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305Y1 -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305Y1
KR200171305Y1 KR2019990018828U KR19990018828U KR200171305Y1 KR 200171305 Y1 KR200171305 Y1 KR 200171305Y1 KR 2019990018828 U KR2019990018828 U KR 2019990018828U KR 19990018828 U KR19990018828 U KR 19990018828U KR 200171305 Y1 KR200171305 Y1 KR 200171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ase
holder
handse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중석
Original Assignee
양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중석 filed Critical 양중석
Priority to KR2019990018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3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든 기종의 휴대폰을 수용할 수 있고, 휴대폰 거치대에 수화음을 증폭할 수 있는 증폭수단을 설치하여 주행중 휴대폰을 파지하지 않고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는 대쉬보드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배면이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서 정면으로 돌설되어 상기 휴대폰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베이스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안착된 휴대폰의 좌우폭 사이즈에 따라 가변되고 탄접부재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양측면을 일정한 힘으로 협착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가변익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Holder for portable radio telephone}
본 고안은 차량의 대쉬보드에 설치하여 휴대용 무선전화기(이하, 휴대폰이라 약칭함)를 고정시키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종 및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을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사용상의 편리성과 차량 운행중에도 통화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운전중에 휴대폰을 이용할 경우에는 한 손으로 핸들을 조작하고, 다른 한 손으로 휴대폰을 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최근에는 휴대폰을 파지하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소위 핸드프리가 보급되어 있고, 이외도 휴대폰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통화중 운전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럴 경우 통상 휴대폰을 거치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규격화되어 있고, 더욱이 휴대폰은 기종에 따라 그 크기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다른 기종으로 교체할 경우에는 교체된 휴대폰을 사용중인 거치대에 사용할 수 없어 다시 새로운 거치대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든 기종의 휴대폰을 수용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거치대에 휴대폰의 수화음을 증폭할 수 있는 증폭수단을 설치하여 주행중 휴대폰을 파지하지 않고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는 대쉬보드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배면이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서 정면으로 돌설되어 상기 휴대폰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베이스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안착된 휴대폰의 좌우폭 사이즈에 따라 가변되고 탄접부재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양측면을 일정한 힘으로 협착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가변익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의 내면 상부에 구비되어 휴대폰 배면을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영구자석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휴대폰의 수화기에 밀착되어 출력되는 수화음을 증폭하는 수화음 증폭수단;을 더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수화음 증폭수단은 상기 휴대폰의 수화기에서 출력되는 수화음을 입력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수화음을 일정레벨 이상 증폭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폰 거치대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며, 더욱이 베이스 양측면에 탄접된 가변익편에 의해 휴대폰의 좌우폭이 각각 다른 이종의 휴대폰을 거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비틀림 스프링과 가변익편과의 체결 관계를 보인 부분 절개 단면도,
도 4a는 도 3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b는 비틀링 스프링에 의한 가변익편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핸드프리 블록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거치대 10 : 베이스
11 : 상케이스 12 : 하케이스
13 : 회로기판 14 : 영구자석
15 : 자석받침구 20 : 받침대
30 : 가변익편 35 : 비틀림 스프링
40 : 마이크 40a : 삽입편
40c : 협착편 41 : 증폭부
42 : 스피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거치대의 내부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체를 부호 1로 표시한 거치대는 베이스(10), 받침대(20), 가변익편(3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는 상케이스(11)와 하케이스(12)로 분할되어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 베이스(10) 내부에 후술할 음성 증폭을 위한 회로가 구성된 회로기판(13)이 설치되고, 이 회로기판(13)은 커넥터를 통해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베이스(10)의 내부 상부측, 즉, 상케이스(11)의 내면 상부에는 영구자석(14)을 수용하기 위한 자석수용홈(11a)이 성형되어 있고, 이 자석수용홈(11a)에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의 영구자석(14)을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거치된 휴대폰의 배터리에 흡자력을 제공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 영구자석(14)은 상케이스(11)와 하케이스(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케이스(12)의 내부 저면에서 돌출된 자석받침구(15)가 저면 중앙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자석수용홈(11a)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받침대(20)는 상케이스(11)의 하단부로부터 정면으로 돌출 성형된 것으로, 양단에 한 쌍이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어 휴대폰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가변익편(30)은 베이스(10)의 폭방향 양측에 비틀림 스프링(35)과의 결합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이 가변익편(30)은 휴대폰의 양측면을 협착하게 되며, 그 협착력은 비틀림 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10) 하부에 돌설된 받침대(20)와 가변익편(30)에 의해 휴대폰(2)이 거치대(1)에 안착되며, 더욱이 베이스(10) 내측에 구비된 자석에 의해 베이스(10)측으로의 밀착력이 증대되어 주행중 차량의 진동에 대항력을 갖고 견고히 고정되어 거치대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기종을 거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가변익편(30)은 도 2와 같이 익편(31)의 내측 하단부 가장자리에 중심축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가이드레일(32)이 돌설되게 성형되어 있고, 이 가이드레일(32)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홈(32a)은 하케이스(12)에 성형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12a)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습동 결합됨과, 동시에 이 가이드돌기(12a)에 의해 습동 가능하게 왕복동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1a는 익편(31)의 휨력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리브이고, 부호 12b는 거치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이며, 부호 3은 도시되지 않은 차량의 대쉬보드에 체결되어 일정한 각도변환이 가능한 브래킷으로, 상기 거치대(1)는 고정구(12b)를 브래킷(3)에 나사결합함으로써 결합된다.
