 변경되는지 여부가 감지되며,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한 상기 음향 출력부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음향 조절 버튼들의 기능 및 상기 검색 버튼들의 기능이 각각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은, 상기 음향 출력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가 사용자의 모자에 장착되었음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가장 많이 듣는 라디오 주파수가 자동으로 선정되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가 사용자의 모자에 장착되었음이 감지되면, 모자 전용 사운드 이퀄라이저가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헤드셋이 모자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모자를 벗어도 종래의 헤드폰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므로 음악을 들을 수 있고, 언제든지 모자를 세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헤드셋의 음향 출력부가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착용 상태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귀 쪽으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어, 음향 지향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 및 상기 헤드셋과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무선 음향 시스템.
도 1a는 상기 무선 음향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을 목에 장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을 모자에 장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음향 출력부가 모자에 장착되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음향 출력부가 모자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이 동작 중일 때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핑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핑 모듈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0은 상기 클립핑 모듈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11은 음향 출력부가 모자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클립핑 모듈의 측단면도.
도 12는 음향 출력부가 모자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7은 클립 버튼을 이용하여 음향 출력부를 모자에 장착하는 과정 및 모자에 장착된 음향 출력부를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이 사용자의 목에 걸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착용도.
도 19는 상기 헤드셋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보습을 보여주는 착용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음향 출력부와 걸이부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1은 상기 음향 출력부 연결단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2는 상기 걸이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은 한 쌍의 음향 출력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도 20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24는 음향 출력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5는 음향 출력부가 회전한 상태에서 도 18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걸이부가 사용자의 목 뒤쪽에 위치한 상태로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7는 헤드셋의 걸이부가 사용자의 얼굴 앞쪽에 위치한 상태로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핑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착용 상태에 따른 볼륨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착용 상태에 따른 볼륨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착용 상태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 및 상기 헤드셋과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무선 음향 시스템도이고, 도 1a는 상기 무선 음향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음향 시스템은, 헤드셋(10)과, 상기 헤드셋(10)과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6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헤드셋(10)은, 사용자의 목 또는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60)에서 재생되는 음악 또는 라디오 방송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는 음향 장치이다. 상기 헤드셋(10)에는 별도의 라디오 수신 모듈이 내장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60)와는 독립적으로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0)은, 휘어짐이 가능한 걸이부(20)와, 상기 걸이부(20)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음향 출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음향 출력부(30)에는 메인 스피커 홀(361)과 서브 스피커홀(312)이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음향 출력부(30)는 상기 걸이부(2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헤드셋(10)과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60)는, 무선 통신부(610), 입력부(620), 감지부(140), 출력부(650), 인터페이스부(660), 메모리(670), 제어부(680) 및 전원 공급부(6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610)는, 이동 단말기(6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6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6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610)는, 이동 단말기(6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무선 통신부(610)는, 방송 수신 모듈(611), 이동통신 모듈(612), 무선 인터넷 모듈(613), 근거리 통신 모듈(614), 위치정보 모듈(6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6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6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6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6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6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부(6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6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651), 음향 출력부(652), 햅틱 모듈(653), 광 출력부(6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6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6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6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660)는 이동 단말기(6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6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USIM 카드(130)와 같은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6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670)는 이동 단말기(6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670)는 이동 단말기(6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6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6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6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6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6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6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6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80)는 상기 메모리(6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6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6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630)는 제어부(6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6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63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6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부(610)의 방송 수신 모듈(6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라디오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 단말기(6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6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6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67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6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6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6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6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6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6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6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6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6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6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60)와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6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6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0),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614)은, 이동 단말기(6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6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6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6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6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6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6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6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6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6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위치정보모듈(6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6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6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부(6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6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6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6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6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6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6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6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6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6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6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6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6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6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6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6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6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6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6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6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6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6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6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6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6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6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6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6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6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6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6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680)는 디스플레이부(6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6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6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6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6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6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상기 카메라(6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6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51)는 이동 단말기(6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6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6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652)는 이동 단말기(6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6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haptic module)(6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6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6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6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6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6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653)은 이동 단말기(6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출력부(654)는 이동 단말기(6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6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광출력부(6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660)는 이동 단말기(6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6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6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6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6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6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660)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660)는 이동 단말기(6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6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6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6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70)는 제어부(6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6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6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6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6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6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630)는 