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013B1 -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013B1
KR101760013B1 KR1020140105265A KR20140105265A KR101760013B1 KR 101760013 B1 KR101760013 B1 KR 101760013B1 KR 1020140105265 A KR1020140105265 A KR 1020140105265A KR 20140105265 A KR20140105265 A KR 20140105265A KR 101760013 B1 KR101760013 B1 KR 10176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user
mode
display
directional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205A (ko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013B1/ko
Priority to EP15177982.4A priority patent/EP2986023B1/en
Priority to US14/817,782 priority patent/US9794683B2/en
Priority to CN201510496996.4A priority patent/CN105373222B/zh
Publication of KR2016002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04R5/023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in a chair, pil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상기 목의 형상에 대응된 아치형상(arch-shaped)으로 구성된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 양 끝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대운동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joint)를 포함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련되어 특정 방향으로 사운드를 송출하는 지향성 스피커(directional speak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목에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여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여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최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형태가 구현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구성 및/또는 UI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여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상기 목의 형상에 대응된 아치형상(arch-shaped)으로 구성된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 양 끝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대운동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joint)를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배치된 지향성 스피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제1 바디에 대한 벤딩 상태에 따라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상기 목의 형상에 대응된 아치형상(arch-shaped)으로 구성된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 양 끝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대운동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joint)를 포함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련되어 특정 방향으로 사운드를 송출하는 지향성 스피커(directional speaker)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포함하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속도,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1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사물을 감지하여,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된 진동유닛과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2 모드, 획득한 경로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된 진동유닛과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3 모드,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된 활성화된 마이크에 인접한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4 모드, 그리고 상기 제1,2 바디의 벤딩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된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5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목에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여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 전자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2는 도11 동작 중 자전거 모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도 12 자전거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1 동작 중 내비게이션 모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9는 도 18 내비게이션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1 동작 중 전화 모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1은 도 20 전화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1 동작 중 거치 모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3은 도 22 거치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30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 및 도 32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 디바이스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전자 디바이스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전자 디바이스(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 디바이스(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바디(B1)와 제2바디(B2, B3)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목에 착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바디(B1)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목의 형상에 대응된 아치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뒷목 부분에 제1 바디(B1)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바디(B1)는, 탄성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과 같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탄성을 보이는 재질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를 목에 착용하는 과정에서 제1 바디(B1)가 자연스럽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바디(B1)는 디스플레이(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제1 바디(B1)의 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뒷목에 대응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경우에, 후방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된 색상 등을 관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특정 색상이 발광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붉은 색의 점등 및 소등, 일정한 주기로 점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10)는, 복수의 색상이 발광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붉은 색에서 파란 색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10)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 및/또는 상하로 영역이 구분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좌측 영역만 발광되거나 좌측 영역과 우측영역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복수의 영역이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바디(B2, B3)는, 제1 바디(B1)의 양 끝단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바디(B2, B3)의 외부 재질이 제1 바디(B1)의 외부 재질과 동일/유사한 경우라면, 제2 바디(B2, B3)가 제1 바디(B1)에서 연장된 형태로 보일 수 있다.
제2 바디(B2, B3)는, 제1 바디(B1)에 대핸 상대운동되도록 제1 바디(B1)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통해 제1 바디(B1)에 대해 제2 바디(B2, B3)가 회전 및/또는 굴절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2 바디(B2, B3)를 사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100)의 착용여부와 관계없이, 제2 바디(B2, B3)의 형태를 변경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바디(B2, B3)에는 지향성 스피커(20, directional speaker)와, 조작버튼(3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지향성 스피커(20)는, 제2 바디(B2, B3)에 마련되어 사운드를 송출할 수 있다. 지향성 스피커(20)는, 전방향 스피커와 달리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된 사운드를 송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경우, 지향성 스피커(20)는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사운드를 송출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지향성 스피커(20)를 사용하면, 외부 소음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보다 명확히 사운드를 인지할 수 있다. 제2 바디(B2, B3)는, 지향성 스피커(20)가 사용자의 귀를 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사용하여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2 바디(B2, B3)의 스피커가 지향성 스피커(20)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겠지만, 제2 바디(B2, B3)의 스피커는 통상의 스피커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조작버튼(30)은, 제2 바디(B2, B3)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버튼(30)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1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ON/OFF, 사운드 송출의 개시/중단, 디스플레이(10) 동작제어 등의 조작을 조작버튼(30)을 통해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C), 케이스(C)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유닛어셈블리(F)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C)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등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C)에는, 윈도우(12)가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12)는, 전자유닛어셈블리(F)에 포함된 발광체(14)에서 방출된 빛이 외부에서 관측될 수 있도록 투명 내지 반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12)는, 고유의 색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발광체(14)가 무색의 빛을 방출하는 경우에도, 윈도우(12)의 색상에 따라 외부에서 관측되는 빛의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스피커 커버(22)는, 스피커유닛(S)에 대응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전자유닛어셈블리(F)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전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유닛어셈블리(F)에는, 배터리(BT), 스피커유닛(S), 마이크(MI), 진동유닛(MT), 조작버튼(30)이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BT)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에너지가 충전되어 있을 수 있다. 배터리(BT)의 충전을 위해, 전자 디바이스(100)에는 유/무선의 충전 인터페이스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스피커유닛(S)은, 지향성 스피커일 수 있다. 스피커유닛(S)은, 제2 바디(B2, B3) 각각의 제1,2 스피커유닛(S1, S2)일 수 있다.
