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183B1 -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 Google Patents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183B1
KR100922183B1 KR1020080009154A KR20080009154A KR100922183B1 KR 100922183 B1 KR100922183 B1 KR 100922183B1 KR 1020080009154 A KR1020080009154 A KR 1020080009154A KR 20080009154 A KR20080009154 A KR 20080009154A KR 100922183 B1 KR100922183 B1 KR 10092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
support
sound source
neck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159A (ko
Inventor
서영호
Original Assignee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0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1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람의 목에 착용하도록 'U'자형을 이루며 만곡부를 가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내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 상부에 다수개의 음원홀이 형성된 스피커 커버로 구성되는 음향 발생부로 이루어진 넥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양단에는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되고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보조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음향 발생부의 인접한 외측에는 원형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한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 커버 상부에는 상기 음원홀을 통해 방사되는 음향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개폐 면적의 조절이 가능한 음원개폐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지향성이 향상되어 더 실감나는 입체음향의 효과를 느낄 수 있으며 외관상 디자인이 미려할 뿐 아니라 착용자의 어깨에 안정되게 밀착되므로 착용감이 뛰어나다.
넥폰, 지향성, 착용감, 지지부, 음향 발생부, 스피커, 음원, 개폐

Description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NECK-PHONE}
본 발명은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목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사람의 후방에서 음향을 제공함으로써 전방의 음향 매체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입체음향으로 청취가능하게 하는 넥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입체음향을 즐기기 위해서는 일정한 공간 내에 청취자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에 다수개의 스피커를 배치하여 각각의 스피커마다 고유의 소리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입체음향을 구현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실내의 4지점에 스피커를 귀 높이 정도로 하여 정사각형의 형태로 배치하고 그 정사각형의 중심에 사람이 위치함으로써 입체음향을 청취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 상당한 공간을 요구하므로 협소한 곳에서도 입체음향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넥폰(neck-phone)이 출원되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371969 '넥폰'(이하 '선행기술')을 참조하여 선행기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용어 '넥폰'은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폰과 유사한 개념으로 목에 착용하는 음향기기를 말함을 일러둔다.
도 1은 종래 넥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목에 걸 수 있도록 'U'자형을 이루며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형상의 지지대(1)와, 상기 지지대(1) 좌우측에 소형 스피커(2)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1) 양단부에 무게중심 유지부(3)가 달려 있으며, 상기 지지대(1) 내부에는 스피커(2)와 음향기기(미도시)를 연결하는 전선(4)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지지대(1)는 만곡부(1a)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람의 목에 걸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스피커(2)가 사람의 귀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오디오나 컴퓨터에 구비된 2개의 스피커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2개의 스피커(2)가 입체음향을 구현하는 4개의 스피커가 되어 청취자에게 입체음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게중심 유지부(3)는 상기 스피커(2)의 무게로 인해 상기 지지대(1)의 전단이 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대(1)가 목에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사방으로 확산되는 경향이 있어서 실제로 착용자의 귀에 도달하는 음향이 줄어들므로 입체음향의 효과가 떨어지고 타인에게 방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가 상기 지지대 외부로 돌출되어 결합되므로 외관상 미려하 지 못할 뿐 아니라 외력에 의한 손상의 우려가 있다.
게다가 상기 지지대는 사람의 어깨에 안정되게 안착되지 못하여 사용시 착용감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스피커가 일체형으로 내장되고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전달의 지향성을 향상시킨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목과 어깨에 밀착되어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는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람의 목에 착용하도록 'U'자형을 이루며 만곡부를 가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내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 상부에 다수개의 음원홀이 형성된 스피커 커버로 구성되는 음향 발생부로 이루어진 넥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양단에는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되고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보조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음향 발생부의 인접한 외측에는 원형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한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 커버 상부에는 상기 음원홀을 통해 방사되는 음향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개폐 면적의 조절이 가능한 음원개폐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는 상부측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원개폐기는 다수개의 개폐판이 상기 가이드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중앙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구경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해 넥폰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지향성이 향상되어 더 실감나는 입체음향의 효과를 느낄 수 있으며 실내에서 착용자 외의 타인에게 방해를 덜 주게 된다.
또한 스피커가 지지대에 내장되므로 외관상 디자인이 미려하고, 힌지 결합된 보조 지지대가 더 구비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어깨에 안정되게 밀착되므로 착용감이 뛰어나고 절첩되므로 보관이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의 AA'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크게 지지부(10)와, 음향 발생부(20)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는 착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만곡부(10a)가 형성된 'U'형을 가진다.
즉, 상기 만곡부(10a)가 착용자의 목 뒷부분에 걸리고 양단은 어깨를 안착되 어 목걸이 형태로 착용한다.