제어부(6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63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63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6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63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63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0)의 구성들은, 상기 이동 단말기(60)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기능 및 작동을 하는 구성 요소들일 수 있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0)은,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센싱부(204), 출력부(14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5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헤드셋(10)과 상기 이동 단말기(6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라디오 수신 모듈(111), 근거리 통신 모듈(112), 위치정보 모듈(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디오 수신 모듈(111)이 상기 헤드셋(1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헤드셋(10) 자체에서 라디오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아래 도 6에 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0)의 분해 사시도에는 상기 라디오 수신 모듈(111)이 직접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0)에는 상기 라디오 수신 모듈(111)이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한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블루투스 모듈(44)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60)에 구비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614)과 동일한 통신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정보 모듈(113)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60)에 구비되는 위치 정보 모듈(615)과 동일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위에서 설명한 각종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터치 방식의 버튼 또는 키, 푸쉬 키, 또는 진동식 버튼,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30)는 근접센서(131), 조도 센서(132),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들은 상기 이동 단말기(60)에 구비되는 센서들과 동일한 센서들일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0)는, 음향 출력부(141), 햅틱 모듈(142), 광 출력부(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향 출력부(141)는 상기 헤드셋(10)에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39 : 도 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상기 헤드셋(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상기 USB 포트(228)와 같은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USIM부(203)와 같은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헤드셋(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헤드셋(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상기 헤드셋(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상기 헤드셋(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헤드셋(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45, 도 6 참조)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부(110)의 라디오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라디오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상기 헤드셋(10)과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상기 헤드셋(10)과 상기 이동 단말기(6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3)은, 상기 헤드셋(1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60)에 구비된 위치정보 모듈(615)과 동일한 형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을 목에 장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을 모자에 장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헤드셋(10)을 목에 거는 형태로 착용할 경우, 상기 서브 스피커홀(312)이 사용자의 귀를 향하게 되어 음향 지향성이 확보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헤드셋(10)을 모자에 착용하는 경우, 상기 걸이부(20)가 모자의 전면에 둘러지도록 하면, 상기 서브 스피커홀(312)이 아래쪽을 향하게 되어 음향 지향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헤드셋(10)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음향 출력부가 모자에 장착되기 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음향 출력부가 모자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0)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목에 두르는 형태로 착용하거나 모자(M)에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헤드셋(10)의 음향 출력부(30)가 모자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경우 고정 클립(35)을 이용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M)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향 출력부(30)는 납작한 원형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세히, 상기 음향 출력부(30)는, 인너 프레임(31)과 아우터 프레임(32)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300)과, 상기 프레임(300) 내에 끼워지며, 인너 케이스(33)와 아우터 케이스(34)로 이루어지는 케이스(304)와, 상기 인너 케이스(33)의 외측 면에 배치되는 고정 클립(35)과, 상기 인너 케이스(33)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 클립(35)과 한 몸으로 움직이는 클립 버튼(36)과, 상기 클립 버튼(36)에 의하여 회전 및 이동하는 스토퍼(37)와, 상기 스토퍼(37)의 외측면에 놓이는 스프링(38)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34)에 안착되는 메인 회로 기판(40)과, 상기 메인 회로 기판(40)에 안착되는 스피커 모듈(39) 및 블루투스 모듈(44)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3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41)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와 메인 회로 기판(40)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45)와,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장착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43)과 배터리(45)가 좌측 음향 출력부(30)에 배치되고, 블루투스 모듈(44)이 우측 음향 출력부(30)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들 부품의 배치는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함을 밝혀 둔다. 즉, 상기 부품들은 설계 구조에 따라서 좌측의 음향 출력부(30)와 우측의 음향 출력부(30)에 적절하게 나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부품들이 어느 쪽 음향 출력부(30)에 구비되는 지에 관계없이 상기 부품들이 음향 출력부(3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인너 프레임(31)과 아우터 프레임(32)의 내측에는 장착홀(311,321)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311,321)에 상기 케이스(304)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인너 프레임(31)의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서브 스피커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셋(10)을 장착하면, 음향이 사용자의 귀쪽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서브 스피커홀(312)은 상기 인너 프레임(31)의 테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34)의 내측에도 관통홀(34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41) 부분에 상기 메인 회로 기판(4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1)가 상기 아우터 프레임(32)에 결합되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32)의 장착홀(321)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34)의 관통홀(341)이 차폐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외측 면에는 버튼부(42)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42)는, 파워 버튼(421), 볼륨업 버튼(422), 볼륨 다운 버튼(423), 포워드 검색 버튼(424) 및 백워드 검색 버튼(4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버튼(421)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고, 그외 버튼들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버튼들의 배치 구조는 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배치 구조가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상세히, 상기 버튼부(42)는 반드시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전형적인 버튼 구조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부(42)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외측 면에 인쇄된 도형 또는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42)는 정전 용량 변화를 이용한 터치 버튼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두드리는 것을 감지하여 명령을 입력받는 진동 감지 버튼일 수도 있다.
상기 메인 회로 기판(40)의 외측 면에는 누름 단자들(401)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 단자들(401)은 돔(dom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버튼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42)를 누르면 상기 누름 단자들(401)이 눌러져서 해당 버튼이 가지는 명령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신호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44)을 통하여 상기 헤드셋(10)과 페어링된 상기 이동 단말기(60)의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회로 기판(40)의 내측 면에는 상기 스피커 모듈(39)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44) 및 상기 센서 모듈(43)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서 모듈(43)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적외선 센서(431) 및 상기 적외선 센서(4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센서 윈도우(4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 모듈(39)은 각각의 음향 출력부(30)마다 한 개씩 장착되어 상기 메인 스피커홀(361)과 서브 스피커홀(312)로 음향이 출력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스피커 모듈(39)은 메인 스피커 모듈과 서브 스피커 모듈로 정의되는 한 쌍의 스피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스피커 모듈은 상기 메인 스피커 홀(361)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서브 스피커 모듈은 상기 서브 스피커홀(312)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상기 헤드셋(10)을 어떤 형태로 착용하였는지에 따라서 상기 메인 스피커 모듈과 서브 스피커 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서 모듈(4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너 프레임(31)과 아우터 프레임(32)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센서 모듈(43)은 센서 기판(433)에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기판(433)은 상기 메인 기판(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43)은,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에 장착되었는지, 사용자의 귀를 덮고 있는지, 또는 사용자의 목에 둘러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43)은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클립 버튼(36)과, 상기 인너 케이스(33), 상기 스토퍼(37) 및 스프링(38)은 클립핑 모듈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클립(35)이 상기 인너 케이스(33)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고정 클립(35)과 상기 인너 케이스(33) 사이에 상기 모자(M)의 하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클립 버튼(36)을 누르면 상기 고정 클립(35)이 상기 인너 케이스(33)에 밀착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 클립(35)과 상기 인너 케이스(33)가 상기 모자(M)에 말착되어,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M)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 버튼(36)을 한번 더 누르면, 상기 고정 클립(35)이 상기 인너 케이스(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M)로부터 분리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42)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휠키(wheel-key)(420)가 제공되고, 상기 휠키(420)의 회전 조작을 통하여 볼륨 조절, 음악 검색 및 라디오 채널 검색을 할 수 있는 휠키 방식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휠키(42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외측 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41) 자체가 휠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휠키(420)의 외측면에 각종 조절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휠키(420)의 중앙부에는 전원 버튼(421)이 구비되고, 반경 방향 상측 가장자리에는 볼륨 버튼(428)이 형성되며, 반경 방향 하측 가장자리에는 검색 버튼(42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휠키(420)의 반경 방향 좌측 가장자리에는 볼륨업 표시부 및 포워드 검색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 1 표시부(426)가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휠키(420)의 반경 방향 우측 가장자리에는 볼륨다운 표시부 및 백워드 검색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 2 표시부(427)가 인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버튼(421)은 상기 헤드셋(1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기능에 더하여, 음악 재생 모드와 라디오 청취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셋(1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한 번 누르면 전원 온과 동시에, 음악 재생 모드와 라디오 청취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온되도록 하고, 재차 누르면 상기 음악 재생 모드와 라디오 청취 모드 중 다른 하나가 온되도록 하며, 설정 시간 동안 누른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헤드셋(1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헤드셋(1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한 번 누르면, 전원 온과 동시에 상기 음악 재생 모드와 라디오 재생 모드 중에서 상기 헤드셋(10)의 전원 오프 전에 실행되던 모드가 다시 온되고, 재차 누르면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며, 설정 시간 동안 누른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헤드셋(1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전원 버튼(421)의 조작 기능은 상기 도 6에서 제시되는 전원 버튼(42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음악 재생 모드에서 상기 볼륨 버튼(428)을 누른 다음 상기 휠키(42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재생되는 음악의 볼륨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음악 재생 모드에서 상기 검색 버튼(429)을 누른 다음 상기 휠키(42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곡 검색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휠키(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전 곡 순서로 곡 검색이 이루어지거나 다음 곡 순서로 곡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버튼(421)의 조작에 의하여 라디오 청취 모드가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검색 버튼(429)을 누른 다음 상기 휠키(420)를 회전시키면 라디오 채널 또는 라디오 주파수 검색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볼륨 버튼(428)을 누른 다음 상기 휠키(420)를 회전시키면 볼륨 업 또는 볼륨 다운이 이루어지는 것은 상기 음악 재생 모드에서와 동일하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이 동작 중일 때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0)이 온되어 음악이 재생되거나 라디오 방송이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60)의 디스플레이부(651)에 상기 헤드셋(10)의 동작 상태가 표시된다.
