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584B1 - 리시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 및 이를 구비한이어마이크폰 - Google Patents

리시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 및 이를 구비한이어마이크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584B1
KR100444584B1 KR10-2002-0010499A KR20020010499A KR100444584B1 KR 100444584 B1 KR100444584 B1 KR 100444584B1 KR 20020010499 A KR20020010499 A KR 20020010499A KR 100444584 B1 KR100444584 B1 KR 100444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eceiver
receivers
grip member
ear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003A (ko
Inventor
조영탁
진대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0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58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한쌍의 리시버 중 한쪽 리시버만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한쪽의 리시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 및 이를 구비한 이어마이크폰을 개시한다. 이어마이크폰은, 스피커가 내장된 한쌍의 리시버, 및 한쌍의 리시버를 각각 파지하기 위한 한쌍의 파지부가 형성된 그립부재를 갖는다. 파지부는 상호 평행한 한쌍의 플렌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플렌지의 단부에는 파지부에 수용된 리시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플렌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시버를 사용하지 않거나 어느 한쪽의 리시버만을 사용하는 경우 그립부재를 이용하여 리시버를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리시버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시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 및 이를 구비한 이어마이크폰 {Gripper for fixing of receiver and earmicphone with thereof}
본 발명은 이어마이크폰(EarMicPhon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PDA기 및 휴대폰 등에 연결하여 핸즈프리 기능으로 사용 가능한 리시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 및 이를 구비한 이어마이크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마이크폰은 귀에 대거나 끼워서 사용하는 스피커가 내장되어 음향을 수신하는 한쌍의 리시버, 리시버를 각각 연결하는 전선, 전선의 중간에 구비되어 음성을 녹음하거나 전화 통화시 사용하는 마이크, 및 전선의 단부에 구비되어 무선 PDA기 및 휴대폰 등에 연결되는 연결잭으로 구성된다.
이어마이크폰은 무선 PDA기에 연결하여 스테레오 사운드를 들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휴대 전화기의 핸즈프리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핸즈프리 기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굳이 양쪽 귀에다 꽂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즉, 필요에 따라 한쪽의 리시버만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한쪽의 리시버가 아래로 늘어져 불편을 초래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어마이크폰은 리시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한쪽 리시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리시버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전선이 꼬이거나 아래로 늘어지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쌍의 리시버의 비사용시나 어느 한쪽 리시버만을 사용하는 경우 리시버들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 및 이를 구비한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한쌍의 리시버 110 : 그립부재
112, 113 : 파지부 112a, 113a : 걸림부
120 : 전선 130 : 마이크부
140 : 연결단자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재는, 스피커가 내장된 한쌍의 리시버의 일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쌍의 상기 리시버를 각각 파지하기 위한 한쌍의 파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파지부는 상호 평행한 한쌍의 플렌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플렌지의 단부에는 상기 파지부에 수용된 상기 리시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상기 플렌지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쌍의 상기 파지부는 상호 대향된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은, 스피커가 내장된 한쌍의 리시버, 및 한쌍의 상기 리시버 각각의 일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쌍의 상기 리시버를 각각 파지하기 위한 한쌍의 파지부를 갖는 그립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어마이크폰은, 한쌍의 상기 리시버의 상기 스피커에 연결되는 전선, 및 상기 전선의 단부에 연결되어 외부기기에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더 구비한다.
한편, 각각의 상기 파지부는 상호 평행한 한쌍의 플렌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플렌지의 단부에는 상기 파지부에 수용된 상기 리시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상기 플렌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상기 파지부는 상호 대향된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은, 스피커가 내장된 한쌍의 리시버, 및 상기 리시버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상기 리시버의 일 부위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갖는다.
따라서, 리시버들를 사용하지 않거나 어느 한쪽의 리시버만을 사용하는 경우 그립부재를 통해 리시버들을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리시버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어마이크폰은 한쌍의 리시버(100), 그립부재(110), 전선(120), 마이크부(130), 및 연결단자(140)을 갖는다. 한쌍의 리시버(100)는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스피커를 내장하여 음향을 출력한다. 한쌍의 리시버(100)는 오른쪽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오른쪽 리시버(100R)와 왼쪽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왼쪽 리시버(100L)로 구성된다.
그립부재(110)는 스피커가 내장된 한쌍의 리시버(100)의 일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쌍의 리시버(100)를 각각 파지하기 위한 한쌍의 파지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전선(120)은 한쌍의 리시버(100)의 각각에 마련된 스피커에 연결된다. 마이크부(130)에는 볼륨 및 마이크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스위치 등이 구비된다. 연결단자(140)는 전선(120)의 단부에 구비되어 무선 PDA나 휴대용 전화기(도시되지 않음) 등에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립부재(110)는 한쌍의 리시버(100)의 일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쌍의 리시버(100)를 각각 파지하기 위한 한쌍의 파지부(112)(113)를 갖는다.
각각의 파지부(112)(113)는 상호 평행한 한쌍의 플렌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플렌지의 단부에는 파지부(112)(113)에 수용된 리시버(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112a)(113a)가 플렌지와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플렌지의 단부에 걸림부(112a)(113a)를 형성함으로써 수용된 리시버(100)가 빠지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한쌍의 파지부(112)(113)는 상호 대향된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한쌍의 리시버(100)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쪽의 리시버(100R)만을 사용하는 경우 그립부재(110)를 통해 다른 한쪽의 리시버(100L)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되지 않는 리시버(100L)가 늘어져서 전선(120)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재(110)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파지부(112)(113)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파지부(112)(113)는 하나의 파지부(112)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파지부(113)를 180°회전시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파지부(112)(113)는 하나의 파지부(112)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파지부(113)를 90°회전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부재(110)의 변형예에 대해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쌍의 리시버(100)를 파지하기 위한 한쌍의 파지부(112)(113)를 갖는 그립부재(110)는 다양한 형태로 표현 가능하다.
또한, 그립부재(110)는 자체 탄성력이 구비된 연질의 나일론 수지류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함으로써, 한쌍의 리시버(100)를 한쌍의 파지부(112)(113)에 꽂거나 빼기에 적절한 힘이 소요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마이크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어마이크폰은 리시버(200), 파지부(210), 및 전선(220)을 갖는다. 리시버(200)는 사용자의 귀속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스피커를 내장하여 음향을 출력한다. 파지부(210)는 한쌍의 리시버(도시하지 않음)중 어느 하나의 리시버(200)의 일 부위와 일체로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리시버(도시하지 않음)의 일 부위를 파지한다.
여기서, 파지부(210)는 상호 평행한 한쌍의 플렌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플렌지의 단부에는 파지부(210)에 수용된 리시버(도시하지 않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210a)가 플렌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수용된 리시버를 고정시켜 수용된 리시버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부재를 이용하여 리시버들을 상호 고정 가능한 유선 이어마이크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이어마이크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쌍의 리시버를 사용하지 않거나 어느 한쪽의 리시버만을 사용하는 경우 그립부재를 이용하여 리시버들을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리시버에 의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스피커가 내장된 한쌍의 리시버; 및
    한쌍의 상기 리시버 각각의 일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쌍의 상기 리시버를 각각 파지하기 위해 상호 평행한 한쌍의 플렌지 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파지부를 갖는 그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
  6. 제 5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리시버 각각 마련된 상기 스피커와 연결되는 전선;
    상기 전선의 단부에 구비되어 외부기기에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플렌지의 단부에는 상기 파지부에 수용된 상기 리시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상기 플렌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
  9. 제 5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파지부는 상호 대향된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상기 한쌍의 리시버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폰.
KR10-2002-0010499A 2002-02-27 2002-02-27 리시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 및 이를 구비한이어마이크폰 KR100444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499A KR100444584B1 (ko) 2002-02-27 2002-02-27 리시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 및 이를 구비한이어마이크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499A KR100444584B1 (ko) 2002-02-27 2002-02-27 리시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 및 이를 구비한이어마이크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003A KR20030071003A (ko) 2003-09-03
KR100444584B1 true KR100444584B1 (ko) 2004-08-16

