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690B1 - 휴대용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690B1
KR101861690B1 KR1020160179179A KR20160179179A KR101861690B1 KR 101861690 B1 KR101861690 B1 KR 101861690B1 KR 1020160179179 A KR1020160179179 A KR 1020160179179A KR 20160179179 A KR20160179179 A KR 20160179179A KR 101861690 B1 KR101861690 B1 KR 101861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utton
coupled
substrate
butto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관철
박시영
박준수
강원재
유현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690B1/ko
Priority to US15/840,745 priority patent/US10356506B2/en
Priority to PCT/KR2017/015007 priority patent/WO201812458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Abstract

휴대용 음향기기에 있어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체 형상의 슬림화 및 무게의 경량화를 위해 사용자의 목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양 단에 결합하고 전장부를 형성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버튼 홀, 상기 제1 버튼 홀을 통해 노출되어 구비되는 제1 버튼, 상기 제1 버튼 홀을 포함하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제1 영역을 감싸는 측면 케이스 및 상기 제1 버튼 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영역 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바디의 외측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배수 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PORTABLE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와 음향 신호를 송/수신하고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 받은 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어 유닛을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에 보관할 수 있으며, 하중이 귀나 머리가 아닌 사용자의 어깨 또는 쇄골 쪽에 가해지므로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다.
따라서 일정 정도의 무게까지 부담이 가능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특정 수준까지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넥밴드 바디를 사용자의 목에 계속해서 착용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신체에 무리를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벼운 무게 및 최소의 크기를 가질 필요가 있다.
또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휴대용 음향기기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슬림한 바디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양 단에 결합하고 전장부를 형성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버튼 홀, 상기 제1 버튼 홀을 통해 노출되어 구비되는 제1 버튼, 상기 제1 버튼 홀을 포함하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제1 영역을 감싸는 측면 케이스 및 상기 제1 버튼 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영역 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바디의 외측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배수 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수 홈은, 상기 제1 버튼 홀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홈 및 상기 상부 홈의 양단에 이어져 상기 제1 버튼 홀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측부 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2 버튼 홀 및 상기 제2 버튼 홀에 구비되는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은, 제2 버튼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전장부 내벽을 지지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경계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버튼 홀의 경계 내벽을 지지하는 탄성소재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실링부는 우레탄(Urethane)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에 이중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양 단에 결합하고 전장부를 형성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을 형성하는 고정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 와이어 단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장부에 안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의 외측면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측벽과 고정되는 함몰 홈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에 돌출 구비된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측벽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바디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하여 전장부를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어 외주면에 상기 고정 브라켓이 결합하는 제1 결합 보스, 상기 상부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 보스와 체결되는 제2 결합 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부 및 제2 결합 보스를 연결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 보스 및 제2 결합 보스를 관통하는 스크류 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홀에 결합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가 노출되는 스크류 홀의 일측을 막는 홀 캡 및 상기 스크류와 상기 홀 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전장부를 관통하는 압력 조절 홀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양 단에 각각 결합하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 폭이 상부 및 하부보다 중심부가 더 넓은 제1 전장부 및 제2 전장부, 상기 제1 전장부 및 제2 전장부의 각 중심부에 구비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1 기판의 배면에 결합하는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기판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 기판의 배면에 결합하는 제2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바디의 하면 사이에 구비된 제1 접착 물질 및 상기 제2 배터리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면 사이에 구비된 제2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판의 배면에 구비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에서 출사된 빛을 확산시켜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기판과 동일 위상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외관에 노출 구비되는 발광 렌즈, 상기 발광 렌즈에서 연장되어 상기 발광 소자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확산부 및 상기 확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기판의 측면에 위치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확장부의 일단은 상기 메인 바디의 전장부 일면을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기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휴대용 음향기기의 방수 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휴대용 음향기기의 내구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적은 비용으로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넥밴드 와이어와 메인 바디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슬림한 휴대용 음향기기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휴대용 음향기기의 무게가 일측에 편향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크류과 외관에 드러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홀 캡이 쉽게 빠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2 버튼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메인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넥밴드 와이어 단부의 상면과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내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상부 케이스가 제거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메인 바디 일부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정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B-B'방향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어 유닛을 넥밴드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에 보관할 수 있으며, 하중이 귀나 머리가 아닌 사용자의 어깨 또는 쇄골 쪽에 가해지므로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다.
따라서 일정 정도의 무게까지 부담이 가능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특정 수준까지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넥밴드 바디를 사용자의 목에 계속해서 착용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신체에 무리를 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벼운 무게 및 최소의 크기를 가질 필요가 있다.