이 가변익편(30)의 왕복동은 상기한 비틀림 스프링(35)과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3은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체결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케이스(12)의 내측 저면에는 비틀림 스프링(35)을 체결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봉(12b)이 성형되어 있고, 이 체결봉(12b)에 스크롤식으로 권선되어 형성된 비틀림 스프링(35)의 삽입공을 끼워고정하게 되며, 이 스프링(35)의 일단부는 별도의 고정봉(12c)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변익편(30)의 내측 중앙부 하단에 중심축 방향으로 돌설된 체결구(33)에 끼움 고정되는 것으로, 체결된 비틀림 스프링(35)은 중심축방향으로의 복원력 때문에 상기 가변익편(30)을 베이스 내측으로 밀착시키게 되며, 이 결과 거치된 휴대폰의 양측면을 밀착시킬 수 있을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에 가변익편이 결합된 구성에 의하면, 도 4a 및 도4b와 같이 가변익편(30)의 초기상태는 비틀림 스프링(35)이 내측으로 작용하려는 힘의 방향에 의해 베이스(10) 양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로 휴대폰이 거치대(1)에 안착될 경우에는 휴대폰의 폭방향 길이에 따라 벌어지게 되는데, 이 가변익편(30)이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상기 스프링(35)이 복원하려는 방향 즉, 중심축 방향으로의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폰을 협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대(1)에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폰을 파지하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수화음 증폭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이 수화음 증폭수단은 상술한 회로기판(13)에 설계되어 있다.
이 수화음 증폭수단은 도 5와 같이 휴대폰의 수화기측에 밀착되어 여기서 출력되는 수화음을 입력으로 하는 마이크(40)와, 상기 마이크(40)로 입력되는 수화음을 증폭시키는 증폭부(41)와, 증폭된 수화음을 출력하는 스피커(42)로 이루어져 있고, 여기서, 증폭부(41)는 거치대(1)에 내장된 회로기판(13)에 설치되며, 스피커(42)는 상기 증폭부(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거치대(1)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운전자와 비교적 가까운 선바이저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마이크(40)는 거치대(1)의 베이스(10) 상면, 즉 상케이스(11)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케이스(11) 상면에 형성된 슬릿(11a)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출몰되는 판체형상의 삽입편(40a)을 갖는다.
상기 삽입편(40a)은 판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장공(40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40b)에는 하케이스(12)에서 돌설된 상기 자석받침구(15)가 관통되게 설치됨으로써 베이스(10)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더욱이 이 장공(40b)의 길이만큼 휴대폰(2)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편(40a)은 일단부에 일정한 곡률로 만곡되어 형성된 협착편(40c)과 일체로 이루어지며, 이 협착편(40c)은 휴대폰 상부 전.후면을 협착하게 되고, 이 협착편(40c)의 단부에 마이크(40)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마이크(40)는 휴대폰의 수화기에 밀착되어 여기서 출력되는 수화음을 증폭하여 스피커(42)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거치대의 양측면에 가변익편을 비틀림 스프링과 탄접되게 설치함으로써 휴대폰의 폭방향 사이즈에 관계없이 이종의 휴대폰을 협착 고정할 수 있고, 더욱이 베이스 상부에 상하로 일정 거리만큼 출몰 가능하게 마이크를 설치하고, 내부에 상기 마이크에서 수음된 수화음을 증폭할 수 있는 증폭부를 회로기판에 설계하여 내장함으로써 이종의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역할 뿐만 아니라 핸드프리의 기능을 부가하여 기술적인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대쉬보드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배면이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서 정면으로 돌설되어 상기 휴대폰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베이스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안착된 휴대폰의 좌우폭 사이즈에 따라 가변되고 탄접부재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양측면을 일정한 힘으로 협착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가변익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내면 상부에 구비되어 휴대폰 배면을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영구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휴대폰의 수화기에 밀착되어 출력되는 수화음을 증폭하는 수화음 증폭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음 증폭수단은 상기 휴대폰의 수화기에서 출력되는 수화음을 입력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수화음을 일정레벨 이상 증폭시키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수화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KR2019990018828U 1999-09-06 1999-09-06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KR200171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828U KR200171305Y1 (ko) 1999-09-06 1999-09-06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828U KR200171305Y1 (ko) 1999-09-06 1999-09-06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305Y1 true KR200171305Y1 (ko) 2000-03-15

Family

ID=1958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828U KR200171305Y1 (ko) 1999-09-06 1999-09-06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3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424B1 (ko) 2017-08-18 2018-09-28 조규호 스마트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424B1 (ko) 2017-08-18 2018-09-28 조규호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055A (en) Telephone holder with mounting assembly
US20020003874A1 (en) Telephone assembly with handset having a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component
US6009168A (en)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H0730626A (ja) 無線電話用取付け組立体
KR20190055449A (ko)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200171305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JP2002218032A (ja) 携帯電話のsimカード取り付け構造
US6714123B1 (en)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vibration generator
KR20060104563A (ko) 차량용 핸드폰 홀더 및 제어장치
JPH10315874A (ja) 車載用携帯電話機ホルダー
JP3387884B2 (ja) 背もたれ取付け式ハンズフリー装置
KR20020069858A (ko) 휴대폰 거치대
KR200253141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KR200190767Y1 (ko)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US20040204156A1 (en) Mobile phone seat with a wireless transceiver module
CN210225520U (zh) 带收纳手机壳组件
KR100460981B1 (ko)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CN212876241U (zh) 一种带弹力的镜面触摸开关外壳
KR200253273Y1 (ko) 차량용 휴대폰 홀더
KR200218535Y1 (ko) 자동차용 휴대폰 접속 지지장치
JP2003318620A (ja) 携帯電話機器のアンテナ取付装置
KR200220919Y1 (ko) 자동차용 핸즈프리
KR200200129Y1 (ko) 휴대전화용 핸드프리 거치대
JPH10243072A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話システム
KR19980061892U (ko)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