Family

ID=3222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499A KR100444584B1 (ko) 2002-02-27 2002-02-27 리시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 및 이를 구비한이어마이크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584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실용공보 제5995호(1998.03.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003A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4996B2 (en) Portable telephone attachment for person hard of hearing
US20080181423A1 (en) Stereo headset with integrated earpiece mount
GB2376868A (en) A neck strap
US20020187817A1 (en) Hand-free handset and neckband arrangement
KR100444584B1 (ko) 리시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 및 이를 구비한이어마이크폰
KR200341662Y1 (ko)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헤드셋
CN210840019U (zh) 一种蓝牙耳机
KR100327976B1 (ko) 체인접속형 이어마이크 장치
KR20080049539A (ko)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KR200397054Y1 (ko) 이어폰 목걸이의 이어폰 와이어 고정 장치
KR20050096301A (ko) 무선 이어셋
KR200233027Y1 (ko)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
KR200302706Y1 (ko) 이어폰 내장형 선그라스
KR200501112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장치
KR200221529Y1 (ko) 커플용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KR200200252Y1 (ko) 이어폰 일체형 목걸이
KR200399222Y1 (ko)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JP3157404U (ja) 無線イヤホン装置
KR20060002836A (ko) 전화기용 송수화기
KR200189841Y1 (ko) 인터넷폰용 콘넥터
KR200287146Y1 (ko) 듀얼 마이크 이어폰
KR200451336Y1 (ko) 휴대폰 걸이용 이어마이크 장치
KR200252624Y1 (ko) 휴대폰의 이어마이크로폰과 음향기기의 리모콘에연결하여 동시 또는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착탈분리형 만능 제어장치
KR200170099Y1 (ko) 휴대전화용 이어_마이크로폰 장치
KR200176942Y1 (ko) 목걸이형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