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886B1 -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 Google Patents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886B1
KR102164886B1 KR1020190144569A KR20190144569A KR102164886B1 KR 102164886 B1 KR102164886 B1 KR 102164886B1 KR 1020190144569 A KR1020190144569 A KR 1020190144569A KR 20190144569 A KR20190144569 A KR 20190144569A KR 102164886 B1 KR102164886 B1 KR 102164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
speaker
output
neckband
speak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서정국
최상훈
Original Assignee
캐치플로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치플로우(주) filed Critical 캐치플로우(주)
Priority to KR102019014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넥밴드에 외장 스피커를 구성하여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스피커를 통한 음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음파 지향성 구조를 구성하여 사용자 귀의 위치에 맞추어 스피커의 음파 전달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Neckband-type Bluetooth headset with external speaker and sonar orient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넥밴드에 외장 스피커를 구성하여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스피커를 통한 음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음파 지향성 구조를 구성하여 사용자 귀의 위치에 맞추어 스피커의 음파 전달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 헤드셋은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MP3, 타블렛 PC, 노트북 등)와 데이터 통신을 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향정보를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획득하고, 획득한 음향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PC 등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각종 컨텐츠들을 감상할 수 있게 되면서,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PC의 음성출력단자와 유선 연결하여 이어폰으로 소리를 출력받는 유선이어폰보다,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한 헤드셋 또는 이어폰의 선호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블루투스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 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하는 것으로서,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특히, 이어폰과 헤드폰과 같은 휴대가 가능한 개인적인 음향 기기의 일반화에 따라, 블루투스 기술을 접목시킨 블루투스 이어폰 및 헤드폰에 대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블루투스 이어폰 및 헤드셋은 개인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귀에 리시버를 꽂아 사용하거나, 머리에 걸쳐 귀에 접촉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리시버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과 리시버에 의하여, 음향 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 이외의 소리가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지 않아 주변 사물에 대한 인식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시간 이어폰 및 헤드셋을 사용함에 따라, 귀 내부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습한 상태가 유지되어 질병을 유발하는 등 사용자의 건강 및 사고 발생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넥밴드 형식으로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되는 스피커도 개발되어 왔는데, 스피커의 음향 출력 방향이 사용자 귀의 위치와 맞지 않아 출력 세기를 높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주변에 음향이 같이 출력되는 등 주변에 피해가 발생하게 되어 사용에 대한 제약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55324호(2017.07.03)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여 리시브 없이 스피커를 통한 음향 출력으로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스피커를 통하여 음향 출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시, 출력 음향의 퍼짐 폭을 한정시켜 출력된 음향의 세기를 간접적으로 증폭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귀 위치에 맞추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서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은,
사용자 목 둘레에 맞추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단에 결합하되, 사용자의 쇄골측에 안착되어 착용되는 제1 메인 프레임(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타측단에 결합하되, 사용자의 쇄골측에 안착되어 착용되는 제2 메인 프레임(300),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에 결합되되, 음파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하는 스피커모듈(4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에 결합되되, 상기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소자로 형성되되,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출력 방향을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을 통하여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초음파 스피커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장 스피커를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용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넥밴드 헤드셋의 외장 스피커와 결합되되, 상기 외장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을 포함하고,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은,
상기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방사 폭을 한정시켜 음파의 퍼짐을 방지하고, 음파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하는 외곽 플레이트(510),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 내측 공간을 분할시키는 분할 플레이트(520),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되, 상기 분할 플레이트(520)와 교차 결합되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스피커모듈(400)의 음파가 출력되어 방사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530)를 더 포함하게 됨으로써 상기 서술한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은,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여 리시브 없이 스피커를 통한 음향 출력으로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스피커를 통하여 음향 출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시, 출력 음향의 퍼짐 폭을 한정시켜 출력된 음향의 세기를 간접적으로 증폭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의 귀 위치에 맞추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착용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분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각도 조절 예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 형상에 따른 음파 출력 방향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메인 프레임 슬롭파트 측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과 스피커모듈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착용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분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각도 조절 예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 형상에 따른 음파 출력 방향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메인 프레임 슬롭파트 측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의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과 스피커모듈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은,
사용자 목 둘레에 맞추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단에 결합하되, 사용자의 쇄골측에 안착되어 착용되는 제1 메인 프레임(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타측단에 결합하되, 사용자의 쇄골측에 안착되어 착용되는 제2 메인 프레임(300),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에 결합되되, 음파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하는 스피커모듈(4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에 결합되되, 상기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소자로 형성되되,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출력 방향을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을 통하여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초음파 스피커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사용자 목 둘레에 맞추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사용자 목 둘레이 맞추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되, 'U'자형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단에 결합하되, 사용자의 쇄골측에 안착되어 착용하게 된다.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측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결합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틸트조절부재(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과 인접한 측에 위치되는 플렛파트(A),
상기 플렛파트(A)에 인접하되, 상기 플렛파트(A)와 경사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쇄골측에 안착될 수 있는 슬롭파트(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메인 프레임(3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타측단에 결합하되, 사용자의 쇄골측에 안착되어 착용하게 된다.
