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195B1 - 귀덮개 및 다양한 굿즈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귀덮개 및 다양한 굿즈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195B1
KR102428195B1 KR1020220028874A KR20220028874A KR102428195B1 KR 102428195 B1 KR102428195 B1 KR 102428195B1 KR 1020220028874 A KR1020220028874 A KR 1020220028874A KR 20220028874 A KR20220028874 A KR 20220028874A KR 102428195 B1 KR102428195 B1 KR 10242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hat
support
hinge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민
Original Assignee
유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민 filed Critical 유현민
Priority to KR102022002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모자에 장착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는, 모자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모자의 표면에 안착되는 구조이고, 착용자의 양측 귀에 인접하는 위치에 양단부가 연장된 구조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지지부를 모자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고정시키는 결속부; 및 상기 지지부 또는 결속부의 양측에 장착되고,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으로 위치변경 가능한 구조이며, 일측에 착용자의 귀를 덮을 수 있는 보온부재가 장착되는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모자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구조를 변경하여 장착하고자 하는 다양한 제품을 장착 및 활용할 수 있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귀덮개 및 다양한 굿즈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A Cap-Mounted Variable Type Mount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For Attaching Earmuffs And Various Goods}
본 발명은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구조의 모자에 장착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고, 다양한 제품을 장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귀마개는 귀를 추위, 소음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여 귀를 감싸도록 한 것으로서, 탄성을 갖는 홀더의 양 단부에 귀마개 본체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는 감촉이 좋은 섬유재 등으로 피복하여 귀를 추위로 부터 보호하고, 소음 등 으로부터 귀를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 귀마개는 머리에 직접 착용하거나, 모자를 착용하고 모자 위에 덧 착용하기도 하며, 방한모자의 경우에는 모자 좌우에 귀마개가 일체로 제작된 제품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모자와 귀마개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휴대가 번거롭고, 그로 인해 귀마개의 분실 우려가 높아지는 등 휴대 편의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후자와 같이 방한모자에 일체형으로 제작된 귀마개는 분실의 우려는 감소되지만, 귀마개를 미사용 시에는 모자 위로 접어서 결속수단으로 귀마개를 모자 중앙 상부에서 결속시켜야 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며, 동절기가 아닌 경우에는 거의 사용치 않는 등 개선의 소지를 안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76972호 (등록일자: 2021년07월0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모자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구조를 변경하여 장착하고자 하는 다양한 제품을 장착 및 활용할 수 있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는, 모자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모자의 표면에 안착되는 구조이고, 착용자의 양측 귀에 인접하는 위치에 양단부가 연장된 구조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지지부를 모자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고정시키는 결속부; 및 상기 지지부 또는 결속부의 양측에 장착되고,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으로 위치변경 가능한 구조이며, 일측에 착용자의 귀를 덮을 수 있는 보온부재가 장착되는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모자의 챙과 크라운이 만나는 굴곡면을 따라 연속되어 챙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는 결속부와 힌지구조에 의해 결속된다. 이때, 상기 힌지구조는, 상기 결속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힌지결속구;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힌지결속구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힌지결속축; 상기 결속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힌지결속축의 회전에 대항하여 복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결속부에 형성되고, 힌지결속축의 특정 회전각도에 따라 위치를 고정하는 회전각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지지부의 위치가 챙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방향으로 복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는 코일스프링 구조이며, 상기 회전각고정부는, 힌지결속구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결속홈; 및 힌지결속축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결속홈과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모자의 챙과 크라운이 만나는 굴곡면을 따라 연속되어 챙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는, 중앙부에 장착되고 양단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소정 깊이만큼 형성된 중앙지지부; 상기 중앙지지부의 양단에 장착되고, 중앙지지부의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토출되어 지지부의 전체 길이를 변경하는 양단지지부; 및 상기 중앙지지부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고, 양단지지부의 삽입 깊이 및 토출 길이를 고정하는 길이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모자의 크라운의 하단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되는 클립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속부는, 일측면에 지지부와 결속되는 구조의 힌지결속구; 및 상기 힌지결속구의 내주면에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결속홈;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힌지결속구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힌지결속축; 및 상기 힌지결속축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결속홈과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귀덮개 위치변경부는, 상기 지지부 또는 결속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길이변경 가능한 구조의 수평연장레일; 상기 수평연장레일상에 위치변경 가능한 구조로 탑재되고, 상방 및 하방으로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의 수직연장레일; 상기 지지부 또는 결속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수평연장레일의 