상세히, 상기 이동 단말기(60)의 디스플레이부(651)는 음악 재생 표시 영역(601)과 라디오 방송 표시 영역(60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악 재생 표시 영역과 라디오 방송 표시 영역(602)은 상기 디스프레이부(651)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651)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651) 전체 화면에 현재 동작 중인 표시 영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가 상기 헤드셋(10)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60)에 저장된 음악 또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는 음악 제공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음악을 청취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65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음악 재생 표시 영역(601)이 상기 디스플레이부(651) 전체에 표시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셋(10)이 온되어 작동 중인 상태 뿐만 아니라 오프되어 작동 정지 상태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부(651)에 상기 음악 재생 표시 영역(601)과 라디오 방송 표시 영역(602)이 구획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헤드셋(10)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동작 정지 직전의 재생 상태 또는 방송 수신 상태에 대한 정보가 상기 표시 영역들(601,602)에 각각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영역들(601,602)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터치하면,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모드가 속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음악 재생 표시 영역(601)을 터치하면, 정지 전에 재생되다가 중지된 음악이 이어서 재생되되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라디오 방송 표시 영역(602)을 터치하면, 정지 전에 청취하였던 라디오 채널이 온되어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핑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클립핑 모듈은, 고정 클립(35)과, 클립 버튼(36)과, 인너 케이스(33)와, 스토퍼(37)와 스프링(38)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핑 모듈은 상기 인너 케이스(33)와 아우터 케이스(34)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38)은 상기 메인 기판(40)의 내측 면에 안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스(304)의 내주면에서 상기 케이스(304)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지지판이 연장되고, 상기 지지판에 상기 스프링(38)이 안착되도록 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그러면, 상기 클립 버튼(36)을 누르는 힘에 의하여 상기 메인 회로 기판(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 클립(35)은 상기 클립 버튼(36)과 한몸으로 이루어져서 함께 움직인다. 그리고, 상기 클립 버튼(36)은, 상기 메인 스피커 홀(361)이 형성되는 헤드부(362)와, 상기 헤드부(362)에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버튼 바디(363)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 바디(363)의 단부에는 다수의 누름 돌기(365)가 쐐기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버튼 바디(363)의 원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 바디(363)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364)가 돌출되며, 상기 누름 돌기(365)가 형성되는 부위마다 한 개씩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364)의 중심과 상기 누름 돌기(365)의 첨단부는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 바디(363)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고, 단부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버튼 바디(363)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인너 케이스(33)는, 상기 고정 클립(35)이 밀착되는 바닥부(331)와, 상기 바닥부(33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측벽부(332) 및 상기 바닥부(331)에서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슬리브(333)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332)는 상기 바닥부(33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333)에는 상기 클립 버튼(36)의 버튼 바디(363)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리브(333)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리브(334)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33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가이드 리브들(334) 사이에는 가이드 홈(33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336)에 상기 클립 버튼(36)의 가이드 돌기(364)가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클립 버튼(36)을 누르면 상기 가이드 돌기(364)가 상기 가이드 홈(336)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334)의 단부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들(336) 중 일부분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334)의 돌출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돌출되는 걸림턱(337)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337)과 상기 가이드 홈(336)은 서로 교번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337)의 단부도 상기 가이드 리브(334)의 경사면(335)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리브(334)의 단부와 상기 걸림턱(337)의 단부는 동일 선상에 놓이다.
한편, 상기 스토퍼(37)는 베이스(372)와, 상기 베이스(372)의 일측 면에서 연장되는 스토퍼 바디(371)와, 상기 스토퍼 바디(371)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걸림 돌기(373)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바디(37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373)는 상기 스토퍼 바디(37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373)의 단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토퍼 바디(371)의 길이 방향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누름면(374)을 형성한다. 상기 누름면(374)에 상기 클립 버튼(36)의 누름 돌기(365)가 선택적으로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8)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372) 타측 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토퍼(37)의 이동에 따라 수축 또는 신장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클립핑 모듈의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핑 모듈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상기 클립핑 모듈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클립 버튼(36)의 헤드부(362)를 누르면, 상기 가이드 돌기(364)는 상기 가이드 홈(336)을 따라 상기 스토퍼(37)를 밀면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37)의 걸림 돌기(373)도 상기 가이드 홈(336)에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걸림 돌기(373)가 상기 누름 돌기(365)에 접촉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누름 돌기(365)는 상기 걸림 돌기(373)의 누름면(374)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스토퍼(37)를 밀고, 그에 따라 상기 스프링(38)이 압축된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373)가 상기 가이드 홈(336)을 벗어나는 순간 회전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누름면(374)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 돌기(373)가 상기 가이드 홈(336)을 벗어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누름 돌기(365)에 상기 누름면(374)이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373)는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리브(334)의 경사면(335)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337)의 단부에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 버튼(36)도 함께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클립 버튼(36)을 한번 더 눌렀다 떼면,상기 스토퍼(37)의 걸림 돌기(373)가 상기 스프링(38)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리브(334)의 단부를 벗어남과 동시에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334)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상기 가이드 홈(336)의 단부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클립 버튼(36)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37)는 상기 가이드 홈(33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클립 버튼(36)을 밀어낸다. 그러면, 상기 고정 클립(35)이 상기 인너 케이스(33)의 바닥부(3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M)로부터 분리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클립핑 모듈의 작동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음향 출력부가 모자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클립핑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M)의 측면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클립 버튼(36)의 헤드부(362)가 상기 인너 케이스(33)의 바닥부(331)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 버튼(36)과 한 몸으로 이동하는 상기 고정 클립(35)도 상기 바닥부(331)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다.
상세히, 상기 인너 케이스(33)의 바닥부(331)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333)의 바닥부 내주면에는 안착턱(338)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턱(338)의 내측에는 상기 클립 버튼(36)의 몸통부(363)가 삽입되는 버튼홀(339:도 13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홀(339)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33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 버튼(36)의 몸통부(363)가 상기 버튼홀(339)로부터 빠지되, 상기 가이드 돌기(364)가 상기 안착턱(338)에 걸려서 완전히 빠지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M)에 결합되지 않은 기본 상태(default state)에서는, 상기 클립 버튼(36)의 가이드 돌기(364)가 상기 안착턱(338)에 걸려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37)는 상기 스프링(38)이 탄성력에 의하여 밀려서, 상기 몸통부(363)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상세히, 상기 기본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37)의 걸림 돌기(373)가 상기 누름 돌기(365)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걸림 돌기(373)의 누름면(374)에 상기 클립 버튼(36)의 누름 돌기(365)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2는 음향 출력부가 모자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부(30)를 모자(M)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모자의 측면부가 상기 고정 클립(35)과 상기 인너 케이스(33)의 바닥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클립 버튼(36)을 눌러서 상기 고정 클립(35)이 상기 모자(M)의 측면부를 가압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37)의 걸림 돌기(373)가 상기 걸림턱(337)에 걸려서 고정되고, 상기 클립 버튼(36)의 누름 돌기(365)가 상기 걸림 돌기(373)와 접촉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클립 버튼(36)의 몸통부(363) 외주면과 상기 안착턱(338)의 내주면 간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상기 클립 버튼(36)이 빠지지 않는다. 이러한 마찰력은, 상기 고정 클립(35)이 상기 모자(M)의 측면부를 누를 때 발생하는 반력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상기 클립 버튼(36)이 설계된다.
