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981B1 -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981B1
KR100460981B1 KR10-2002-0068841A KR20020068841A KR100460981B1 KR 100460981 B1 KR100460981 B1 KR 100460981B1 KR 20020068841 A KR20020068841 A KR 20020068841A KR 100460981 B1 KR100460981 B1 KR 100460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d
room mirror
vacuum
vacuum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655A (ko
Inventor
오상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9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9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holding means for person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가 거치되는 수납포켓; 단부에 수납포켓이 연결된 제 1 지지부재와 이 제 1 지지부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지지부재를 갖춘 지지대; 지지대의 제 2 지지부재 단부에 연결되어 차량의 룸미러에 진공흡착 고정되는 것으로써, 외측의 메인진공흡착부의 내측으로 보조진공흡착부가 구비된 2중 흡착구조를 가지는 진공흡착패드; 진공흡착패드의 흡착 고정시 그 패드와 룸미러 사이의 공기 배기를 도와 흡착력을 높이고, 탈거시 공기 유입을 도와주는 진공흡/배기수단; 및 룸미러에 흡착 고정된 진공흡착패드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진공흡착패드의 고정을 보조토록 하기 위하여 지지대의 제 2 지지부재의 단부와 룸미러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지지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진공흡착패드가 메인진공흡착부와 보조진공흡착부의 2중 흡착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진공흡착패드의 흡착력 및 그 지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진공흡착패드가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잘 탈거되지 않는다. 또한, 진공흡/배기수단에 의해 진공흡착패드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차량에의 장치 및 해제가 쉽다.

Description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DEVICE FOR FIXING PDA GPS}
본 발명은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기기를 차량에서 이용할 때 GPS 송수신기나 블루투스 송수신기(이하, "악세사리"로 약칭한다) 등을 거치하여 놓을 수 있도록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는 차량의 전면 유리부에 근접되게 위치되는 것이 신호 송수신 측면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 악세사리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는 통상, 차량의 룸미러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를 장치함에 있어서 최근에는 그 탈부착이 용이한 진공흡착패드를 이용하고 있으며, 그러한 종래의 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는, 이동통신기기용악세사리(1)가 거치되는 수납포켓(2)과, 단부에 상기 수납포켓(2)이 연결되는 제 1 지지부재(4a)와 이 제 1 지지부재(4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지지부재(4b)를 갖춘 지지대(4)와, 상기 제 2 지지부재(4b)의 단부에 연결되어 차량 내부의 룸미러(5)에 진공흡착 고정되는 진공흡착패드(6)를 구비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3은 상기 수납포켓(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힌지부 이며, 7은 상기 제 2 지지부재(4b)와 상기 진공흡착패드(6)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재이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8은 차량의 전면 유리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는, 차량 내부의 대쉬보드 및 기타 내장재에 그 장치를 위한 체결공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장치시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그 장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거치대 제거 후 그 흔적 등이 남지 않는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는, 상기와 같은 장점은 있으나, 흡착력 및 그 지속력이 약한 단순한 구조의 진공흡착패드(6)에 의해 룸미러(5)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자중 등에 의해 쉽게 탈거될 수 있다. 특히 차량에 장치되는 특성상 필연적으로 진동 및 외부 충격이 가해질 수밖에 없는데, 이로 인해 상기 진공흡착패드(6)는 더욱 쉽게 탈거될 수 있는 바, 진공흡착패드(6)의 흡착력 및 그 지속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진공흡착패드(6)는 그 내부의 압력을 거의 진공에 가깝게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그 흡착력이 발생되는 바, 이와 같은 상태로 진공흡착패드(6)를룸미러(5)에 부착시키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필요에 의해 상기 진공흡착패드(6)를 인위적으로 탈거시키는 경우에,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한 흡착력 이상의 힘을 가하면서 당겨야 하므로, 그의 탈부착이 쉽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룸미러에 흡착 고정되는 진공흡착패드의 흡착력 및 그 지속력을 강화시키고 진공흡착패드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지지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해서도 잘 탈거되지 않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흡착패드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차량에의 장치 및 해제가 용이한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가 차량의 룸미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가 차량의 룸미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가 차량의 룸미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거치대의 보조지지유닛을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3의 배면도 및 정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3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5;룸미러