또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무선 통신부(210), 입력부(220), 센싱부(230), 출력부(240), 인터페이스부(250), 제어부(260) 및 전원 공급부(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용 음향기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음향기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21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음향기기(2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21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 모듈(211), 위치정보 모듈(2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1)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211)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 사이, 또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1)은, 휴대용 음향기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단말기 등을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60)는 감지된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1)을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말기 등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212)은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212)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2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215)은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 microphone, 221),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222,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2)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통화 버튼,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 전원 버튼 및 음향케이블을 메인 바디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버튼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2)는 통화 버튼, 한 쌍의 음량조절 버튼 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외에 시작/정지(play/stop) 버튼, 곡순서 변경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사용자 입력부(222)는 사용자가 직접 보지 않고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 버튼의 개수가 많으면 각 버튼의 기능을 구분하기 힘들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 및 횟수 그리고 복수개의 버튼을 조합하여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을 확대할 수도 있다.
마이크(221)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활용되거나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2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230)는 휴대용 음향기기 내 정보, 휴대용 음향기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30)는 근접센서(23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23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microphone, 221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휴대용 음향기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이어폰이 홀더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는 상기 자기 센서 등이 대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음향 출력부(241), 햅틱 모듈(242), 광 출력부(2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41)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폰 및 이어폰을 끼지 않은 상태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가 있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50)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5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6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70)는 제어부(26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휴대용 음향기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7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정면 사시도이다.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크게 넥밴드 와이어(110), 메인 바디(120), 이어 유닛(13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지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하방, 그 이면이 향하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한다. 또 사용자의 바라보는 정면 방향을 전방, 그 이면을 후방, 좌우 방향을 측방으로 정의한다.
넥밴드 와이어(110)는 사용자의 목 일 영역을 감싼다. 넥밴드 와이어(110)의 양 단에는 메인 바디(120)가 결합할 수 있다. 넥밴드 와이어(110), 메인 바디(120) 및 이어 유닛(130)은 전체가 좌우 대칭의 형태를 띨 수 있다.
넥밴드 와이어(110) 및 메인 바디(120)의 결합은 일측이 개방되어 사용자의 목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넥밴드 와이어(110)는 복원력을 가져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기 위해 휴대용 음향기기(100)가 벌어졌다 다시 오므라들 수 있도록 한다.
각 메인 바디(120)는 중공부를 형성하여 전장부를 형성한다. 전장부에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다.
전자 부품은 배터리 및 기판 등의 주요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유닛(130)은 소리를 직접적으로 출력하는 드라이버 유닛을 실장한다. 이어 유닛(130)은 이어 유닛 와이어(131)를 통해 메인 바디(120)의 전장부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어 유닛 와이어(131)는 이어 유닛(130)의 사용시 메인 바디(120)로부터 인출되고 비 사용시 메인 바디(120)에 인입될 수 있다. 이어 유닛(130)은 사용시 메인 바디(120)의 안착부에서 이탈되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고 비 사용시 메인 바디(120)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보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버튼은 메인 바디(120)에 구비되어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 버튼은 특히 메인 바디(120)의 외측면(1202) 또는 내측면(1201)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이며, 필요에 따라 상면(1203) 또는 하면(1204)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메인 바디(120)의 두 외측면(1202a, 1202b)을 도시한 것이고, 도 3(c)는 메인 바디(120)의 일 내측면(1201)을 도시한 것이다. 외측면(1202)에 구비된 버튼을 외측 버튼, 내측면(1201)에 구비된 버튼을 내측 버튼으로 정의한다.
버튼은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을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원을 ON/OFF하는 전원 버튼, 음악을 재생/정지하거나 수신 호를 받기 위한 버튼, 음량을 조절하는 버튼, 재생곡을 선택하는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어 유닛(130)과 메인 바디(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이어 유닛 와이어(131)를 메인 바디(120)로 인입시키는 줄 감개 버튼이 될 수도 있다.
외측 버튼은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기능을 수행하고, 내측 버튼은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로 전원 버튼은 사용 빈도가 적다는 점에서 내측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물리적으로 가압되는 돔 키(dome key) 또는 슬라이드 방식의 토글 버튼(toggle key)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정전용량 변화 등으로 감지하는 터치 키(touch key)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영역 확대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한다.
