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665B1 -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665B1
KR101848665B1 KR1020160104312A KR20160104312A KR101848665B1 KR 101848665 B1 KR101848665 B1 KR 101848665B1 KR 1020160104312 A KR1020160104312 A KR 1020160104312A KR 20160104312 A KR20160104312 A KR 20160104312A KR 101848665 B1 KR101848665 B1 KR 101848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device
user
profile
button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954A (ko
Inventor
박현수
유현선
심수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665B1/ko
Priority to US15/371,412 priority patent/US9961482B2/en
Priority to EP16204349.1A priority patent/EP3285467B1/en
Priority to CN201710025143.1A priority patent/CN107769810B/zh
Publication of KR2018001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1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an embedded system, i.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 a certain function in mobile devices, printers, automotive or aircraf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38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monitoring of user a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9Manufacturing aspects of enclosures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Abstract

사용자의 몸에 착용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된 사용자 입력부; 상기 본체에 내부에 실장되며 호스트 미디어 기기와 무선통신 및 오디오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칩셋; 상기 호스트 기기가 지원하는 프로파일 및 호스트 기기가 실행하는 기능에 따라 다른 프로파일(profile)로 상기 호스트 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블루투스 칩셋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통화기능/멀티미디어 재생기능 이외에 프레젠테이션 리모컨 기능 및 셀프 카메라 촬영용 리모콘으로 사용할 수 있어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WIRELESS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어버드를 귀에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목에 거치할 수 있는 밴드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목에 거치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늘 휴대하기 때문에 그 활용 범위를 확장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의 재생/ 통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자의 몸에 착용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된 사용자 입력부; 상기 본체에 내부에 실장되며 호스트 미디어 기기와 무선통신 및 오디오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칩셋; 상기 호스트 기기가 지원하는 프로파일 및 호스트 기기가 실행하는 기능에 따라 다른 프로파일(profile)로 상기 호스트 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블루투스 칩셋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파일은 HFP(Hands Free Profile), AVRCP(Audio/Video Remote Control Profile), HID(Human Interface Device), A2DP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기 연결된 제1 호스트 기기(primary host device)가 있는 경우 새로 연결된 호스트 기기를 제2 호스트 기기(secondary host device)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호스트 기기와 상기 제2 호스트 기기 중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몸에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몸에 착용한 경우 상기 제1 호스트 기기를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을 기초로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몸에 착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호스트 기기를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을 기초로 제어하며, 상기 제1 호스트 기기는 통화/음악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장치이고, 상기 제2 호스트 기기는 프레젠테이션용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착용감지부는 마이크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에서 사용자의 몸과 본체의 마찰음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착용감지부는 IR센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IR센서에서 근접물체를 감지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호스트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제1 버튼에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이전페이지로 넘어가고, 제2 버튼에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호스트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제3 버튼에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프레젠테이션을 시작 또는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 3 버튼에 입력되는 신호가 장입력 신호 또는 단입력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현재 페이지에서 시작하거나 맨 처음 페이지에서 시작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기기가 통화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HFP프로파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가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경우 A2DP프로파일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광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호스트 기기가 HID프로파일을 지원하고,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제4 버튼 또는 제5 버튼에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광출력부가 발광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가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U자 형상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6 버튼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통화기능/멀티미디어 재생기능 이외에 프레젠테이션 리모컨 기능 및 셀프 카메라 촬영용 리모콘으로 사용할 수 있어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와 호스트 기기의 페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른 사용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블록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제어부(380), 무선통신부(385), 음향출력부(340), 센싱부(375), 마이크(360), 사용자 입력부(370) 및 전원공급부(390)를 포함한다.
음향출력부(340)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버드(341)가 있다.
마이크(3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3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375)는 휴대용 전자기기(3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는 장치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이어버드(ear bud)(341) 가 이어버드 홀더(325)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어버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멀티미디어의 재생순서를 조정하는 제1 입력부(371a)와 제2 입력부(371b), 멀티미디어의 재생/정지를 위한 제3 입력부(371c), 음량 조절을 위한 제4 입력부와 제 5 입력부(371e, 371f) 및 통화를 위한 제6 입력부 (371f), 를 포함할 수 있다.
