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153B1 - 와이어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153B1
KR102158153B1 KR1020200007282A KR20200007282A KR102158153B1 KR 102158153 B1 KR102158153 B1 KR 102158153B1 KR 1020200007282 A KR1020200007282 A KR 1020200007282A KR 20200007282 A KR20200007282 A KR 20200007282A KR 102158153 B1 KR102158153 B1 KR 102158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winding
rotation
winding memb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태
Original Assignee
명성이앤비 주식회사
우성안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이앤비 주식회사, 우성안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성이앤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36Arrangements for yieldably braking the reel or the material for moderating speed of winding or unwinding
    • B65H75/4442Arrangements for yieldably braking the reel or the material for moderating speed of winding or unwinding acting on the r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65H2402/5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는, 커버에 의해 개폐되며, 일측에 와이어 출입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 내부의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일방향 회전시 와이어의 단부가 감기고, 타방향 회전시 감긴 와이어가 풀리는 와이어 권취부재; 상기 와이어의 인출을 위해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가 회전되면 풀리고, 상기 와이어의 인입을 위해 상기 와이어의 당김력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면서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를 감속시키는 탄성 감속부재; 및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와 치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회전 저항에 의해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치합 감속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 권취부재가 탄성 감속부재와 치합 감속부재에 의해 이중으로 감속되므로 저속으로 감기는 와이어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권취장치 {WIRE W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출된 와이어를 자동으로 권취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자동 권취기는 전선, 와이어 등과 같은 줄을 감아서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에 인출해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이어폰은 잭과,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음성신호 발생부 및, 잭과 음성신호 발생부를 연결하는 전선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선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와이어 자동 권취기에 감겨져 있고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자가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와이어 자동 권취기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18-0125702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전선을 권취시키기 위해 보빈에 스프링의 탄성력이 바로 전달되면서 고속으로 보빈이 회전되므로 사용시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8-0125702호(2018.11.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출시킨 와이어에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저속으로 권취될 수 있게 한 와이어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는, 커버에 의해 개폐되며, 일측에 와이어 출입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 내부의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일방향 회전시 와이어의 단부가 감기고, 타방향 회전시 감긴 와이어가 풀리는 와이어 권취부재; 상기 와이어의 인출을 위해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가 회전되면 풀리고, 상기 와이어의 인입을 위해 상기 와이어의 당김력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면서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를 감속시키는 탄성 감속부재; 및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와 치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회전 저항에 의해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치합 감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회전시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요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소리를 발생시켜 동작 여부를 인지시키는 동작 인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는 중심부에 종방향으로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측 둘레면에 상기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도록 권취홈이 형성되며, 외주면 하측에 상기 탄성 감속부재의 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감속부재는 복수 구비된 태엽으로,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합 감속부재는,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삽입공이 삽입되도록 상기 축부의 하부에 구비된 제1 기어와 치합되면서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회전시 상기 제1 기어를 따라 공전 및 자전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가 연결되며, 외주면에 방사상의 날개가 구비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가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해 밀봉된 내부에 점도 유체가 충진되는 밀봉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인지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 일, 타측에 제1, 2 축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제1 축부에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되,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외면에 연동돌기가 구비되고, 하부 일측에 제1 회전돌기가 구비되며, 하부 타측에 제2 회전돌기가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양단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면서 상기 회전부가 원위치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제2 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한방향으로 연동되며, 방사상으로 각도홈이 구비되고 상기 각도홈 중 하나의 각도홈을 건너띠는 위치마다 턱이 구비되는 회전각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의 제1 회전돌기가 상기 턱이 없는 각도홈에 위치되거나 상기 턱이 있는 각도홈에 위치되며, 상기 턱은 그 높이가 상기 제2 회전돌기가 간섭받지 않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 권취부재가 탄성 감속부재와 치합 감속부재에 의해 이중으로 감속되므로 저속으로 감기는 와이어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와이어 권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치합 감속부재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와이어의 인출시 동작 인지부재의 회전부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와이어의 인입시 동작 인지부재의 회전부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와이어의 인입시 회전부와 회전각 조절부와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탄성 감속부재가 와이어 권취부재에 감기고 풀리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와이어 권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치합 감속부재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와이어의 인출시 동작 인지부재의 회전부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와이어의 인입시 동작 인지부재의 회전부의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와이어의 인입시 회전부와 회전각 조절부와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에서 탄성 감속부재가 와이어 권취부재에 감기고 풀리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10)는 본체부재(100), 와이어 권취부재(200), 탄성 감속부재(300), 치합 감속부재(400) 및 동작 인지부재(500)를 포함한다.