메인 바디(120)는 제1 버튼(141)이 구비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버튼 홀(12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버튼(141)은 제1 버튼 홀(123)을 통해 메인 바디(1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본 실시 예의 특징인 배수 홈의 적용을 받는 버튼 및 버튼 홀을 제1 버튼(141) 및 제1 버튼 홀(123)로 통칭한다.
본 실시 예는 제1 버튼 홀(123) 및 그에 대응되는 제1 버튼(141)이 메인 바디(120)의 외측면(1202)에 구비된 경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특징은 외측면(1202)에 구비된 버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측면(1201) 또는 상면(1203) 등 어디든 구비된 버튼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버튼 홀(123)은 메인 바디(120)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버튼 홀(123)은 메인 바디(120)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버튼 홀(123)은 메인 바디(120)의 외부에 구비된 제1 버튼(141)과 메인 바디(120)의 내부에 구비된 돔 키(142) 또는 슬라이더(143), 나아가 기판을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제1 버튼(141)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압되고, 제1 버튼(141)이 가압됨에 따라 돔키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전기 신호는 기판으로 전달된다. 버튼의 방식에 따라 상기 구성들은 가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글 버튼의 경우에는 돔 키(142)가 아닌 슬라이더(143)를 구비하게 된다.
측면 케이스(121)는 메인 바디(120)의 제1 영역을 감싸 구비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제1 영역은 제1 버튼 홀(123)이 구비된 영역을 포함한다.
측면 케이스(121)는 제1 버튼(141)의 가압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1211)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케이스(121)는 개구부(1211)의 크기를 제1 버튼(141)의 가압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에 따라 별도의 고정 구조 없이도 제1 버튼(141)이 개구부(1211)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 측면 케이스(121)는 매끄럽지 못한 외관 또는 노출될 필요가 없는 부품 등을 가리는역할을 한다. 측면 케이스(121)는 제1 버튼 홀(123) 또는 상부 케이스(1207)와 하부 케이스(1208)의 경계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배수 홈(122)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도 방지한다.
측면 케이스(121)가 감싸는 메인 바디(120)의 제1 영역은 측면(1202) 영역이 될 수 있다. 동시에, 측면 케이스(121)는 메인 바디(120)의 상면(1203) 일부 또는 하면(1204) 일부까지 연장되어 메인 바디(120)의 상면(1203) 또는 하면(1204)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측면 케이스(121)가 메인 바디(120)의 상면(1203) 및 하면(1204)의 일부 영역까지 감싸는 경우, 측면 케이스(121)와 메인 바디(120)의 결합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면(1203) 및 하면(1204)에 후크 홈(124)을 형성하고, 후크 홈(124)에 대응되는 측면 케이스(121)의 지점에 후크를 포함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측면 케이스(121)가 메인 바디(120)의 상면(1203) 및 하면(1204) 각 일부를 감싸 결합함에 따라 메인 바디(120)의 상부 케이스(1207)와 하부 케이스(1208)는 결합력을 더욱 확실이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버튼(141) 구조는 불가피하게 제1 버튼 홀(123)로 인한 방수 문제를 발생시킨다. 즉, 제1 버튼 홀(123)에 의해 전장부로 외부의 액체가 유입될 위험이 있다. 측면 케이스(121)가 메인 바디(120)의 제1 영역에 결합하더라도, 양 부재 사이의 경계가 별도의 방수 재질에 의해 실링되지 않는 이상 측면 케이스(121)와 메인 바디(120) 사이의 틈(1212, 도 2참조)을 통해 액체가 유입된다. 이 틈(1212, 도2 참조)을 통해 유입된 액체는 제1 버튼 홀(123), 나아가 메인 바디(120)의 전장부(1205)까지 유입될 수 있다.
배수 홈(122)은 제1 버튼 홀(123)에 이러한 외부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수 홈(122)은 물길을 형성하여 배수 홈(122)의 일 지점으로 유입된 액체가 배수 홈(122)을 따라 흘러 외부로 다시 흘러 나갈 수 있도록 한다.