마이크(MI)는, 제2 바디(B2, B3) 중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제2 바디(B3)의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마이크(MI)는, 전화 모드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진동유닛(MT)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제2 바디(B2, B3)가 진동되도록 할 수 있다. 진동유닛(MT)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는 좌측 제2 바디(B3) 측에 마련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우측 제2 바디(B2) 측에도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J1, J2)를 포함하여 제2 바디(B2, B3)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바디(B1)와 제2 바디(B2, B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B1)는 조인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제2 바디(B2, B3)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J1, J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B1)와 제2 바디(B2, B3)는 조인트(J1, J2)를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인트(J1)가 제1 바디(B1)와 제2 바디(B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우측 제2 바디(B2)와 좌측 제2 바디(B3)는 위치만 다를 뿐 구조나 동작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느 한쪽을 설명으로서 다른 한쪽에 대한 설명을 갈음하도록 한다.
제1 조인트(J1)는, 제1 바디(B1)와 제2 바디(B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조인트(J2)는, 제2 바디(B2, B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인트(J2)는 지향성 스피커(20)가 시작되는 지점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2 바디(B2, B3)는, 제2 조인트(J2)에 의하여 상측 제2 바디(B2a, B3a)와 하측 제2 바디(B2b, B3b)로 구분되며, 하측 제2 바디(B2b, B3b)에는 지향성 스피커(20)가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제2 바디(B2b, B3b)는 제2 조인트(J2)에 의하여 R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하측 제2 바디(B2b, B3b)에는 지향성 스피커(20)가 위치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하측 제2 바디(B2b, B3b)의 회전으로 지향성 스피커(20)의 사운드 송출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제2 바디(B2b, B3b)는 R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지향성 스피커(20)의 끝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측 제2 바디(B2b, B3b)가 회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제2 바디(B2a, B3a)는 R3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제1 조인트(J1)를 중심으로 제2 바디(B2, B3) 전체가 회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서로 다른 구조의 제1,2 힌지(H1, H2)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된 회전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바디(B2)의 제2 조인트(J2)는, 제1 힌지(H1)와 제2 힌지(H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H1)와 제2 힌지(H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2 바디(B2)가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힌지(H1)는 하측 제2 바디(B2b)가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제2 힌지(H2)는 상측 제2 바디(B2a)에 대해 하측 제2 바디(B2b)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블(CB)은, 전자유닛어셈블리(F) 간의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일 수 있다. 제2 조인트(J2)는, 케이블(CB)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케이블(CB)이 제1 힌지(H1)를 두께 방향으로 통과한 후에 제2 힌지(H2)의 중앙 회전축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케이블(CB) 배치에 의하여, 제1 힌지(H1)에 의한 구부러지는 동작 및 제2 힌지(H2)에 의한 회전하는 동작 중에도 케이블(CB)의 꼬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힌지(H1)는 R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힌지(H1)의 R1 방향 회전으로 인하여 하측 제2 바디(B2b)가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정도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힌지(H1)는, 제1 몸체(SP1)와 제2 몸체(SP2)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몸체(SP1)에는 결합부(G)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원형의 결합부(G) 외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CV)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몸체(SP2)에는 결합핀(PN)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핀(PN)은 탄성체(SP)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즉, 결합핀(PN)의 끝단이 홈부(CV)에 삽입되도록 결합핀(PN)이 가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몸체(SP1) 및/또는 제2 몸체(SP2)에 힘을 가하면, 제1,2 몸체(SP1, SP2)가 상호 상대회동할 수 있다. 즉, 결합핀(PN)을 가압하는 탄성체(SP)의 탄성력 이상의 힘이 R1 방향으로 가해지면, 결합핀(PN)이 현재의 홈부(CV)에서 이탈된 후 인근의 홈부(CV)에 재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해지는 힘의 크기 및/또는 시간에 따라서 제1,2 몸체(SP1, SP2)의 회전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홈부(CV)에 삽입된 탄성체(SP)로 인하여 제1,2 몸체(SP1, SP2)가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제2 바디(B2a)와 하측 제2 바디(B2b)는 제2 힌지(H2)에 의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제2 바디(B2b)는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제2 힌지(H2)에 의해 R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1 전자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지향성 스피커(20)를 사용하여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U)의 목(NE)에 착용될 수 있다. 목(NE)에 착용된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를 향해 사운드를 송출할 수 있다.