제자리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변경체결부; 및 상기 수직연장레일에 위치변경 가능한 구조로 탑재되고, 일측면에 착용자의 귀를 덮을 수 있는 보온부재를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온부재는, 착용자의 귀를 덮을 수 있는 구조의 보온본체부; 상기 보온본체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장착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는 결속구조; 및 상기 보온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이어폰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의 이어폰삽입홈;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지지부, 결속부 및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모자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구조를 변경하여 장착하고자 하는 다양한 제품을 장착 및 활용할 수 있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귀마개, 헤드셋, 굿즈, 캐릭터 제품, 응원 제품 등을 손쉽게 장착 및 활용할 수 있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힌지결속구, 힌지결속축, 탄성부재 및 회전각고정부를 포함하는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지지부의 장착 위치 및 각도를 변경하고, 특정 구조의 중앙지지부, 양단지지부 및 길이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부의 전체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장착하고자 하는 다양한 크기 및 사양을 가지는 모자에 안정적으로 맞춤 적용할 수 있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수평연장레일, 수직연장레일, 각도변경체결부 및 장착부를 포함하는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장착하고자 하는 다양한 크기 및 사양을 가지는 모자에 안정적으로 맞춤 적용할 수 있고, 착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귀 바퀴의 위치에 맞춤 적용할 수 있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보온본체부, 결속구조 및 이어폰삽입홈을 포함하는 보온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무선이어폰 또는 유선이어폰을 추가로 장착하여 활용할 수 있고, 장착부로부터 탈거하여 손쉽게 세탁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손쉬운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한용 귀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의 보온부재를 탈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해당하는 분해 조립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의 지지부가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각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모자의 챙과 크라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귀덮개 위치변경부에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과 보온부재의 외부측면에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 및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귀덮개 위치변경부의 측방연장부의 일단부에 보온부재장착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의 레일주행부의 위치를 위치변경레일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켜 보온부재장착부의 위치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 및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의 측방연장부의 위치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의 측방연장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보온부재장착부의 위치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 및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이용하여 보온부재장착부의 위치와 방향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이용하여 보온부재장착부의 위치와 방향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이용하여 보온부재장착부의 위치와 방향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이용하여 보온부재장착부의 위치와 방향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 및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이용하여 보온부재장착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이용하여 보온부재장착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의 보온부재를 탈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특정 구조의 지지부(110), 결속부(120) 및 귀덮개 위치변경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모자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고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귀덮개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3의 A부분에 해당하는 분해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의 지지부가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각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지지부(110), 결속부(120) 및 귀덮개 위치변경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10)는, 모자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모자의 표면에 안착되는 구조이고, 착용자의 양측 귀에 인접하는 위치에 양단부가 연장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120)는, 지지부(110)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지지부(110)를 모자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귀덮개 위치변경부(130)는, 지지부(110) 또는 결속부(120)의 양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으로 위치변경 가능한 구조이며, 일측에 착용자의 귀를 덮을 수 있는 보온부재(140)가 장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10)는, 모자의 챙과 크라운이 만나는 굴곡면을 따라 연속되어 챙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부(110)의 양단부는 결속부(120)와 힌지구조(121)에 의해 결속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121)는, 특정 구조의 힌지결속구(121a), 힌지결속축(121b), 탄성부재(121c) 및 회전각고정부(121d)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구조(121)의 힌지결속구(121a)는, 결속부(1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구조이다. 