10;수납포켓 11;힌지부
20;지지대 21,22;제 1 및 제 2 지지부재
30;진공흡착패드 30a;공기 흡/배기공
32;메인진공흡착부 33;보조진공흡착부
40;진공흡/배기수단 41;도어
42;레버 43;안내관
44;스프링 50;보조지지유닛
51;고정대 52,53;제 1 및 제 2 연결부재
55;클램핑수단 56,57;제 1 및 제 2 클램핑부재
56a,57a;제 1 및 제 2 지지편 56b;수용홈부
57b;돌기 56c,57c;고무패드
58;인장코일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가 거치되는 수납포켓; 단부에 상기 수납포켓이 연결된 제 1 지지부재와 이 제 1 지지부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지지부재를 갖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제 2 지지부재 단부에 연결되어 차량의 룸미러에 진공흡착 고정되는 것으로써, 외측의 메인진공흡착부의 내측으로 보조진공흡착부가 구비된 2중 흡착구조를 가지는 진공흡착패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진공흡착패드가 메인진공흡착부와 보조진공흡착부의 2중 흡착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진공흡착패드의 흡착력 및 그 지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진공흡착패드가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서로 룸미러로부터 잘 탈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가 거치되는 수납포켓; 단부에 상기 수납포켓이 연결된 제 1 지지부재와 이 제 1 지지부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지지부재를 갖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제 2 지지부재 단부에 연결되어 차량의 룸미러에 진공흡착 고정되는 진공흡착패드; 및 상기 진공흡착패드가 상기 룸미러에 흡착시 그 패드와 룸미러 사이의 공기배기를 도와 흡착력을 높이고, 탈거시 공기유입을 도와주는 진공 흡/배기 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진공흡착패드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차량에의 장치 및 해제가 쉽다.
여기서, 상기 진공흡착패드는, 외측의 메인진공흡착부의 내측으로 보조진공흡착부가 구비된 2중 흡착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흡/배기 수단은, 상기 진공흡착패드에 형성된 공기 흡/배기공에 이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밀어 냄으로써 상기 흡/배기공을 개방시키는 레버; 상기 레버를 수용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제 2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 및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상기 레버를 외측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는, 상기 룸미러에 흡착된 진공흡착패드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진공흡착패드의 고정을 보조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단부와 상기 룸미러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지지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지지유닛은, 단부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진공흡착패드 연결부에 연결된 제 1 연결부재 및 이 제 1 연결부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연결부재를 갖춘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의 제 2 연결부재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룸미러의 상단에 고정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룸미러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지지편 및 상기 제 2 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소정깊이의 수용홈부를 갖춘 제 1 클램핑부재; 상기 룸미러의 후면에 접촉하는 상기 제 1 지지편과 대응되는 제 2 지지편 및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는 돌기를 갖추어 상기 제 1 클램핑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클램핑부재; 및 상기 수용홈부에 내장되어 상기 제 2 클램핑부재를 상기 제 1 클램핑부재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인장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편 및 제 2 지지편의 룸미러 접촉면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고무 패드가 각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한 여러 실시예들에서 상기 수납포켓과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연결부에는 힌지부가 개재되어 상기 수납포켓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가 차량의 룸미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는, 수납포켓(10), 지지대(20) 및 진공흡착패드(30)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포켓(10)에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1)가 삽입되어 거치된다. 