배수 홈(122)은 제1 버튼 홀(12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배수 홈(122)은 제1 버튼 홀(123)의 상하좌우측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1 버튼(141)의 하측이 개방된 개곡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유입되는 액체는 비나 땀과 같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사용 과정에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유입되는 액체가 문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배수 홈(122)은 제1 버튼 홀(123)의 상측과 좌우측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측에 위치하는 배수 홈(122)을 상부 홈(1221), 좌우측에 위치하는 배수 홈(122)을 측부 홈(122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부 홈(1221)은 제1 버튼 홀(123)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부 홈(1222)은 상부 홈(1221)의 좌우 양단에서 이어질 수 있다. 측부 홈(1222)은 상부 홈(122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 홈(122)은 적어도 일 모퉁이에 배수 홈(122)의 폭 또는 깊이 보다 더 넓거나 깊은 고임 홈(122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임 홈(1223)은 유입되는 액체의 양이 많은 경우 배수 홈(122)이 넘쳐 제1 버튼 홀(123)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후크 홈(124)은 배수 홈(122)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배수 홈(122)의 일 영역을 형성하는 후크 홈(124)은 후크 결합의 역할과 배수 홈(122)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배수 홈(122)은 측면 케이스(121)에 가려질 수 있다. 즉, 배수 홈(122)은 제1 영역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배수 홈(122)은 제1 영역 내에서 되도록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게 형성된 배수 홈(122)은 액체가 유입될 확률을 증가시키며 배수 홈(122)이 머금을 수 있는 액체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배수 홈(122)은 측면뿐만 아니라 상면 일 영역에까지 구비될 수 있다. 즉, 배수 홈(122)의 상부 홈(1221)은 메인 바디(120)의 상면(1203)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버튼 홀(123)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배수 홈(122)은 복수의 제1 버튼 홀(123) 각각에 대응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1 버튼 홀(123)을 모두 감싸는 하나의 폐곡선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버튼(141)은 돔 키 방식 또는 슬라이드 토글 버튼 방식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배수 홈(122)을 통한 방수 구조는 제1 버튼(141)이 돔 키 방식인 경우 더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버튼(141)이 수직으로 가압되는 돔 키 방식인 경우에는 가압에 의해 불가피하게 틈이 발생하므로 후술하는 실링부 방식의 방수 구조로는 완전히 방수를 구현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버튼(141) 및 제1 버튼 홀(123)의 주변부로의 액체 유입을 차단하는 배수 홈(122) 방식이 유리하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2 버튼(150)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메인 바디(120)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한다.
도 4 및 도 5는 측면 케이스(121)가 구비된 영역의 버튼 홀에 대한 방수 구조에 관한 실시 예이다. 측면 케이스(121)가 구비되는 영역의 경우 배수 홈(122)이 구비되더라도 측면 케이스(121)에 의해 가려지므로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측면 케이스(121)가 구비되지 않는 영역에 버튼이 구비되는 경우 방수 구조가 문제된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는 실링부를 통해 방수를 구현하는 구조의 버튼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가 적용되는 버튼을 제2 버튼(150)으로 정의한다. 도 6에서는 메인 바디(120)의 내측면(1201)에 제2 버튼(150)이 구비된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다른 영역에도 제2 버튼(150)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버튼(150)을 구비하기 위한 제2 버튼 홀(155)은 메인 바디(120)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제2 버튼(150)은 제2 버튼 홀(155)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버튼(150)도 전술한 제1 버튼(141)과 마찬가지로 돔 키(142) 방식 또는 슬라이드 방식의 토글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버튼(150)이 토글 버튼인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제2 버튼(150)이 슬라이드 키 형태의 토글 버튼으로 구비되는 경우 제2 버튼(150)은 슬라이더(154)와 결합하고, 슬라이더(154)는 메인 바디(120)의 전장부에 구비된 기판의 스위치에 체결되어 제2 버튼(150)의 구동을 스위치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버튼(150)은 파지부(151), 걸림부(152) 및 실링부(153)를 포함한다. 파지부(151)는 제2 버튼 홀(15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파지부(151)를 가압하거나 슬라이드 시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걸림부(152)는 파지부(151)의 일단에 결합하여 메인 바디(120)의 전장부(1205)에 구비된다. 걸림부(152)는 전장부에 실장된 제2 버튼(150)이 제2 버튼 홀(155)을 통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메인 바디(120)의 전장부(1205) 내벽(1206)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슬라이더(154)는 걸림부(152)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제2 버튼(150)의 거동을 스위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부(152)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더(154)와 체결되기 위한 함몰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실링부(153)는 걸림부(152)의 경계 둘레에 구비되어 제2 버튼 홀(155)의 경계 내벽(1206)을 지지한다. 실링부(153)는 걸림부(152)와 메인 바디(120) 내부 전장부(1205) 내벽(1206)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막아 액체의 유입을 차단한다.
