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132B1 -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 Google Patents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132B1
KR102152132B1 KR1020190123054A KR20190123054A KR102152132B1 KR 102152132 B1 KR102152132 B1 KR 102152132B1 KR 1020190123054 A KR1020190123054 A KR 1020190123054A KR 20190123054 A KR20190123054 A KR 20190123054A KR 102152132 B1 KR102152132 B1 KR 102152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rack
winding device
gea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백
강정호
한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9012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 축을 구비하여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가 권선되는 보빈; 보빈의 축과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보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보빈의 하면에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캠; 보빈의 하면에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제어 돌기; 하부 케이스의 하측에 설치되며, 캠와 맞물리는 복수 개의 치형과, 치형 사이에 형성되며 제어 돌기가 맞물리는 복수 개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면에 보빈의 회전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트랙이 형성된 기어; 및 기어의 트랙에 삽입되어 보빈의 회전을 제어하는 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2 STEP ROTATION CONTROLLING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귀에 장착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설계된 수화기를 말한다.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스마트폰으로 음악 및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이동중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 감상, 영화 감상, UCC 감상을 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이어폰의 전선은 꼬이거나 가방 안에서 다른 소지품과 엉키면서 단선되는 일이 잦았다. 이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자동 권선 기능이 있는 이어폰 또는 헤드셋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줄 감김 장치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 감김 장치는, 자동 줄 감김 장치의 최하측에 위치하며 축(12)을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10) 상에 자동 줄 감김 장치의 각 부품들 결합된다. 축(12)에는 자동 줄 감김 장치 부품들이 일부는 회전 가능하게 나머지 일부는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빈(30)은 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20)가 감긴다. 보빈(30)의 상부에는 스프링(4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고, 보빈(30)의 하부에는 회로부(81, 82, 83)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
스프링(40)은 태엽 스프링으로, 와이어(20)가 보빈(30)으로부터 풀려나올 때 스프링(40)은 수축하며 에너지가 저장되며, 저장된 에너지에 의해 스프링(40)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때 보빈(30)을 회전시켜 와이어(20)를 다시 권선하게 된다.
보빈(30) 상부 공간에 스프링(40)이 설치되고, 그 위에 트랙 커버(50)가 설치된다. 트랙 커버(50)의 상면에는 핀 구조물(60)이 따라 이동하면서 보빈(30)의 회전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트랙이 형성된다.
핀 구조물(60)은 하부로 돌출된 핀이 트랙 커버(50)의 트랙에 삽입되고, 상부로 돌출된 핀은 상부 케이스(70)에 형성된 가이드 홀 내에 삽입된다. 트랙 커버(50)는 보빈(30)과 함께 회전 운동만을 하며, 핀 구조물(60)은 반경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을 한다.
보빈(30)의 하부에는 와이어(20)와 연결되는 터미널(81), 자동 줄 감김 장치의 외부와 전원 연결을 위한 PCB(83), 와이어 측 터미널(81)와 고정되는 동시에 PCB(83)와 접촉함으로써 터미널(81)와 PCB(83) 사이의 전원 연결을 제공하는 브러쉬(82)가 수용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 인출 시, 트랙 커버의 거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트랙 커버(50)에 형성된 트랙에 대해서 설명하면, 원주방향을 따라 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달라지는 내측 트랙(51), 내측 트랙(51)과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외측 트랙(52), 내측 트랙(51)과 외측 트랙(52)을 연결하는 연결 트랙(53), 내측 트랙(51)과 외측 트랙(52)을 연결하며 핀 구조물(60)의 핀이 안착 되도록 하는 스톱 트랙(54)을 포함한다.