이 수납포켓(10)은 상기 지지대(20)의 단부에 힌지부(11)의 개재하에 소망하는 각도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면을 통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에서 상기 수납포켓(10)은 송수신이 양호한 위치, 즉 차량의 전면 유리(8)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수납포켓(10)이 연결되는 제 1 지지부재(21)와 이 제 1 지지부재(21)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지지부재(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재(21)(22)는 하나의 부재를 수직으로 절곡하는 것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두 개의 부재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것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는 등 그 구성방법 및 재질 등은 어느 한가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진공흡착패드(30)는 차량의 룸미러(5)에 진공흡착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20)의 제 2 지지부재(22)의 단부에 고정부재(31)의 개재하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공흡착패드(3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외측의 메인진공흡착부(32)의 내측으로 보조진공흡착부(33)가 구비된 2중 흡착구조를 가진다. 이에 의해 진공흡착패드(30)를 룸미러(5)에 흡착 고정할 때, 상기 메인진공흡착부(32) 및보조진공흡착부(33)가 동시에 작용하게 되므로, 흡착력 및 그 지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의 차량 장치방법은 종래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즉, 상기 진공흡착패드(30)를 룸미러(5)에 눌러 부착시킴으로써 그 내/외부의 압력차이에 의해 진공흡착패드(30)가 룸미러(5)에 흡착 고정되고 또 그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상기 진공흡착패드(30)가 2중 흡착구조를 가지므로, 종래에 비해 흡착력 및 그 지속력이 현저히 강화되며, 따라서, 진공흡착패드(30)의 임의 탈거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일 실시예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 및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는, 수납포켓(10), 지지대(20), 진공흡착패드(30), 진공흡/배기수단(40) 및 보조지지유닛(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포켓(10), 지지대(20) 및 진공흡착패드(3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공흡착패드(30)가 고정부재(31:도 2 참조)의 개재하에 지지대(20)의 제 2 지지부재(22)의 단부에 연결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공흡/배기수단(4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의 사용은 배제되며, 이 고정부재의 역할을 상기 진공흡/배기수단(40)이 대신하게 된다.
상기 진공흡/배기수단(40)은 상기 진공흡착패드(30)를 상기 룸미러(5)에 흡착 고정할 때, 그 패드(30)와 상기 룸미러(5) 사이의 공기 배기를 도와 흡착력을 높이고, 탈거시킬 때 공기 유입을 도와 진공흡착수단(30)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진공흡/배기수단(40)은, 도어(41), 레버(42), 안내관(43) 및 스프링(44)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41)는 상기 진공흡착패드(30)에 형성된 공기 흡/배기공(30a)에 이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42)는 그 일단은 상기 도어(41)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 돌출된 상기 레버(42)를 밀면, 이에 연결된 상기 도어(41)가 진공흡착패드(3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공기 흡/배기공(30a)이 개방되게 된다(도 3의 점선 도어 참조).
상기 안내관(43)은 상기 레버(42)를 수용하도록 상기 지지대(20)의 제 2 지지부재(22)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42)는 상기 안내관(43)의 내부에서 안내관(43)의 안내를 받으며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42)가 전진한다는 것은 상기 도어(41)가 흡/배기공(30a)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그리고, 후진한다는 것은 상기 도어(41)가 흡/배기공(30a)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레버(42)의 동작에 의해 상기 흡/배기공(30a)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면서 진공흡착패드(30) 내부의 공기가 배기될 수도 있고, 외부의 공기가 진공흡착패드(3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44)은 상기 안내관(43)의 내부에서 상기 레버(42)를 그 외측, 다시말하면, 상기 도어(41)가 상기 흡/배기공(30a)을 폐쇄하도록 움직이는 방향(후진)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흡/배기공(30a)은 상기 도어(41)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상기 레버(42)를 인위적으로 누르게 되면, 레버(42)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41)를 밀어 내어 흡/배기공(30a)이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42)를 인위적으로 작동시키지 않는 한 상기 진공흡착패드(30)의 흡착 고정 상태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지지유닛(50)은 상기 룸미러(5)에 흡착 고정된 진공흡착패드(30)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진공흡착패드(30)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20)의 제 2 지지부재(22)의 단부와 상기 룸미러(5)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조지지유닛(50)은 고정대(51)와 클램핑수단(55)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대(51)는 그 단부가 상기 제 2 지지부재(22)의 진공흡착패드(30) 연결부에 연결된 제 1 연결부재(52)와, 이 제 1 연결부재(52)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연결부재(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수단(55)은 상기 고정대(51)의 제 2 연결부재(53)의 단부에 구성되는데, 이 클램핑수단(55)이 상기 룸미러(5)의 상단 일측에 클램핑됨으로써 상기 진공흡착패드(30)의 고정이 견고하게 된다. 