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892U -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 Google Patents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892U
KR19980061892U KR2019970006179U KR19970006179U KR19980061892U KR 19980061892 U KR19980061892 U KR 19980061892U KR 2019970006179 U KR2019970006179 U KR 2019970006179U KR 19970006179 U KR19970006179 U KR 19970006179U KR 19980061892 U KR19980061892 U KR 199800618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
hands free
bearing holes
sun visor
h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흥환
Original Assignee
노흥환
웨이브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흥환, 웨이브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흥환
Priority to KR2019970006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892U/ko
Publication of KR199800618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892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운전자 정면 상부에 구비된 선바이져에 착탈식으로 용이하게 취부하여 운전자와 가장 근거리에서 송수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 프리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장방형 함체상으로 구성되고, 전면의 일측에는 수화부의 스피커 그릴(1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휴대용 전화에 접속되는 플러그(12)와 전원플러그(13)가 인출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배면 중앙에 일정 간격 이격된 2개 1조로 된 축수홀(21)(22)이 전후방 대향하게 구비되고, 이 전후방 축수홀(21)(22)의 중앙에는 양측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내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걸림돌기(23)가 구성되며, 상기 축수홀(21)(2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걸림돌기(23)에 걸려 고정되어 선바이져(S)에 착탈식으로 취부되는 걸이부재(24)가 구성되는 걸이부(20)와;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내장된 송화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고, 소정길이 인출되어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마이크(3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핸즈 프리 키트를 선바이져에 상,하 선택적으로 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를 차량내에서 이용할 때 전화기를 들지 않고도 상대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즈 프리 키트는 휴대용 전화기와 연결되어 휴대용 전화기와 동일하게 송.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핸드 프리 키트는 송화부와 수화부가 분리되어 송화부는 운전자와 친정의 모서리 등에 취부되고 수화부는 대시보드에 취부되도록 구성되거나, 송.수화부가 휴대용 전화기의 거치대와 근접한 위치, 또는 시거잭에 취부되도록 구성되어 설치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고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송.수화부의 위치가 운전자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송.수화 감도가 불량할 뿐만 아니라 차량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음이 송화부로 직접 전달되어 상대방에 대한 통화의 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어 휴대용 전화기를 소유한 대부분의 운전자는 핸즈 프리 키트를 설치하지 않거나 설치된 핸즈 프리 키트의 사용을 거부하는 실정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중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핸들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휴대용 전화기를 파지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서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이러한 주행중 휴대용 전화의 사용은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큰 요인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서 근래에 와서는 자동차의 주행중에 휴대용 전화를 사용하는 것을 강제로 규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운전자 정면 상부에 구비된 선바이져에 착탈식으로 용이하게 취부하여 운전자와 가장 근거리에서 송수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 프리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송.수화부가 내장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방에 선바이져 선단의 상면 또는 저면에 선택적으로 몸체의 정면이 향하게 취부할 수 있는 걸이부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송화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핸즈 프리 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걸이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걸이부의 구성도로서,
A는 하향 설치시 걸이부재의 결합 상태이고,
B는 상향 설치시 걸이부재의 결합 상태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서,
A는 하향 설치 상태이고,
B는 상향 설치 상태이다.
도 5는 본 고안 마이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20 : 걸이부
21, 22 : 축수홀23 : 걸림돌기
24 : 걸이부재30 : 마이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핸즈 프리 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걸이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걸이부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송.수화부가 내장된 몸체(10)의 후방 중앙에 선바이져 선단의 상면 또는 저면에 몸체의 정면이 향하게 취부할 수 있는 걸이부(20)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내장된 송화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마이크(3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10)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장방형 함체상으로 구성되고, 전면의 일측에는 수화부의 스피커 그릴(1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휴대용 전화기(H)에 접속되는 플러그(12)와 자동차의 전원과 접속되는 전원플러그(13)가 인출된다.
상기 걸이부(20)는, 몸체(10)의 배면 중앙에 일정 간격 이격된 2개 1조로 된 축수홀(21)(22)이 전후방 대향하게 구비되고, 이 전후방 축수홀(21)(22)의 중앙에는 양측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내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걸림돌기(2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축수홀(21)(2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걸림돌기(23)에 걸려 고정되어 선바이져(S)에 착탈식으로 취부되는 걸이부재(24)가 구성되는데, 이 걸이부재(24)는 상기 축수홀(21)(22)과 걸림돌기(23)의 사이에 수용되도록 평행으로 이격되고, 양측 선단부에 외향으로 절곡된 고정단(241)이 구비되며, 이 고정단(241)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위치에서 원형으로 절곡시키고 양측 후단부를 상기 고정단(241)에 근접하게 절곡시켜 양측이 연결된 파지단(242)이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30)는, 몸체(10)의 타측에 내장된 송화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고, 소정길이 인출되어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타측에 내장된 송화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코드에 마이크(40)를 연결하고, 이 마이크(40)에 클립(41)을 일체로 구비하여 운전자의 옷깃에 꽂아 사용하거나, 탑승자가 사용할 수도 있도록 구성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핸즈 프리 키트의 설치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핸드 프리 키트의 몸체(10) 전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24)의 고정단(241)을 몸체(10)의 배면 후방에 구비된 축수홀(21)에 결합하고, 걸이부재(24)의 양측 중심을 걸림돌기(23)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렇게 걸이부재(24)가 고정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24)의 파지단(242)을 선바이져(S)의 선단에 꽂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핸드 프리 키트의 몸체(10) 전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24)의 고정단(241)을 몸체(10)의 배면 전방에 구비된 축수홀(22)에 결합하고, 걸이부재(24)의 양측 중심을 걸림돌기(23)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렇게 걸이부재(24)가 고정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24)의 파지단(242)을 선바이져(S)의 선단에 꽂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송,수화부가 내장된 몸체의 후방에 선바이져 선단의 상면 또는 저면에 선택적으로 몸체의 정면이 향하게 취부할 수 있는 걸이부를 구성하고, 송화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로 구성되어 운전자 정면 상부에 구비된 선바이져에 착탈식으로 용이하게 취부하여 운전자와 가장 근거리에서 송.수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운전중 안전하게 통화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핸드 프리 키트의 구입 비용이 저렴하고, 통화의 감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운전자 정면 상부에 전방을 향해 회동하도록 구비된 선바이져에 착탈식으로 용이하게 취부하여 운전자와 가장 근거리에서 송수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 프리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Claims (1)