여기서, 상기 몸통부(363)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338)도 상기 몸통부(363)와 동일한 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면접촉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3 내지 도 17은 클립 버튼을 이용하여 음향 출력부를 모자에 장착하는 과정 및 모자에 장착된 음향 출력부를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 즉 도 11의 상태에서는, 상기 클립 버튼(36)의 가이드 돌기(364)가 상기 가이드 슬리브(333)의 안착턱(38)에 걸려 있고, 상기 스토퍼(37)의 걸림 돌기(373)는 상기 누름 돌기(365)에 접촉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의 상태에서 모자의 측면부를 상기 고정 클립(35)과 상기 인너 케이스(33)의 바닥부(331) 사이에 끼우고, 상기 클립 버튼(36)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고정 클립(35)이 상기 클립 버튼(36)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모자(M)의 내측 면에 가까워진다.
상세히, 상기 클립 버튼(36)이 가압되면, 상기 가이드 돌기(364)가 상기 가이드 홈(336)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누름 돌기(364)는 상기 스토퍼(37)의 걸림 돌기(373)를 밀어낸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373)의 뾰족한 단부가 상기 걸림턱(337)의 낮은 단부와 동일선(L1) 상에 위치하기 전까지는, 상기 클립 버튼(36)의 외주면과 상기 안착턱(338)의 단부가 접촉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373)의 뾰족한 단부와 상기 걸림턱(337)의 낮은 단부가 동일선(L1) 상에 위치하면, 상기 클립 버튼(36)의 외주면과 상기 안착턱(338)의 단부가 면접촉하여 소정 크기의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클립(35)이 상기 모자(M)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고, 이때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상기 모자로부터 상기 고정 클립(35) 쪽으로 작용하는 반발력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 클립(35)과 상기 인너 케이스(33)의 바닥부(331)가 상기 모자(M)를 잡고 있기 때문에,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상기 모자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의 상태에서 상기 클립 버튼(36)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클립 버튼(36)이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기 때문에, 음향 출력부(30)가 모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 돌기(373)의 뾰족한 단부가 상기 가이드 리브(334)의 높은 단면을 벗어나는 지점까지 상기 클립 버튼(36)을 눌러서 더 이동시킨다. 즉, 상기 누름 돌기(365)의 단부가 도면에 표시된 선(L2)까지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클립 버튼(36)의 몸통부(363) 외주면과 상기 안착턱(338)의 단부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더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된 마찰력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클립 버튼(36)을 누를 수 없는 정도의 크기보다는 훨씬 작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누름 돌기(365)의 단부가 L1에서 L2까지의 거리(D)만큼 더 이동하게 되고, 상기 거리(D)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33)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당히 짧은 거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373)는 상기 가이드 홈(336)을 벗어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38)의 복원력(f)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프링(38)의 복원력(f)이 상기 걸림 돌기(373)에 작용하면, 상기 누름 돌기(365)가 상기 상기 걸림 돌기(374)의 누름면(374)을 타고 일 방향(지면 아래쪽)으로 회전하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클립 버튼(36)은 사용자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걸림 돌기(373)가 타 방향(지면 위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걸림 돌기(373)의 누름면(374)은 상기 가이드 리브(334)의 경사면(335)에 안착되고, 상기 경사면(335)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클립 버튼(36)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한다. 사용자가 상기 클립 버튼(36)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는 동작과 상기 걸림 돌기(373)가 경사면(335)을 따라 회전하는 동작은 거의 동시에 일어난다.
한편, 상기 걸림 돌기(373)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 돌기(373)는 상기 걸림 돌기(373)를 밀었던 누름 돌기(365)와 인접하는 누름 돌기(365')의 경사진 측면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클립 버튼(36)을 누르는 사용자의 힘은 제거된 상태이고, 단지 상기 클립 버튼(36) 몸통부(363)와 안착턱(338)간에 발생하는 마찰력만이 상기 클립 버튼(36)에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8)의 복원력은 충분히 커서, 상기 클립 버튼(36)의 몸통부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걸림 돌기(373)가 상기 인접하는 다른 누름 돌기(365')의 측면부를 가압하면, 상기 클립 버튼(36)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333)로부터 빠지는 방향(도면상에서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클립 버튼(36)의 가이드 돌기(364)가 상기 가이드 홈(336)에 수용되어 있어서 상기 클립 버튼(36)은 직선 운동만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걸림 돌기(373)가 상기 인접하는 누름 돌기(365')의 경사진 측면부를 밀면, 상기 클립 버튼(36)은 도면 상에서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 버튼(36)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333)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걸림 돌기(373)가 상기 걸림턱(337)에 완전히 안착된다. 다시 말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373)의 뾰족한 단부가 L1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턱(337)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373)가 상기 걸림턱(337)에 안착되면, 상기 걸림 돌기(373)가 상기 누름 돌기(365')를 더 이상 밀어낼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클립 버튼(36)도 몸통부(363)와 안착턱(338) 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의 마찰력은 도 14에서 말하는 마찰력과 동일한 크기의 마찰력이라 하겠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부(30)를 상기 모자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클립 버튼(36)을 재차 누른다. 그러면, 상기 누름 돌기(365)가 상기 걸림 돌기(373)를 밀어 내고, 상기 걸림 돌기(373)의 뾰족한 단부가 상기 가이드 리브(334)의 경사면(335)까지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누름 돌기(365)의 단부가 L2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걸림 돌기(373)는 상기 가이드 홈(336)을 벗어난 상태이고, 상기 스프링(38)의 복원력이 상기 스토퍼(37)의 베이스(372)에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세히, 상기 걸림 돌기(373)의 누름면(374)이 경사지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373)는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턱(337)과 인접하는 가이드 리브(334)의 경사면(335)을 타고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돌기(373)가 상기 가이드 리브(334)의 측방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홈(336)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일동하면서 상기 가이드 홈(336)에 수용된 상기 가이드 돌기(364)를 밀어낸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37)와 상기 클립 버튼(36)이 한 몸으로 이동하여 상기 클립 버튼(36)이 상기 가이드 슬리브(333)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37)를 미는 상기 스프링(38)의 복원력은, 상기 클립 버튼(36)의 몸통부(363)와 상기 안착턱(338)간의 마찰력보가 크다. 따라서, 상기 클립 버튼(36)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333)로부터 빠지고, 상기 고정 클립(35)이 상기 인너 케이스(33)의 바닥부(331)로부터 이탈한다. 그러면,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상기 모자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이 사용자의 목에 걸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착용도이고, 도 19는 상기 헤드셋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된 보습을 보여주는 착용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헤드셋(10)을 목에 건 상태에서 상기 음향 출력부(30)를 회전시켜, 상기 메인 스피커 홀(361)이 사용자의 귀 쪽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음향 지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귀에 닿지 않더라도 음향을 효과적으로 들을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헤드셋 착용 방식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헤드셋(10)을 착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부(20)가 머리 뒤쪽으로 가도록 하고,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사용자의 귀에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메인 스피커 홀(361)에서 나오는 음향을 직접 들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외선 센서(431)가 이를 감지하여 음향의 볼륨이 자동으로 낮아지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상기 걸이부(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구조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상기 도 2와 도 18에서 각각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스피커홀(361)과 서브 스피커 홀(312)의 음향 지향 방향은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상기 스피커 홀들(361,312)의 음향 지향 방향이 90도로 교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음향 출력부와 걸이부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1은 상기 음향 출력부 연결단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2는 상기 걸이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을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30)의 단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걸이부(20)에 연결되는 단부에는 연결넥(connecting neck)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인너 프레임(31)과 아우터 프레임(32)의 단부에는 인너 넥(313)과 아우터 넥(3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인너 넥(313)과 아우터 넥(322)이 결합하여 하나의 완전한 연결넥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인너넥(313)과 아우터 넥(322)의 단부에는 내측 끼움 돌기(314)와 외측 끼움 돌기(323)가 각각 돌출되고, 상기 끼움돌기들은 상기 연결넥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넥의 중앙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이부(20)의 내측 중앙에는 센터홀(204)과, 상기 센터홀(204)의 가장자리에서 반경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센터홀(204)에는 연성 기판(21)과, 고무줄과 같은 소재의 신축 부재(22)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끼움홈은, 제 1 끼움홈(201), 제 2 끼움홈(202) 및 제 3 끼움홈(20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홈들의 개수는 상기 끼움 돌기들의 개수보다 한개 더 많은 개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끼움홈은 상기 끼움 돌기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내측 끼움돌기(314)와 외측 끼움 돌기(323)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끼움홈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끼움홈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상기 걸이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성 기판(21)은 상기 음향 출력부(30) 내부에 장착된 상기 메인 회로 기판(4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신축 부재(22)의 단부는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내측에 고정된다.