지향성 스피커(20)는, 특정 방향으로 사운드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향성 스피커(20)의 지향방향 상에 위치하면, 그 외 위치에 비하여 사운드가 좀 더 크게 들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향성 스피커(20)는 사용자의 양 귀(E1, E2)를 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지향성 스피커(22)는 우측귀(E1)를 향하고 좌측 지향성 스피커(23)는 좌측귀(E2)를 향해 사운드를 송출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제2 바디(B3)에는 마이크(MI)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마이크(MI)와 사용자의 입(MO)은 D1 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MI)가 마련된 좌측 제2 바디(B3)는 사용자의 입(MO)과 D2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모드 등 마이크(MI)가 필요한 상황에서 좌측 제2 바디(B3)에 적절한 힘을 가하면, 제2 조인트(J2)에 의하여 좌측 제2 바디(B3)가 상방으로 밴딩(bending)될 수 있다. 좌측 제2 바디(B3)의 벤딩으로 입(MO) 까지의 거리가 D2로 변경되면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MI)로 보다 선명히 전달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들은, 특정 구성요소 하나 및/또는 구성요소 간 데이터 교환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의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마련된 조작버튼(30), 사용자의 음성명령 등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마이크(M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전자 디바이스(100) 내부 및/또는 외부의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2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사용자의 심박 및/또는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목(NE)에 접촉되는 부분에 심박 및/또는 체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메모리(13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30)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40)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200)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40)는, 방송 수신 모듈(141), 이동통신 모듈(142), 무선 인터넷 모듈(143), 근거리 통신 모듈(144), 위치정보 모듈(14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15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에서는, 인터페이스(15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부(160)는, 스피커(162), 디스플레이(164), 및/또는 진동유닛(16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70)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USIM 장착부(190)는, 이동통신 모듈(142) 등 무선통신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100)의 USIM 카드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 본체의 일측에 USIM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USIM 삽입구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USIM 카드를 USIM 장착부(19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USIM 카드에는, 무선통신을 위해 전자 디바이스(1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모드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어떠한 목적으로 동작하는 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경우 뿐 아니라 다른 기기를 안착한 상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및/또는 센싱부(120)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센싱부(12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맥박 및/또는 체온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100)가 착용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20)를 통해 획득한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자전거 등을 탑승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20)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전거 모드(S30), 내비게이션 모드(S50), 전화 모드(S70), 거치 모드(S90)를 포함하는 특정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동작모드는, 전자 디바이스(100)와 연동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51)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가 자전거 모드에 있음을 디시플레이(251)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동시에 둘 이상의 동작모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전거 모드로 동작하며 내비게이션 모드로도 동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2는 도11 동작 중 자전거 모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13 내지 도 17은 도 12 자전거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자전거 모드로 전자 전자디바이스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 모드(30)는, 속도 및/또는 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S32)를 수행할 수 있다.