, 전원 버튼 및 음향케이블(340)을 하우징(320)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버튼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제3 입력부(371c)와 제6 입력부(371f)는 사용자가 착용시 전면을 향하는 방향, 즉 하우징(320)의 상면에 위치하고, 제1 입력부(371a), 제2 입력부(371b), 제4 입력부(371d)과 제 5 입력부(371e)는 하우징(32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370)는 사용자가 직접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의 개수가 많으면 각 버튼의 기능을 구분하기 힘들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 능한 제어명령을 확대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분실 위험이 적으나, 통상의 단말기는 분실하는 경우가 있어, 2개의 사용자 입력부(370)를 동시에 일정시간 누르면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의 알람을 울려 잃어버린 단말기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로 연결된 단말기의 음성녹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마이크(360)를 통해 수집된 음성을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통화와 관련된 기능 또는 사운드 미디어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제어 가능했으나,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그 제어범위가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본체는 밴드부(310)와 하우징(320)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의 곡선을 형성한다. 밴드부(310)는 C자형상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목에 접촉된다.
밴드부(310)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힘을 가하면 소정 범위 내에서 변형되고 힘이 제거되면 원래 모양으로 복귀된다. 하우징(320)은 밴드부(310)의 양단에 결합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C자형 곡선의 양 단부에 위치한다. 내부와 외부에 메인기판(381), 무선통신부(385), 배터리(391)와 같은 각종 부품이 삽입된다.
하우징(320)은 폴리머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며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과 같은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금속이나, 유리, 가죽 등의 이형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310)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은 탄성이 있어 쉽게 변형되고 힘을 제거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며, 표면의 마찰계수가 높아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된다.
밴드부(310)의 내부에는 형상기억합금을 삽입하여 밴드부(310)의 양단을 벌리더라도 다시 원래 형상으로 복원이 잘될 수 있다. 또한, 형상기억합금의 두께를 종래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소정 크기의 힘 이상의 힘에만 변형되어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착용 중에 목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320)은 강성이 있는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재질로 형성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우징(3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할 수 있다. 하우징(3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일체감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밴드부(310)와 하우징(320)이 모두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신체에 착용하는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땀과 같은 수분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방수기능을 부가하면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의 틈을 커버하는 리브를 형성하거나 방수부재를 개재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별도의 방수부재를 개재하지 않더라도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가 밀착될 수 있다.
C자 형상의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밴드부(310)에 센서(375)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률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 시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단부를 벌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밴드부(310)의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사용하려는 것을 판단하고,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착용한 것인지 휴대 중에 벌어진 것인지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변위센서에서 밴드부(310)의 곡률이 크게 변화한 이후의 곡률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밴드부(310)의 곡률이 제1 크기로 크게 변화하고 이후 곡률이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거치한 상태보다 완만한 제2 크기의 곡률로 고정된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센서 이외에 사용자가 착용시 목과 닿는 착용면에 온도감지 센서, 광센서 또는 심박센서와 같은 센서를 구비하여 온도가 사람의 체온 범위이거나 밝기가 어두워지고, 심박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무선통신부(385)를 활성화 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또는 물리적 방식으로 눌러지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하면 돌출된 스위치가 눌려서 ON신호를 생성하고 소정시간 이상 스위치 ON상태가 유지되면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상기 센서와 스위치는 복수 개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값을 조합하여 착용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340)로서, 이어버드(341)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하우징(32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320)과 음향케이블(345)을 통해 연겨된다. 음향케이블(345)의 일단은 하우징(3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메인기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어버드(341)와 연결된다.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음향신호를 음향케이블(345)을 통해 이어버드(341)로 전달한다.