또 내부는 빈 공간을 형성하여 파이프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의 공간을 통해 이후에 설명할 스피커(22)와 연결되는 전선이 내설되어 지나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10) 양단에 보조 지지대(12)가 힌지 결합(12a)되어 연결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상기 보조 지지대(12)의 힌지 결합(12a)부분이 접혀지므로 착용자의 가슴에 밀착되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 보조 지지대(12)가 어느 정도의 무게를 가지므로 선행기술에 나타난 무게중심 유지부(3)와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10)가 뒤로 흘러내리지 않는다. 그리고 절첩 가능하므로 보관이 편리하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음향 발생부(2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음향 발생부(20)는 스피커(22)와, 스피커 커버(24)와, 가이드(26)로 구성된다.
상기 스피커(22)는 상기 지지부(10)의 좌우측, 즉 상기 만곡부(10a)의 양쪽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10) 내부에 내장되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헤드폰이나 이어폰에 사용되는 소형 스피커를 사용하면 바람직하고 전선(미도시)이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10) 및 보조 지지대(12) 내부의 빈 공간을 지나 착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컴퓨터나 오디오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스피커(22) 상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스피커(22)를 덮는 스피커 커버(24)가 결합된다.
상기 스피커 커버(24)는 상기 스피커(22)와 동일한 직경의 원판으로 이루어 지며 표면에 다수개의 음원홀(24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22)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상기 음원홀(24a)을 통해 방사된다.
한편, 상기 스피커 커버(24)의 외측을 따라 돌출된 형상의 가이드(26)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26)는 원형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음원홀(24a)을 통해 방사되는 음향이 상기 가이드(26)에 의해 유도되어 주위로 퍼지지 않고 상기 가이드(26)가 향하는 방향으로 직진한다.
당연히 상기 가이드(26)는 착용자의 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향전달의 지향성을 더 향상시키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26) 상부의 일측이 높고 타측은 낮은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착용자의 귀에 가까운 쪽은 낮고 그 반대쪽은 높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착용자의 귀를 향하게 하여 방사되는 음향이 착용자의 귀를 향해 더 집중되고 외측으로 확산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피커 커버(24)의 상부에는 열고 닫히는 구조의 음원개폐기(3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원개폐기(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음원개폐기(30)는 상기 스피커 커버(24) 상부, 동시에 상기 가이드(26)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개폐판(32)이 상기 가이드(26)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를 형성하도록 중첩되어 배치됨으로써 중앙에 원형의 개구부(30a)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마치 카메라에 있어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데, 착용자가 일측에 연결된 조절손잡이(34)를 직접 좌우로 조절하여 개폐시킴으로써 상기 스피커(22)에서 나오는 음향의 세기를 조절한다.
상기의 개폐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조와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음원개폐기(30)의 개폐정도에 따라 음향의 세기가 달라지는데, 도 4(a)에 도시된 것은 상기 음원개폐기(30)의 개구부(30a)의 구경이 큰 경우를 나타내는데, 이때 노출되는 음원홀(24a)의 갯수는 많기 때문에 음향이 강해진다.
반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30a)의 구경이 작은 경우 노출되는 음원홀(24a)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음향이 약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개구부(30a)의 구경을 줄인 경우 음향은 약해지지만 좁은 개구부(30a)를 통해 음향이 집중되어 방사되기 때문에 음향 전달의 지향성은 증가하게 되어 타인에게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착용자만 입체음향을 즐길 수 있다.
정리하자면, 상기 가이드(26)에 의해 주로 음향의 지향성을 향상시키지만 부가적으로 상기 음원개폐기(30)가 음향의 세기를 약하게 하면서도 지향성을 좀 더 증가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 지지대 사용 상태도 이다.
본 발명의 넥폰을 착용자가 목에 착용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12)를 상하로 조절하여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시킨 후 사용한다.
참고로 상기 보조 지지대(12)는 상기 지지부(10)와 힌지 결합(12a)하되 일정 한 힘을 주어야 접혀지도록 밀착결합된 상태이다.
또 상기 보조 지지대(12)는 절첩 가능하기 때문에 완전히 접은 상태로 휴대하거나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착용자의 목에 건 상태로 입체음향을 청취할 수 있는 넥폰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지향성을 향상시켜 더 실감나는 입체음향을 즐길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킨 넥폰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넥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의 AA' 부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원개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 지지대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부 10a : 만곡부
12 : 보조 지지대 12a : 힌지 결합
20 : 음향 발생부 22 : 스피커
24 : 스피커 커버 24a : 음원홀
26 : 가이드 30 : 음원개폐기
30a : 개구부 32 : 개폐판
34 : 조절손잡이

Claims (4)

  1. 사람의 목에 착용하도록 'U'자형을 이루며 만곡부(10a)를 가지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에 내장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22)와 상기 스피커(22) 상부에 다수개의 음원홀(24a)이 형성된 스피커 커버(24)로 구성되는 음향 발생부(20)로 이루어진 넥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 양단에는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되고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보조 지지대(12)가 구비되고,
    상기 음향 발생부(20)의 인접한 외측에는 원형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22)에서 출력된 음향이 한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26)가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 커버(24) 상부에는 상기 음원홀(24a)을 통해 방사되는 음향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개폐 면적의 조절이 가능한 음원개폐기(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26)는,
    상부측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개폐기(30)는,
    다수개의 개폐판(32)이 상기 가이드(26)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중앙에 개구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30a)의 구경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KR1020080009154A 2008-01-29 2008-01-29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KR10092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54A KR100922183B1 (ko) 2008-01-29 2008-01-29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54A KR100922183B1 (ko) 2008-01-29 2008-01-29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59A KR20090083159A (ko) 2009-08-03
KR100922183B1 true KR100922183B1 (ko) 2009-10-19