본체부재(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와이어 권취부재(200), 탄성 감속부재(300), 치합 감속부재(400) 및 동작 인지부재(500)가 설치되며, 내부 바닥면 일단에 축부(104)가 직립 설치되고, 축부(104)의 하부에 제1 기어(106)가 구비되며, 내부 바닥면 타단에 수용부(108)가 구비된다.
이때, 본체부재(100)는 일측벽에 와이어(W)가 출몰하도록 와이어 출입공(102)이 형성된다.
제1 기어(106)는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하부에 설치된 치합 감속부재(400)의 제2 기어(430)와 치합된다.
그리고 수용부(108)는 대향된 장벽과 이웃한 단벽을 서로 연결하는 "ㅜ"자 형상의 격벽에 의한 구획 공간을 통해 형성되어 내부 양측에 탄성 감속부재(300)가 위치된다. 더욱이, 수용부(108)는 일부가 절개 형성된 통로가 구비되어 통로를 통해 탄성 감속부재(300)의 단부가 감기거나 풀 수 있게 된다.
와이어 권취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100)의 내부에 구비된 축부(104)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일방향 회전시 와이어(W)의 단부가 감기고, 타방향 회전시 감긴 와이어(W)가 풀리게 한다.
이때, 와이어 권취부재(200)는 상면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본체부재(100)의 축부(104)에 결합되도록 종방향으로 삽입공(202)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측 둘레면에 와이어(W)가 권취될 수 있도록 권취홈(206)이 형성되며, 외주면 하측에 탄성 감속부재(300)의 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홀(208)이 형성된다.
더욱이, 와이어 권취부재(200)는 상부에 와이어 수용홈(204)이 형성되어 와이어(W)의 단부를 환형으로 말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삽입공(202)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권취홈(206)은 축부(104)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일측벽에 와이어 수용홈(204)과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을 통해 통과한 와이어(W)의 단부가 와이어 수용홈(204) 내에 위치되게 한다.
더욱이, 와이어 권취부재(200)는 권취홈(206)의 상부 외주면에 방사상의 요홈(206a)이 형성되어 요홈(206a)에 동작 인지부재(500)의 회전부(520)에 구비된 연동돌기(524)가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소리를 발생시키케 된다.
걸림홀(208)은 양측 탄성 감속부재(300)의 단부마다 형성된 걸림턱(312, 322)이 각각 걸릴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복수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홀(208)이 형성된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외주면 하측은 탄성 감속부재(300)가 감기는 감김면(209)이다.
탄성 감속부재(300)는 도 2,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의 인출을 위해 와이어 권취부재(200)가 회전되면 단부가 풀리고, 와이어(W)의 인입을 위해 와이어(W)의 당김력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W)가 감기면서 와이어 권취부재(200)를 감속시킨다.
이때, 탄성 감속부재(300)는 제1 탄성 감속부(310) 및 제2 탄성 감속부(320)로 구성된 복수의 태엽으로, 단부에 걸림턱(312, 322)이 각각 형성되어,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걸림홀(208)에 각각 걸리게 된다.
