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251Y1 -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251Y1
KR200305251Y1 KR20-2002-0035515U KR20020035515U KR200305251Y1 KR 200305251 Y1 KR200305251 Y1 KR 200305251Y1 KR 20020035515 U KR20020035515 U KR 20020035515U KR 200305251 Y1 KR200305251 Y1 KR 200305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obile phone
speaker
receptio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5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2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2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 및 이어폰 잭이 구비된 휴대폰 등 음향기기에 있어서, 간단한 조작으로 스피커 또는 이어폰의 음향수신을 선택할 수 있는 수신선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휴대폰의 스피커 수신과 이어폰 수신 사이에 스위치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통화 수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에 이어폰이 꽂혀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 잭을 뽑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Apparatus Receiving Sound having receiving selection means between speaker and ear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등 음향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등 음향기기의 스피커 수신과 이어폰 수신 사이에 스위치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수신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향기기에 이어폰이 꽂혀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 잭을 뽑지 않고도 음향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기의 일례로서의 휴대폰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된 단말기이다. 그래서 휴대폰을 사용자가 직접 들고 다니면서 다른 전화기와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어폰은 귀에 장착할 수 있게 소형으로 설계된 수화기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어느 장소에서나 다른 사람과 통화할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휴대폰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폰을 사용하여 통화할 때 사용자는 휴대폰을 자신의 귀에 밀착시켜야 한다. 이때 휴대폰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전자파로 인해 통화 중에 사용자가유해한 전자파에 장시간 노출되어 사용자의 건간을 위협하고, 장시간 통화시 휴대폰의 열이 많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래서 마이크와 스피커 기능을 갖는 이어폰을 휴대폰 몸체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때로는 이어폰을 몸에 걸고 통화를 할 때 통화 감도가 낮아지거나 상대방과 전화 상태가 좋지 않으면 다시 휴대폰으로 통화를 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0은 일반적인 휴대폰이고, 11은 상기 휴대폰(10)에 구비되어 이어폰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 잭 구멍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휴대폰용 이어폰의 개략사시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40은 마이크와 스피커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이어폰이고, 41은 상기 휴대폰(10)의 이어폰 잭 구멍(11)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 잭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휴대폰(10)에 사용자가 휴대폰용 이어폰(40)을 사용할 때만 이어폰 잭 구멍(11)에 휴대폰용 이어폰(40)의 이어폰 잭(41)을 탈실착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종래 휴대폰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2는 상기 휴대폰(10)의 휴대전화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이고, 13은 상기 주제어부(12)의 제어를 받고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된 무선데이터를 처리하는 무선 송수신부이며, 14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13)에서송수신된 신호에서 플러그 접속을 검출하여 상기 주제어부(12)로 알려주는 플러그 접속 검출부이고, 15는 상기 휴대폰(10)에 터미널에 접속하였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주제어부(12)에 알려주는 터미널 접속 검출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6은 상기 주제어부(12)의 제어를 받고 상기 휴대폰(10)의 진동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진동부이고, 17은 상기 주제어부(12)와 연결되고 상기 휴대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이며, 18은 상기 주제어부(12)와 연결되고 터미널 제어부(19)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고, 19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13)와 연결되고 터미널 제어를 수행하는 터미널 제어부이다.
더불어 참조번호 20은 상기 터미널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착신음 통지를 수행하는 착신음 통지부이고, 21은 상기 터미널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표시기능을 수행하는 표시부이며, 22는 상기 터미널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점멸되는 표시등이고, 23은 상기 터미널 제어부(19)의 제어를 받는 메모등이다.
나아가 참조번호 24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13)와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 제어부(19)와 연결되고 음성처리를 수행하는 음성처리부이고, 25는 상기 음성처리부(24)에서 처리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이며, 40은 상기 음성처리부(24)에서 처리된 음성을 출력하는 휴대폰용 이어폰이다.