힌지결속축(121b)은, 지지부(110)의 양단부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힌지결속구(121a)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탄성부재(121c)는, 결속부(12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힌지결속축(121b)의 회전에 대항하여 복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각고정부(121d)는, 결속부(120)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힌지결속축(121b)의 특정 회전각도에 따라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언급한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21c)는, 지지부(110)의 위치가 챙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방향으로 복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는 코일스프링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각고정부(121d)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속구(121a)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결속홈(121e), 및 힌지결속축(121b)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결속홈(121e)과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돌기(121f)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10)는 사용자의 의도 및 장착하고자 하는 모자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모자의 챙과 크라운이 만나는 굴곡면을 따라 연속되어 챙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10)는, 특정 구조의 중앙지지부(111), 양단지지부(112) 및 길이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지지부(110)의 중앙지지부(111)는, 모자의 챙 중앙부에 장착되고 양단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소정 깊이만큼 형성된 구조이다. 양단지지부(112)는, 중앙지지부(111)의 양단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중앙지지부(111)의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토출되어 지지부(110)의 전체 길이를 변경하는 구조이다. 또한, 길이고정부재는, 중앙지지부(111)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양단지지부(112)의 삽입 깊이 및 토출 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B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모자의 챙과 크라운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귀덮개 위치변경부(130)는, 특정 구조의 수평연장레일(131), 수직연장레일(132), 각도변경체결부(133) 및 장착부(13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귀덮개 위치변경부(130)의 수평연장레일(131)은, 지지부(110) 또는 결속부(120)의 일측에 장착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길이변경 가능한 구조이다. 수직연장레일(132)은, 수평연장레일(131)상에 위치변경 가능한 구조로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상방 및 하방으로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이다. 각도변경체결부(133)는, 지지부(110) 또는 결속부(120)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수평연장레일(131)의 제자리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구조이다. 또한, 장착부(134)는, 수직연장레일(132)에 위치변경 가능한 구조로 탑재되고, 일측면에 착용자의 귀를 덮을 수 있는 보온부재(140)를 장착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힌지결속구(121a), 힌지결속축(121b), 탄성부재(121c) 및 회전각고정부(121d)를 포함하는 힌지구조(121)를 이용하여 지지부(110)의 장착 위치 및 각도를 변경하고, 특정 구조의 중앙지지부(111), 양단지지부(112) 및 길이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지지부(110)의 전체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장착하고자 하는 다양한 크기 및 사양을 가지는 모자에 안정적으로 맞춤 적용할 수 있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온부재(14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보온본체부(141), 결속구조(142) 및 이어폰삽입홈(143)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온부재(140)의 보온본체부(141)는 착용자의 귀를 덮을 수 있는 구조이다. 결속구조(142)는, 보온본체부(141)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구조로서, 장착부(134)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는 구조이다. 또한, 이어폰삽입홈(143)은, 보온본체부(14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이어폰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보온본체부(141), 결속구조(142) 및 이어폰삽입홈(143)을 포함하는 보온부재(140)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무선이어폰 또는 유선이어폰을 추가로 장착하여 활용할 수 있고, 장착부(134)로부터 탈거하여 손쉽게 세탁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손쉬운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는 귀덮개 위치변경부에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과 보온부재의 외부측면에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귀덮개 위치변경부(130)에는 도 9에 도시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장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에 도시된 무선 헤드셋을 장착할 수 있고, (b)에 도시된 보온부재를 장착할 수 있으며, 보온부재의 외부면에는 (c)에 도시된 캐릭터를 장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d)에 도시된 야구팀 로고를 부착하거나 (e)에 도시된 연예인의 캐리커처 또는 사진을 부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f)에 도시된 응원하고자 하는 팀의 엠블럼 등을 부착하여 응원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 및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에 도시된 귀덮개 위치변경부의 측방연장부의 일단부에 보온부재장착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 내지 도 15에는 도 11에 도시된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의 레일주행부의 위치를 위치변경레일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켜 보온부재장착부의 위치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120)의 외부측면에는 상하 높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의 위치변경레일(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위치변경레일(122)에는 위치변경레일(122)의 연장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위치변경되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의 레일주행부(135)가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주행부(135)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보온부재장착부(138)의 위치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주행부(135)의 일측면에 힌지결속조인트(136)를 형성하고 힌지결속조인트(136)에 측방연장부(137)를 장착하며, 측방연장부(137)에 절곡조인트(137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 내지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연장부(137)의 위치 및 절곡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보온부재장착부(138)의 위치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 및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 내지 도 20에는 도 16에 도시된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이용하여 보온부재장착부의 위치와 방향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온부재장착부(138)의 형상과 외부면 모습을 특정 캐릭터 형상 또는 모습으로 디자인 할 수 있다.