상기 제2 메인 프레임(3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측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결합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틸트조절부재(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메인 프레임(3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과 인접한 측에 위치되는 플렛파트(A),
상기 플렛파트(A)에 인접하되, 상기 플렛파트(A)와 경사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쇄골측에 안착될 수 있는 슬롭파트(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은 각각 틸트조절부재(C)를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틸트조절부재(C)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결합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과 베이스 프레임(100) 간의 결합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구성인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이 개방된 측으로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된 음파의 직선 출력 방향을 인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넥밴드에서 스피커모듈(400)을 통하여 음향을 출력할 시, 넥밴드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귀의 형태, 귀의 위치가 제각기 다르기때문에 출력된 음향이 사용자의 귀 내측으로 온전히 도달하기 어려워 출력 세기를 높여야 하며, 이를 실시한다 하여도 음파의 진동 운동 진행방향이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귀 측으로 음파가 도달하는 양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술한 틸트조절부재(C)에 의하여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과 베이스프레임 간의 결합 축을 중심으로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스피커모듈(400)의 출력 방향을 사용자의 귀 측으로 맞출 수 있음으로 상기 서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진동 운동 진행방향을 직접적으로 사용자가 본인의 신체 구조에 따라 변경할 수 있기때문에 사용자에게 온전한 음향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에 결합되되, 상기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은,
상기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방사 폭을 한정시켜 음파의 퍼짐을 방지하고, 음파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하는 외곽 플레이트(510),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 내측 공간을 분할시키는 분할 플레이트(520),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되, 상기 분할 플레이트(520)와 교차 결합되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스피커모듈(400)의 음파가 출력되어 방사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530),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30)의 하측에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30)가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중심축 역할을 하는 회전 기준축(540),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30)의 상측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결합되되,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플레이트(530)의 통합적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바(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분할 플레이트(520)은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 내측 공간을 분할시키되,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에서 X축을 기준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30)는, 상기 분할 플레이트(520)와 교차 결합할 시 Y축을 기준으로 교차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30)는,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가이드플레이트(530)는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는, 상기 분할 플레이트(520) 및 가이드플레이트(530)에 의하여 내측 공간이 균일한 면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진동판의 진동을 공기 입자들이 이동에 따라 음파의 이동이 진행하게 되는데, 스피커 진동판이 진동하는 측이 개방되어 있을 시 음파가 방사되는 성질이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가 출력되는 음파의 방사 폭을 한정시킴과 동시에 음파가 출력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가 서로 중첩될 시 진폭이 중첩되어 증폭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의 외곽 플레이트(510)가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가 방사되는 범위를 한정시킴으로써 스피커모듈(400)의 출력 음파의 진폭을 증폭시켜 음파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과 제2 메인 프레임(300)은 틸트조절부재(C)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추어 베이스 프레임(100)과의 결합 축 기준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는데 추가적으로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은 상기 서술한바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530)를 포함하므로써 보조적으로 스피커모듈(400)의 음파 출력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530)가 상기 회전 기준축(540)을 중심으로 상기 슬라이딩바(550)를 조작하여 가이드플레이트(530)를 일측 및 타측으로 기울기 조절을 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틸트조절부재(C)를 이용하여 스피커모듈(400)의 음파 출력 방향을 사용자 신체에 맞추고,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의 