속도 및/또는 가속도는, 센싱부(12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20)의 속도센서 및/또는 가속도센서를 통해 해당 값을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0)의 동작을 변경하는 단계(S34)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한 속도 및/또는 가속도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 및/또는 가속도의 변화를 판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10)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하거나, 색상을 변경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접근하는 사물을 감지하는 단계(S36) 및 진동유닛(166) 및/또는 스피커(162)의 동작을 변경하는 단계(S38)가 수행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사물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물체가 접근하면 진동유닛(166) 및/또는 스피커(162)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유닛(166) 및/또는 스피커(162)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측 진동유닛(166) 중 특정 방향의 진동유닛(166)이 동작하도록 함으로서 접근하는 물체의 방향을 사용자가 직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1 바디(B1)의 외측부에는 디스플레이(1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면, 후방에서 디스플레이(10)가 관측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0)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하거나,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색상의 변경 및/또는 점멸하도록 하여 후방의 타인에게 정보를 전달 할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의 변경 등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10)의 표면에는 윈도우(12)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윈도우(12)의 내부에는, 발광체(14)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1 바디(B1)를 따라 마련된 홈(16)에 발광체(14)가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발광체(14)는 홈(16)의 양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발광체(14)는,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빛(L1)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체(14)에서 발산된 빛(L1)은, 홈(16)을 따라 전달될 수 있다. 홈(16)에는, 산란돌기(18)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산란돌기(18)는,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산란돌기(18)는, 발광체(14)에서 발산된 빛(L1)을 윈도우(12) 방향으로 전환 및/또는 산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체(14)에서 발산된 빛(L1)이 산란돌기(18)에 의하여 반사 및/또는 굴절되며 윈도우(12) 방향의 빛(L2)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산란돌기(18)에 의하여 빛의 방향이 윈도우(12) 방향으로 전환됨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10)의 특정 부분만이 밝거나 어둡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홈(16)을 따라 일정 간격 위치한 산란돌기(18)에 의하여 빛이 적절히 분산되어 윈도우(12) 방향으로 유도됨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10) 전반의 밝기가 균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가속도 및/또는 속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0)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10)를 활성화/비활성화 하거나, 점멸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가 제1 구간인 경우에는 노란색, 제2 구간인 경우에는 녹색, 제3 구간인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가 일정 시간 이상 정지 상태에 가까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0)를 비활성화 하여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격한 감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0)를 점멸하여 후방의 다른 사람이 주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가 제1 영역(10A)와 제2 영역(10B)으로 구획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복수로 구획된 각 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0A)이 노란색을 발광하는 중에 제2 영역(10B)은 파란색을 발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구획된 제1,2 영역(10A, 10B)을 상황에 따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타고 있는 사용자가 우측으로 회전하는 상황을 감지하면, 제1 영역(10A)을 발광하여 후방에서 따라오는 다른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알릴 수 있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U)를 향하여 물체(OB)가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U)의 후방에서 차량이 접근하는 상황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물체(OB)의 접근은, 근접센서, 적외선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OB)가 접근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 등이 사용자(U)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진동유닛(166)을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하는 물체(OB)의 방향에 대응된 우측 제2 바디(B3)에 내장된 진동유닛(166)을 동작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방을 돌아보지 않아도 물체(OB)의 접근 사실 및 접근 방향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1 동작 중 내비게이션 모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19는 도 18 내비게이션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내비게이션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50)에서, 경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2) 및 진동유닛 및/또는 스피커를 사용하여 경로안내를 실시하는 단계(S54)를 수행할 수 있다.
경로정보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연결되어 있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가지고 있고 그 이동 단말기와 전자 디바이스(100)가 WiFi 통신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이동 단말기로부터 경로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경로정보는, 경로안내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 미터 전방에서 우회전 내지 좌회전해야 한다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진동유닛(166)을 동작시켜 경로안내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회전해야 하는 경우에는 우측의 진동유닛(166)을 동작하고, 좌회전해야 하는 경우에는 좌측의 진동유닛(166)을 동작함으로서 경로안내를 실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스피커(162)를 동작시켜 경로안내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 미터 전방에서 좌회전’과 같은 음성안내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획득한 경로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인 좌측 제2 바디(B2)에 내장된 진동유닛(166)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정보에 대응되는 방향인 좌측 디스플레이(10B)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진동을 통해 어느 방향인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한 다른 사람은,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전환할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1 동작 중 전화 모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1은 도 20 전화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콜이 수신되면 원활한 통화를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S70)는, 콜을 수신하는 단계(S72)를 포함할 수 있다.
콜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가 연결되어 있는 외부 기기로부터 콜을 전달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마이크 측의 스피커 볼륨을 변경하는 단계(S74)를 수행할 수 있다.
콜이 수신되면, 마이크(MI)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을 보다 명확히 획득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마이크(MI)가 위치한 제2 바디(B2, B2)의 스피커(162)의 볼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의 출력을 최소화 하거나 일시적으로 비활성화 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마이크 반대측의 스피커 볼륨을 변경하는 단계(S76)를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MI)가 위치한 제2 바디(B2, B3)의 스피커(162) 볼륨을 작게 하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그 반대측 스피커(162)의 볼륨을 크게 할 수 있다. 한쪽 스피커의 볼륨을 감소시키고 반대측 스피커의 볼륨을 증가시킴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음악 및/또는 상대방과의 통화음을 인지하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피커(20)를 통해 음악을 청취하고 있는 상황에 있을 수 있다.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이 수신되는 등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마이크(MI)가 위치한 쪽의 스피커(20)는 비활성화하고 다른쪽 스피커(20)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2는 도 11 동작 중 거치 모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3은 도 22 거치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거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S90)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92)와 스피커의 볼륨을 변경하는 단계(S9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하는 데이터에는 사운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거치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의 스피커 볼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 모드 이전보다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거치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책상이나 바닥면 등에 올려 놓고 사용함으로 인하여 전자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귀 간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동작이다. 즉, 거리가 멀어짐으로 인하여,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스피커의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거치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에 스피커의 지향성 특성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즉, 전방향으로 사운드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거치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시청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한 동작이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2 조인트(J1, J2)에 대한 조작을 통해 특정한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B1)에 대해 제2 바디(B2)가 밴딩되어 있고, 하측 제2 바디(B2b, B3b)가 외측으로 밴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에 다른 디바이스(200)가 거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다른 디바이스(200)의 거치여부를, 근접센서 등으로 감지되거나 사용자의 모드 설정에 의하여 알 수 있다.