도 23은 한 쌍의 음향 출력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도 20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로서, 상기 인너넥(314)이 상기 제 3 끼움홈(203)에 끼워지고, 상기 아우터 넥(323)이 상기 제 2 끼움홈(202)에 끼워져 있다.
도 24는 음향 출력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5는 음향 출력부가 회전한 상태에서 도 18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 출력부(30)는 인접하는 홈들간의 간격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90도 회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음향 출력부(30)를 회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음향 출력부(30)를 잡아당겨서 상기 끼움 돌기들이 상기 끼움홈들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음향 출력부(30)를 90도 회전시킨 다음 상기 끼움 돌기들이 상기 끼움홈들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신축 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30)를 잡고 있던 손을 놓으면 상기 끼움 돌기들이 상기 끼움홈들에 각각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제 3 끼움홈(203)에 끼워졌던 상기 내측 끼움 돌기(314)는 상기 제 2 끼움홈(202)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끼움홈(202)에 끼워졌던 상기 외측 끼움 돌기(323)는 상기 제 1 끼움홈(201)에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음향 출력부(30)는 원래 상태에서 90도 회전한 상태로 상기 걸이부(20)에 고정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걸이부가 사용자의 목 뒤쪽에 위치한 상태로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7는 헤드셋의 걸이부가 사용자의 얼굴 앞쪽에 위치한 상태로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음향 출력부(30)가 귀에 직접 닿지 않도록 헤드셋(10)을 목에 걸어서 착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외측 면에는 버튼부(40)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버튼부(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워 버튼(421), 볼륨 업 버튼(422), 볼륨 다운 버튼(423), 포워드 검색 버튼(424), 백워드 검색 버튼(4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륨 업 버튼(422)은 볼륨을 높이는 데 사용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의 인식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볼륨 다운 버튼(423)은 상기 볼륨 업 버튼(422)의 반대 쪽에 해당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포워드 검색 버튼(424)과 백워드 검색 버튼(425)은 라디오 주파수 또는 재생 곡을 전방으로 넘기면서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으로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전방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반대로, 상기 백워드 검색 버튼(424)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41)의 후방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버튼들의 위치, 즉 전후 또는 상하 방향은 상기 헤드셋(10)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설정되었음을 밝혀둔다.
한편, 사용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셋(10)의 음향 출력부(30)를 모자(M)의 하단에 연결하고, 상기 걸이부(20)가 모자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착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튼부(42)를 구성하는 버튼들의 위치는 180도 전환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각 버튼들을 잘못 조작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보이는 바와 같이 헤드셋(10)을 착용한 상태에서, 볼륨 업 버튼(422)은 하측에 위치하고, 볼륨 다운 버튼(4230 버튼은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포워드 검색 버튼(424)은 후측에 위치하고, 백워드 검색 버튼(425)은 전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볼륨업 버튼(422)을 누르기 위해서 무의식적으로 상측에 있는 버튼을 누를 수 있고, 포워드 검색 버튼(424)을 누르기 위해서 전측에 있는 버튼을 누를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의도한 명령과 정반대의 명령이 입력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음향 출력부(30) 내부에 자이로 센서가 장착되어, 헤드셋(10)의 착용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사용자를 기준으로 버튼 조작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자이로 센서에서, 상기 음향 출력부의 상태, 즉 정상 상태 또는 180도 회전하여 위치가 바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버튼들의 기능이 전환되도록 제어 프로그램을 반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음향 출력부의 버튼부가 180도 전환되더라도, 상측으로 위치 전환된 상기 볼륨 다운 버튼(423)이 볼륨업 버튼 기능을 하도록 하고, 후측으로 위치 전환된 상기 포워드 검색 버튼(424)이 백워드 검색 버튼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헤드셋의 착용 상태에 관계없이 자신의 인식 상태에 따라 버튼부(42)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명령 오입력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즉, 상기 자이로 센서가 상기 버튼부(42)의 기능을 전환시켜주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핑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핑 모듈은, 고정 클립(50)이 음향 출력부(3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 클립(50)과 상기 음향 출력부(30)에는 접촉 단자(51,308)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핑 모듈이 집게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고정 클립(50)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게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 가장자리에는 파지부(52)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향 출력부(38)의 일측 가장자리에도 파지부(309)가 연장되고, 상기 파지부들(52,309)이 형성되는 부위가 힌지(53)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53)에는 토션 스프링(54)과 같은 탄성 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고정 클립(50)이 항상 상기 음향 출력부(3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52,309)를 손으로 잡고 누르면 상기 힌지(53)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 클립(50)이 회전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30)로부터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52,309)에서 손을 떼면, 상기 토션 스프링(54)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 클립(50)은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클립(50)과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접촉 단자들(51,308)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힌지(53)의 반대 쪽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 클립(50)의 단부에는 상기 접촉 단자(5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접촉 단자(51)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가장자리에도 접촉 단자(30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파지부(52,309)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 단자들(51,308)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음향 출력부(30)를 모자(M)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파지부(52,309)를 손으로 잡고 상기 고정 클립(50)을 벌려서 상기 모자(M)의 하단부가 상기 고정 클립(50)과 음향 출력부(3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 단자들(51,308)이 서로 떨어진 상태가 되며, 상기 접촉 단자들이 분리되면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에 장착되었다고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인식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에서는 음향의 볼륨이 자동으로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에 장착되면 스피커 홀이 사용자의 귀에 가까이 근접하기 때문에, 목에 두른 상태에서의 볼륨이 그대로 유지되면 사용자의 고막에 손상이 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전 실시예에 따른 클립핑 모듈에서도, 음향 출력부(30)가 모자에 장착되었음을 감지하면 볼륨이 자동으로 작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 기능은 상기 센서 모듈(43)에서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클립핑 모듈은 어느 일측의 음향 출력부(30)에만 구비되는 것을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좌측 및 우측 음향 출력부(30)에 모두 구비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착용 상태에 따른 볼륨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0)이 사용자에 의하여 턴온되면(S21), 상기 음향 출력부(30) 내에 구비된 센서 모듈(43), 즉 근접 센서가 동작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어떤 상태로 놓이는지를 감지한다(S22).