실링부(153)의 실링 효과를 위해 탄성의 성질을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우레탄(Urethane)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153)는 걸림부(152)에 이중 사출될 수 있다. 제2 버튼(150)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실링부(153)는 폐곡선을 형성하여 액체의 유입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실링부(153)를 통한 방수 구조는 제2 버튼(150)이 돔 키 방식인 경우 또는 슬라이드 키인 토글 버튼 방식인 경우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구조상 제2 버튼(150)이 토글 버튼 방식인 경우에 더 유리하다. 토글 버튼 방식인 경우 돔 키 방식인 경우와 달리 제2 버튼(150)이 전장부(1205) 내벽(1206)을 지지하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실링부(153)의 지지 효과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넥밴드 와이어 단부(170)의 상면과 상부 케이스(1207) 및 하부 케이스(1208)의 내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한다.
메인 바디(120)의 일단에 구비된 고정 측벽(126)은 넥밴드 와이어(110)의 단부(170)가 삽입되는 삽입 홀(125)을 형성한다.
메인 바디(120)의 단부(170)는 고정 브라켓(172) 및 와이어부(171)를 포함한다. 고정 브라켓(172)은 와이어부(171)를 지탱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00) 전체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고정 브라켓(172)은 메인 바디(120)의 전장부(1205)에 안착된다.
고정 측벽(126)은 삽입 홀(125)을 형성한다. 고정 측벽(126)은 상부 케이스(1207) 및 하부 케이스(1208)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넥밴드 와이어 단부(170)의 함몰 홈(173)은 고정 측벽(126)과 고정된다. 함몰 홈(173)은 고정 브라켓(172)의 외측면에 대해 단차를 형성하여 고정 측벽(126)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단차를 갖는 함몰 홈(173) 및 고정 측벽(126)의 결합은 넥밴드 와이어(110)와 메인 바디(120)를 길이 방향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 측벽(126) 및 함몰 홈(173)은 넥밴드 와이어(1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 성분에 대해서도 서로 맞닿아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길이 방향에 수직한 접합 구조는 결합력뿐만 아니라 방수 효과도 상승시킨다.
제1 지지부(1251)은 이러한 측면에서 고정 브라켓(172)의 상면에 구비된 상측 함몰 홈(173)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고정 브라켓(172)의 상면에는 와이어부(171)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252)는 와이어부(171)를 지지한다.
즉, 고정 측벽(126)의 제1 지지부(1251)는 고정 브라켓(172)의 함몰 홈(173)을, 제2 지지부(1252)는 와이어부(171)를 지지하여 결합력을 상승시키고 넥밴드 와이어(110) 및 메인 바디(120) 사이에 발생하는 틈으로 유입된 액체가 메인 바디(120)의 전장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고정 브라켓(172)의 상측에 돌출된 와이어부(171)로 인해 고정 측벽(126)이 함몰 홈(173)에 완전히 맞닿아 끼워지기 어렵다. 이를 고려한 구조가 요구된다.
즉, 제2 지지부(1252)는 제1 지지부(1251)와 단차를 형성하여 고정 측벽(126)이 넥밴드 와이어 단부(170), 특히 와이어부(171)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케이스(1207)와 하부 케이스(1208)는 스크류 결합을 통해 서로 고정된다. 상부 케이스(1207)는 하부 케이스(1208)의 상단에 결합하여 전장부(1205)를 형성한다. 제1 결합 보스(1271) 및 제2 결합 보스(1272)는 스크류 결합을 위한 상대물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제1 결합 보스(1271)는 외주면에 넥밴드 와이어(110)의 안착 홀(174)의 내주면이 서로 접하도록 끼워져 넥밴드 와이어(110)가 하부 케이스(1208)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도록 한다.
상부 케이스(1207) 내측면(1201)에 구비된 리브(1273)는 제2 결합 보스(1272)와 제2 지지부(1252)를 연결한다. 제2 지지부(1252)가 제1 지지부(1251)보다 높은 벽을 형성하므로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다. 리브(1273)는 제2 지지부(1252)를 지지하여 약해질 수 있는 내구성을 보강한다.
도 11은 상부 케이스(1207)가 제거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메인 바디(120) 일부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과 도 11을 함께 참조한다.
제1 결합 보스(1271) 및 제2 결합 보스(1272)는 스크류(181)가 체결되는 스크류 홀(182)이 구비된다. 스크류 홀(182)은 제1 결합 보스(1271) 및 제2 결합 보스(1272)를 관통한다.
스크류(181)는 제1 결합 보스(1271)에서 제2 결합 보스(1272)의 방향, 즉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181)가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하면(1204)에 있는 것이 눈에 덜 띠는 것에 근거한다.