사용자가 이어버드(341)를 귀에 삽입했을 때 이어버드(341)와 하우징(320) 사이의 거리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다르며, 음향케이블(345)이 너무 긴 경우는 걸리적 거리는 문제가 있고, 너무 짧으면 귀와 어께 사이의 간격이 넓은 사람은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가 이어버드(341)를 귀에 삽입한 상태로 머리를 좌우로 돌리거나 상하로 회전할 때 음향케이블(345)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하되, 일정부분은 밴드부에 고정되도록 와이어링(315)을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링(315)은 밴드부(310)와 음향케이블(345)을 감싸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와이어링(315)이 밴드부(310)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이어버드(341)가 하우징(320)으로부터 이격 가능한 거리가 조절된다. 즉, 와이어링(315)이 하우징(3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음향케이블(345)이 연장가능한 길이가 짧아지고, 와이어링(315)이 하우징(320)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면 음향케이블(345)이 연장 가능한 길이가 늘어난다.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하우징(32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악을 듣거나 통화를 하지 않는 경우 이어버드(341)를 하우징(320)의 이어버드 홀더(325)에 결합시켜 이어버드(341)를 휴대할 수 있다.
하우징(320)에는 전원을 ON/OFF하는 전원버튼, 재생하거나 통화를 위한 버튼, 음향을 조절하는 방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방향키는 재생곡의 이전곡 또는 이후 곡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버튼은 물리적으로 가압되는 돔 키(dome key)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정전용량 변화로 감지하는 터치 키(touch key)를 이용할 수도 있다.
터치키의 경우 위치가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320)표면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터치키가 하우징(320)의 표면에 구현된 경우, 하우징(320)의 표면에 터치키가 구현된 부분에 LED를 이용하여 터치키 위치 및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버드(341)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소리를 전달하며, 이어버드(341) 는 음향케이블(345)을 통해 상기 메인기판(381)과 연결된다. 메인기판(381)은 이어버드(341) 를 제어하여 음향신호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HID프로파일 (Human Interface Device profile) 을 지원한다.
프로파일은 일종의 언어/ 규격으로 동일한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기기끼리 해당 프로파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에서 이용하는 프로파일은, 대표적으로 HSP(Head Set Profile), HFP(Hands Free Profile),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AVRCP (Audio/Video Remote Control Profile), HID (Human Interface Device) 등이 있다.
HSP와 HFP는 헤드셋과 핸즈프리를 위한 프로파이로 전화기의 통화기능과 연동된다. HSP는 통화음성을 전달할 수 있고, HFP는 재다이얼, 음성다이얼, 통화 받기. 끊기 등 원격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통화용 헤드셋이나 자동차의 핸즈프리 시스템 등에 적용되고 있다. 다만, HSP와 HFP는 통화를 위한 프로파일이어서, 음질이 64kbit/s 밖에 안되고 모노이기 때문에 음악 재생용 프로파일로는 부적절하다.
A2DP는 스테레오 오디오를 지원하는 블루투스 프로파일로서, 블루투스로 음악을 감상용 헤드셋과 호스트 기기는 기본적으로 A2DP를 지원한다. AVRCP는 HFP가 통화기능의 조작을 지원했듯이 음악의 재생, 정지, 다음곡, 이전곡 등 음악 재생을 조정하는 것을 지원한다.
HID프로파일이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출력을 받을 수 있는 주변기기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프로파일로서, 마우스, 키보드, 컨트롤러와 같은 조작기기에 적용된다. USB와 비슷한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어 HID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무선 키보드, 무선 마우스, 무선 게임컨트롤러 등이 이용된다.
종전의 블루투스 장치와 이동 단말기는 음악의 재생, 통화 기능에만 집중해서, HSP, HFP, A2DP, AVRCP만을 지원했었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지원하는 프로파일의 범위가 넓어졌다.
이어셋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도 보다 고성능의 제품이 출시되면서, 제조사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고성능 블루투스 칩셋을 이용하게 되었으며, 고성능 블루투스 칩셋은 HID프로파일도 지원 가능하다. HID프로파일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면, 단순한 통화와 음악감상 이외에 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와 호스트 기기(100, 200)의 페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호스트 기기(100, 200)와 무선통신부(385)를 통해 페어링을 시작한다(S10). 이때 호스트 기기(100, 200)가 지원하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지원하는 블루투스 프로파일로 연결한다. HSP, HFP, A2DP, AVRCP 프로파일은 종래에 대부분의 블루투스 무선통신이 가능한 장치가 지원하고 있으나, HID프로파일은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에서만 지원 가능하므로, 페어링된 호스트 기기(100, 200)가 HID를 지원하는지 확인한다(S11).