따라서, 탄성 감속부재(300)는 사용자에 의해 와이어 권취부재(200)가 일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감겨있던 단부가 풀리면서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하부 외주면에 감기게 되며, 당김력의 해제시 복원력에 의해 풀려진 단부가 감겨지게 되면서 와이어 권취부재(200)가 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탄성 감속부재(300)는 동일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대칭방향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탄성 감속부재(300)가 대칭 방향으로 구비되는 경우 제1 탄성 감속부(310)와 제2 탄성 감속부(320)의 풀려진 단부에 복원력이 대칭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탄성 감속부(310)와 제2 탄성 감속부(320)가 상하 배치된 상태에서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하단에 감김면(209)이 다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탄성 감속부(310)는 풀림 상태에서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회전시 감김면(209)에 감기고 제2 탄성 감속부(320)는 감김 상태에서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회전시 감김면(209)에서 풀어지게 된다. 이때, 제2 탄성 감속부(320)는 제1 탄성 감속부(310)와 반대로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감김면(209)에 감긴 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복원력이 이미 작용한 상태이므로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감속 효율이 우수하다.
치합 감속부재(400)는 도 2,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권취부재(200)와 치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회전 저항에 의해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회전을 감속시키며, 밀봉몸체(410), 회전체(420) 및 제2 기어(430)를 포함한다.
밀봉몸체(410)는 커버를 통해 연결축(422)의 일단부가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밀봉되며, 연결축(422)의 일단부에 고정된 회전체(420)의 회전시 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해 밀봉된 내부에 구리스(grease) 등의 점도 유체(F)가 충진된다.
회전체(420)는 밀봉몸체(410)의 내벽면과 근접하게 밀착하도록 외주면에 방사상의 날개(420a)가 구비되어 회전 과정에서 점도 유체(F)가 밀봉몸체(410)의 내벽면과 날개(420a)의 외면 사이로 빠르게 통과하지 못하고 저속으로 통과하게 되면서 회전 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제2 기어(430)는 연결축(422)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회전시 본체부재(100)의 축부(104) 하부에 형성된 제1 기어(106)를 따라 공전 및 자전하게 된다.
이때, 제2 기어(430)의 중심부가 삽입되는 연결축(422)의 타단부에 면취면이 형성되어 제2 기어(430)와 연결축(422)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동작 인지부재(5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회전시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요홈(206a)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소리를 발생시켜 동작 여부를 인지시키며, 하우징(510), 회전부(520), 탄성체(530) 및 회전각 조절부(540)를 포함한다.
하우징(510)은 탄성 감속부재(30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위치되며, 와이어 권취부재(200) 반대 방향측 일단에 제1 축부(512)가 직립 구비되고, 와이어 권취부재(200) 방향측 타단에 제2 축부(514)가 구비된다.
제1 축부(512)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부(520)가 삽입되고, 제2 축부(514)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각 조절부(540)가 삽입된다.
그리고 하우징(510)에는 제1 축부(512)에서 와이어 권취부재(200) 방향인 전방이면서 제1 축부(512)를 기준으로 동심 위치에 원호 형상의 가이드(516)가 직립 돌출되며, 제1 축부(512)의 후방 양단에 제1 축부(512)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518)가 각각 구비된다.
지지돌기(518)는 회전부(520)에 설치된 탄성체(530)의 양단을 지지하면서 회전되는 회전부(520)가 원위치되도록 한다.
회전부(520)는 평면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꼭짓점 부분에 제1 축부(512)에 결합되도록 결합공(522)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되,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260a)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외면에 연동돌기(524)가 구비되고, 하부 일측에 제1 회전돌기(526)가 구비되며, 하부 타측에 제2 회전돌기(528)가 구비된다.