Family

ID=4120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154A KR100922183B1 (ko) 2008-01-29 2008-01-29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1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84B1 (ko) * 2013-11-06 2014-12-23 박도영 이어폰 대용 목걸이형 초음파 스피커
KR101734412B1 (ko) 2014-06-11 2017-05-12 주식회사 이엠텍 웨어러블 블루투스 스피커
KR20170095459A (ko) * 2016-02-12 2017-08-23 주식회사 이엠텍 웨어러블 무선 음향 변환 장치
KR101830246B1 (ko) * 2016-08-09 2018-03-29 주식회사 이엠텍 넥밴드형 무선 음향 변환 장치
KR102048904B1 (ko) 2018-12-26 2019-11-27 (주)로임시스템 웨어러블 무선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한 무선 스피커 시스템
KR102490745B1 (ko) 2021-09-14 2023-01-27 캐치플로우(주) 음향 장벽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919B1 (ko) 2014-06-30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KR101760013B1 (ko) 2014-08-13 2017-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637369B1 (ko) * 2015-11-16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JP6205668B1 (ja) * 2017-03-06 2017-10-04 自在設計合同会社 スピーカ装置
KR102164886B1 (ko) * 2019-11-12 2020-10-13 캐치플로우(주)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299A (en) * 1980-07-04 1982-01-28 Nissan Motor Co Ltd Speaker device for automobile
KR200295326Y1 (ko) 2002-07-31 2002-12-11 주식회사 디유전자 알파벳 유자모양의 어깨착용형 진동 우퍼스피커
KR200314353Y1 (ko) 2003-02-22 2003-05-23 주식회사 텔스톤 어깨 걸이형 진동 스피커
KR20080000018U (ko) * 2007-05-14 2008-01-04 (주)몰드테크 접이식 목걸이 넥폰(neck-phone)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299A (en) * 1980-07-04 1982-01-28 Nissan Motor Co Ltd Speaker device for automobile
KR200295326Y1 (ko) 2002-07-31 2002-12-11 주식회사 디유전자 알파벳 유자모양의 어깨착용형 진동 우퍼스피커
KR200314353Y1 (ko) 2003-02-22 2003-05-23 주식회사 텔스톤 어깨 걸이형 진동 스피커
KR20080000018U (ko) * 2007-05-14 2008-01-04 (주)몰드테크 접이식 목걸이 넥폰(neck-phone)용 케이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84B1 (ko) * 2013-11-06 2014-12-23 박도영 이어폰 대용 목걸이형 초음파 스피커
KR101734412B1 (ko) 2014-06-11 2017-05-12 주식회사 이엠텍 웨어러블 블루투스 스피커
KR20170095459A (ko) * 2016-02-12 2017-08-23 주식회사 이엠텍 웨어러블 무선 음향 변환 장치
KR101910545B1 (ko) * 2016-02-12 2018-10-23 주식회사 이엠텍 웨어러블 무선 음향 변환 장치
KR101830246B1 (ko) * 2016-08-09 2018-03-29 주식회사 이엠텍 넥밴드형 무선 음향 변환 장치
KR102048904B1 (ko) 2018-12-26 2019-11-27 (주)로임시스템 웨어러블 무선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한 무선 스피커 시스템
KR102490745B1 (ko) 2021-09-14 2023-01-27 캐치플로우(주) 음향 장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59A (ko)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183B1 (ko)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US9055365B2 (en) Earbuds securable to users&#39; outer ears and related headphone systems and methods
US9900681B2 (en) Earbud headphone adapter
USD927451S1 (en) Communications headset
US8213632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ar speaker device
US9167334B2 (en) Adjustable mechanism for securing in-ear audio device
US10602255B2 (en) Sub tragic ear unit
US7869615B2 (en) Sound-box type earphone housing, headset with sound-box type earphone housings
US8452039B2 (en) Wearable personal sound delivery apparatus
EP1843627B1 (en) A personal voice-transmitted device
US9532126B1 (en) Audio earbud headphone for improved in-ear retention
US20070258613A1 (en) Wearable personal sound delivery apparatus
CN107950034A (zh) 入耳式耳机的降噪
US20070160245A1 (en) Personal voice-transmitted device
US10623842B2 (en) Sound output apparatus
SE538538C2 (en) A headset with a pair of listening devices and a behind the head resilient cord
KR100905252B1 (ko) 개방형 청취장치
ATE393562T1 (de) Vsr-surround-röhrenkopfhörer
JP2000300599A (ja) 耳せん
CN110536199A (zh) 近耳式音响装置和音效再现方法
CN113613133A (zh) 开放式无线耳机
CN209330339U (zh) 一种头戴式放音装置
US10645487B2 (en) Vertically configured parametric transducer headphones
CN216134578U (zh) 开放式无线耳机
KR101427120B1 (ko)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