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231A - 핸즈프리장치 - Google Patents

핸즈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231A
KR20020094231A KR1020010031090A KR20010031090A KR20020094231A KR 20020094231 A KR20020094231 A KR 20020094231A KR 1020010031090 A KR1020010031090 A KR 1020010031090A KR 20010031090 A KR20010031090 A KR 20010031090A KR 20020094231 A KR20020094231 A KR 20020094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support
coupled
support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용
Original Assignee
(주)알에프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에프텔레콤 filed Critical (주)알에프텔레콤
Priority to KR102001003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4231A/ko
Publication of KR20020094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2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핸즈프리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핸즈프리장치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의 길이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음성출력을 통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상태 및 차량의 상태를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를 고정지지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및 마이크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이크 지지부와,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일반적인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는 거치부와, 거치부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지지수단의 결합되어 지지수단 및 거치부를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장치는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에 고정된 후,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위치로 핸즈프리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팔 길이의 범위 안으로만 설치 장소가 한정될 필요 없이 보다 다양한 장소에 장착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고, 휴대용 전화기의 상태 및 차량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나타낼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핸즈프리장치{apparatus for hand free}
본 발명은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즈프리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핸즈프리장치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의 길이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차량을 운전할 때 전화가 오면 한 손으로 핸들을 조작하고 나머지 한 손으로 휴대폰을 들고 통화하므로 원활한 운전에 방해가 되고, 주의가 산만해져 교통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요인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운전석전방의 크러쉬패드에 핸즈프리장치를 설치하여 휴대폰을 고정시켜 사용함으로써 통화중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핸즈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핸즈프리장치는 기기 본체(10)를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2)와, 상기 고정부(12)에 결합되어 상기 기기본체(10)를 소정의 각도로 지지하는 지지부(13)와, 휴대용 전화기가 장착되며, 휴대용 전화기와 연결되어 핸즈프리기능을 수행하는 거치부(14)로 구성되어 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핸즈프리장치(10)는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부(13)가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각도로 조절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14)에 휴대용 전화기가 장착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핸즈프리장치(10)는 크러쉬 패드에 고정된 후,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각도만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즈프리장치(10)가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에 장착될 때 사용자 팔 길이의 범위 안으로만 설치 장소가 한정되어 있어 장착 공간이 매우 한정되어 있으며, 또한 사용자 팔 길이의 범위 안에 장착되었더라도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할 때 사용자의 시야를 가려 차량의 접촉사고 등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에 휴대용 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핸즈프리장치의 휴대용 전화기 거치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가변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휴대용 전화기의 상태 및 차량의 상태를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는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핸즈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마이크 지지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마이크 지지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핸즈프리장치, 본체 120 : 지지부
121, 127, 130 : 제 1캐리어, 제 2캐리어, 제 3캐리어
140 : 거치부 149 : 결합부
160 ; 고정부 161 : 플레이트
162 : 피봇결합부 190 : 마이크 지지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장치는, 휴대용 전화기를 고정지지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이크 지지부와,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일반적인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의 결합되어 상기 지지수단 및 상기 거치부를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의 관체 형상으로 이단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어 개방부 일측에 제 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타단이 폐쇄되어 폐쇄부가 마련되고, 폐쇄부의 외측에 상기 고정부에 회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봇돌기가 형성되는 제 1캐리지와; 일단 상기 제 1캐리지의 상기 개방부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1캐리지의 내부형상에 대응하는 중공이 형성된 관체로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제 1캐리지의 상기 제 1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제 1걸림홈이 구비되며, 일단부에 제 2걸림돌기가 형성된 제 2캐리지와; 일단이 상기 제 2캐리지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2캐리지의 내부형상에 대응하는 중공이 형성된 관체로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제 2캐리지에 형성된 상기 제 2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제 2걸림홈이 구비되며, 타단에 상기 거치부가 회전 및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 3캐리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캐리지의 상기 폐쇄부의 