즉, 회전부(520)는 와이어(W)의 당김에 의한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일방향(반시계방향) 회전시 요홈(206a) 내에 연동돌기(524)가 위치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와이어(W)의 풀림에 의한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타방향(시계방향) 회전시 요홈(206a) 내에 연동돌기(524)가 위치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더욱이, 회전부(520)의 연동돌기(524)는 요홈(206a)에서 이탈되면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1 회전돌기(526)는 그 높이가 제2 회전돌기(528)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회전돌기(526)가 턱(546)이 없는 회전각 조절부(540)의 날개(542)와 날개(542) 사이에 형성된 각도홈(544)에 위치될 때 회전부(520)의 회전 각도가 턱(546)이 있는 회전각 조절부(540)의 날개(542)와 날개(542) 사이에 형성된 각도홈(544)에 위치될 때 회전부(520)의 회전 각도보다 크게 된다.
그리고 제1 회전돌기(526)는 와이어 권취부재(200)에 풀린 와이어(W)가 감기게 하는 과정에서 회전부(520)의 회전시 경사면에 의해 날개(542)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542a)을 밀면서 회전각 조절부(540)를 회전시키게 되고, 턱(546)이 없는 회전각 조절부(540)의 날개(542)와 날개(542) 사이에 형성된 각도홈(544)과 턱(546)이 있는 회전각 조절부(540)의 날개(542)와 날개(542) 사이에 형성된 각도홈(544)에 번갈아 위치되면서 회전부(520)가 회전된다.
한편, 제2 회전돌기(528)는 그 높이가 턱(546)에 간섭받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므로 와이어 권취부재(200)에서 와이어(W)를 푸는 과정에서 회전각 조절부(540)의 날개(542)의 단부 형성된 경사면(542a)을 밀게 되면 회전된다.
탄성체(530)는 회전부(520)의 일측에 양단이 하우징(510)의 지지돌기(518)에 지지되면서 회전된 회전부(520)가 원위치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일예로 판 스프링이 이에 적용된다.
회전각 조절부(540)는 제2 축부(5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부(520)의 회전에 의해 한방향으로 연동되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날개(542)에 의해 그 사이마다 각도홈(544)이 구비되고, 각도홈(544) 중 하나의 각도홈(544)을 건너 띠는 위치마다 턱(546)이 구비된다.
각도홈(544)은 바깥쪽보다 안쪽의 간격이 점차 좁혀지도록 경사면이 대칭 형성되어 와이어 권취부재(200)에서 와이어(W)의 감김시 제1 회전돌기(526)가 이동하면 할수록 회전각 조절부(540)를 반시계방향으로 점차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장치(1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이어(W)를 와이어 권취부재(200)에서 인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권취홈(206)에 와이어(W)가 감긴 상태에서 단부가 와이어 출입홈(102)에 일부 노출된 상태로 구비된다.
다음으로, 와이어(W)의 단부를 잡아당기면 와이어 권취부재(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206a)에 동작 인지부재(500)의 회전부(520)에 형성된 연동돌기(524)가 결합되는 시점마다 변형된 탄성체(53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520)의 연동돌기(524)가 요홈(206a)의 내벽에 충돌하면서 소음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이렇게,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외주면이 연동돌기(524)를 밀어 회전부(5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 과정에서 탄성 감속부재(300)의 제1 탄성 감속부(310)와 제2 탄성 감속부(320)가 신장되면서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감김면(209)에 감기게 된다.
한편, 회전부(520)의 제2 회전돌기(528)가 회전각 조절부(540)의 각도홈(544)에 결합되기 전이나 후에 관계없이 회전각 조절부(540)는 회전되지 않지만, 날개(542)의 단부 형성된 경사면(542a)에 닿게 되면 회전각 조절부(540)는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잡아당긴 와이어(W)를 놓게 되면 변형된 제1 탄성 감속부(310)와 제2 탄성 감속부(320)가 복원되면서 와이어 권취부재(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206a)에 동작 인지부재(500)의 회전부(520)에 형성된 연동돌기(524)가 결합되는 시점마다 변형된 탄성체(53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520)의 연동돌기(524)가 요홈(206a)의 내벽에 충돌하면서 소음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이렇게,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외주면이 연동돌기(524)를 밀어 회전부(5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 과정에서 탄성 감속부재(300)의 제1 탄성 감속부(310)와 제2 탄성 감속부(320)가 신장되면서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감김면(209)에서 풀리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요홈(206a)에 연동돌기(524)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부(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회전돌기(526)가 턱(546)이 없는 회전각 조절부(540)의 날개(542)와 날개(542) 사이에 형성된 각도홈(544)에 결합[도 8(a, b) 참조]되고, 요홈(206a)에 연동돌기(524)가 결합되면 탄성체(53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5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 회전돌기(528)가 회전각 조절부(540)의 경사면(542a)을 밀어 회전각 조절부(5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도 8(c) 참조]시킨다.
