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890Y1 - 휴대폰 거치대의 이어폰 걸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대의 이어폰 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890Y1
KR200280890Y1 KR2020020011782U KR20020011782U KR200280890Y1 KR 200280890 Y1 KR200280890 Y1 KR 200280890Y1 KR 2020020011782 U KR2020020011782 U KR 2020020011782U KR 20020011782 U KR20020011782 U KR 20020011782U KR 200280890 Y1 KR200280890 Y1 KR 200280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hanger
earphone
hol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태
Original Assignee
정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태 filed Critical 정진태
Priority to KR2020020011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890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 걸이대를 장착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구자석이 내장된 판상으로 된 거치대의 후면에 양면테이프가 접착되어 이의 점착력에 의해 차량 실내의 소정위치에 거치대를 부착되게 하여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휴대폰을 거치할 때 지장을 주지않는 범위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는 휴대폰에 연결된 이어폰을 걸어서 보관하는 걸이대가 형성되어 통화 시 항상 일정한 위치에 걸이대이 있으므로 운전자의 집중력의 분산과, 그로 인해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대의 이어폰 걸이장치{Earphone holder for handyphone support}
본 고안은 이어폰 걸이대를 장착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해 부착하는 휴대폰거치대의 내부에 와이어의 ㄱ자의 절곡부분을 고정시키고 타단에 형성된 스프링에 이어폰걸이대를 개재하여 차량내부에서 통화할 경우, 상기 걸이대이 이어폰걸이대에 위치에 있다는것을 인식하여 쉽게 파지하기 쉽고, 당황하지 않고 전화 통화할 수 있게 한 이어폰 걸이대를 장착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거치대는 단지 휴대폰을 유동없이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와 거치됨과 아울러 일측은 핸드폰과 연결되는 잭으로 구성되고 타단측엔 마이크가 구비되어 마이크를 통해 통화가 가능한 핸즈프리가 있다.
따라서, 휴대폰 거치대에 휴대폰이 달라붙도록 거치시킨 상태에서 이어폰잭에 걸이대을 결속되게 하여 통화가 가능한 대기 상태에서 휴대폰을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을 유동없이 거치할 수 있는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거치할 수는 있지만 걸이대을 거치할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사용자는 차량 내부의 룸미러에 걸쳐 놓거나 임의의 자리에 걸이대을 놓고 통화를 할 경우, 걸이대의 위치를 찾느라 운전자의 집중력이 분산되어 안전운전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거치대의 일측에 외측으로 형성된 지지대에 의해 이어폰걸이대가 장착되어 통화 시 항상 일정한 위치에 걸이대이 있으므로 운전자의 집중력의 분산과, 그로 인해 사고를 방지하는 이어폰 걸이대를 장착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어폰 걸이대가 장착된 휴대폰 거치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상기 이어폰 걸이대가 장착된 휴대폰 거치대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이어폰 걸이대가 장착한 핸드폰 거치대의 일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이어폰 걸이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드폰 거치대 11 : 영구자석
12 : 지지대 13 : 양면테이프
14 : 걸이댄 22: 지지편
E : 이어폰 H : 휴대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영구자석이 내장된 판상으로 된 거치대의 후면에 양면테이프가 접착되어 이의 점착력에 의해 차량 실내의 소정위치에 거치대를 부착되게 하여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휴대폰을 거치할 때 지장을 주지않는 범위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는 휴대폰에 연결된 이어폰을 걸어서 보관하는 걸이대가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이어폰 걸이대를 장착한 휴대폰 거치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어폰 걸이대가 장착된 휴대폰 거치대의 분리사시도이고,도 2는 상기 이어폰 걸이대가 장착된 휴대폰 거치대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이어폰 걸이대가 장착한 핸드폰 거치대의 일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영구자석(11)이 내장된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판상의 거치대(10)의 후면에 양면테이프(13)가 접착되어 이의 점착력에 의해 차량 실내의 소정위치에 거치대(10)를 부착되게 하여 휴대폰(H)을 거치할 수 있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의 일측에 휴대폰(H)을 거치할 때 휴대폰(H)의 사용에 지장을 주지않는 범위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지지대(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는 휴대폰(H)에 연결된 이어폰(E)을 걸어서 보관하는 걸이대(1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12)가 강선형태로 되어 그 "ㄱ"자로 절곡된 일단이 거치대(10)의 후면에 접착된 양면테이프(13)의 사이에 개입·고정되어 있되 걸이대(14)가 결합되는 외측 단부는 코일형태로 형성된다.
