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381Y1 -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381Y1
KR200222381Y1 KR2020000032217U KR20000032217U KR200222381Y1 KR 200222381 Y1 KR200222381 Y1 KR 200222381Y1 KR 2020000032217 U KR2020000032217 U KR 2020000032217U KR 20000032217 U KR20000032217 U KR 20000032217U KR 200222381 Y1 KR200222381 Y1 KR 200222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mobile phone
phone
call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삼봉
Original Assignee
서삼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삼봉 filed Critical 서삼봉
Priority to KR2020000032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381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에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한편 쉽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스피커폰 기능을 갖추고 키가 확대된 핸즈 프리 전화기를 자동차에 설치하되 핸즈 프리 전화기에는 핸드폰 충전단자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핸드폰을 충전단자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핸드폰의 이어폰 잭과 핸즈 프리 전화기로 손을 대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Hands-free telephone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에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한편 쉽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휴대폰을 사용하여 통화하기 위해서는 핸즈 프리라는 장치를 이용하여야 한다.
기존의 핸즈 프리 장치로는 마이크가 달린 리시버를 휴대폰에 꼿아 사용하는 방식과 휴대폰의 음성은 차내 스피커로 출력시키고 송화음성은 햇빛가리개 등에 부착한 마이크로 입력시키는 방식이 있으나, 어느 방식을 사용하든지 전화가 걸려 오면 휴대폰의 플립을 열거나 키를 눌러 주어야 하므로 점차 소형화되어가는 휴대폰으로 인하여 키를 누르기가 쉽지 않은 것이었다.
그리고 휴대폰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때에는 전화를 받을 때 보다 키를 누르는 횟수가 많아 자동차 운행중에 사용한다는 것은 너무 위험한 일인 것이다.
이는 휴대폰의 키가 너무 작아 전화번호대로 누르기가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전화를 걸기 위하여 한 눈을 팔다가는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자동차를 운행하면서도 손쉽게 전화를 받거나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스피커폰 기능을 갖추고 키가 확대된 핸즈 프리 전화기를 자동차에 설치하되 핸즈 프리 전화기에는 핸드폰 충전단자를 구비시킴으로써, 핸드폰을 충전단자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핸드폰에 끼워진 이어폰 또는 핸즈 프리 전화기 자체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넓은 키를 이용하게 되어 키 누름에 따른 부담감을 줄여 주고 스피커폰 기능을 이용하여 간단한 통화가 가능토록 하는 한편 이어폰 또는 자동차 스피커로도 통화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 3 은 본 고안의 핸드폰 장착 상태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시보드 10 : 핸즈 프리 전화기 11 : 스피커
13 : 키 14,15 : 통화키 16,17 : 마이크
18 : 이어폰 20 : 휴대폰 21 : 이어폰 와이어
22 : 휴대폰 부착판 23 : 충전단자 30 : 플러그
40 : 고정대 50 : 전화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대시보드(1)에 고정대(40)를 이용하여 핸즈 프리 전화기(10)를 설치하되, 상기 핸즈 프리 전화기(10)에는 스피커(11), 숫자키(13), 마이크(16), 통화키(14)(15) 등이 일측에 구비되어 지는 한편 타측에는 휴대폰(20)을 안착시키는 휴대폰 부착판(22)과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23)가 구비되어 진다.
상기 핸즈 프리 전화기(10)에는 휴대폰(20)의 이어폰 잭과 이어폰 와이어(21)로 결합되는 이어폰 잭이 구비되어 핸즈 프리 전화기(10)의 송,수화음이 핸드폰(20)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달되거나 전달받도록 하고, 핸즈 프리 전화기(10)의 수신음은 이어폰(18) 또는 스피커(11)로 출력되고 송화음은 마이크(16)(17)로 집음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통화가 이어폰(18)과 마이크(17)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과, 스피커(11)와 마이크(16)로 이루어지게 하는 기능은 통화키(14)(15)를 누름에 따라 선택되어 지는 것으로, 운전자는 통화키(14)(15) 중 하나를 눌러 통화방식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이어폰(18)은 운전석 측면이나 햇빛가리개 등에 설치되어 쉽게 운전자의 귀에 꼿을 수 있도록 하고 마이크(17)는 입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숫자키(13)는 그 크기가 크고 내부에 조명 기능을 갖추도록 하여 쉽게 키(13)를 누를 수 있도록 하며, 핸즈 프리 전화기(10)의 전원은 플러그(30)를 시거잭 삽입구에 꼿아 자동화 전원을 이용하도록 한다.
휴대폰 부착판(22)은 자석 등을 이용하여 휴대폰(20)의 크기나 종류에 관계없이 휴대폰(20)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때 휴대폰(20)과 충전단자(23)를 접촉시켜 밧데리 충전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핸즈 프리 전화기(10)를 대시보드(1)에 고정시키는 고정대(40)는 상,하,좌,우로 위치 변환시키는 것이 적합하나, 사용에 편리한 위치로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송,수화기(51)가 구비된 일반 전화기(50)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전화기(50)의 일측에 휴대폰(20)을 안착시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어폰 와이어(21)로 휴대폰(20)과 전화기(50)를 연결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핸즈 프리 전화기(10)를 자동차의 대시보드(1)에 고정대(40)로 고정시킨 후 플러그(30)를 시거잭 삽입구에 꼿고, 이어폰(18)을 연결시키면 통화 준비가 완료되며, 이 상태로 자동차를 운행하게 된다.