그리고 요홈(206a)에 연동돌기(524)가 결합되면 회전부(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회전돌기(526)가 턱(546)이 있는 회전각 조절부(540)의 날개(542)와 날개(542) 사이에 형성된 각도홈(544)에 결합[도 8(d, e) 참조]되고, 요홈(206a)에 연동돌기(524)가 분리되면 제2 회전돌기(528)가 회전각 조절부(540)의 경사면(542a)을 밀어 회전각 조절부(5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도 8(f) 참조]시킨다. 그리고 요홈(206a)에 연동돌기(524)가 결합되는 시점에 제1 회전돌기(526)와 제2 회전돌기(528)의 사이에 회전각 조절부(540)가 위치[도 8(g) 참조]된다.
제1 회전돌기(526)의 경사면에 의해 날개(542)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542a)을 밀면서 회전각 조절부(540)를 회전시키게 되고 턱(546)이 없는 회전각 조절부(540)의 날개(542)와 날개(542) 사이에 형성된 각도홈(544)과 턱(546)이 있는 회전각 조절부(540)의 날개(542)와 날개(542) 사이에 형성된 각도홈(544)에 번갈아 위치되면서 회전부(520)가 회전된다.
다음으로, 와이어 권취부재(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 권취부재(200)의 하부에 위치된 치합 감속부재(400)의 제2 기어(430)가 본체부재(100)의 축부(104) 하부에 구비된 제1 기어(106)를 따라 공전과 자전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치합 감속부재(400)의 제2 기어(430) 자전시 밀봉몸체(410)의 내부에 위치된 회전체(420)는 그리스 등의 점도 유체(F)가 유동하지 못하면서 회전 저항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1 기어(106)에서의 공전 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와이어 권취장치 100: 본체부재
102: 와이어 출입공 104: 축부
106: 제1 기어 108: 수용부
200: 와이어 권취부재 202: 삽입공
204: 와이어 수용홈 206: 권취홈
208: 걸림홀 300: 탄성 감속부재
310, 320: 제1, 2 탄성 감속부 400: 치합 감속부재
410: 밀봉몸체 420: 회전체
430: 제2 기어 500: 동작 인지부재
510: 하우징 520: 회전부
530: 탄성체 540: 회전각 조절부
F: 점도 유체 W: 와이어

Claims (7)

  1. 커버에 의해 개폐되며, 일측에 와이어 출입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 내부의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일방향 회전시 와이어의 단부가 감기고, 타방향 회전시 감긴 와이어가 풀리는 와이어 권취부재;
    상기 와이어의 인출을 위해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가 회전되면 풀리고, 상기 와이어의 인입을 위해 상기 와이어의 당김력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면서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를 감속시키는 탄성 감속부재;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와 치합된 상태로 구비되어 회전 저항에 의해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치합 감속부재; 및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회전시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요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소리를 발생시켜 동작 여부를 인지시키는 동작 인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인지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 일, 타측에 제1, 2 축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제1 축부에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되,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외면에 연동돌기가 구비되고, 하부 일측에 제1 회전돌기가 구비되며, 하부 타측에 제2 회전돌기가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양단이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면서 상기 회전부가 원위치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제2 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한방향으로 연동되며, 방사상으로 각도홈이 구비되고 상기 각도홈 중 하나의 각도홈을 건너 띠는 위치마다 턱이 구비되는 회전각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는 중심부에 종방향으로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측 둘레면에 상기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도록 권취홈이 형성되며, 외주면 하측에 상기 탄성 감속부재의 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감속부재는 복수 구비된 태엽으로,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합 감속부재는,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삽입공이 삽입되도록 상기 축부의 하부에 구비된 제1 기어와 치합되면서 상기 와이어 권취부재의 회전시 상기 제1 기어를 따라 공전 및 자전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가 연결되며, 외주면에 방사상의 날개가 구비된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가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해 밀봉된 내부에 점도 유체가 충진되는 밀봉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의 제1 회전돌기가 상기 턱이 없는 각도홈에 위치되거나 상기 턱이 있는 각도홈에 위치되며, 상기 턱은 그 높이가 상기 제2 회전돌기가 간섭받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장치.