홀 캡(184)은 스크류(181)가 노출되는 스크류 홀(182)의 일측을 막는다. 따라서 스크류(181)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결합하는 경우 홀 캡(184)은 하부 케이스(1208)에 구비된다.
홀 캡(184)은 스크류(181)가 외부에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홀 캡(184)이 스크류 홀(182) 일측을 막는 경우 스크류(181)와 홀 캡(184) 사이의 공간이 차단되므로 압력차가 발생하여 홀 캡(184)이 쉽게 빠질 우려가 있다. 압력 조절 홀(183)은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압력 조절 홀(183)은 스크류(181)와 홀 캡(18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전장부(1205)를 관통하여 스크류(181)와 홀 캡(18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정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넥밴드 와이어(110)의 양 단에 결합하는 메인 바디(120)를 각각 제1 바디(120a) 및 제2 바디(120b)로 정의한다.
휴대용 음향기기(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무게의 경량화가 요구된다. 또, 같은 목적에 의해 부피의 소형화도 요구된다.
배터리(191)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무게 및 부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91)의 용량과 메인 바디(120) 내의 배치가 문제된다. 배터리(191)는 두 개로 구비되어 양 메인 바디(1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메인 바디(120)의 양 측에 나누어 배터리(191)가 구비되는 경우 충분한 배터리 용량을 제공하면서도 공간 활용을 극대화시켜 휴대용 음향기기(100)를 소형화 할 수 있다.
제1 바디(120a)가 형성하는 제1 전장부(1205a)에는 제1 기판(161a)이 구비되고, 제1 기판(161)에는 제1 배터리(191a)가 실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바디(120b)가 형성하는 제2 전장부(1205b)에는 제2 기판(161b)이 구비되고, 제2 기판(161b)에는 제2 배터리(191b)가 실장된다.
메인 바디(120) 및 전장부(1205)는 메인 바디(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횡단면, 즉 A-A'방향의 단면을 기준으로 항아리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윗부분 및 아랫 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고 중앙 부분의 폭이 가장 넓게 구비될 수 있다.
기판(161)은 전장부(1205)의 중앙 부분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전자 부품은 기판(161)의 상면에 실장된다. 배터리(191)는 기판(161)의 하면에 생기는 빈 공간에 실장될 수 있다.
배터리(191)는 기판(161)의 폭보다 좁게 구비되어 항아리 모양의 단면에 맞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191) 및 바디의 전장부(1205) 하면(1204) 사이에는 접착 물질(192)이 구비되어 상호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배터리(191)는 제1 접착 물질(192)에 의해, 제2 배터리(191)는 제2 접착 물질(192)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각 바디의 전장부(1205) 하부는 배터리(191)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최소화 하므로 전체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B-B'방향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한다.
발광부(193)는 발광 소자(194)에서 출사된 빛을 확산 및 가이드 하여 메인 바디(120) 외측에서 시인되도록 발광한다. 발광부(193)는 휴대용 음향기기(100)의 특정 상태를 알리는 역할을 하는 상태 표시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의 켜짐 또는 꺼짐 상태를 발광 여부 또는 색상의 구분 등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일 예로, 제2 버튼(150)이 전원 버튼으로 기능하는 경우 발광부(193)는 제2 버튼(150)의 부근 일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193)는 제2 버튼(150)에 대비하여 메인 바디(120)의 길이 방향 후방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발광 소자(194)는 기판(16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193)는 메인 바디(120)의 외관에 노출되는 발광 렌즈(1931), 발광 소자(194)에 인접하여 발광 렌즈(1931)로 빛을 확산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확산부(1932)를 구비한다.
발광 렌즈(1931)는 메인 바디(120)의 얇은 두께를 구현하기 위해 기판(161)과 동일 위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발광 렌즈(1931)는 기판(161)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194)에 의해 출사된 빛이 확산부(1932)를 통해 발광 렌즈(1931)로 충분히 확산되지 못할 여지가 있다.
확장부(1933)는 확산부(1932)에서 연장되어 기판(161)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확산부(1932)의 역할을 보조하여 발광 렌즈(1931)까지 빛이 충분히 확산되도록 한다.