그래서 스피커(25) 및 휴대폰용 이어폰(40)으로 음성을 송출하는 음성처리부(24)에서 이어폰이 실착될 경우에는 휴대폰용 이어폰(40)으로 송출하고, 휴대폰용 이어폰(40)이 탈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피커(25)로 음성을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폰(10)에 사용자가 휴대폰용 이어폰(40)을 사용할 때만 이어폰 잭 구멍(11)에 탈실착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휴대폰(10)을 사용하다가 운전이나 기타 다른 작업시 휴대폰용 이어폰(40)으로 통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폰용 이어폰(40)을 휴대폰(10)으로부터 실착하여 통화를 하여야 한다.
또한 휴대폰용 이어폰(40)을 실착하여 사용하다가 휴대폰(10) 만으로 통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폰용 이어폰(40)을 탈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스피커(25) 및 휴대폰용 이어폰(40)으로 음성을 송출하는 음성처리부(24)에서 휴대폰용 이어폰(40)이 실착될 경우에는 스피커(25)가 아닌 휴대폰용 이어폰(40)으로 송출하고, 휴대폰용 이어폰(40)이 탈착되어 있을 경우 휴대폰용 이어폰(40)이 아닌 스피커(25)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휴대폰에서는 통화 수신시 통화 버튼을 누르거나 폴더를 개방하여야 통화가 가능하며, 휴대폰용 이어폰(40)을 사용할 경우 이어폰 잭(41)에 꽂아서 통화를 하여야만 한다. 만약 사용자가 휴대폰용 이어폰(40)으로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폰용 이어폰(40)을 꽂아야 되며, 다시 휴대폰용 이어폰(40) 없이 휴대폰(10)만으로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휴대폰용 이어폰(40)을 빼야 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 등 음향기기의 스피커 수신과 이어폰 수신 사이에 스위치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수신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에 이어폰이 꽂혀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 잭을 뽑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는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등의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등 음향수신장치는, 스피커 및 이어폰 잭이 구비된 휴대폰 등 음향기기에 있어서, 간단한 조작으로 스피커 또는 이어폰의 음향수신을 선택할 수 있는 수신선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등 음향수신장치는, 상기 수신선택수단이, 음향수신장치의 외면에 부착되거나, 이어폰 줄의 연결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의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휴대폰용 이어폰의 개략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휴대폰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 기능을 구비한 핸드폰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 기능을 구비한 핸드폰의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휴대폰 11 : 이어폰 잭 구멍
12 : 주제어부 13 : 무선 송수신부
14 : 플러그 접속 검출부 15 : 터미널 접속 검출부
16 : 진동부 17 : 밧데리
18 : 메모리 19 : 터미널 제어부
20 : 착신음 통지부 21 : 표시부
22 : 표시등 23 : 메모등
24 : 음성처리부 25 : 스피커
30 : 선택스위치 40 : 휴대폰용 이어폰
41 : 이어폰 잭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등 음향수신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 기능을 구비한 핸드폰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 기능을 구비한 핸드폰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송출하는 음성처리부(24)를 구비한 휴대폰(10)에 있어서, 상기 음성처리부(24)와 연결되고 스피커(25) 또는 휴대폰용 이어폰(40)의 수신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선택스위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선택스위치(30)는, 휴대폰(10)의 일측면의 옆면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휴대폰의 스피커 수신과 이어폰 수신 사이에 스위치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통화 수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그래서 종래의 휴대폰(10)의 일측면의 옆면에 스피커(25)와 휴대폰용 이어폰(40)의 수신을 선택할 수 있는 토글 스위치인 선택스위치(30)를 설치한다.
내부 구성은 도 5에서와 같이 음성처리부(24)에서 스피커(25)와 휴대폰용 이어폰(40)으로 송신하는 부분에 선택스위치(30)를 두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나머지의 구성은 종래의 휴대폰(10)의 구성과 동일하게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주된 기능은 스피커(25)와 휴대폰용 이어폰(40)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 기능을 포함시킨 것이다.
여기서 스피커(25)는 휴대폰(1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음성처리부(24)에서 처리된 음성을 전송받아 송출하는 음성 송출기이다.
