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393Y1 -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1393Y1 KR200221393Y1 KR2020000031815U KR20000031815U KR200221393Y1 KR 200221393 Y1 KR200221393 Y1 KR 200221393Y1 KR 2020000031815 U KR2020000031815 U KR 2020000031815U KR 20000031815 U KR20000031815 U KR 20000031815U KR 200221393 Y1 KR200221393 Y1 KR 20022139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phone
- vehicle
- mobile phone
- phone terminal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이어폰을 구비하는 무선 이어폰과,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이동 전화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출력하여 무선 이어폰의 수신기에서 수신되도록 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로 보내주는 송신기를 구비하며 이동 전화 단말기를 장착하기 위하여 차량에 부착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마이크는 전기케이블에 의해 거치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는 무선 이어폰을 채용하므로, 사용시 유선의 처리를 신경쓸 필요가 없어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무선 이어폰에는 수신기만이 내장되고, 마이크는 차량의 소정 위치에 별도로 설치되므로, 무선 이어폰 회로가 단순해져 무선 이어폰의 무게 및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어, 무선 이어폰을 착용한 사용자의 귀에 지나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동 전화 단말기를 핸드프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이어폰을 사용하는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차량 운전자들이 차량 내부에 이동 전화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통화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그러나, 차량 운전자가 운전중에 한손을 써서 이동 전화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면 교통 사고가 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운전 중 이동 전화 단말기의 사용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서 차량에 거치대를 부착하여 놓고, 운전중에는 거치대에 이동 전화 단말기를 자기력에 의해 부착시켜 놓은 상태에서 핸드프리로 통화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동 전화 단말기를 핸드프리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키트들은 이동 전화 단말기의 마이크와 스피커로 입출력되는 신호를 별도의 마이크와 이어폰을 통하여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핸드프리 키트들은 마이크와 이어폰이 이동 전화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 유선의 처리 문제에 신경을 써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선 이어폰을 채용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시 유선의 처리를 신경쓸 필요가 없도록 된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프리 키트의 사용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이동 전화 단말기 3a...이어폰 잭
7a...시거 잭 10...무선 이어폰
11...수신기 15...이어폰
20...마이크 30...거치대
31...송신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이어폰을 구비하는 무선 이어폰과;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 이동 전화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의 수신기에서 수신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로 보내주는 송신기를 구비하며, 이동 전화 단말기를 장착하기 위하여 차량에 부착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는 전기케이블에 의해 거치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는, 차량 내부의 운전석 전방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프리 키트의 사용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는, 무선 이어폰(10), 마이크(20), 이동 전화 단말기(1)를 장착하기 위해 차량에 부착되는 거치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 이어폰(10)은 무선 통신을 위한 수신기(11)와, 상기 수신기(11)에서 수신된 신호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여 사용자(2)가 상대방의 말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15)을 구비한다. 상기 수신기(11)는 무선 이어폰(10)에 내장된다.
상기 마이크(20)는 사용자(2)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마이크(20)로는 고성능 마이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량 내부의 운전석 전방의 소정 위치 예컨대, 햇빛 가리개(9)에 설치되며, 그 설치 위치를 변경될 수 있다. 이 마이크(20)는 제1전기케이블(21)에 의해 상기 거치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마이크(20)를 햇빛 가리개(9) 등에 설치하면, 상기 제1전기케이블(21)에 의해 운전자의 행동이 제약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거치대(30)는, 이동 전화 단말기(1)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10)의 수신기(11)에서 수신되도록 하는 송신기(31)를 구비한다. 이 송신기(31)는 마이크(2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1)로 전달해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마이크(20)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상기 송신기(31)를 경유하지 않고, 이동 전화 단말기(1)로 곧바로 입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기케이블(21)과 후술하는 제3전기케이블(3)을 직접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된다.