상세히,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클립핑 모듈에 의하여 모자에 장착되었는지,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어 있는지, 또는 상기 헤드셋(10)이 사용자의 목에 둘러져서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사용자의 앞가슴 쪽에 놓여서 위를 바라보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가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다.
여기서,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사용자의 앞가슴 쪽에 놓인 경우를 넥밴드 모드라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에 장착되거나 사용자의 귀에 밀착된 경우를 헤드셋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헤드셋 모드인지 여부가 판단되고(S23),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헤드셋 모드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 모듈(39)의 볼륨 레벨이 제 1 설정 볼륨으로 조정된다(S24). 반대로,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넥밴드 모드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 모듈(39)의 볼륨 레벨이 제 2 설정 볼륨으로 조정된다(S25). 상기 제 2 설정 볼륨은 상기 제 1 설정 볼륨보다 높은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넥밴드 모드에서는 상기 스피커 모듈(39)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사용자의 귀에 선명하게 들릴 수 있고, 헤드셋 모드에서는 음향이 상대적으로 작게 출력되어 사용자의 고막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악을 듣는 도중에 헤드셋이 턴오프되면(S26), 상기 제어 과정은 종료되고, 턴오프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근접 센서는 계속해서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착용 상태에 따른 볼륨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셋(30)의 착용 상태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부(3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세기를 볼륨 제어를 통하여 조절할 수도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최대 출력을 제어하여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헤드셋(10)이 온되면(S31),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착용 상태를 감지하고(S32 ~ S33), 착용 상태는 헤드셋 모드와 넥밴드 모드로 정의되는 것은 상기 도 30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볼륨 레벨이 아니라 최대 출력 레벨이 다르게 제어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착용 상태가 헤드셋 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 모듈(39)의 최대 출력이 제 1 설정 출력으로 조정되고, 넥밴드 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상기 스피커 모듈(39)의 최대 출력이 제 2 설정 출력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설정 출력은 상기 제 1 설정 출력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헤드셋 모드에서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최대 출력이 넥밴드 모드에서 상기 음향 출력부(30)의 최대 출력보다 낮게 설정됨으로써, 사용자가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는 볼륨의 레벨이 제한되어 사용자의 고막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헤드셋 모드에서 사용자가 최대한으로 볼륨을 높이더라도 사용자의 고막에 손상을 주는 레벨보다 낮은 레벨로 제한되도록 스피커 모듈(39)의 출력을 제한한다.
볼륨 레벨을 조절하는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헤드셋(10)을 사용자의 귀에 가까이에 위치시키는 헤드셋 모드로 착용할 경우, 사용자가 편안하게 음향을 청취할 수 있는 적정 수준의 볼륨 레벨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헤드셋 모드에서 최대한으로 올릴 수 있는 볼륨 레벨이 제한되도록 스피커 출력이 제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셋(10)의 착용 모드에 관계없이 동일 수준의 볼륨이 기본 값으로 고정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셋(10)을 착용한 후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볼륨 조절이 이루어질 때 볼륨 업 레벨이 제한되도록 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착용 상태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근접 센서가 감지하는 헤드셋의 착용 모드에 따라 스피커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셋(10)의 음향 출력부들(30) 각각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스피커 모듈이 장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제어 방법은 하나의 음향 출력부(30) 내부에 다수의 스피커가 장착되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스피커홀(361)과 서브 스피커홀(312)의 후측에 각각 메인 스피커와 서브 스피커가 별도로 장착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헤드셋(10)이 턴온되면(S41), 상기 근접 센서에서 헤드셋의 착용 모드를 감지하여 판단한다(S42 ~ S43). 그리고, 감지된 착용 모드가 헤드셋 모드라고 판단되면, 메인 스피커만 온되도록 할 수 있다(S43).
반면, 상기 헤드셋(10)이 헤드셋 모드가 아니라 넥밴드 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세워진 상태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45). 여기서,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세워진 상태인지, 또는 상기 메인 스피커홀(365)이 위를 향하는 뉘어진 상태인지 여부는, 상기 음향 출력부(30)에 내장되는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결과가,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세워진 상태라면 상기 서브 스피커만 온되도록 할 수 있다(S46). 반면,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뉘어진 상태라면 상기 메인 스피커만 단독으로 온되도록 하거나, 또는 메인 스피커와 서브 스피커가 모두 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S47).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뉘어진 상태에서 온되는 스피커의 개수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용 모드에 따라 온된 스피커로 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상황에서, 헤드셋(10)이 오프되면 상기 제어 방법은 종료되고, 오프되기 전까지는 상기 근접 센서에서는 계속해서 상기 헤드셋(10)의 착용 모드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스피커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0)은 아래와 같은 추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첫째,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에 장착되었음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가장 많이 듣는 라디오 주파수가 자동으로 선정되어 자동으로 해당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이 턴온되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음향 출력부(30)가 모자에 장착되었음이 감지되면, 모자 전용 사운드 이퀄라이저가 세팅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야외에서 모자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야외 활동 상황으로 가정하여 베이스 음을 높여주는 이퀄라이저 세팅이 가능하다.