도 4는 상기 이어폰 걸이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거치대(10)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12)를 길이 방향의 판상체 지지편(22)으로 대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이어폰 걸이대(15)를 장착한 휴대폰 거치대(10)는 사용자가 차량의 내부 임의의 위치에 양면테이프(14)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핸드폰(H)의 일측면에 형성된 이어폰잭홀(미도시)에 이어폰(E)을 장착하고 이어폰 걸이대(15)에 이어폰(E)을 장착한 다음, 운전 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이어폰 걸이대(15)에서 이어폰(E)을 탈착하여 귀에 끼고 통화하면 되고, 통화를 마친 후에도 이어폰(E)을 이어폰 걸이대(15)에 걸면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휴대폰 거치대의 이어폰 걸이장치는 거치대의 일측에 외측으로 설치된 지지대에 의해 이어폰걸이대가 장착되어 통화 시 항상 일정한 위치에 이어폰이 있으므로 운전자의 집중력의 분산과, 그로 인해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영구자석(11)이 내장된 판상으로 된 거치대(10)의 후면에 양면테이프(13)가 접착되어 이의 점착력에 의해 차량 실내의 소정위치에 거치대(10)를 부착되게 하여 휴대폰(H)을 거치할 수 있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의 일측에 휴대폰(H)을 거치할 때 지장을 주지않는 범위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지지대(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는 휴대폰(H)에 연결된 이어폰(E)을 걸어서 보관하는 걸이대(14)가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의 이어폰 걸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가 강선형태로 되어 그 일단이 거치대(10)의 후면에 접착된 양면테이프(13)의 사이에 개입·고정되어 있되 걸이대(14)가 결합되는 외측 단부는 코일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의 이어폰 걸이장치.
KR2020020011782U 2002-04-18 2002-04-18 휴대폰 거치대의 이어폰 걸이장치 KR200280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782U KR200280890Y1 (ko) 2002-04-18 2002-04-18 휴대폰 거치대의 이어폰 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782U KR200280890Y1 (ko) 2002-04-18 2002-04-18 휴대폰 거치대의 이어폰 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890Y1 true KR200280890Y1 (ko) 2002-07-06

Family

ID=7312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782U KR200280890Y1 (ko) 2002-04-18 2002-04-18 휴대폰 거치대의 이어폰 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8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9278A (ko)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 디바이스
KR200280890Y1 (ko) 휴대폰 거치대의 이어폰 걸이장치
KR200259981Y1 (ko) 컵홀더형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
KR20060104563A (ko) 차량용 핸드폰 홀더 및 제어장치
JP2002368857A (ja) 車両用ハンズフリー装置
JP3361304B2 (ja) 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及びアタッチメント付き携帯電話機
KR200163297Y1 (ko) 자석이내장된핸드폰부착판
KR20020069858A (ko) 휴대폰 거치대
KR200235701Y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
JP2001127864A (ja) 携帯電話機用イヤホンマイク及び携帯電話機
KR200420825Y1 (ko) 운전자용 휴대전화 이어폰
KR200214075Y1 (ko) 핸드폰 거치대
JP3053180B1 (ja) 携帯電話保持器
KR200253382Y1 (ko) 핸즈프리 장치용 휴대폰
KR200235732Y1 (ko) 핸즈 프리 거치대
KR200253141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KR19980061892U (ko) 핸즈 프리(hands free) 키트(kit)
KR200221251Y1 (ko) 이어 마이크 폰이 내장된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200340075Y1 (ko) 휴대폰 홀스터
KR200228909Y1 (ko) 차량용 핸즈프리키트
KR200222016Y1 (ko) 차량용 휴대폰 이어핸즈프리
KR200260316Y1 (ko) 차량용 이동 통신 단말기 거치대
KR200200186Y1 (ko) 이어폰 고정장치
US20040258268A1 (en) Microphone
KR200210278Y1 (ko) 자동차용 휴대폰 접속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