이러한 클램핑수단(55)은 제 1 클램핑부재(56), 제 2 클램핑부재(57) 및 인장코일 스프링(5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제 1 클램핑부재(56)는 상기 룸미러(5)의 전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재(53)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지지편(56a) 및 상기 제 2 연결부재(53)의 단부에서 그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소정깊이의 수용홈부(56b)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클램핑부재(57)는 상기 룸미러(5)의 후면에 접촉하는 상기 제 1 지지편(56a)과 대응되는 제 2 지지편(57a) 및 상기 수용홈부(56b)에 수용되는 돌기(57b)를 가지며, 상기 제 1 클램핑부재(56)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인장코일 스프링(58)은 상기 제 2 클램핑부재(57)를 상기 제 1 클램핑부재(56) 측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홈부(56b)에 내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클램핑수단(55)은 그의 제 1 및 제 2 지지편(56a)(57a)이 룸미러(5)의 전후면에 접촉되고, 이 때, 인장코일 스프링(58)에 의한 탄성이 작용함으로써 상기 제 2 지지편(57a)이 제 1 지지편(56a) 측으로 가압되어 룸미러(5)에 클램핑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편(56a)(57a)의 룸미러(5) 접촉면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고무 패드(56c)(57c)가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룸미러(5)에 대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편(56a)(57a)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룸미러(5)로부터 클램핑수단(55)이 잘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를 차량에 장치함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 클램핑수단(55)의 제 2 지지편(57a)을 룸미러(5)의 후면에 걸고 고정대(51)를 앞쪽으로 당기면서 제 1 지지편(56a)이 룸미러(5)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러면 인장코일 스프링(58)의 탄성에 의해 클램핑수단(55)이 룸미러(5)에 클램핑되면서 거치대가 룸미러(5)에 매달려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진공흡/배기수단(40)의 레버(42)를 누르면서 진공흡착패드(30)를 룸미러(5)에 대고 누르면, 상기 레버(42)에 의해 개방된 흡/배기공(30a)을 통하여 진공흡착패드(30)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면서 진공흡착패드(30)가 흡착되는 바, 이 때, 상기 레버(42)에 가하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개방되어 있던 흡/배기공(30a)이 도어(41)에 의해 페쇄되면서 진공흡착패드(30)의 흡착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는, 2중 흡착구조의 진공흡착패드(30) 및 보조지지유닛(50)에 의해 그 고정이 견고하게 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탈거되지 않으며, 또한, 진공흡/배기수단(40)이 구비됨으로써 그의 장치 및 해제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2중 흡착구조의 진공흡착패드에 의해 룸미러에 대한 진공흡착패드의 흡착력 및 흡착 지속력이 강화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서도 진공흡착패드가 룸미러로부터 잘 탈거되지 않아 보다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는, 상기와 같은 진공흡착패드와 함께 거치대의 고정을 보조하는 보조지지유닛을 구비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된 거치대가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진공흡/배기수단에 의해 거치대의 장치 및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사용자 편의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로서,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가 거치되는 수납포켓;
    단부에 상기 수납포켓이 연결된 제 1 지지부재와 이 제 1 지지부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지지부재를 갖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제 2 지지부재 단부에 연결되어 차량의 룸미러에 진공흡착 고정되는 것으로써, 외측의 메인진공흡착부의 내측으로 보조진공흡착부가 구비된 2중 흡착구조를 가지는 진공흡착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포켓과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연결부에는 힌지부가 개재되어 상기 수납포켓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3.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로서,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가 거치되는 수납포켓;