내측에 푸시 래치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제 3캐리지의 타단에 상기 푸시 래치 스위치에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캐리지의 내측에 상기 제 3캐리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제 3캐리지가 압력을 받음에 따라 상기 제 2캐리지에 마련된 고정돌기가 상기 푸시 래치 스위치에 삽입되어 고정 및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와 몸체 원주면상의 일측에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상기 피봇결합부에 삽입되어 회전 및 회동 가능하도록 구형의 피봇돌기가 상기 몸체의 원주방향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제 1지지부재와,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원주면 양측에 상기 제 1지지부재의 원기둥 형상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중공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된 지지돌기가 형성된 제 2지지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형성된 피봇결합부에 상기 제 1지지부재에 형성된 피봇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제 1지지부재의 몸체에 형성된 중공에 상기 제 2지지부재의 지지돌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 2지지분재의 몸체에 형성된 중공에 상기 거치부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2지지부에와 동일한 형상의 제 3지지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제 2지지부재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중공에 상기 제 3지지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기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3지지돌기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중공에 상기 거치부의 결합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 지지부는, 상기 거치부의 상면 소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와; 상기 회전결합부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된 다수의 형통형 기둥이 텔레스코프 형태로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거치부 본체로 전송하도록 소정길이의 전선이 마련되고, 상기 전선을 소정의 탄성력으로 일방향으로 권취시키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전선이 감기는 보빈과; 일단이 보빈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거치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보빈에 권취된 상기 전선이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상기 보빈을 일방향으로 권취력을 부여하는 태엽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제 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주요부인 연장지지부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장치는 차량의 실내 전방크러쉬 패드에 부착되어 기기본체(100)를 지지하는 고정부(160)와, 상기 고정부(160)에 결합되어 휴대용 전화기가 거치되는 거치부(14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 상기 지지부(120)에 결합되어 휴대용 전화기의 핸즈프리기능을 수행하는 거치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140)의 상면에는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후면에 내장 또는 부착된 상자성체(미도시)가 접착되어 상기 휴대용 전화기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자성체(미도시)가 내장된 부착면(146)이 형성되고, 상기 부착면(146)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부(140)로 공급되는 전원의 연결상태와,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다수의 램프(147)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상기 휴대용 전화기가 상기 거치부(140)에 연결된 후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 및 재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번튼(148)이 마련된다.
여기서, 거치부()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이어 마이크로폰 접속구(미도시)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잭(145)이 구비된 연결코드(144)가 마련되며, 휴대용 전화기와 연결된 핸즈프리장치(100)의 스피커 볼륨 및 마이크의 감도를 조절하는 볼륨조절부(141) 및 감도조절부(142)가 마련되며, 타측 소정부에는 핸즈프리장치(100) 및 휴대용 전화기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연결부(143)가 마련되며, 거치부(140)에 연결된 상기 휴대용 전화기에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화가 왔음을 알리도록 음성출력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여기서, 음성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화기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벨 신호등에 의해 음성출력부에 녹음되어 저장된 음성 예를 들어 "전화가 왔습니다" 등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며, 또한 차량의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차량의 상태를 사용자에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거치부(140)의 상면 소정부에는 핸즈프리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194)가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위치로 설정되어 지지되도록 마이크 지지수단(190)이 마련된다.
또한, 거치부(140)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부(120)와 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49)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60)는 차량의 실내 전방에 구비된 크러쉬 패드에 밀착되어 접착되도록 하면에 양면접착테이프(163)가 마련된 연질의 플레이트(161)가 마련되며, 플레이트(161)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부(120)의 피봇돌기(126)가 삽입되어 자유회동 가능하도록 피봇결합부(pivot joint:16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20)는 고정부(160)에 형성된 피봇결합부(161)에 삽입되는 피봇돌기(126)가 형성된 제 1캐리지(121)와, 제 1캐리지(12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제 2캐리지(127)와, 제 2캐리지(127)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거치부(140)의 결합부(149)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132)가 형성된 제 3캐리지(130)가 텔레스코프 형식으로 결합되어 마련되며, 이러한 텔레스코프 형식으로 결합된 각각의 캐리지(121, 127, 130)가 인출 또는 삽입됨에 따라 지지부(120)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제 1캐리지(12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의 관체형상으로 일단이개방되어 제 2캐리지(127)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개방부의 일측에는 제 1캐리지(121)에 삽입되는 제 2캐리지(127)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제한돌기(124)가 형성되고, 개방부의 타측인 폐쇄부의 내측에는 제 3캐리지(130)의 걸림돌기(131)가 삽입됨에 따라 고정 및 해제를 반목하는 푸시 래치 스위치(push ratch switch:125)가 마련되고, 제 1캐리지(121)의 외측 일면에는 상기 고정부(160)에 형성된 피봇결합부(162)에 회전 및 회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구(球)형상의 피봇돌기(126)가 형성되어 마련된다.