호스트 기기가 HID를 지원하지 않으면 AVRCP프로파일로 연결하고(S13), HID를 지원하면 HID프로파일로 연결한다(S12). 그 이외의 프로파일 (HSP, HFP, A2DP 등)은 통화나 음악감상 시에 이용하기 때문에 HID지원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프로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ARVCP로 연결한 경우, 페어링된 호스트 기기와는 통화와 음악감상기능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1 호스트 기기(100)로 설정한다(S16). HID로 연결한 경우에도, 기 페어링된 호스트 기기가 없으면(S14) 페어링된 기기는 제1 호스트 기기(100)로 설정한다(S16)(도 4(a)참고).
이미 페어링된 호스트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이미 페어링된 호스트 기기를 제1 호스트 기기(100)로 두고, 금번에 페어링된 호스트 기기를 제2 호스트 기기(200)로 설정한다(S15) (도 4(b)참고). 여기서 제1 호스트 기기(100)는 음악감상, 통화를 위한 호스트 기기를 의미하고, 제2 호스트 기기(200)는 멀티페어링이 되었을 때에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호스트 기기를 의미한다.
기존에 페어링 된 호스트 기기(100, 200)가 유지된 상태로 제2 호스트 기기(200)가 멀티로 페어링된 경우(S15), 착용감지부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 중인지 여부를 감지한다(S18).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사용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경우이고, 도 5의 (b)는 사용자가 목에 착용하지 않은 경우이다.
도 5의 (a)와 같이, 사용자가 목에 착용 중인 경우, 제어부(380)는 음악감상이나 통화를 위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존에 페어링 된 제1 호스트 기기(100)를 제어한다(S19). 도 5의 (b)와 같이, 사용자가 목에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380)는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호스트 기기(100)를 제어한다(S20).
사용자의 목에 착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휴대용 전자기기(300)에 착용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착용감지부는 IR센서나 마이크(360)가 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사용자가 착용시 사용자의 몸과 닿는 부분에 IR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경우 IR 센서가 가려져 착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몸과 닿는 부분에 스위치를 부착하거나, 마이크(360)에서 사용자의 몸과 본체의 마찰음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착용감지부의 측정값을 종합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목에 착용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5의 (a)와 같이 멀티미디어의 재생이나, 통화를 위한 기능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300)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도 5의 (b)와 같이 제2 호스트 기기(200)를 제어하는 프레젠테이션에 리모콘으로 이용하는 경우 각 버튼에 다음과 같은 기능이 매칭될 수 있다. 아래 [표 1]은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버튼과 프레젠테이션 리모콘 기능을 매칭한 일 예이다.
  단입력 장입력
FF 이전페이지 화면 White
REW 다음페이지 화면 Black
Paly 처음부터 시작/종료 현재페이지부터 시작/종료
이전 곡과 다음 곡으로 넘어가는 제1 버튼(FF)(371a)과 제2 버튼(REW) (371b) 에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프레젠테이션의 화면을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페이지로 넘어갈 수 있다. 음악을 재생하는 제3 버튼(play) (371c) 에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프레젠테이션을 시작하거나, 진행 중인 프레젠테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입력신호를 단입력신호와 장입력 신호 또는 복입력신호, 복수개의 버튼을 동시에 누르는 방식으로 더 다양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버튼(371a)에서 장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화면을 백색으로 전환하고, 제2 버튼(371b)에서 장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화면을 검은색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제3 버튼(371c)의 입력신호를 단입력 신호와 장입력신호를 구분하여, 처음 페이지부터 시작/종료와 현재 페이지에서 시작/종료를 구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제1 내지 제3 버튼(371c) 이외에 반대편의 하우징(320)에 제4 내지 제 6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젠테이션 도중에 잡고 있는 하우징(320)을 바꾸어 다른 쪽 하우징(320)에 있는 버튼을 누르기 어려운 바, 일측의 하우징(320)에 위치하는 버튼만으로 프레젠테이션에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4 내지 제6 버튼(371d~371f)을 비활성화 하거나, 제 4 내지 제6 버튼(371d~371f)에도 제1 내지 제 3 버튼(371a~371c)과 동일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다른 사용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한 상태로 이용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호스트 기기(100, 200)를 촬영할 수 있다.