가이드플레이트(530) 기울기를 미세조정하여 사용자 신체 구조에 맞추어 귀 측으로 스피커모듈(400)의 음파 출력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1차로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제2 메인 프레임(300)을 회전시켜 사용자의 귀 측으로 스피커모듈(400)을 지향시키고, 2차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스피커모듈(400)의 음파 출력 방향을 미세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추어 스피커모듈(400)을 지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에 결합되되, 음파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은, 하측에 상기 스피커모듈(4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의 플렛파트(A) 및 슬롭파트(B), 제2 메인 프레임(300)의 플렛파트(A) 및 슬롭파트(B)에 각각 위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피커모듈(400)이 제1 메인 프리엠의 슬롭파트(B) 및 제2 메인 프레임(300)의 슬롭파트(B)에 위치하여 결합될 시, 상기 슬롭파트(B)의 경사도와 상기 스피커모듈(400)의 경사도는 달리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슬롭파트(B)는 사용자의 쇄골측에 안착되는 파트로서 슬롭파트(B)의 상측면은 사용자의 귀측이 아닌 전방으로 지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모듈(400)을 상기 슬롭파트(B)의 경사도와 일치하여 결합하게 되면 스피커모듈(400)이 사용자의 귀 측을 향하지 않고 전방을 향하게 됨으로써 상기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고 상실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롭파트(B)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스피커모듈(400)의 경사도와 상기 슬롭파트(B)의 경사도를 서로 상이하게 형성하되, 상기 스피커모듈(400)이 사용자의 귀 측 방향으로 지향시켜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슬롭파트(B)에 결합되는 스피커모듈(400)을 사용자 귀 측으로 지향시킴으로써 넥밴드 구조인 베이스 프레임(100),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의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고 사용자의 신체에 안정적으로 착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추어 스피커모듈(400)의 음향을 온전히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소자로 형성되되,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출력 방향을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을 통하여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커모듈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소자로 형성하되, 각각의 스피커 소자는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에서 분할 플레이트(520) 및 가이드플레이트(530)의 결합 관계에 따라 외곽 플레이트(510)의 내부 공간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의 가이드플레이트(530)의 기울기에 따라 각각의 스피커 소자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초음파 스피커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서술한 바와 같이 초음파 스피커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일반 스피커를 이용하여 스피커모듈(400)을 구성하였을 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파가 주변으로 방사돼서 음향이 사용자에게만 출력되는 것이 아닌 주변으로 퍼짐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 전달될뿐만 아니라, 퍼짐으로 인한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음파 세기가 저하되기 때문에 출력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하는데, 이에 반하여 초음파 스피커는 출력되는 음파에 대하여 지향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음파의 방사 성질이 최소화되어 사용자에게 도달되는 음파 세기가 일정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상기 스피커모듈(400)을 초음파 스피커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구성인 음향 방향 가이드 플레이트를 함께 구성함에 따라, 상기 스피커모듈(400)의 지향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출력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음향 방향 가이드 플레이트의 음파 중폭부재에 의하여 음파의 세기를 증폭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은,
사용자 신체에 착용하여 리시브 없이 스피커를 통한 음향 출력으로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스피커를 통하여 음향 출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시, 출력 음향의 퍼짐 폭을 한정시켜 출력된 음향의 세기를 간접적으로 증폭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의 귀 위치에 맞추어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베이스 프레임
200 : 제1 메인 프레임
300 : 제2 메인 프레임
400 : 스피커모듈
500 :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

Claims (8)

  1.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1)에 있어서,
    사용자 목 둘레에 맞추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단에 결합하되, 사용자의 쇄골측에 안착되어 착용되는 제1 메인 프레임(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타측단에 결합하되, 사용자의 쇄골측에 안착되어 착용되는 제2 메인 프레임(300);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에 결합되되, 음파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하는 스피커모듈(400);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에 결합되되, 상기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을 포함하고,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은,