그리고, 제 2캐리지(127)는 상기 제 1캐리지(121)의 개방부 내측에 삽입되도록 제 1캐리지(121)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양측이 개방된 사각의 관체로 형성되며, 관체의 일단에는 제 2캐리지(127)에 삽입 결합되는 제 3캐리지(1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2제한돌기(128)가 형성되고, 관체의 일면에는 상기 제 1캐리지(121)에 형성된 제 1제한돌기(124)에 대응하여 제 1제한돌기(124)가 삽입되어 제 1제한돌기(124)에 의해 지지되어 제 2캐리지(127)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한홈(129)이 형성된다.
또한, 제 2캐리지(127)에 결합되는 제 3캐리지(130)는 상기 제 2캐리지(127)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제 2캐리지(127)의 내측에 대응되어 외형이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이 폐쇄된 사각의 관체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거치부(14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부(149)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동부(13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 1캐리지(121)에 형성된 푸시 래치 스위치(125)에 삽입되어 압력을 받음에 따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돌기(13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관체의 일면에는상기 제 2캐리지(127)에 형성된 제 2제한돌기(128)에 대응하여 제 2제한돌기(128)가 삽입되어 제 2제한돌기(128)에 의해 지지되어 제 3캐리지(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한홈(1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제 1, 2, 3캐리지(121, 127, 130)는 각 캐리지(121, 127, 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 1캐리지(121)의 내부에 고정되어 제 3캐리지(13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32)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결합상태 및 작동을 설명하면, 상술한 고정부(160)의 플레이트(161)가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의 소정위치에 양면접착테이프(163)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플레이트(161)의 상면에 구비된 피봇결합부(162)에 지지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구형피봇돌기(126)가 삽입되어 지지부(120)가 회전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부(120)의 타단에 형성된 회동부(132)에 상술한 거치부(140)의 하면에 마련된 결합부(149)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지지부(120)는 제 1캐리지(121)의 내부에 결합된 스프링(132)에 의해 제 3캐리지(130)가 인출되며, 이에 따라 제 3캐리지(130)가 삽입되어 있는 제 2캐리지(127)도 같이 인출되며, 제 2캐리지(127)는 제 2캐리지(127)의 일면에 형성된 제한홈(129)에 삽입된 제 1캐리지(121)의 제 1제한돌기(124)에 의해 인출이 제한되고, 제 3캐리지(130)는 제 3캐리지(130)의 일면에 형성된 제한홈(133)에 삽입된 제 2캐리지(127)의 제 2제한돌기(128)에 의해 일정 길이 이상 인출되는 것이 제한되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사용자가 인출된 지지부(120)를 축소시키기 위하여 거치부(140)를 누르면, 거치부(140)의 하면에 결합된 제 3캐리지(130)가 압력을 받아 제 2캐리지(127)에 삽입되고, 제 2캐리지(127)는 제 1캐리지(121)에 삽입되며, 일정거리 이상 삽입되면 제 3캐리지(13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31)가 제 1캐리지(121)의 내부에 마련된 푸시 래치 스위치(125)에 삽입되어 제 1, 2캐리지(121, 127)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지지부(12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위치로 거치부(1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면에서,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상술한 제 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며 단지 고정부에 결합되어 거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조가 다른 실시예이므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지지부는, 제 1중공(172a)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제 1몸체(172)와 제 1몸체(172) 원주면상의 일측에 상기 고정부(160)에 형성된 피봇결합부(162)에 삽입되어 회전 및 회동 가능하도록 구형의 피봇돌기(173)가 제 1몸체(172)의 원주방향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제1지지부재(170)와, 제 2중공(172b)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제 2몸체(175)와, 제 2몸체(175)의 원주면 양측에 상기 제 1지지부재(171)의 원기둥 형상 제 1몸체(172)의 양단에 형성된 제 1중공(172a)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도록 제 2결합홀(177)이 형성된 제 2지지돌기(176)가 형성된 제 2지지부재(174)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140)의 하면에는 상기 제 2지지돌기(174) 제 2몸체(175)의 양단에 형성된 제 2중공(172b)과 결합하여 제 2 지지돌기(176)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결합부(149)가 마련된다.
이러한, 제 1지지부재(171) 및 제 2지지부재(174)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면,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에 고정되는 고정부(160)에 형성된 피봇결합부(162)에 제 1지지부재(171)의 구형 피봇돌기(173)가 삽입되어 회전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지지부재(171) 제 1몸체(172)의 양단에 형성된 제 1중공(172a)과 제 2지지부재(174)의 제 2몸체(175)의 외측에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기(176)의 결합홀(177)이 결합되고, 제 2지지부재(174) 제 2몸체(175)의 양단에 형성된 제 2중공(172b)에 상기 거치부(140)의 하면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149)가 고정된다.