도 2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200)가 거치되면, 제어부(180)는 스피커(20)의 볼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더 큰 소리가 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수의 사람이 시청하는 경우 및/또는 스피커(20)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에도 소리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다른 디바이스(200)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직접 거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선택적으로 스피커(20)의 볼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의 (a)와 같은 형태로 전자 디바이스(100)의 형태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스피커(20)의 볼륨을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4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또 다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 바디의 내측영역(IA)에는 생체신호감지센서(9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였을 때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에 생체신호감지센서(90)가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생체신호감지센서(90)를 통해 맥박 및/또는 체온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U)로부터 획득한 생체신호를 다른 디바이스(20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 및/또는 외부의 서버 등일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200)는, 전자 디바이스(100) 보다 많은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감지한 생체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30은 도 1 전자 디바이스와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200)와 정보를 교환하며 동작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와 이동 단말기(200)가 정보를 교환하며, 각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자전거(BK)를 탑승하고 있을 수 있다. 자전거(BK)를 탑승한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자전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자전거 모드로의 전환은, 사용자의 이동속도의 감지, 이동경로의 감지 및/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자전거(BK)에 탑승한 사용자는,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200)를 자전거(BK)에 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휴대하고 있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200) 스스로가 현재의 모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전방(C1) 및/또는 후방(C2)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한 영상은, 이동 단말기(200), 외부 서버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200)의 카메라를 사용한 자전거 블랙박스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에 카메라가 내장된 경우에, 이동 단말기(200)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200)는 경로안내(DR)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51)를 통해 경로를 안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다말기(200)는, 전자 디바이스(100)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안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경로안내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U)에게 경로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태에 최적화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가 사용자(U)의 목에 착용된 상태라면,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로 경로안내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51)를 직접 보지 않아도 사운드로 정확한 안내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이동 단말기(200)와 연동되어 있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경로안내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U)는, 착용하고 있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2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U)는 음성으로 ‘MAP MODE’라고 명령을 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이동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한 사용자(U)의 명령을 전달받은 이동 단말기(200)는 동작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안내모드에서 맵모드로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연동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도 2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비활성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지 않아 디스플레이(251)가 꺼져 있는 상태에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활성 상태에 있던 이동 단말기(200)를 조작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잠금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암호 등을 입력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2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연동되어 있는 상태에는 비활성 상태에 있던 이동 단말기(200)의 경우에도 잠금 해제 절차를 거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활성 상태에 있던 이동 단말기(200)가 활성화 됨과 동시에 필요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며 경로안내 모드에 있다가 이동 단말기(200)가 비활성화 되었다가 다시 활성화되면, 잠금상태가 아닌 경로안내 상태로 바로 진입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와 연동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51)에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전자 디바이스(1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 면적이 넓은 이동 단말기(200)의 특징을 활용하는 측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51)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경로안내 영역이고, 제2 영역(A2)은 플레이어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A2)을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바로 음악 등의 플레이 상태를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자전거 모드 등에서 음악을 청취하는 사용자가 많다는 점을 고려한 화면 배치일 수 있다.
제1 영역(A1)을 통해, 사용자는 필요한 정보의 획득 및/또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1)에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 획득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음성활성영역(I1),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영역(I2), 경로안내영역(I3), 지도영역(I4), 현재속도영역(I5), 통화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는 통화영역(I6)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영역(I)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거나 필요한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전거 주행이 종료되면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51)에는 주행경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51)를 보지 않고도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도 1 전자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가 이동 단말기(200)에 종속되어,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서 기지국(AP)과 통신하는 상태가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200)와는 블루투스, WiFi 등으로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기지국(AP)과 직접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즉, 전자 디바이스(100)가 메인 디바이스가 되고, 이동 단말기(200)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에 USIM이 장착된 경우에 가능할 수 있다.