또한, 측방연장부(137)과 보온부재장착부(138)의 연결부분에 피봇조인트(138a)를 장착하여,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부재장착부(138)의 방향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 및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2 내지 도 23에는 도 21에 도시된 귀덮개 위치변경부를 이용하여 보온부재장착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주행부(135)와 측방연장부(137)의 연결부분을 피봇조인트(136b)로 구성함으로써, 도 22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온부재장착부(138)의 위치, 방향 및 각도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모자
11: 챙
12: 크라운
100: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110: 지지부
111: 중앙지지부
112: 양단지지부
120: 결속부
121: 힌지구조
121a: 힌지결속구
121b: 힌지결속축
121c: 탄성부재
121d: 회전각고정부
121e: 결속홈
121f: 결속돌기
121g: 장착부
122: 위치변경레일
130: 귀덮개 위치변경부
131: 수평연장레일
132: 수직연장레일
133: 각도변경체결부
134: 장착부
135: 레일주행부
136: 힌지결속조인트
136b: 피봇조인트
137: 측방연장부
137a: 절곡조인트
138: 보온부재장착부
138a: 피봇조인트
140: 보온부재
141: 보온본체부
142: 결속구조
143: 이어폰삽입홈
144: 개폐부
144a: 전방개폐부
144b: 측방개폐부

Claims (5)

  1. 모자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모자의 표면에 안착되는 구조이고, 착용자의 양측 귀에 인접하는 위치에 양단부가 연장된 구조의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지지부(110)를 모자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고정시키는 결속부(120); 및
    상기 지지부(110) 또는 결속부(120)의 양측에 장착되고, 전방, 후방, 상방 또는 하방으로 위치변경 가능한 구조이며, 일측에 착용자의 귀를 덮을 수 있는 귀덮개 또는 굿즈가 장착되는 귀덮개 위치변경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모자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중앙지지부(111);
    상기 중앙지지부(111)의 양단에 장착되는 양단지지부(112); 및
    상기 양단지지부(112)의 삽입 길이 및 토출길이를 조절하는 길이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는,
    모자의 챙과 크라운이 만나는 굴곡면을 따라 연속되어 챙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구조이고,
    상기 지지부(110)의 양단부는 결속부(120)와 힌지구조(121)에 의해 결속되며,
    상기 힌지구조(121)는,
    상기 결속부(12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힌지결속구(121a);
    상기 지지부(110)의 양단부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힌지결속구(121a)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힌지결속축(121b);
    상기 결속부(120)의 내부에 장착되고, 힌지결속축(121b)의 회전에 대항하여 복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1c);
    상기 결속부(120)에 형성되고, 힌지결속축(121b)의 특정 회전각도에 따라 위치를 고정하는 회전각고정부(121d);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121c)는 지지부(110)의 위치가 챙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방향으로 복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는 코일스프링 구조이고,
    상기 회전각고정부(121d)는, 힌지결속구(121a)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결속홈(121e); 및 힌지결속축(121b)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결속홈(121e)과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돌기(121f);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는,
    모자의 챙과 크라운이 만나는 굴곡면을 따라 연속되어 챙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구조이고,
    상기 중앙지지부(111)는,
    양단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소정 깊이만큼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양단지지부(112)는,
    중앙지지부(111)의 양단에 장착되고, 중앙지지부(111)의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토출되어 지지부(110)의 전체 길이를 변경하는 구조이고,
    상기 길이고정부재는,
    상기 중앙지지부(111)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20)는,
    상기 모자의 크라운의 하단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되는 클립구조이고,
    일측면에 지지부(110)와 결속되는 구조의 힌지결속구(121a); 및
    상기 힌지결속구(121a)의 내주면에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결속홈(121e);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지지부(110)의 양단부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힌지결속구(121a)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힌지결속축(121b); 및