상기 거치대(30)의 송신기(31)에는, 상기 송신기(31)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차량의 전원 공급원(5) 예컨대, 시거잭 삽입부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그 단부에 시거잭(7a)을 가지는 제2전기케이블(7)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 전화 단말기(1)와의 사이에 전기적인 신호 전달을 위해, 그 단부에 이어폰 잭(3a)을 가지는 제3전기케이블(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대안으로, 마이크(30)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곧바로 이동 전화 단말기(1)로 입력되는 구조인 경우, 상기 이어폰 잭(3a)을 가지는 제3전기케이블(3)은 이동 전화 단말기(1)와 거치대(30), 이동 전화 단말기(1)와 마이크(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31)의 전원은 건전지(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 및/또는 제3전기케이블(7)(3)로는 케이블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거리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컬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거잭(7a)을 차량의 시거 잭 삽입부에 삽입하면, 거치대(30)의 송신기(31)는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어폰 잭(3a)을 이동 전화 단말기(1)의 이어폰 잭 삽입부에 삽입하면, 이동 전화 단말기(1)로부터의 신호가 거치대(30)로 전달되거나 그 반대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에 의하면, 이어폰 잭(3a)이 이동 전화 단말기(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이동 전화 단말기(1)의 스피커는 동작하지 않고, 그 이동 전화 단말기(1)의 신호가 거치대(30)의 송신기(31)로 전달되고, 상기 송신기(31)는 무선 이어폰(10)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2)는 무선 이어폰(10)을 착용하면 상대방이 한 말을 들을 수 있다. 사용자(2)가 말을 하면, 그 음성은 마이크(20)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거치대(30)로 전달된 다음, 제2전기케이블(3) 및 이어폰 잭(3a)을 경유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1)로 입력되어,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는, 무선 이어폰을 채용하므로, 사용시 유선의 처리를 신경쓸 필요가 없어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상기 무선 이어폰에는 수신기만이 내장되고, 마이크는 차량의 소정 위치에 별도로 설치되므로, 무선 이어폰 회로가 단순해져 무선 이어폰의 무게 및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어, 무선 이어폰을 착용한 사용자의 귀에 지나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Claims (2)
-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이동 전화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이어폰을 구비하는 무선 이어폰과;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와;이동 전화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의 수신기에서 수신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로 보내주는 송신기를 구비하며, 이동 전화 단말기를 장착하기 위하여 차량에 부착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는 전기케이블에 의해 거치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차량 내부의 운전석 전방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1815U KR200221393Y1 (ko) | 2000-11-14 | 2000-11-14 |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1815U KR200221393Y1 (ko) | 2000-11-14 | 2000-11-14 |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1393Y1 true KR200221393Y1 (ko) | 2001-04-16 |
Family
ID=7309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1815U KR200221393Y1 (ko) | 2000-11-14 | 2000-11-14 |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1393Y1 (ko) |
-
2000
- 2000-11-14 KR KR2020000031815U patent/KR20022139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6806B1 (ko) | 목걸이형 무선 헤드셋 | |
US6076000A (en) | Mobile telephone battery charger | |
KR960027959A (ko) | 다기능 핸드-프리 셀룰러 전화기 어댑터 | |
KR200221393Y1 (ko) |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 | |
KR200247574Y1 (ko) | 휴대폰 단말기에 악서세리로 부착하는 스피커 폰 | |
KR200247585Y1 (ko) |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핸즈프리장치 | |
KR200411968Y1 (ko) | 목걸이형 무선 헤드셋 | |
KR200203039Y1 (ko) | 휴대폰 핸즈 프리 기능이 부가된 자동차용 콘솔 박스 | |
KR19990084177A (ko) | 이동 무선 전화기용 핸즈프리 키트 | |
KR200222381Y1 (ko) |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 |
JP3829102B2 (ja) | 車載用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 |
KR20010000437U (ko) | 이어폰 기능과 스피커폰 기능을 갖는 차량용 핸드프리 장치 | |
KR200214828Y1 (ko) |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프리 | |
KR200303914Y1 (ko) | 유,무선 겸용 음성인식 핸즈프리 이어폰 | |
KR200205814Y1 (ko) |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 | |
KR200202198Y1 (ko) | 핸드폰의 보관대 | |
KR200188123Y1 (ko) |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 | |
KR200304981Y1 (ko) | 유.무선 겸용 차량 룸미러용 핸즈프리장치 | |
KR200282127Y1 (ko) | 일체형 무선 핸즈프리키트 | |
KR200226248Y1 (ko) | 차량용 무선 이어폰 핸즈프리 | |
KR200169244Y1 (ko) | 휴대용 통신장치의 부가 송수신장치 | |
KR200226768Y1 (ko) | 차량용 휴대전화 핸즈프리 장치 | |
KR200221529Y1 (ko) | 커플용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 |
KR200214835Y1 (ko) | 휴대폰 건전지 충전 방식을 이용한 핸드프리용 연결 단자 | |
KR20020033279A (ko) | 휴대폰의 핸즈프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