외측 트랙(52)은 대체적으로 원형이나, 일 측에 트랙 커버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에 곡률이 점점 작아지는 제1 나선부(52a)과 시계 방향 회전 시에 곡률이 점점 커지는 제2 나선부(52b)을 구비하며, 제1 나선부(52a)은 시계 방향으로 곡률이 점점 작아지며 스톱 트랙(54)과 연결된다. 제2 나선부(52b)은 반시계 방향으로 곡률이 점점 작아지며 제1 나선부(52a)과 연결된다. 따라서 내측 트랙(52)에서 연결 트랙(52)을 거쳐 외측 트랙(52)으로 이동한 핀 구조물(60)의 핀은 제2 나선부(52b), 제1 나선부(52a), 원형구간(52c)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된다.
도 3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줄 감김 장치의 락킹 시, 트랙 커버의 거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트랙 커버(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하지 않는 핀 구조물(60)은 트랙 커버(5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같다. 인출하면서 당기던 와이어를 놓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트랙 커버(50)는 인출 시와 반대 방향, 즉, 도면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핀 구조물(60)의 핀은 외측 트랙(52)에서 제2 나선부(52b), 원형구간(52c)을 거쳐, 제1 나선부(52a)에 이르게되며, 제1 나선부(52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에 곡률 반경이 축소(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에 곡률 반경 확대)되므로, 핀 구조물(50)은 제1 나선부(52a)의 곡률 반경이 축소되는 경향을 따라 제1 나선부(52a)와 이어진 스톱 트랙(54)으로 이동하고 스톱 트랙(54) 상에서 멈추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보빈(30), 트랙 커버(50) 등 와이어(20)를 권선하기 위해 회전하는 몸체가 형태적으로 방향성을 가지지 않아, 회전축에 대해 얼마나 회전하였는지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감김 작동시 짐작으로 감김을 제어해야 했다. 그에 따라, 도르레 내부로 와이어(20)가 권선될 때 자동 줄 감김 장치의 회전 수의 차이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외부 잔여 와이어(20)의 길이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측 트랙(51)과 외측 트랙(52)의 반경 차이에 따라, 와이어(20)가 스톱 트랙(54) 상에 락킹된 상태로 사용한 이후 권선을 위해 와이어(20)를 다시 인출하여 내측 트랙(51) 내에서 회전을 계속하게 만들고자 할 때, 와이어(20)의 인출량이 많아지면 핀 구조물(60)이 다시 외측 트랙(52)까지 넘어가서 와이어(20)가 권선되지 않고 스톱 xmor(54) 상에 재락킹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핀 구조물(60)이 스톱 트랙(54)과 외측 트랙(52)의 연결 지점 이상으로 넘어가도록 와이어(20)의 인출량이 많아지면, 와이어(20)가 권선되지 않고 재락킹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9-0059180
본 발명은 보빈을 비롯한 회전 몸체의 회전 수를 정확히 제어하여 자동 줄 감김 장치의 외부에 잔여 와이어의 길이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출 시에 반복 회전하는 트랙과 권선 시에 반복 회전하도록 트랙을 구성하지 않고, 인출 트랙과 메인 트랙의 단부가 단절된 형태로 핀 구조물이 일 단부에서 타 단부까지 이동하면 멈추도록 구성하여 회전 시 핀 구조물이 다른 트랙으로 이탈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 축을 구비하여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가 권선되는 보빈; 보빈의 축과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보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보빈의 하면에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캠; 보빈의 하면에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제어 돌기; 하부 케이스의 하측에 설치되며, 캠와 맞물리는 복수 개의 치형과, 치형 사이에 형성되며 제어 돌기가 맞물리는 복수 개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면에 보빈의 회전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트랙이 형성된 기어; 및 기어의 트랙에 삽입되어 보빈의 회전을 제어하는 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기어에 형성되는 트랙은, 양 단이 서로 단절되어 있으며 회전 중심에 대해 편심된 곡선의 메인 트랙과, 메인 트랙의 일 지점에서 분지되어 메인 트랙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는 곡선의 인출 트랙과, 인출 트랙과 메인 트랙을 연결하며, 핀 구조물이 멈추는 스톱 트랙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스톱 트랙은 메인 트랙의 단부와 간격을 두고 메인 트랙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보빈은 하면에 돌출된 원형의 단차부를 구비하며, 캠과 제어 돌기는 