KR1020200007282A 2020-01-20 2020-01-20 와이어 권취장치 KR102158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282A KR102158153B1 (ko) 2020-01-20 2020-01-20 와이어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282A KR102158153B1 (ko) 2020-01-20 2020-01-20 와이어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153B1 true KR102158153B1 (ko) 2020-09-22

Family

ID=7270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282A KR102158153B1 (ko) 2020-01-20 2020-01-20 와이어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1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5913A (ja) * 2006-12-21 2008-07-10 Pewag Schneeketten Gmbh & Co Kg 滑り止めチェーン用のテンション装置
JP2008156003A (ja) * 2006-12-20 2008-07-10 Canon Inc ケーブル収納機構
KR20180125702A (ko) 2017-05-16 2018-11-26 황대룡 와이어 자동 권취기
KR102023508B1 (ko) * 2019-05-13 2019-09-20 백용기 다중 스프링이 내장된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6003A (ja) * 2006-12-20 2008-07-10 Canon Inc ケーブル収納機構
JP2008155913A (ja) * 2006-12-21 2008-07-10 Pewag Schneeketten Gmbh & Co Kg 滑り止めチェーン用のテンション装置
KR20180125702A (ko) 2017-05-16 2018-11-26 황대룡 와이어 자동 권취기
KR102023508B1 (ko) * 2019-05-13 2019-09-20 백용기 다중 스프링이 내장된 권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3987A (en) Cable retractor
JP4206426B1 (ja) 長尺状体巻取りリール装置
US6736346B1 (en) Apparatus for winding cord
JP2000060263A (ja) ひも型刈払ヘッド
US12027834B2 (en) Compact winding device for a flexible line
JPS5935617B2 (ja) 真空掃除機等のコ−ド巻取装置
KR102158153B1 (ko) 와이어 권취장치
MXPA02009600A (es) Sello rotatorio.
KR101652276B1 (ko) 이어폰용 권취릴
KR20190078597A (ko) 테이프 리트랙션을 위한 유성 기어 구동부를 갖는 줄자
JP2013075756A (ja) ケーブル貯蔵機器及びそれを備えたケーブルセット
KR101819933B1 (ko) 감속기능이 구비된 진공청소기용 코드릴 조립체
JP4549459B2 (ja) ケーブルビート製造方法
KR20180001649U (ko) 전기자동차 충전기용 자동 릴 장치
WO2005028352A1 (fr) Dispositif de retraction pour appareil automatique d'enroulements de tubes
KR20110006615U (ko) 권취 기능을 갖는 이어폰장치
KR102023508B1 (ko) 다중 스프링이 내장된 권취장치
JPH0955275A (ja) 固定体と回転体との電気的接続装置
KR100629346B1 (ko) 코드 릴
US4711409A (en) Pawl controlled reel extension
KR20090023890A (ko) 케이블 자동 감김 장치
KR200244998Y1 (ko) 줄 감김 자동장치
KR101800768B1 (ko) 감속 코드릴
JPH02116342A (ja) 電気掃除機
KR100842927B1 (ko) 진공청소기용 코드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