    상기 힌지결속축(121b)의 외주면에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결속홈(121e)과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돌기(121f);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덮개 위치변경부(130)는,
    상기 지지부(110) 또는 결속부(120)의 일측에 장착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길이변경 가능한 구조의 수평연장레일(131);
    상기 수평연장레일(131)상에 위치변경 가능한 구조로 탑재되고, 상방 및 하방으로 길이 변경 가능한 구조의 수직연장레일(132);
    상기 지지부(110) 또는 결속부(120)의 일측에 장착되고, 수평연장레일(131)의 제자리 회전 각도를 변경하는 각도변경체결부(133); 및
    상기 수직연장레일(132)에 위치변경 가능한 구조로 탑재되고, 일측면에 착용자의 귀를 덮을 수 있는 보온부재(140)를 장착하는 장착부(134);
    를 포함하고,
    상기 보온부재(140)는,
    착용자의 귀를 덮을 수 있는 구조의 보온본체부(141);
    상기 보온본체부(141)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장착부(134)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는 결속구조(142); 및
    상기 보온본체부(141)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이어폰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의 이어폰삽입홈(1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KR1020220028874A 2022-03-07 2022-03-07 귀덮개 및 다양한 굿즈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KR10242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874A KR102428195B1 (ko) 2022-03-07 2022-03-07 귀덮개 및 다양한 굿즈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874A KR102428195B1 (ko) 2022-03-07 2022-03-07 귀덮개 및 다양한 굿즈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195B1 true KR102428195B1 (ko) 2022-08-02

Family

ID=82845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874A KR102428195B1 (ko) 2022-03-07 2022-03-07 귀덮개 및 다양한 굿즈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1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932U (ko) * 2009-11-25 2009-12-18 박영훈 모자에 착탈 가능한 귀마개
KR200468535Y1 (ko) * 2013-02-05 2013-08-19 최종주 차양 마스크
KR101570299B1 (ko) * 2014-09-04 2015-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셋
KR102276972B1 (ko) 2020-11-26 2021-07-13 고영진 방한용 귀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932U (ko) * 2009-11-25 2009-12-18 박영훈 모자에 착탈 가능한 귀마개
KR200468535Y1 (ko) * 2013-02-05 2013-08-19 최종주 차양 마스크
KR101570299B1 (ko) * 2014-09-04 2015-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셋
KR102276972B1 (ko) 2020-11-26 2021-07-13 고영진 방한용 귀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2196B1 (en) Thermal earmuff
EP2090272B1 (en) Earmuff device
US20060000006A1 (en) Protective ear appliance
US20120144565A1 (en) Head band
US20080219492A1 (en) Headphone
EP3143888A1 (en) Headband having integrated functional cushion case
US20060015989A1 (en) Ear protection device
US20130195308A1 (en) Ear warmer
US6148446A (en) Multi-position banded earmuff
JP3749534B2 (ja) 耳カバー装置および耳保温フレーム
JP2012508500A (ja) 個人用聴取装置
KR102428195B1 (ko) 귀덮개 및 다양한 굿즈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모자탑재형 가변 장착장치
KR200408636Y1 (ko) 헤어스타일 보호구
KR20130077747A (ko) 기능성 모자
KR200447637Y1 (ko) 모자에 착탈 가능한 귀마개
KR200403609Y1 (ko) 모자용 냉각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모자
KR101843357B1 (ko)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가변 모자챙 및 그 모자챙을 갖는 모자
US20170224040A1 (en) Cap having folding visor
KR200364464Y1 (ko) 헤드폰의 헤드밴드
JP3151488U (ja) 帽子用眼鏡
JP6198609B2 (ja) 帽子用内装具、及び帽子
KR101312050B1 (ko) 헤드폰
KR200470496Y1 (ko) 다기능 비니모자
KR200362066Y1 (ko) 헤드폰의 헤드밴드
KR200364466Y1 (ko) 헤드폰의 헤드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