  1. 장방형 함체상으로 구성하고, 전면의 일측에는 수화부의 스피커 그릴(1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휴대용 전화에 접속되는 플러그(12)와 전원플러그(13)가 인출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배면 중앙에 일정 간격 이격된 2개 1조로 된 축수홀(21)(22)이 전후방 대향하게 구비되고, 이 전후방 축수홀(21)(22)의 중앙에는 양측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내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걸림돌기(23)가 구성되며, 상기 축수홀(21)(2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걸림돌기(23)에 걸려 고정되어 선바이져(S)에 착탈식으로 취부되는 걸이부재(24)가 구성되는 걸이부(20)와;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내장된 송화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고, 소정길이 인출되어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마이크(3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KR2019970006179U 1997-03-28 1997-03-28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KR199800618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179U KR19980061892U (ko) 1997-03-28 1997-03-28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179U KR19980061892U (ko) 1997-03-28 1997-03-28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892U true KR19980061892U (ko) 1998-11-16

Family

ID=6969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179U KR19980061892U (ko) 1997-03-28 1997-03-28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89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737A (ko) * 1999-10-11 2001-05-07 노명기 썬바이져형 핸즈프리장치
KR100594067B1 (ko) * 1998-12-30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전화 단말기의 핸즈프리장치 및 통화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67B1 (ko) * 1998-12-30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전화 단말기의 핸즈프리장치 및 통화방법
KR20010036737A (ko) * 1999-10-11 2001-05-07 노명기 썬바이져형 핸즈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37394A (en) Hands free support for use of a portable cellular phone while driving
GB2373998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with neck-strap
KR19980061892U (ko)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KR200243216Y1 (ko) 차량용 핸즈프리세트
KR200253141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JPH1159283A (ja)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KR200210827Y1 (ko) 차량용 핸즈프리
KR200210278Y1 (ko) 자동차용 휴대폰 접속 지지장치
KR200156655Y1 (ko) 휴대폰용 핸드프리키트
KR200229311Y1 (ko) 룸미러 내장형 핸드프리장치
KR200258256Y1 (ko) 핸드폰용 무선핸드프리 고정장치
KR200222381Y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KR200185635Y1 (ko) 차량에 설치가능한 무선 전화기용 무선 핸즈프리
KR200187551Y1 (ko) 헬멧에 설치가능한 무선 전화기용 무선 핸즈프리
KR20070033750A (ko) 차량용 마이크 장착구조
KR200302706Y1 (ko) 이어폰 내장형 선그라스
KR200210404Y1 (ko) 차량용 핸즈프리
KR200223514Y1 (ko) 이동 전화기용 유무선 겸용 핸즈프리를 장착한 안경테
JP3061171U (ja) 手放し電話ユニット
KR200184941Y1 (ko) 차량용 휴대폰 접속장치
KR200205814Y1 (ko)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
KR200200186Y1 (ko) 이어폰 고정장치
KR200233027Y1 (ko)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
KR200286783Y1 (ko) Lcd창과 버턴다이얼을 구비한 이어폰
KR200248592Y1 (ko) 휴대용 핸즈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