도 3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기지국(AP)과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즉, 필요한 데이터를 기지국(AP)으로부터 직접 획득하며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다른 디바이스(200)로부터 경고신호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도한 운동으로 맥박이 지나치게 빠른 경우, 휴식이 필요한 경우 등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진동, 음향 등으로 경고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전자 디바이스 110: 무선통신부
120: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13)

  1.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상기 목의 형상에 대응된 아치형상(arch-shaped)으로 구성된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 양 끝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대운동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joint)를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에 배치된 지향성 스피커; 그리고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제1 바디에 대한 벤딩 상태에 따라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호 구분된 제1,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2 영역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속도와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획득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활성화 여부, 발광 색상 종류, 점등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 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호 구분된 제1,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2 항에 있어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호 구분된 제1,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바디의 양 끝단 각각에 인접하는 진동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를 통해 획득한 센싱값과 무선 통신부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양 진동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사물을 감지하여, 상기 진동유닛과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거나,
    획득한 경로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유닛과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기 제2 바디가 밴딩(bending)되도록 하는 제1 힌지와,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기 제2 바디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 힌지 중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1,2 바디의 경계에 위치한 제1 조인트와,
    상기 지향성 스피커와의 경계에 위치한 제2 조인트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양 끝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활성화된 상기 마이크에 인접한 상기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상기 목의 형상에 대응된 아치형상(arch-shaped)으로 구성된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 양 끝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상대운동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joint)를 포함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외주부(outer area)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한 동작모드에 따라, 속도와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속도,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1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사물을 감지하여,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된 진동유닛과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2 모드,
    획득한 경로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된 진동유닛과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3 모드,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된 활성화된 마이크에 인접한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4 모드, 그리고
    상기 제1,2 바디의 벤딩 상태에 따라 상기 제2 바디에 마련된 지향성 스피커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5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3. 삭제
KR1020140105265A 2014-08-13 2014-08-13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76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265A KR101760013B1 (ko) 2014-08-13 2014-08-13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EP15177982.4A EP2986023B1 (en) 2014-08-13 2015-07-23 Electronic device
US14/817,782 US9794683B2 (en) 2014-08-13 2015-08-04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510496996.4A CN105373222B (zh) 2014-08-13 2015-08-13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265A KR101760013B1 (ko) 2014-08-13 2014-08-13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205A KR20160020205A (ko) 2016-02-23
KR101760013B1 true KR101760013B1 (ko) 2017-07-31

Family

ID=5378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265A KR101760013B1 (ko) 2014-08-13 2014-08-13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94683B2 (ko)
EP (1) EP2986023B1 (ko)
KR (1) KR101760013B1 (ko)
CN (1) CN1053732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0907B2 (en) * 2014-01-14 2019-07-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EP3015975A1 (en) * 2014-10-30 2016-05-04 Speech Processing Solutions GmbH Steering device for a dictation machine
JP6553440B2 (ja) * 2015-07-29 2019-07-31 株式会社シマノ 操作制御装置および自転車用表示装置
US10111014B2 (en) 2015-08-10 2018-10-23 Team Ip Holdings, Llc Multi-source audio amplification and ear protection devices
USD806053S1 (en) * 2015-09-03 2017-12-26 Gn Netcom A/S Pair of headphones
USD795836S1 (en) * 2016-03-18 2017-08-29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USD797701S1 (en) * 2016-03-18 2017-09-19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USD816635S1 (en) * 2016-03-18 2018-05-01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USD823827S1 (en) * 2016-06-16 2018-07-24 Orosound Headset