    상기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방사 폭을 한정시켜 음파의 퍼짐을 방지하고, 음파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하는 외곽 플레이트(510);와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 내측 공간을 분할시키는 분할 플레이트(520);와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되, 상기 분할 플레이트(520)와 교차 결합되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스피커모듈(400)의 음파가 출력되어 방사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상기 제1 메인 프레임(200) 및 제2 메인 프레임(300)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소자로 형성되되,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피커모듈(400)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출력 방향을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을 통하여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모듈(400)은, 초음파 스피커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6. 넥밴드 헤드셋의 스피커모듈과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모듈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스피커모듈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용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500)은,
    상기 스피커모듈에서 출력되는 음파의 방사 폭을 한정시켜 음파의 퍼짐을 방지하고, 음파의 출력 방향을 가이드하는 외곽 플레이트(510);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 내측 공간을 분할시키는 분할 플레이트(520);
    상기 외곽 플레이트(51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되, 상기 분할 플레이트(520)와 교차 결합되고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스피커모듈의 음파가 출력되어 방사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모듈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용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
  7. 삭제
  8. 삭제
KR1020190144569A 2019-11-12 2019-11-12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KR102164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69A KR102164886B1 (ko) 2019-11-12 2019-11-12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69A KR102164886B1 (ko) 2019-11-12 2019-11-12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886B1 true KR102164886B1 (ko) 2020-10-13

Family

ID=7288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569A KR102164886B1 (ko) 2019-11-12 2019-11-12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8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159A (ko) * 2008-01-29 2009-08-03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KR101471084B1 (ko) * 2013-11-06 2014-12-23 박도영 이어폰 대용 목걸이형 초음파 스피커
KR101755324B1 (ko) 2016-05-27 2017-07-07 주식회사 블루콤 다목적 넥밴드형 이어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159A (ko) * 2008-01-29 2009-08-03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음향의 지향성과 안정된 착용감을 갖춘 넥폰
KR101471084B1 (ko) * 2013-11-06 2014-12-23 박도영 이어폰 대용 목걸이형 초음파 스피커
KR101755324B1 (ko) 2016-05-27 2017-07-07 주식회사 블루콤 다목적 넥밴드형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03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sound
US92710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wireless extension collar device for altering operational mode of mobile and fixed end-user wireless devices by voice commands
US10390129B2 (en) Acoustic device
CN110036652A (zh) 声换能器
US8208970B2 (en) 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s
US7974664B2 (en) Bluetooth earphone and ear-hook device thereof
US9756159B2 (en) Handphone
US20070049361A1 (en) Side mounted wireless headset
KR101734412B1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스피커
KR101471084B1 (ko) 이어폰 대용 목걸이형 초음파 스피커
US20140192994A1 (en) Noise Cancelling Headphone
US20180152783A1 (en) Method to dynamically change the directional speakers audio beam and level based on the end user activity
US20240163610A1 (en) Modular headset assembly
KR102164886B1 (ko) 외장 스피커 및 음파 방향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넥밴드형 헤드셋
KR101626863B1 (ko) 블루투스 스피커
KR200426390Y1 (ko)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
CN215344995U (zh) 一种挂耳式个人音响设备
KR102027876B1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스피커
TW202125458A (zh) 搜尋一無線裝置的方法及運用此方法之行動裝置
WO2020220633A1 (zh) 一种可定向传声的智能手表
KR101965513B1 (ko) 귀 개방형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소리 재생 방법
KR200185509Y1 (ko) 패션 헤드폰
KR20090053415A (ko) 무선 리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