이때 확장부(1933)의 일단은 메인 바디(120)의 전장부(1205) 내벽(1206)을 지지하고, 타단은 기판(161)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기판(161)이 확장부(1933)를 밀어 발광 렌즈(1931)를 포함하는 발광부(193)가 메인 바디(120)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휴대용 음향기기 110: 넥밴드 와이어
120: 메인 바디 120a: 제1 바디
120b: 제2 바디 1201: 내측면
1202: 외측면 1203: 상면
1204: 하면 1205: 전장부
1206: 전장부 내벽 1207: 상부 케이스
1208: 하부 케이스 121: 측면 케이스
122: 배수 홈 1221: 상부 홈
1222: 측부 홈 1223: 고임 홈
123: 제1 버튼 홀 124: 후크 홈
125: 삽입 홀 1251: 제1 지지부
1252: 제2 지지부 126: 고정 측벽
1271: 제1 결합 보스 1272: 제2 결합 보스
1273: 리브 130: 이어 유닛
131: 이어 유닛 와이어 141: 제1 버튼
143: 돔 키 150: 제2 버튼
151: 파지부 152: 걸림부
153: 실링부 154: 슬라이더
155: 제2 버튼 홀 156: 스위치
161: 기판 170: 넥밴드 와이어 단부
171: 와이어부 172: 고정 브라켓
173: 함몰 홈 174: 안착 홀
181: 스크류 182: 스크류 홀
183: 압력 조절 홀 184: 홀 캡
191: 배터리 192: 접착 물질
193: 발광부 1931: 발광 렌즈
1932: 확산부 1933: 확장부
194: 발광 소자

Claims (11)

  1. 사용자의 목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양 단에 결합하고 전장부를 형성하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버튼 홀;
    상기 제1 버튼 홀을 통해 노출되어 구비되는 제1 버튼;
    상기 제1 버튼 홀을 포함하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제1 영역을 감싸는 측면 케이스; 및
    상기 제1 버튼 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영역 내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 바디의 외측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배수 홈;
    상기 배수 홈의 적어도 일 모퉁이에 상기 배수 홈보다 폭이 더 넓거나 깊이가 더 깊게 구비되는 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홈은,
    상기 제1 버튼 홀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홈; 및
    상기 상부 홈의 양단에 이어져 상기 제1 버튼 홀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측부 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2 버튼 홀; 및
    상기 제2 버튼 홀에 구비되는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은,
    제2 버튼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 바디의 전장부 내벽을 지지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경계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버튼 홀의 경계 내벽을 지지하는 탄성소재의 실링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우레탄(Urethane)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에 이중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5. 사용자의 목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양 단에 결합하고 전장부를 형성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을 형성하는 고정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 와이어 단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장부에 안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의 외측면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측벽과 고정되는 함몰 홈;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에 돌출 구비된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측벽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하여 전장부를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어 외주면에 상기 고정 브라켓이 결합하는 제1 결합 보스;
    상기 상부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 보스와 체결되는 제2 결합 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부 및 제2 결합 보스를 연결하는 리브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6. 삭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보스 및 제2 결합 보스를 관통하는 스크류 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홀에 결합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가 노출되는 스크류 홀의 일측을 막는 홀 캡; 및
    상기 스크류와 상기 홀 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전장부를 관통하는 압력 조절 홀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8. 사용자의 목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양 단에 각각 결합하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 폭이 상부 및 하부보다 중심부가 더 넓은 제1 전장부 및 제2 전장부;
    상기 제1 전장부 및 제2 전장부의 각 중심부에 구비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1 기판의 배면에 결합하는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2 기판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 기판의 배면에 결합하는 제2 배터리;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바디의 하면 사이에 구비된 제1 접착 물질 및 상기 제2 배터리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면 사이에 구비된 제2 접착 물질;
    상기 기판의 배면에 구비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에서 출사된 빛을 확산시켜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기판과 동일 위상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바디의 외관에 노출 구비되는 발광 렌즈;
    상기 발광 렌즈에서 연장되어 상기 발광 소자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확산부; 및
    상기 확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기판의 측면에 위치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일단은 상기 메인 바디의 전장부 일면을 지지하고, 타단은 상기 기판의 측면을 지지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9. 삭제
  10. 삭제
  11. 사용자의 목 일 영역을 감싸는 넥밴드 와이어;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양 단에 결합하고 전장부를 형성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메인 바디에 상기 넥밴드 와이어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을 형성하는 고정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넥밴드 와이어 단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장부에 안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의 외측면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측벽과 고정되는 함몰 홈;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측에 돌출 구비된 와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측벽은,