USD795838S1 (en) * 2016-07-08 2017-08-29 Shenzhen KingAnDa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Wireless headset
USD815059S1 (en) * 2016-08-02 2018-04-10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USD831607S1 (en) * 2016-08-02 2018-10-23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USD821352S1 (en) * 2016-08-02 2018-06-26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USD815058S1 (en) * 2016-08-02 2018-04-10 Bose Corporation Audio device
KR101848665B1 (ko) * 2016-08-17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USD817301S1 (en) 2016-08-26 2018-05-08 Apple Inc. Headphones
USD811366S1 (en) 2016-08-31 2018-02-2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Wearable audio component
USD851625S1 (en) 2016-08-31 2019-06-1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Wearable audio component
JP1577261S (ko) * 2016-09-05 2017-05-29
USD843346S1 (en) * 2016-11-07 2019-03-19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with speaker
CN108121526A (zh) * 2016-11-29 2018-06-05 英业达科技有限公司 音量调整装置及音量调整方法
US10701473B2 (en) * 2016-11-29 2020-06-30 Team Ip Holdings, Llc Audio amplification devices with integrated light elements for enhanced user safety
USD837184S1 (en) * 2016-12-02 2019-01-01 Shenzhen Cannice Technology Co., Ltd. Wireless earphone
USD830994S1 (en) * 2016-12-23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ckband earphone
USD844585S1 (en) * 2016-12-27 2019-04-02 Sony Corporation Earphone
USD845270S1 (en) * 2016-12-27 2019-04-09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Headset
USD831609S1 (en) * 2016-12-28 2018-10-23 Shenzhen Shuaixian Electronic Equipment Co., Ltd. Neck strap wireless headset
JP1589838S (ko) * 2017-01-20 2017-11-06
US10110982B2 (en) * 2017-01-20 2018-10-23 Bose Corporation Fabric cover for flexible neckband
CN106973160A (zh) * 2017-03-27 2017-07-2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隐私保护方法、装置及设备
USD818454S1 (en) * 2017-03-31 2018-05-22 Beijing Jin Rui De Lu Technology Co. Ltd. Intelligent earphone
USD847779S1 (en) * 2017-04-14 2019-05-07 Bose Corporation Headset
USD861637S1 (en) * 2017-04-14 2019-10-01 Bose Corporation Headset with boom microphone
USD860967S1 (en) 2017-04-14 2019-09-24 Bose Corporation Headset
USD826896S1 (en) * 2017-04-20 2018-08-28 Shenzhen Shuaixian Electronic Equipment Co., Ltd. Neck strap wireless headset
USD854512S1 (en) * 2017-04-20 2019-07-23 Shenzhen Shuaixian Electronic Equipment Co., Ltd. Neck strap wireless headset
USD858480S1 (en) * 2017-05-09 2019-09-03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Part of a pair of headphones
USD842268S1 (en) * 2017-06-12 2019-03-05 Tara Chand Singhal Electronic collar worn around the human neck,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 phone
USD843968S1 (en) * 2017-06-14 2019-03-26 Qunru Li Headset
USD845926S1 (en) 2017-06-30 2019-04-16 Apple Inc. Earphones
USD838256S1 (en) * 2017-07-27 2019-01-15 Underwater Audio LLC Headphones
USD853351S1 (en) * 2017-08-28 2019-07-0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s
USD857651S1 (en) * 2017-09-06 2019-08-27 Shenzhen Aukey E-Business Co., Ltd. Wireless headphone set
USD842837S1 (en) * 2017-09-29 2019-03-12 Qunru Li Headset
USD842838S1 (en) * 2017-09-29 2019-03-12 Qunru Li Headset
USD843969S1 (en) * 2017-10-06 2019-03-26 Qunru Li Headset
USD914634S1 (en) 2017-10-17 2021-03-30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USD853987S1 (en) * 2017-10-17 2019-07-16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USD860162S1 (en) * 2017-11-06 2019-09-17 Dan Yuan Headphone
JP1617786S (ko) * 2017-12-27 2018-11-12
CN108377447A (zh) * 2018-02-13 2018-08-07 潘海啸 一种便携式可穿戴环绕立体声设备
US10602253B2 (en) * 2018-03-30 2020-03-24 Bose Corporation Open audio device with reduced sound attenuation
USD873790S1 (en) * 2018-04-18 2020-01-28 Bluecom Co., Ltd. Wireless headset
CN209201256U (zh) 2018-06-14 2019-08-02 苹果公司 显示系统
IT201800006681A1 (it) * 2018-06-26 2019-12-26 Sistema di diffusione sonora indossabile, metodo di funzionamento di detto sistema di diffusione sonora indossabile e capo di abbigliamento comprendente detto sistema di diffusione sonora indossabile
US10645487B2 (en) * 2018-07-23 2020-05-05 Warped Dynamics, LLC Vertically configured parametric transducer headphones
USD911305S1 (en) * 2018-08-27 2021-02-2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CN208891009U (zh) * 2018-09-12 2019-05-21 优乐生活(深圳)科技有限公司 个人穿戴式卡拉ok装置
USD908109S1 (en) * 2018-09-13 2021-01-19 Gn Audio A/S Headset for telephone
WO2020142757A1 (en) 2019-01-04 2020-07-09 Vuzix Corporation Wearable mobile electronic system
JP1650060S (ko) * 2019-01-09 2020-01-20
JP1674399S (ko) * 2019-01-09 2020-12-07
USD892764S1 (en) * 2019-01-18 2020-08-11 Datafly Commerce Inc. Headphones
TWI723376B (zh) * 2019-04-15 2021-04-01 美律實業股份有限公司 輔助聽力裝置
USD903632S1 (en) * 2019-05-29 2020-12-01 Shenzhen Ausounds Intelligent Co., Ltd. Earphone
JP2021022757A (ja) * 2019-07-24 2021-02-1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ネックバンド型スピーカ