또한 휴대폰용 이어폰(40)은 휴대폰(10)에 포함되지 않는 장치로써 이어폰잭(41)을 통해 휴대폰(10)의 이어폰 잭 구멍(11)과 연결되어 휴대폰(10) 내의 음성처리부(24)에서 처리된 음성을 전송받아 송출하는 음성 송출기이다.
그래서 최근에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10)은 이어폰과 마이크가 연결되어 있는 목걸이와 일체형으로 사용되는 휴대폰용 이어폰(40)과 연결할 수 있으며, 활동이 많은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휴대폰용 이어폰(40)을 휴대폰에 실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때로는 휴대폰용 이어폰(40)을 탈착하여 통화를 하고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을 통하여 사용자가 항상 휴대폰용 이어폰(40)을 휴대폰(10)에 연결하여 놓고, 휴대폰용 이어폰(40)을 통해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선택스위치(30)를 이어폰에 맞춰 놓고 통화를 하고, 휴대폰(10)의 스피커(25)를 통해 통화하기를 원할 때는 선택스위치(30)를 스피커에 맞춰 놓고 통화를 하면 된다.
그러면 휴대폰용 이어폰(30)의 이어폰 잭(41)을 휴대폰(10)의 이어폰 잭 구멍(11)에 매번 실착하거나 탈착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휴대폰의 스피커 수신과 이어폰 수신 사이에 스위치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통화 수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에 이어폰이 꽂혀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 잭을 뽑지 않고도 통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등 음향수신장치는 음향수신장치의 스피커 수신과 이어폰 수신 사이에 스위치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통화 수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에 이어폰이 꽂혀 있는 상태에서 이어폰 잭을 뽑지 않고도 휴대폰의 본체 스피커와 마이크를 통해 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스피커 및 이어폰 잭이 구비된 휴대폰 등 음향기기에 있어서,
    간단한 조작으로 스피커 또는 이어폰의 음향수신을 선택할 수 있는 수신선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선택수단은,
    음향수신장치의 외면에 부착되거나, 이어폰 줄의 연결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KR20-2002-0035515U 2002-11-27 2002-11-27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KR200305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515U KR200305251Y1 (ko) 2002-11-27 2002-11-27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515U KR200305251Y1 (ko) 2002-11-27 2002-11-27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251Y1 true KR200305251Y1 (ko) 2003-02-25

Family

ID=4940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515U KR200305251Y1 (ko) 2002-11-27 2002-11-27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2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3344U (ja) マイク技術
EP1855507A2 (en) Mobile terminal having acoustic transduc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GB2343080A (en) Headset for mobile phone/radio combination has a device for muting the radio signal when the phone is in use
KR20030026429A (ko) 이어잭에 접속되는 스피커모듈과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KR100779145B1 (ko) 다기능 손목 시계
KR200305251Y1 (ko) 스피커와 이어폰의 수신선택수단을 구비한 음향수신장치
JP2002009918A (ja) 送受話装置および受話装置
KR200341662Y1 (ko)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헤드셋
KR1006171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장치
JP2954150B1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話装置
JP4269019B2 (ja) 携帯通信端末機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9139Y1 (ko) 휴대 전화 핸즈프리기능이 내장되고 컴퓨터와 USB Port로연결되는 헤드폰세트
KR100640409B1 (ko)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JPH11289370A (ja) 電話装置
KR100619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음량 조정이 가능한 이어폰-마이크장치
KR20030077445A (ko) 통신 장치와 함께 외부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및장치
KR200169244Y1 (ko) 휴대용 통신장치의 부가 송수신장치
KR200193177Y1 (ko) 휴대폰의 원격 출력장치
JPH10200990A (ja) 携帯音響機器用イヤホン装置
JPH0326223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303889Y1 (ko) 휴대 전화 핸즈프리기능이 내장된 컴퓨터용 헤드폰세트
KR200225435Y1 (ko) 핸드프리 이어마이크 겸용 헤드폰
KR200184061Y1 (ko) 와이어리스 수화기를 구비한 전화기
KR200305260Y1 (ko) 이어폰형 핸즈프리나 음향기기용 이어셋/헤드셋과 함께사용 가능한 발광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