여기서 이어폰(18)은 운전 중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전석 옆이나 햇빛 가리개 등에 클립 등으로 부착시킴이 적당하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는 휴대폰(20)을 휴대폰 부착판(22)에 부착시키되 이어폰 와이어(21)를 이용하여 휴대폰(20)의 이어폰 잭과 핸즈 프리 전화기(10)의 이어폰 잭을 연결시킨다.
이 때 휴대폰(20)은 충전단자(23)에 밀착시켜 주어 운전 중 휴대폰(20)의 밧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같이 핸즈 프리 전화기(10)에 휴대폰(2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운전자는 통화키(14)(15) 중 하나를 눌러 통화 방식을 선택한다.
통화기(14)를 누르면 이어폰(18)과 마이크(17)를 이용한 통화가 이루어 지고, 통화키(15)를 누르면 스피커(11)와 마이크(16)를 이용한 통화가 이루어지므로 운전자의 취향이나 상황에 따라 통화상태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는 야광이고 크게 형성된 핸즈 프리 전화기(10)의 통화키(14)(15) 중 하나를 누르면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운전에 방해를 받지 않고도 쉽게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를 걸을 때에도 야광이고 크게 형성된 숫자키(13)를 눌러 전화번호를 입력시키게 되므로, 핸드폰(20)의 숫자키를 누를 때 보다 쉽게 전화번호를 입력시킬 수 있어 운전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되어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핸즈 프리 전화기(10)에 큰 크기의 LCD(12)를 설치하여 휴대폰(20)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메세지를 LCD(12)로 표시시킬 수 있어 메세지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반 전화기(50)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전화기(50)의 일측에 휴대폰(20)을 안착시켜 휴대폰(2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전화기(50)를 이용하여 휴대폰(20) 통화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운전 중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전화가 걸려 왔거나 걸려고 할 때 핸즈 프리 전화기의 큰 숫자키를 이동하게 되므로 운전에 방해를 받지 않고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거치대로도 사용하여 운행 중 휴대폰 밧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스피커(11)와 큰 직경의 숫자키(13) 및 통화키(14)(15)와 마이크(16)가 구비된 핸즈 프리 전화기(10)를 자동차의 대시보드(1)에 고정대(40)로 결합시키고,
    상기 핸즈프리 전화기(10)의 일측에는 충전단자(23)가 구비되는 한편 휴대폰(20)을 부착시키는 휴대폰 부착판(22)을 구비하며,
    상기 핸즈 프리 전화기(10)의 이어폰 잭과 휴대폰(20)의 이어폰 잭은 이어폰 와이어(21)로 결합하고,
    핸즈 프리 전화기(10)에는 전원 공급용 플러그(30)와 마이크(17)가 구비된 이어폰(18)을 연결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KR2020000032217U 2000-11-17 2000-11-17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KR200222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217U KR200222381Y1 (ko) 2000-11-17 2000-11-17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217U KR200222381Y1 (ko) 2000-11-17 2000-11-17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289A Division KR20020038207A (ko) 2000-11-17 2000-11-17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381Y1 true KR200222381Y1 (ko) 2001-05-02

Family

ID=7309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217U KR200222381Y1 (ko) 2000-11-17 2000-11-17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3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907111Y (zh) 车载蓝牙免提装置
US20050096099A1 (en) Integrated hands free mobile system
KR200222381Y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CN2527486Y (zh) 带通讯装置的汽车方向盘
CN202218368U (zh) 一种嵌入式蓝牙耳机
JPWO2009072308A1 (ja) ハンズフリー装置
KR20020038207A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JPH1159283A (ja)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KR200214828Y1 (ko)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프리
JPH0840070A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KR200205814Y1 (ko)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
KR100432916B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KR200221393Y1 (ko)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
JP3139580U6 (ja) ハンズフリー装置
KR20010109628A (ko)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프리
CN2430316Y (zh) 改良的移动电话免持听筒装置
KR200220913Y1 (ko) 자동차용 핸드프리장치
KR200303914Y1 (ko) 유,무선 겸용 음성인식 핸즈프리 이어폰
KR200253130Y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KR200184607Y1 (ko) 자동차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유,무선 수,발신단말기
CN2462625Y (zh) 安装在头盔上的免提移动电话装置
CN2468234Y (zh) 安装在车内的免提移动电话装置
KR19990084177A (ko) 이동 무선 전화기용 핸즈프리 키트
KR20010000437U (ko) 이어폰 기능과 스피커폰 기능을 갖는 차량용 핸드프리 장치
JP2002120655A (ja) 携帯電話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