    상기 고정 브라켓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하여 전장부를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어 외주면에 상기 고정 브라켓이 결합하는 제1 결합 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 보스와 체결되는 제2 결합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보스 및 제2 결합 보스를 관통하는 스크류 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상기 스크류 홀에 결합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가 노출되는 스크류 홀의 일측을 막는 홀 캡; 및
    상기 스크류와 상기 홀 캡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전장부를 관통하는 압력 조절 홀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160179179A 2016-12-26 2016-12-26 휴대용 음향기기 KR101861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179A KR101861690B1 (ko) 2016-12-26 2016-12-26 휴대용 음향기기
US15/840,745 US10356506B2 (en) 2016-12-26 2017-12-13 Portable sound equipment
PCT/KR2017/015007 WO2018124587A1 (en) 2016-12-26 2017-12-19 Portable sound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179A KR101861690B1 (ko) 2016-12-26 2016-12-26 휴대용 음향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690B1 true KR101861690B1 (ko) 2018-05-28

Family

ID=6245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179A KR101861690B1 (ko) 2016-12-26 2016-12-26 휴대용 음향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56506B2 (ko)
KR (1) KR101861690B1 (ko)
WO (1) WO2018124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35065S1 (en) * 2016-07-29 2018-12-0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device
USD858480S1 (en) * 2017-05-09 2019-09-03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Part of a pair of headphones
USD855035S1 (en) * 2017-08-08 2019-07-30 Shenzhen Dacom Electronics Co., Ltd. Wireless earphone
USD851061S1 (en) * 2017-10-16 2019-06-11 Gn Audio A/S Headset
JP1617786S (ko) * 2017-12-27 2018-11-12
USD890126S1 (en) * 2018-02-21 2020-07-1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USD879743S1 (en) * 2018-02-21 2020-03-31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CN109769167A (zh) 2019-01-05 2019-05-1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WO2020140456A1 (zh)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USD870067S1 (en) * 2019-08-29 2019-12-17 Shenzhen Qianhai Patuoxun Network And Technology Co., Ltd Wireless headset
JP1658488S (ko) * 2019-09-30 2020-04-27
USD951904S1 (en) * 2020-04-20 2022-05-17 Black & Decker Inc. Head phone
USD964315S1 (en) * 2020-07-03 2022-09-20 Epos Group A/S Headset
USD962892S1 (en) * 2020-09-27 2022-09-06 Shenzhen Weiben Technology Co., Ltd. Wireless earphone
USD1008214S1 (en) * 2022-08-04 2023-12-19 Minuendo As Ear plu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211A (ko) * 2008-10-30 2010-05-11 주식회사 이츠웰 발광 소자용 렌즈
JP2012230998A (ja) * 2011-04-26 2012-11-22 Saxa Inc Led用レンズ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221B2 (ja) 1993-12-17 2000-11-20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車両用スイッチユニットの排水構造
KR20140044553A (ko) 2012-10-05 2014-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수 휴대 단말기
KR101365926B1 (ko) 2013-11-25 2014-02-24 주식회사 블루콤 넥밴드 및 헤드폰 겸용 블루투스 오디오 장치
KR101570299B1 (ko) * 2014-09-04 2015-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셋
KR101687623B1 (ko) 2015-06-15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63600B1 (ko) 2016-12-08 2017-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211A (ko) * 2008-10-30 2010-05-11 주식회사 이츠웰 발광 소자용 렌즈
JP2012230998A (ja) * 2011-04-26 2012-11-22 Saxa Inc Led用レンズ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4587A1 (en) 2018-07-05
US10356506B2 (en) 2019-07-16
US20180184186A1 (en)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690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83533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US9979426B2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including antenna
KR101587138B1 (ko) 이동 단말기
KR101529921B1 (ko) 와치형 단말기
EP3116202B1 (en) Mobile terminal
KR20110103761A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EP3340645B1 (en) Ear unit for a portable sound device
KR20170133977A (ko) 이동 단말기
US8014836B2 (en) Telephone apparatus
US20180027329A1 (en) Mobile terminal
US10666779B2 (en) Mobile terminal with coupling portion and molding unit for fixing and heat radiation structure
US9894191B2 (en) Mobile terminal
KR20180020653A (ko) 이동 단말기
KR2018002423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4744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20090102240A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808626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5053B1 (ko) 이동 단말기
KR20190020934A (ko) 모기 퇴치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00027542A (ko) 휴대 단말기
KR101607974B1 (ko) 이동 단말기
KR20090092169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513618B1 (ko) 휴대 단말기
KR20190042422A (ko) 입출력 포트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