    단부에 상기 수납포켓이 연결된 제 1 지지부재와 이 제 1 지지부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지지부재를 갖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제 2 지지부재 단부에 연결되어 차량의 룸미러에 진공흡착 고정되는 진공흡착패드; 및
    상기 진공흡착패드가 상기 룸미러에 흡착시 그 패드와 룸미러 사이의 공기배기를 도와 흡착력을 높이고, 탈거시 공기유입을 도와주는 진공 흡/배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패드는, 외측의 메인진공흡착부의 내측으로 보조진공흡착부가 구비된 2중 흡착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배기 수단은,
    상기 진공흡착패드에 형성된 공기 흡/배기공에 이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밀어 냄으로써 상기 흡/배기공을 개방시키는 레버;
    상기 레버를 수용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제 2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 및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상기 레버를 외측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포켓과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연결부에는 힌지부가 개재되어 상기 수납포켓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룸미러에 흡착된 진공흡착패드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진공흡착패드의 고정을 보조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단부와 상기 룸미러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지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유닛은,
    단부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진공흡착패드 연결부에 연결된 제 1 연결부재 및 이 제 1 연결부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연결부재를 갖춘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의 제 2 연결부재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룸미러의 상단에 고정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룸미러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지지편 및 상기 제 2 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소정깊이의 수용홈부를 갖춘 제 1 클램핑부재;
    상기 룸미러의 후면에 접촉하는 상기 제 1 지지편과 대응되는 제 2 지지편 및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는 돌기를 갖추어 상기 제 1 클램핑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클램핑부재; 및
    상기 수용홈부에 내장되어 상기 제 2 클램핑부재를 상기 제 1 클램핑부재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인장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편 및 제 2 지지편의 룸미러 접촉면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고무 패드가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11.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로서,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가 거치되는 수납포켓;
    단부에 상기 수납포켓이 연결된 제 1 지지부재와 이 제 1 지지부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지지부재를 갖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제 2 지지부재 단부에 연결되어 차량의 룸미러에 진공흡착 고정되는 것으로써, 외측의 메인진공흡착부의 내측으로 보조진공흡착부가 구비된 2중 흡착구조를 가지는 진공흡착패드;
    상기 진공흡착패드가 상기 룸미러에 흡착시 그 패드와 룸미러 사이의 공기배기를 도와 흡착력을 높이고, 탈거시 공기유입을 도와주는 진공 흡/배기 수단; 및
    상기 룸미러에 흡착된 진공흡착패드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진공흡착패드의 고정을 보조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단부와 상기 룸미러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배기 수단은,
    상기 진공흡착패드에 형성된 공기 흡/배기공에 이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도어를 밀어 냄으로써 상기 흡/배기공을 개방시키는 레버;
    상기 레버를 수용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제 2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 및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상기 레버를 외측으로 탄력 지지하도록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유닛은,
    단부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진공흡착패드 연결부에 연결된 제 1 연결부재 및 이 제 1 연결부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연결부재를 갖춘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의 제 2 연결부재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룸미러의 상단에 고정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14.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룸미러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지지편 및 상기 제 2 연결부재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소정깊이의 수용홈부를 갖춘 제 1 클램핑부재;