단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하부 케이스는, 보빈의 단차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는 와이어를 권선하는 줄 감김 장치의 몸체가 일정 정도 회전하면 회전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어, 외부에 잔여 와이어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는, 트랙을 수회 회전하며 보빈의 회전을 제어하지 않고, 핀 구조물이 기어 상면에 형성된 트랙들의 일 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나 타 단부들은 서로 단절되어 있어서 핀 구조물이 트랙들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까지 이동하며 보빈의 회전 및 정지를 제어하기 때문에, 트랙 간의 경계에서 다른 트랙으로 이동하여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줄 감김 장치의 분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 인출 시, 트랙 커버의 거동을 도시한 도면,
도 3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줄 감김 장치의 락킹 시, 트랙 커버의 거동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가 구비하는 보빈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가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가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가 구비하는 기어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가 완전히 권선된 상태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가 인출중인 때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가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가 락킹되었을 때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의 락킹을 해제할 때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의 락킹을 해제할 때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를 구비하며,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 사이에 와이어(900)가 권선되는 보빈(3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 케이스(200)의 상부에는 보빈(300)에 와이어(900) 권선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00)이 설치되며, 스프링(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500)가 상부 케이스(200)의 상부에 결합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보빈(300)에 형성된 캠(미도시)와 제어 돌기(미도시)에 의해 맞물려 돌아가며 보빈(300)의 회전을 제어하는 기어(600)가 설치된다. 기어(600)의 상면, 즉 하부 케이스(100)와 마주하는 면에는 보빈(30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트랙(미도시)이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100)와 기어(600) 사이에는 기어(600)의 트랙(미도시)에 삽입되어 보빈(300)의 회전을 제어하는 핀이 형성된 핀 구조물(700)이 배치된다.
하부 케이스(100)의 하면에는 하부 커버(800)가 결합되어 기어(600)와 하부 케이스(100)의 하면을 덮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가 구비하는 보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보빈(300)은, 와이어가 권선되는 기둥(330)을 구비하며, 기둥(300)의 상단 및 하단에 원판(310, 320)이 형성되며 와이어가 기둥(330)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원판(320)의 상부로는 상부 케이스(200)에 삽입되는 축(340)이 설치되며, 축(340)이 상부 케이스(2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축(340)의 상단에는 스프링(400; 도 4 참조)의 일단이 결합되어, 와이어 인출 시에 스프링(400)에 힘이 저장된다.
하부 원판(310)의 하부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단차부(350)를 구비하며, 단차부(350)에는 기어(600; 도 4 참조)와 맞물리는 캠(362) 및 제어 돌기(364; 도 9 참조)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가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가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100)는, 상부 케이스(200; 도 4 참조)와의 결합을 위해 상부로 돌출된 4개의 브릿지(110)를 구비한다. 또한, 보빈(300; 도 5 참조)의 하부 원판(310; 도 5 참조)이 안착되는 안착부(120)와, 보빈(300)의 하부 원판(310)에 형성된 단차부(350)를 하면으로 노출하기 위한 수용홀(140)이 안착부(120) 내에 형성된다. 