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123Y1 -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 - Google Patents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123Y1
KR200188123Y1 KR2020000003454U KR20000003454U KR200188123Y1 KR 200188123 Y1 KR200188123 Y1 KR 200188123Y1 KR 2020000003454 U KR2020000003454 U KR 2020000003454U KR 20000003454 U KR20000003454 U KR 20000003454U KR 200188123 Y1 KR200188123 Y1 KR 200188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cradle
microphone
mobile phon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오전자
Priority to KR2020000003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1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1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중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된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에 마련된 잭(31)을 통해 휴대폰(30)에 접속되어 통화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용 이어폰(2)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고 그 일면에는 상기 이어폰(2)을 거치시키는 함몰부(3)가 마련된 거치대(10)와, 상기 이어폰(2)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신호선(1)에 의해 상기 잭(31)과 연결되는 제1 접속단자(4)와, 상기 제1 접속단자(4)와 대응되는 위치의 거치대(10)에 마련된 제2 접속단자(6)와, 상기 이어폰(2)을 거치대(10)에 거치시켰을 때 이 이어폰(2)과 근접된 위치의 거치대(10)에 마련된 연결마이크(8)와, 상기 거치대(10)에 마련되거나 별도로 접속되도록 구비되어 탑승자의 송화음을 수신하는 통화마이크(12)와, 상기 거치대(10)에 마련되어 연결마이크(12)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통화마이크(1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4)와, 상기 증폭부(14)와 연결된 차량의 스피커(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마이크(12)로 입력된 송화음은 증폭부(14)와 접속단자(4,6)를 통해 휴대폰(30)으로 전달되며, 상기 이어폰(2)을 통해 수신되는 수화음은 연결마이크(8)와 증폭부(14)를 통해 차량의 스피커(20)로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Hand-free kit for earphone type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중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된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각종 부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휴대폰용 이어폰은 보행 중에 핸드프리로 통화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폰용 이어폰은 운전중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 이어폰을 찾아서 귀에 꽂고 마이크 부분을 탑승자에게 근접되게 위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그렇다고 해서 운전중 계속해서 이어폰을 귀에 꽂고 있으면 귀가 아프거나 코드에 의해 운전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량내의 거치대에 휴대폰용 이어폰을 거치시키기만 하면 간편하게 통화할 수 있는 핸드프리킷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운전중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된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의 블럭구성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이어폰 4. 제1 접속단자
6. 제2 접속단자 8. 연결마이크
10. 거치대 12. 통화마이크
14. 증폭부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에 마련된 잭(31)을 통해 휴대폰(30)에 접속되어 통화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용 이어폰(2)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고 그 일면에는 상기 이어폰(2)을 거치시키는 함몰부(3)가 마련된 거치대(10)와, 상기 이어폰(2)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신호선(1)에 의해 상기 잭(31)과 연결되는 제1 접속단자(4)와, 상기 제1 접속단자(4)와 대응되는 위치의 거치대(10)에 마련된 제2 접속단자(6)와, 상기 이어폰(2)을 거치대(10)에 거치시켰을 때 이 이어폰(2)과 근접된 위치의 거치대(10)에 마련된 연결마이크(8)와, 상기 거치대(10)에 마련되거나 별도로 접속되도록 구비되어 탑승자의 송화음을 수신하는 통화마이크(12)와, 상기 거치대(10)에 마련되어 연결마이크(12)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통화마이크(1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4)와, 상기 증폭부(14)와 연결된 차량의 스피커(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마이크(12)로 입력된 송화음은 증폭부(14)와 접속단자(4,6)를 통해 휴대폰(30)으로 전달되며, 상기 이어폰(2)을 통해 수신되는 수화음은 연결마이크(8)와 증폭부(14)를 통해 차량의 스피커(20)로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는 일단에 마련된 잭(31)을 통해 휴대폰(30)에 접속되어 통화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용 이어폰(2)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고 그 일면에는 상기 이어폰(2)을 거치시키는 함몰부(3)가 마련된 거치대(10)와, 상기 이어폰(2)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신호선(1)에 의해 상기 잭(31)과 연결되는 제1 접속단자(4)와, 상기 제1 접속단자(4)와 대응되는 위치의 거치대(10)에 마련된 제2 접속단자(6)와, 상기 이어폰(2)을 거치대(10)에 거치시켰을 때 이 이어폰(2)과 근접된 위치의 거치대(10)에 마련된 연결마이크(8)와, 상기 거치대(10)에 마련되거나 별도로 접속되도록 구비되어 탑승자의 송화음을 수신하는 통화마이크(12)와, 상기 거치대(10)에 마련되어 연결마이크(12)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통화마이크(1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4)와, 상기 증폭부(14)와 연결된 차량의 스피커(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어폰(2)은 그 둘레면에 제1 접속단자(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며 이 제1 접속단자(4)는 신호선(1)에 의해 상기 잭(31)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30)으로 송화음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거치대(10)는 그 전면에 상기 이어폰(2)이 탑재될 수 있도록 함몰부(3)가 형성되며 이 함몰부(3)의 둘레면에는 이어폰(2)의 제1 접속단자(4)와 연결되는 제2 접속단자(6)가 마련되고 함몰부(3) 내부에는 이어폰(2)으로부터 출력되는 수화음을 수신하는 연결마이크(8))가 구비되어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22)에 부착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10)는 그 일면에 탑승자의 송화음을 수신하는 통화마이크(12)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송화음과 수화음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증폭부(14)가 마련된다. 상기 증폭부(14)는 연결마이크(8)로부터 수신된 수화음을 증폭하여 차량 내부에 장착된 스피커(20)로 출력하고, 상기 통화마이크(12)로 수신된 송화음은 증폭하여 상기 제 1 및 제2 접속단자(4,6)를 통해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또, 미설명 부호 25는 이어폰(2)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마이크이다.