셋째, 상기 헤드셋(10)의 걸이부(20)에도 다수의 스피커 모듈이 내장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체 음향, 예컨대 5.1채널 음향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된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헤드셋과 무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조작을 통하여 실행 가능하다.

Claims (34)

  1. 걸이부;
    상기 걸이부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음향 출력부; 및
    상기 한 쌍의 음향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모자에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향 출력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클립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음향 출력부 각각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을 감싸고, 가장자리에 제 1 스피커 홀이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핑 모듈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슬리브;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내주면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걸림턱;
    사용자의 귀를 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에 배치되는 고정 클립;
    상기 고정 클립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슬리브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고정 클립과 한 몸으로 움직여서, 상기 고정 클립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클립 버튼;
    상기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리며, 상기 걸림턱을 벗어날 때 상기 클립 버튼을 밀어내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일 면에 밀착되며, 상기 스토퍼를 밀어주기 위한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버튼은,
    제 2 스피커 홀이 형성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내부가 빈 통 형상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단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몸통부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누름 돌기와,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몸통부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헤드셋.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 돌기는 상기 다수의 누름 돌기에 대응하는 지점들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가이드 돌기의 중심과 상기 누름 돌기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는,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바닥면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턱과,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헤드셋.
  5. 제 4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 리브들 사이에는 가이드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들은 상기 가이드 홈들에 끼워져서, 상기 클립 버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인접하는 상기 가이드 리브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원주 방향으로 교번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의 단부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정의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가이드 리브의 경사면과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면에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토퍼 바디 및
    상기 스토퍼 바디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헤드셋.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걸림 돌기들 각각은, 상기 누름 돌기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누름면을 형성하고,
    상기 누름면은 상기 가이드 리브의 경사면 및 상기 걸림턱과 형합하는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누름 돌기에 의하여 밀려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스프링은 압축되며,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을 벗어난 지점에서 상기 클립 버튼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리브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버튼은,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지점까지 후퇴하고,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지점에서, 상기 클립 버튼의 외주면과 상기 안착턱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클립 버튼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버튼이 재차 눌러지면,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누름 돌기에 의하여 밀려서 상기 안착턱으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스프링은 압축되며,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가이드 리브를 벗어난 지점에서 상기 클립 버튼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리브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며,
    상기 클립 버튼은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하여 밀려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안착턱에 닿을 때까지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클립 버튼의 외주면과 상기 안착턱과의 마찰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걸이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걸이부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제 2 스피커홀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세워지는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스피커홀이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는 제 2 위치로의 회동 또는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역방향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을 위한 회전 각도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넥과,
    상기 연결넥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는, 상기 연결 넥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내측 중심에 형성되는 센터 홀과,
    상기 센터홀의 가장자리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들 각각이 삽입되기 위한 다수의 끼움 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끼움홀들은, 상기 센터 홀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들의 개수는 상기 다수의 끼움 홀들의 개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홀을 통하여 상기 걸이부 내부에 삽입되며, 양 단부가 상기 음향 출력부에 연결되는 신축 부재와,
    상기 센터홀을 통하여 상기 걸이부 내부에 삽입되며, 단부가 상기 음향 출력부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 기판을 더 포함하는 헤드셋.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들이 상기 다수의 끼움 홀들에 삽입되면, 상기 연결 넥의 단부는 상기 걸이부의 단부에 밀착되고,
    상기 연결 넥의 단부가 상기 걸이부의 단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음향 출력부가 당겨지면, 상기 연성 기판과 상기 신축 부재가 소정 길이만큼 늘어나며,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들은 상기 다수의 끼움 홀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들이 상기 다수의 끼움 홀들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음향 출력부를 회전시킨 후, 상기 음향 출력부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다수의 끼움 돌기들은, 분리 전에 삽입되었던 끼움홀에 인접하는 다른 끼움 홀에 삽입되고,
    상기 연성 기판과 상기 신축 부재는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2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피커 홀과 상기 제 2 스피커 홀의 음향 지향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2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피커 홀과 상기 제 2 스피커 홀의 음향 지향 방향은 90도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음향 출력부가 사용자의 모자에 장착되었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의 귀에 근접하게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헤드셋.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가 사용자의 모자에 장착되거나, 사용자의 귀에 근접하게 위치하였음이 감지되면, 상기 스피커 모듈의 볼륨이 설정 레벨로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이 장착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음향 출력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헤드셋.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 기판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헤드셋.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중앙에 배치되는 파워 버튼과,
    상기 파워 버튼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음향 조절 버튼 및 검색 버튼을 포함하는 헤드셋.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조절 버튼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볼륨업 버튼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볼륨 다운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 버튼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포워드 검색 버튼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백워드 검색 버튼을 포함하는 헤드셋.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음향 출력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하여 상기 걸이부가 사용자의 목 뒤 또는 모자의 전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하나의 위치로 변경되는지 여부가 감지되며,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한 상기 음향 출력부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음향 조절 버튼들의 기능 및 상기 검색 버튼들의 기능이 각각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헤드셋.