또한 일 면에는 와이어(900; 도 4 참조)의 인출 및 권선 시 안내를 위해, 안착부(120)와 연결되는 가이드홈(130)이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가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가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200)는 하면은 보빈(300)의 상부 원판(320)과 맞닿으며, 보빈(300)의 축(340)이 상부 케이스(200)를 관통한다. 상부 케이스(200)의 상면에는 스프링(400; 도 4 참조)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10)이 형성되며, 수용홈(210) 내에 스프링(4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20)가 마련된다. 스프링(400)은 태엽 스프링이며, 스프링(400)의 내측단은 보빈(300)의 축(340) 내에 삽입되고, 외측단은 상부 케이스(200)의 고정부(220)에 고정된다. 스프링(400)은 보빈(300)의 회전 시에 압축되며 힘을 저장하며, 저장된 힘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며 보빈(300)을 압축 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가 구비하는 기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어(600)는 중앙에 기어의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축(150; 도 9 참조)이 삽입되는 중심홀(610)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치형(620)이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치형(620)은 보빈(300; 도 5 참조)의 캠(362; 도 5 참조)에 대응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호형으로 형성된다. 치형(620) 사이에는 제어 돌기(364)가 삽입되었다가 빠져나오는 슬릿(630, 640)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슬릿(630, 640) 중에서는 길이가 짧은 스토퍼 슬릿(640)이 포함되며, 스토퍼 슬릿(640)에 제어 돌기(364)가 삽입될 경우 보빈(30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또한, 기어(600)의 상면에는 2단계 제어를 위한 트랙(650)이 형성된다. 트랙(650)은 양 단이 서로 단절되어 있으며 회전 중심인 중심홀(610)에 대해 편심된 곡선의 메인 트랙(652)과, 메인 트랙(652)의 일 지점에서 분지되어 메인 트랙(652)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는 곡선의 인출 트랙(654)과, 인출 트랙(654)과 메인 트랙(652)을 연결하며, 핀 구조물(700)의 핀(710; 도 9 참조)이 멈추는 스톱 트랙(656)을 구비한다.
메인 트랙(652)은 와이어(900)가 권선된 상태일 때, 핀 구조물(700)의 핀(710)이 위치하게 되는 제1 단부(652a)과 복귀를 위해 와이어를 인출할 때 핀(710)이 멈추는 제2 단부(652b)를 가진다. 메인 트랙(652)의 제1 단부(652a)와 제2 단부(652b)는 서로 연결되지 않으며 단절되어 있다. 인출 트랙(654)은 메인 트랙(652)의 일 지점에서 분지되며, 인출 트랙(654)의 제1 단부(654a)는 메인 트랙(652)에 연결되며, 인출 트랙(654)의 제2 단부(654b)는 끝이 막혀 있다. 인출 트랙(654)의 제1 단부(654a)와 제2 단부(654b) 사이의 일 지점에 스톱 트랙(656)이 연결된다. 스톱 트랙(656)은 인출 트랙(654)과 메인 트랙(652)을 연결하며, <로 꺾이는 형태로 형성되어, 꺾인 지점 상에 핀 구조물(700)의 핀(710)이 멈추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가 완전히 권선된 상태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보빈 회전 제어는, 제너바 기어(600)와 보빈(300)의 캠(362)과 제어 돌기(364)의 맞물림, 핀 구조물(700)의 핀(710)과 기어(600)의 트랙(650)의 맞물림 2단계로 이루어진다. 보빈(300; 도 5 참조)의 하부 원판(310; 도 5 참조)의 단차부(350)는 하부 케이스(100)의 수용홀(140; 도 6 참조)내에 수용되며, 캠(362)과 제어 돌기(364)가 하부 케이스(100) 아래로 돌출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하면에는 기어(600)의 중심홀(610)에 삽입되는 중심축(150)이 형성된다. 기어(600)는 중심축(150)과 결합하여 중심축(15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와이어(900; 도 4 참조)가 보빈(300; 도 4 참조)에 완전히 권선된 상태에서는, 제어 돌기(364)는 스토퍼 슬릿(640)에 삽입되어, 도면 상으로 보빈(300)이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더 이상 불가능하다. 또한, 핀 구조물(700)의 핀(710)도 메인 트랙(652)의 제1 단부(652a)에 위치하며, 기어(600)는 더 이상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어(600)의 치형과, 기어(600)에 형성된 트랙(650)에 의해 이중으로 보빈(30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가 인출중인 때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와이어가 인출될 때, 보빈(3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어(6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600)의 캠(362)과 치형(620)이 맞물리며 제어 돌기(364)가 회전하면서 기어(600)의 슬릿(630)내로 삽입되었다가 빠져나오면서 기어(600)를 회전시킨다.