    상기 룸미러의 후면에 접촉하는 상기 제 1 지지편과 대응되는 제 2 지지편 및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는 돌기를 갖추어 상기 제 1 클램핑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클램핑부재; 및
    상기 수용홈부에 내장되어 상기 제 2 클램핑부재를 상기 제 1 클램핑부재 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인장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편 및 제 2 지지편의 룸미러 접촉면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고무 패드가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포켓과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연결부에는 힌지부가 개재되어 상기 수납포켓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KR10-2002-0068841A 2002-11-07 2002-11-07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KR100460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841A KR100460981B1 (ko) 2002-11-07 2002-11-07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841A KR100460981B1 (ko) 2002-11-07 2002-11-07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655A KR20040040655A (ko) 2004-05-13
KR100460981B1 true KR100460981B1 (ko) 2004-12-09

Family

ID=3733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841A KR100460981B1 (ko) 2002-11-07 2002-11-07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6695A (zh) * 2012-08-03 2012-10-31 王�义 固定在车内后视镜上具有充电扩音功能的手机支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2091A2 (en) * 2009-09-11 2011-03-17 Dou Zhang Rear view mirror mounting device
CN108044550A (zh) * 2017-12-27 2018-05-18 无锡兴惠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封闭式镜杆的支撑夹具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2590A (ja) * 1991-12-12 1993-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ックミラー取付け方式車載携帯電話装置
JPH0675915U (ja) * 1993-04-06 1994-10-25 真彦 森川 車載用携帯電話機保持装置
JPH0732951A (ja) * 1993-07-22 1995-02-03 Fujitsu Ten Ltd 携帯機器の車載用置き台
JPH08324354A (ja) * 1995-06-01 1996-12-10 Totsuka Hitomi 自動車における携帯電話等の把持装置
KR200166506Y1 (ko) * 1999-07-29 2000-02-15 송민섭 공기흡착구를이용한소지품부착구
KR100339911B1 (ko) * 1999-11-02 2002-06-10 이춘래 휴대폰용 차량거치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2590A (ja) * 1991-12-12 1993-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ックミラー取付け方式車載携帯電話装置
JPH0675915U (ja) * 1993-04-06 1994-10-25 真彦 森川 車載用携帯電話機保持装置
JPH0732951A (ja) * 1993-07-22 1995-02-03 Fujitsu Ten Ltd 携帯機器の車載用置き台
JPH08324354A (ja) * 1995-06-01 1996-12-10 Totsuka Hitomi 自動車における携帯電話等の把持装置
KR200166506Y1 (ko) * 1999-07-29 2000-02-15 송민섭 공기흡착구를이용한소지품부착구
KR100339911B1 (ko) * 1999-11-02 2002-06-10 이춘래 휴대폰용 차량거치대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6695A (zh) * 2012-08-03 2012-10-31 王�义 固定在车内后视镜上具有充电扩音功能的手机支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655A (ko)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9033A1 (en)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US8282063B2 (en) Holder
JP3894431B2 (ja) 移動体のケーブル張力装置
KR100870641B1 (ko) 핸즈프리 거치대
CN108025680B (zh) 车辆内部部件
WO2006077460A1 (en) Cradle for mobile phones and ejector device thereof
EP1889748B1 (en) Latch mechanism
KR101000038B1 (ko) 자동차용 전자제품 거치대
US20080142651A1 (en) Cradle for Mobile Phones and Ejector Device Thereof
KR100460981B1 (ko) 차량에 장치되는 이동통신기기용 악세사리 거치대
KR101752195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커버에 설치되는 핸드폰 홀더 거치대
KR200343556Y1 (ko) 자동차의 다기능 부착구
KR200389092Y1 (ko) 차량용 거치대
KR200434479Y1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JP4103273B2 (ja) 雨滴検出装置
KR200412698Y1 (ko) 핸즈프리 거치대
KR200238276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US5471653A (en) Portable radio apparatus and mount structure therefor
JPH10315874A (ja) 車載用携帯電話機ホルダー
KR20070060191A (ko) 차량용 홀더 수납형 휴대폰 거치장치
WO2009117865A1 (en)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CN111824437A (zh) 安装组件、快拆装置及无人机
JP3509206B2 (ja) 車載電話機システム用マイクロホン装置
JP3113021U (ja) 移動体用送受話装置
KR200253141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