호스트 기기(100, 200)의 음향버튼(371d, 371e)을 누르는 경우 촬영이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음향버튼(제4 버튼(371d)/ 제5 버튼(371e))을 눌러 이격된 위치에서 촬영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의 목에 위치한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U자형 단부는 사용자의 얼굴과 비슷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300)에 광출력부를 구비하여 AF 보조광으로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4 버튼(371d)/제5 버튼(371e)을 누르면, 그와 동시에 광출력부가 발광하며 사용자의 얼굴 위치에 대한 정보를 카메라에 제공하고, 이를 기초로 카메라는 정확한 위치에 초점을 맞춰 촬영할 수 있다.
직접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버튼을 누르지 않고 촬영이 가능하여 먼거리에서도 촬영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의 버튼을 누르면서 이동 단말기가 흔들려 사진이 흔들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출력부는 사용자의 얼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본체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광출력부를 위해 추가로 하우징(320)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경우 외관의 통일성을 해하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3 버튼(371c) 또는 제6 버튼(371f)에 광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버튼(371c)과 제6 버튼(371f)에 기능을 표시하기 위해 버튼에 LED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면 부재를 증가시키지 않고 AF광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통화기능/멀티미디어 재생기능 이외에 프레젠테이션 리모컨 기능 및 셀프 카메라 촬영용 리모콘으로 사용할 수 있어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00: 휴대용 전자기기 310: 탄성밴드
320: 하우징 340: 음향출력부
341: 이어버드 360: 마이크
370: 사용자 입력부 371a: 제1 버튼
371b: 제2 버튼 371c: 제3 버튼
371d: 제4 버튼 371e: 제5 버튼
371f: 제6 버튼 375: 센싱부
380: 제어부 385: 무선통신부
390: 전원공급부 100: 제1 호스트 기기
200: 제2 호스트 기기

Claims (14)

  1. 사용자의 몸에 착용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된 사용자 입력부;
    상기 본체에 내부에 실장되며 호스트 기기와 무선통신 및 오디오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칩셋;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몸에 착용여부를 감지하는 착용감지부; 및
    상기 호스트 기기가 지원하는 프로파일 및 호스트 기기가 실행하는 기능에 따라 다른 프로파일(profile)로 상기 호스트 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블루투스 칩셋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연결된 제1호스트 기기(primary host device)가 있는 경우 새로 연결된 호스트 기기를 제2 호스트 기기(secondary host device)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몸에 착용한 경우 상기 제1 호스트 기기를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을 기초로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몸에 착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호스트 기기를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을 기초로 제어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HFP(Hands Free Profile), AVRCP(Audio/Video Remote Control Profile), HID(Human Interface Device), A2DP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감지부는 마이크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에서 사용자의 몸과 본체의 마찰음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감지부는 IR센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IR센서에서 근접물체를 감지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스트 기기는 통화/음악재생 가능한 멀티미디어 장치이고, 상기 제2 호스트 기기는 프레젠테이션용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호스트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제1 버튼에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이전페이지로 넘어가고, 제2 버튼에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호스트 기기를 제어하는 경우,
    제3 버튼에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프레젠테이션을 시작 또는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3 버튼에 입력되는 신호가 장입력 신호 또는 단입력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현재 페이지에서 시작하거나 맨 처음 페이지에서 시작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기기가 통화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HFP프로파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가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경우 A2DP프로파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광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호스트 기기가 HID프로파일을 지원하고,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제4 버튼 또는 제5 버튼에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광출력부가 발광하고 상기 호스트 기기가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목에 걸리는 U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U자 형상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6 버튼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0160104312A 2016-08-17 2016-08-17 휴대용 전자기기 KR101848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312A KR101848665B1 (ko) 2016-08-17 2016-08-17 휴대용 전자기기