이때, 기어(600)의 회전에 따라, 핀 구조물(700)의 핀(710)은 메인 트랙(652)을 타고 이동하다, 인출 트랙(654)과의 접점에서 인출 트랙(654)으로 이동한다. 이때, 메인 트랙(652)은 메인 트랙(652)의 제1 단부(652a)에서부터 인출 트랙(654)의 제1 단부(654a)와 만나는 지점까지 회전 반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하 고, 메인 트랙(652)은 인출 트랙(654)의 제1 단부(654a)와 만나는 지점부터, 메인 트랙(652)의 제2 단부까지는 회전 반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인출 트랙(654)은 제1 단부(654a)에서 스톱 트랙(656)과 만나는 지점까지는 메인 트랙(652)보다 더 회전 반경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반경이 커지는 방향인 인출 트랙(654)으로 핀(710)이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가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와이어가 계속해서 인출되면서, 보빈(3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어(6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600)의 캠(362)과 치형(620)이 맞물리며 제어 돌기(364)가 회전하면서 기어(600)의 슬릿(630)내로 삽입되었다가 빠져나오면서 기어(600)를 회전시킨다.
이때, 기어(600)의 회전에 따라, 핀 구조물(700)의 핀(710)은 인출 트랙(654)의 제2 단부(654b)까지 이동한다. 이후, 인출 트랙(654)의 제2 단부(654b)가 막혀있기 때문에 핀 구조물(700)의 핀(710)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따라서 기어(600)의 시계 방향 회전이 제한된다. 기어(600)의 시계 방향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보빈(300)의 반시계 방향 회전도 제한되어 보빈(300)이 멈추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900)를 더 이상 보빈(300)으로부터 인출해낼 수 없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가 락킹되었을 때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출 트랙(654)의 제2 단부(654b)가 막혀있기 때문에 핀 구조물(700)의 핀(710)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와이어(900)를 잡아당기던 힘을 해제하면, 그 동안 스프링(400; 도 1 참조)에 저장되었던 힘에 의해 보빈(3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기어(6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인출 트랙(654)의 제2 단부(654b)에서 스톱 트랙(656)과의 연결 지점까지 핀(710)이 이동하며여서, 핀(710)이 이동하는 트랙 경로는 회전 방향이 점점 작아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회전 반경을 추종하여, 핀(710)은 스톱 트랙(656) 내로 들어가게 된다. 스톱 트랙(656)은 <자로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핀(710)이 꺾인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기어(600)는 더 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400)에 의해, 기어(6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과, 스톱 트랙(656)에 안착한 핀(710)에 의해 반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구조에 의해 보빈(300)의 회전이 멈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의 락킹을 해제할 때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락킹을 해제하기 위해 와이어(900)를 다시 잡아당기게 되면, 보빈(30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어(6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600)에 형성된 트랙(650)에서 핀 구조물(700)의 핀은, 스톱 트랙(656)을 거쳐 메인 트랙(652)의 제2 단부(652b)로 이동한다. 제2 단부(652b)는 끝이 막혀 있으며, 메인 트랙(652)의 제1 단부(652a)나 인출 트랙(654)과 연결되어 있지 않아 와이어가 일정량 인출되면, 보빈(300)의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락킹 해제를 위해 와이어의 인출량이 달라지는 것에 따른 재락킹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의 와이어의 락킹을 해제할 때의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락킹을 해제하기 위해 와이어(900)를 다시 잡아당겼다가 와이어(900)를 놓으면, 보빈(3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어(6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보빈(300)의 제어 돌기(364)가 스토퍼 슬릿(640)에 삽입되고, 핀 구조물의 핀(710)이 메인 트랙(652)의 제1 단부(652a)로 복귀할 때까지,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300)은 계속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와이어를 권선하게 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는 기어의 치형과 보빈의 맞물림과, 기어 내에 형성된 트랙과 핀 구조물에 의해 2단계로 보빈의 회전이 제어됨에 따라, 와이어의 인출, 락킹, 권선 시에 오동작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어의 치형 갯수에 따라 보빈의 총 회전 수를 제어할 수 있어, 와이어를 정확한 길이로 인출 및 권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
    축을 구비하여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와이어가 권선되는 보빈;