따라서, 본원고안은 상기 이어폰(2)을 거치대(10)에 거치하여 이어폰(2)의 제1 접속단자(4)와 거치대(10)의 제2 접속단자(6)가 연결되도록 하면 통화시 상기 이어폰(2)을 통한 수화음이 거치대(10)의 연결마이크(8)와 증폭부(14)를 통해 상기 스피커(20)로 출력되며, 탑승자의 송화음은 상기 거치대(10)에 구비된 통화마이크(12)와 증폭부(14)를 통해 증폭된 후 상기 제 1 및 제2 접속단자(4,6)를 통해 휴대폰(30)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평상시 보행중에는 이어폰(2)으로 통화를 하다가 차량에 탑승시에는 이어폰(2)을 거치대(10)에 걸기만 하면 핸드프리로 통화할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편리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10)는 그 사이즈가 작고 가볍기 때문에 양면 접착제 등으로 간편하게 부착 가능하며 종래의 휴대폰용 핸드프리킷트 보다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는 거치대에 이어폰을 걸어 두기만 하면 통화 시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이 수신되고 거치대의 통화마이크를 통해 송화음이 송신되므로 운전중에 간편하게 핸드프리로 통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일단에 마련된 잭(31)을 통해 휴대폰(30)에 접속되어 통화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용 이어폰(2)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고 그 일면에는 상기 이어폰(2)을 거치시키는 함몰부(3)가 마련된 거치대(10)와, 상기 이어폰(2)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신호선(1)에 의해 상기 잭(31)과 연결되는 제1 접속단자(4)와, 상기 제1 접속단자(4)와 대응되는 위치의 거치대(10)에 마련된 제2 접속단자(6)와, 상기 이어폰(2)을 거치대(10)에 거치시켰을 때 이 이어폰(2)과 근접된 위치의 거치대(10)에 마련된 연결마이크(8)와, 상기 거치대(10)에 마련되거나 별도로 접속되도록 구비되어 탑승자의 송화음을 수신하는 통화마이크(12)와, 상기 거치대(10)에 마련되어 연결마이크(12)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통화마이크(1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4)와, 상기 증폭부(14)와 연결된 차량의 스피커(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마이크(12)로 입력된 송화음은 증폭부(14)와 접속단자(4,6)를 통해 휴대폰(30)으로 전달되며, 상기 이어폰(2)을 통해 수신되는 수화음은 연결마이크(8)와 증폭부(14)를 통해 차량의 스피커(20)로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
KR2020000003454U 2000-02-10 2000-02-10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 KR2001881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454U KR200188123Y1 (ko) 2000-02-10 2000-02-10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454U KR200188123Y1 (ko) 2000-02-10 2000-02-10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123Y1 true KR200188123Y1 (ko) 2000-07-15

Family

ID=1964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454U KR200188123Y1 (ko) 2000-02-10 2000-02-10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1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705B1 (ko) 보청기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KR200188123Y1 (ko) 이어폰형 휴대폰 핸드프리킷트
KR200247574Y1 (ko) 휴대폰 단말기에 악서세리로 부착하는 스피커 폰
KR200247585Y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핸즈프리장치
JPH0840070A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
KR200187422Y1 (ko) 휴대폰과 핸즈프리를 일체화시키는 모듈장치
KR200221393Y1 (ko) 차량용 핸드프리 키트
KR20020033279A (ko) 휴대폰의 핸즈프리 장치
KR20010076599A (ko) 휴대폰과 일체화되는 핸즈프리시스템
KR200183281Y1 (ko) 인터넷 폰 겸용 전화기(2수화기)
JPH11289370A (ja) 電話装置
KR200270494Y1 (ko) 벨소리 증폭장치를 갖는 핸드폰용 핸즈프리
KR200183280Y1 (ko) 인터넷 폰 겸용 전화기(1수화기)
JP2847946B2 (ja) 自動車用電話装置
KR200235521Y1 (ko) 외부 음성 및 제어 단자를 구비한 이동전화기 및핸즈프리 어셈블리
KR200303914Y1 (ko) 유,무선 겸용 음성인식 핸즈프리 이어폰
KR200362716Y1 (ko) 핸즈프리키트장치
KR20010001345A (ko) 핸드프리유니트
KR200387221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KR200226248Y1 (ko) 차량용 무선 이어폰 핸즈프리
KR200225634Y1 (ko) 유무선 겸용 핸즈프리 장치
KR200305251Y1 (ko)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JPH11196173A (ja) 通信装置
KR19990084177A (ko) 이동 무선 전화기용 핸즈프리 키트
ITMI941501A1 (it) Telefono cellulare per dialogo in vivavo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