  33.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가 사용자의 모자에 장착되었음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가장 많이 듣는 라디오 주파수가 자동으로 선정되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34.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가 사용자의 모자에 장착되었음이 감지되면, 모자 전용 사운드 이퀄라이저가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KR1020140117390A 2014-09-04 2014-09-04 헤드셋 KR101570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390A KR101570299B1 (ko) 2014-09-04 2014-09-04 헤드셋
PCT/KR2014/010463 WO2016035927A1 (en) 2014-09-04 2014-11-03 Headset
US14/553,551 US9344801B2 (en) 2014-09-04 2014-11-25 Head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390A KR101570299B1 (ko) 2014-09-04 2014-09-04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299B1 true KR101570299B1 (ko) 2015-11-18

Family

ID=5483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390A KR101570299B1 (ko) 2014-09-04 2014-09-04 헤드셋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44801B2 (ko)
KR (1) KR101570299B1 (ko)
WO (1) WO201603592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547A (ko) 2016-09-29 2018-04-06 임준영 웨어러블 기반의 개인용 자동 기록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865699B1 (ko) * 2017-06-26 2018-07-04 문정현 위험 알림용 헤드폰
KR102428195B1 (ko) * 2022-03-07 2022-08-02 유현민 귀덮개 및 다양한 굿즈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US11881201B2 (en) 2019-09-03 2024-01-23 Sony Group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loudspeaker apparatus, and audio output method
WO2024106730A1 (ko) * 2022-11-17 2024-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사운드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48750A1 (en) * 2012-06-15 2018-02-15 Muzik, Llc Audio/video wear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projector
US9025806B2 (en) * 2013-01-08 2015-05-05 The Ketchum Group Headphone assembly
US20160364202A1 (en) * 2015-06-15 2016-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driving method of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70096822A (ko) * 2016-02-17 2017-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재생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JP6624386B2 (ja) * 2016-03-09 2019-12-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ドセットおよびヘッドセット装置
KR101848665B1 (ko) * 2016-08-17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KR101835337B1 (ko) * 2016-08-26 201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KR102555485B1 (ko) * 2016-11-07 2023-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스피커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및 스피커 장치의 제어 방법
CN106792308A (zh) * 2016-12-06 2017-05-31 歌尔科技有限公司 耳机的控制方法和耳机
KR101861690B1 (ko) * 2016-12-26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WO2018187940A1 (zh) * 2017-04-11 2018-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消息获取方法和装置
US9985596B1 (en) * 2017-05-15 2018-05-29 Bose Corporation Acoustic device
USD842270S1 (en) * 2017-08-21 2019-03-05 Canmin Chen Headset
US10547931B2 (en) * 2017-08-25 2020-01-28 Plantronics, Inc. Headset with improved Don/Doff detection accuracy
US10582292B2 (en) * 2017-10-06 2020-03-03 Bose Corporation Printed circuit board (PCB) mount for headphone earcup
US10547932B2 (en) * 2017-11-06 2020-01-28 Bluewire Audio LLC Wearable audio system
US10771884B2 (en) 2018-04-05 2020-09-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herent self-mixing proximity sensors
US10645487B2 (en) * 2018-07-23 2020-05-05 Warped Dynamics, LLC Vertically configured parametric transducer headphones
EP3675521A1 (en) * 2018-12-27 2020-07-01 GN Audio A/S A headphone with a headband guiding mechanism
JP7396796B2 (ja) * 2019-01-25 2023-12-12 株式会社ディーアンドエム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ヤホン装置
USD910592S1 (en) * 2019-04-23 2021-02-16 Dongguan bingo electronics co., LTD Headset
CN111031432A (zh) * 2019-12-20 2020-04-17 歌尔股份有限公司 颈戴式耳机及功能切换方法、系统、设备、计算机介质
USD983163S1 (en) * 2021-03-10 2023-04-11 Onanoff Limited Headphones
USD991906S1 (en) * 2021-06-25 2023-07-11 Shenzhen Biggerfive Technology Co., Limited Headphones
DK202101156A1 (en) * 2021-12-07 2023-06-26 Circulr Sound Tech Aps Hybrid acoustic reproduction device with directional non-invasive sound
USD983768S1 (en) * 2022-10-08 2023-04-18 Yingshan Wu Earphone
USD1005260S1 (en) * 2023-08-15 2023-11-21 Yuliang Wu Headpho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1616A1 (en) 2000-11-16 2002-09-19 Bronnikov Andrei M. Apparatus and methods for sound reproduction and recording
JP2010124339A (ja) 2008-11-20 2010-06-03 Scalar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20110007928A1 (en) 2009-07-08 2011-01-13 Chi-Tsan Chang Headphon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6192A (en) * 1989-09-26 1991-09-10 Ryder International Corporation Headset sun visor
US5457751A (en) * 1992-01-15 1995-10-10 Such; Ronald W. Ergonomic headset
US5438698A (en) * 1992-12-14 1995-08-01 Sweat Accessories, Inc. Wearable audio reception device
US6301367B1 (en) * 1995-03-08 2001-10-09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Wearable audio system with acoustic modules
FI100848B (fi) * 1996-06-28 1998-03-13 Kitek Oy Ab Insinoeoeritoimist Kiinnityssovitelma kypäräpuhelaitetta varten
US5881390A (en) * 1996-10-03 1999-03-16 Outdoor Dynamics, Incorporated Headband for use with personal stereo headphones
US6546264B1 (en) * 1999-10-04 2003-04-08 Philip F. Kennedy Helmet headphones
US20040204207A1 (en) * 2002-05-06 2004-10-14 Parker John A. Hat for hands-free telephone operation
KR20050090690A (ko) 2004-03-09 2005-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줄걸이 장치
TWM281461U (en) * 2005-06-29 2005-12-01 Hope Land Entp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helmet having earphone
TWI282246B (en) * 2005-11-09 2007-06-01 Cotron Corp In-ear type earphone having an ear hanger
US8111859B2 (en) * 2006-03-09 2012-02-07 Phillips Aaron M Headgear and integrated music player
US8452039B2 (en) * 2006-05-03 2013-05-28 Mad Catz, Inc Wearable personal sound delivery apparatus
US7702122B2 (en) * 2008-01-09 2010-04-20 Crutcher William C Headgear for docking and listening to portable audio devices
US20090257615A1 (en) * 2008-04-15 2009-10-15 Bayer Jr Lawrence J Headwear
JP4880059B1 (ja) * 2010-09-24 2012-02-22 西日本高速道路メンテナンス関西株式会社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ホン及び該ヘッドホンを有するヘルメット
US8855352B2 (en) * 2011-09-12 2014-10-07 Shawn R. ALSTAD Listening aid device
TWM445353U (zh) * 2012-08-16 2013-01-21 Sound Team Entpr Co Ltd 附加耳機之毛線帽
US20140301595A1 (en) * 2013-04-09 2014-10-09 Corey LaMont EGLESTON Apparel with speaker assembly
US20140328508A1 (en) * 2013-05-02 2014-11-06 Emily Ann Jacks Hat with sound playing device
US20140355807A1 (en) * 2013-05-31 2014-12-04 Sean McDowell Protective Head Covering Audio System
US9124974B2 (en) * 2013-06-17 2015-09-01 Michael Flynn Hat mounted music system
US20150222974A1 (en) * 2013-09-12 2015-08-06 Ron Johnson Hat clip with improved speak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1616A1 (en) 2000-11-16 2002-09-19 Bronnikov Andrei M. Apparatus and methods for sound reproduction and recording
JP2010124339A (ja) 2008-11-20 2010-06-03 Scalar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20110007928A1 (en) 2009-07-08 2011-01-13 Chi-Tsan Chang Headpho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547A (ko) 2016-09-29 2018-04-06 임준영 웨어러블 기반의 개인용 자동 기록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865699B1 (ko) * 2017-06-26 2018-07-04 문정현 위험 알림용 헤드폰
US11881201B2 (en) 2019-09-03 2024-01-23 Sony Group Corporation Control apparatus, loudspeaker apparatus, and audio output method
KR102428195B1 (ko) * 2022-03-07 2022-08-02 유현민 귀덮개 및 다양한 굿즈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WO2024106730A1 (ko) * 2022-11-17 2024-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사운드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44801B2 (en) 2016-05-17
WO2016035927A1 (en) 2016-03-10
US20160073200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299B1 (ko) 헤드셋
KR10218826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7767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09950B1 (ko) 무선 음향 장치
KR102367889B1 (ko) 이동 단말기
KR10213537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600003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0330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23212A (ko)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160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86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71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5492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0065A (ko) 전자 디바이스
KR20160006518A (ko) 이동 단말기
KR1016438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92514B1 (ko)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40147057A (ko) 안경형 단말기 및 안경형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800053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7808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3842A (ko) 이동 단말기
KR101649656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526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69849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468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