    보빈의 축과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보빈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보빈의 하면에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캠;
    보빈의 하면에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제어 돌기;
    하부 케이스의 하측에 설치되며, 캠와 맞물리는 복수 개의 치형과, 치형 사이에 형성되며 제어 돌기가 맞물리는 복수 개의 슬롯을 구비하며, 상면에 보빈의 회전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트랙이 형성된 기어; 및
    기어의 트랙에 삽입되어 보빈의 회전을 제어하는 핀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어에 형성되는 트랙은, 양 단이 서로 단절되어 있으며 회전 중심에 대해 편심된 곡선의 메인 트랙과, 메인 트랙의 일 지점에서 분지되어 메인 트랙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는 곡선의 인출 트랙과, 인출 트랙과 메인 트랙을 연결하며, 핀 구조물이 멈추는 스톱 트랙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스톱 트랙은 메인 트랙의 단부와 간격을 두고 메인 트랙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보빈은 하면에 돌출된 원형의 단차부를 구비하며, 캠과 제어 돌기는 단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는, 보빈의 단차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KR1020190123054A 2019-10-04 2019-10-04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KR102152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054A KR102152132B1 (ko) 2019-10-04 2019-10-04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054A KR102152132B1 (ko) 2019-10-04 2019-10-04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132B1 true KR102152132B1 (ko) 2020-09-04

Family

ID=7247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054A KR102152132B1 (ko) 2019-10-04 2019-10-04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1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677Y1 (ko) * 2004-12-06 2005-04-14 (주)가원시스템 기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있는 롤형 기기
KR101861102B1 (ko) * 2017-03-28 2018-07-02 주식회사 티티씨디펜스 이어셋의 이어폰 케이블 감김장치
KR101943329B1 (ko) * 2017-08-03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59180A (ko)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이엠텍 자동 줄 감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677Y1 (ko) * 2004-12-06 2005-04-14 (주)가원시스템 기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거나 인출할 수있는 롤형 기기
KR101861102B1 (ko) * 2017-03-28 2018-07-02 주식회사 티티씨디펜스 이어셋의 이어폰 케이블 감김장치
KR101943329B1 (ko) * 2017-08-03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59180A (ko)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이엠텍 자동 줄 감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174B1 (ko) 자동 줄 감김 장치
US6616080B1 (en) Retractable cord device
US7116883B2 (en) Fiber optic protective carrier
US7523883B2 (en) Dual roll-up wire reel device with resilient positioning
EP2719042B1 (en) Rewindable electrical cable extension device
US20080138061A1 (en) Camera device
US5252085A (en) Clock spring connector
CN104044962B (zh) 电缆牵引器
WO2014142232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巻取装置
KR101752771B1 (ko) 이어폰 줄 자동 감김 장치
US8911239B2 (en) Rotatable connector device
EP2642618B1 (en) Rotary connector device
KR102152132B1 (ko) 2단계 제어형 줄 감김 장치
KR102085843B1 (ko) 자동 줄 감김 장치
KR20170090378A (ko) 이어폰용 와이어 자동 감김 장치
KR102227139B1 (ko) 회전수 제어형 자동 줄 감김 장치
KR102128775B1 (ko) 자동 줄 감김 장치
JP6856587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巻取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US20140027557A1 (en) Rotatable connector device
KR101786740B1 (ko) 스토퍼볼의 트랙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KR102139479B1 (ko) 자동 줄 감김 장치
KR101783626B1 (ko) 회전축의 내마모성 향상 기능을 갖는 버튼식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
KR102044412B1 (ko) 와이어 자동 권선 모듈용 피씨비 접촉단자
KR102158153B1 (ko) 와이어 권취장치
JP2018045787A (ja) 回転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