US15/371,412 US9961482B2 (en) 2016-08-17 2016-12-07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hich wirelessly receives a sound signal from a terminal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EP16204349.1A EP3285467B1 (en) 2016-08-17 2016-12-15 Portable wireless electronic communication equipment and method
CN201710025143.1A CN107769810B (zh) 2016-08-17 2017-01-13 便携式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312A KR101848665B1 (ko) 2016-08-17 2016-08-17 휴대용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954A KR20180019954A (ko) 2018-02-27
KR101848665B1 true KR101848665B1 (ko) 2018-05-28

Family

ID=5783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312A KR101848665B1 (ko) 2016-08-17 2016-08-17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61482B2 (ko)
EP (1) EP3285467B1 (ko)
KR (1) KR101848665B1 (ko)
CN (1) CN1077698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48750A1 (en) * 2012-06-15 2018-02-15 Muzik, Llc Audio/video wear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projector
US11595746B1 (en) * 2022-03-09 2023-02-28 Curt Davidson Remote control of ear mounted audio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34258A1 (en) * 2014-04-03 2015-11-19 Olloclip, Llc Auxiliary photography systems for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2287B2 (en) * 2005-10-11 2012-03-27 Zeemote Technology Inc. Universal controller for toys and games
KR101433166B1 (ko) 2008-01-23 2014-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의 멀티포인트 페어링 방법
KR101195885B1 (ko) 2008-03-03 2012-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US8615398B2 (en) * 2009-01-29 2013-12-24 Qualcomm Incorporated Audio coding selection based on device operating condition
KR20110035565A (ko) 2009-09-30 201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가능한 오디오 출력기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EP3419258A1 (en) * 2011-09-28 2018-12-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trolling power for a headset
US9449600B2 (en) * 2013-06-11 2016-09-20 Plantronics, Inc. Character data entry
KR20150032011A (ko) 2013-09-17 201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5138538A (ja) * 2014-01-24 2015-07-3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60013B1 (ko) * 2014-08-13 2017-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570299B1 (ko) * 2014-09-04 2015-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셋
CN204291314U (zh) * 2014-12-18 2015-04-22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颈挂式蓝牙耳机
KR102193699B1 (ko) * 2014-12-31 2020-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는 헤드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34258A1 (en) * 2014-04-03 2015-11-19 Olloclip, Llc Auxiliary photography systems for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5467B1 (en) 2018-10-24
US20180054696A1 (en) 2018-02-22
EP3285467A1 (en) 2018-02-21
KR20180019954A (ko) 2018-02-27
CN107769810A (zh) 2018-03-06
US9961482B2 (en) 2018-05-01
CN107769810B (zh)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53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184866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CN109923873B (zh) 骨传导麦克风、骨传导头戴式耳机及通话装置
EP2363784A2 (en) Personal listening device having input applied to the housing to provide a desired function and method
US9628893B2 (en) Method of auto-pausing audio/video content while using headphones
US10893352B2 (en) Programmable interactive stereo headphones with tap functionality and network connectivity
CN110764730A (zh) 播放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TW201508550A (zh) 環形穿戴式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WO2018000764A1 (zh) 一种声道自动匹配的方法、装置以及耳机
CN108549529A (zh) 控制音频输出的方法及装置
WO2018166081A1 (zh) 一种耳机
KR10184866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1886735B1 (ko) 스테레오 무선이어폰이 구비된 블루투스 웨어러블 워치
KR10194332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CN108347522A (zh) 调节音量的方法及装置
JPH08256080A (ja) 携帯情報機器
KR101638924B1 (ko) 전자장치
CN109429152A (zh) 扬声器装置、电子设备、音效调节方法及装置
KR10175994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CN106790842A (zh) 电子元器件组件及移动终端
CN109195044B (zh) 降噪耳机、通话终端及降噪控制方法和录音方法
KR20170039428A (ko) 전자 디바이스
KR101432588B1 (ko) 휴대 단말기
JP4121926B2 (ja) 携帯電話
KR20170116376A (ko) 휴대용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