USD870067S1 (en) * 2019-08-29 2019-12-17 Shenzhen Qianhai Patuoxun Network And Technology Co., Ltd Wireless headset
JP1658488S (ko) * 2019-09-30 2020-04-27
JP1657870S (ko) * 2019-10-07 2020-04-20
JP7408414B2 (ja) * 2020-01-27 2024-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マイクスピーカ
USD951904S1 (en) * 2020-04-20 2022-05-17 Black & Decker Inc. Head phone
USD980185S1 (en) 2020-07-02 2023-03-07 Apple Inc. Earphones
CN112203187B (zh) * 2020-09-29 2022-03-25 歌尔科技有限公司 音箱单体和颈戴式音箱
USD978827S1 (en) * 2021-04-13 2023-02-21 Zongxiang Gao Neckband headphone
JP1703849S (ko) * 2021-05-10 2022-01-04
JP1703848S (ko) * 2021-05-10 2022-01-04
JP1703850S (ko) * 2021-05-10 2022-01-04
KR102382985B1 (ko) * 2021-11-17 2022-04-08 (주)에스엔디글로벌 스마트 골전도 이어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D1027900S1 (en) * 2022-03-24 2024-05-21 U-Lovelife (Shenzhen) Technology Co., Ltd Bone conduction headphones
USD1003271S1 (en) * 2023-03-15 2023-10-31 Shiping Hu Headph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9126A (ja) * 2005-01-21 2008-07-31 ローレンス ケーツ 難聴者のため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支援システム
KR101295046B1 (ko) * 2012-03-05 2013-08-09 주식회사 경희스포츠패나틱 헤드셋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28693T2 (de) * 1994-06-08 2003-03-20 Nortel Networks Ltd Persönliches freisprechfunkgerät
US5563951A (en) * 1994-07-25 1996-10-08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Audio interface gar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therewith
DE19724667C1 (de) * 1997-06-11 1998-10-15 Knowles Electronics Inc Hörsprechgarnitur
CN1774871A (zh) * 2003-04-15 2006-05-17 专利创投公司 定向扬声器
JP2006086980A (ja) 2004-09-17 2006-03-30 Audio Technica Corp ヘッドホン装置
KR100922183B1 (ko) * 2008-01-29 2009-10-19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JP2009201088A (ja) * 2008-02-21 2009-09-03 Hidehiko Matsumoto 首掛け式スピーカー
US9451356B2 (en) * 2008-12-18 2016-09-20 Nokia Technologies Oy Multi-directivity sound device
JP2010226244A (ja) * 2009-03-19 2010-10-07 Yamaha Corp 放収音装置
US9271068B2 (en) * 2011-09-13 2016-02-23 Tara Chand Singhal Apparatus and method for a wireless extension collar device for altering operational mode of mobile and fixed end-user wireless devices by voice commands
EP2590428A3 (en) * 2011-11-04 2014-01-22 GN Netcom A/S Headset with a light emitting neckband
JP2013191996A (ja) * 2012-03-13 2013-09-26 Seiko Epson Corp 音響装置
KR101498087B1 (ko) 2013-02-21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CN203233523U (zh) * 2013-05-12 2013-10-09 陈哲 一种多功能蓝牙耳机结构
US8958578B2 (en) * 2013-07-02 2015-02-17 Yi Chuan Chen Throat vibration audio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FR3012007B1 (fr) * 2013-10-11 2017-02-10 Matthieu Gomont Dispositif accoustique destine a etre porte par un utilisateur, utilisant des transducteurs directifs
KR101471084B1 (ko) * 2013-11-06 2014-12-23 박도영 이어폰 대용 목걸이형 초음파 스피커
US9629774B2 (en) * 2014-01-14 2017-04-2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CN104254036A (zh) * 2014-09-25 2014-12-31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一种耳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9126A (ja) * 2005-01-21 2008-07-31 ローレンス ケーツ 難聴者のため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支援システム
KR101295046B1 (ko) * 2012-03-05 2013-08-09 주식회사 경희스포츠패나틱 헤드셋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73222B (zh) 2020-07-24
KR20160020205A (ko) 2016-02-23
EP2986023B1 (en) 2019-03-13
US9794683B2 (en) 2017-10-17
EP2986023A3 (en) 2016-09-07
CN105373222A (zh) 2016-03-02
US20160050487A1 (en) 2016-02-18
EP2986023A2 (en)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013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63200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711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767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27390B1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2559B1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892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9141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25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동기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5014609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30379615A1 (en) Portable audio device
US1012244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6007052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7007398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2516B1 (ko) 사물인터넷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기 페어링방법 및 제어방법
KR2017005492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438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907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00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34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9235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6129B1 (ko) 가상 레이싱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KR2017003024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430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26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