여기서, 제 1지지부재(171) 몸체에 결합되는 제 2지지부재(174)와 동일한 형상의 제 3지지부재(178)가 마련되어 제 2지지부재(174) 제 2몸체(175)에 형성된 제 2중공(172b)에 제 3지지부재(178) 몸체에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기(180)가 결합되고, 제 3지지부재(178)의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중공(173c)에 상기 거치부(140)의 하면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149)가 고정되어 거치부(140)가 고정된다.
상기한, 제 1지지부재(171)에 결합되는 제 2지지부재(174)와, 제 2지지부재(174)에 결합되는 제 3지지부재(178)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지지부재(174) 및 제 3지지부재(178)와 동일한 형상의 또 다른 지지부재가 마련되어 제 3지지부재(178)와 거치부(140) 사이에 결합되어 거치부(14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의 길이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3실시예]
도면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장치의 마이크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마이크 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상술한 제 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며 단지 마이크를 지지하는 마이크 지지수단의 구조가 다른 실시예이므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마이크 지지수단(190)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한 다수의 환형부재(193, 193', 193'', 193''')가 텔레스코프형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거치부(140)의 상면 소정부에 회전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이크 지지대(190)와, 상기 마이크 지지대(190)에 내설되는 전선(196)을 권취하는 권취부(195)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 지지대(190)는 상기 거치부(140)의 상면 소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192)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결합부(192)의 상측에 형성된 회전돌기(192a)의 회전홀(192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된 다수의 형통형 환형부재(193, 193', 193'', 193''')가 텔레스코프 형태로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부재(191)와, 상기 지지부재(191)의 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9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195)는, 상기 마이크(194)에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거치부(140) 본체로 전송하도록 상기 지지대(191)에 내측에 설치되는 소정길이의 전선(196)을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권취시키도록 거치부(14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빈(197)과, 일단이 상기 보빈(197)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거치부(140)의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보빈(197)에 일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탄성력을 부여하는 태엽스프링(198)이 마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장치는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에 고정된 후,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위치로 핸즈프리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팔 길이의 범위 안으로만 설치 장소가 한정될 필요 없이 보다 다양한 장소에 장착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휴대용 전화기를 고정지지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마이크 지지부와,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일반적인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의 결합되어 상기 지지수단 및 상기 거치부를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의 관체 형상으로 이단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어 개방부 일측에 제 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타단이 폐쇄되어 폐쇄부가 마련되고, 폐쇄부의 외측에 상기 고정부에 회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봇돌기가 형성되는 제 1캐리지와;
    일단 상기 제 1캐리지의 상기 개방부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1캐리지의 내부형상에 대응하는 중공이 형성된 관체로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제 1캐리지의 상기 제 1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제 1걸림홈이 구비되며, 일단부에 제 2걸림돌기가 형성된 제 2캐리지와;
    일단이 상기 제 2캐리지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2캐리지의 내부형상에 대응하는 중공이 형성된 관체로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제 2캐리지에 형성된 상기 제 2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제 2걸림홈이 구비되며, 타단에 상기 거치부가 회전 및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 3캐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캐리지의 상기 폐쇄부의 내측에 푸시 래치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제 3캐리지의 타단에 상기 푸시 래치 스위치에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캐리지의 내측에 상기 제 3캐리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제 3캐리지가 압력을 받음에 따라 상기 제 2캐리지에 마련된 고정돌기가 상기 푸시 래치 스위치에 삽입되어 고정 및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몸체와 몸체 원주면상의 일측에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상기 피봇결합부에 삽입되어 회전 및 회동 가능하도록 구형의 피봇돌기가 상기 몸체의 원주방향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제 1지지부재와,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원주면 양측에 상기 제 1지지부재의 원기둥 형상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중공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된 지지돌기가 형성된 제 2지지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형성된 피봇결합부에 상기 제 1지지부재에 형성된 피봇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제 1지지부재의 몸체에 형성된 중공에 상기 제 2지지부재의 지지돌기가 결합되며, 상기 제 2지지분재의 몸체에 형성된 중공에 상기 거치부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부에와 동일한 형상의 제 3지지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제 2지지부재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중공에 상기 제 3지지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기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3지지돌기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중공에 상기 거치부의 결합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지지부는,
    상기 거치부의 상면 소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와; 상기 회전결합부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된 다수의 형통형 기둥이 텔레스코프 형태로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거치부본체로 전송하도록 소정길이의 전선이 마련되고, 상기 전선을 소정의 탄성력으로 일방향으로 권취시키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전선이 감기는 보빈과; 일단이 보빈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거치부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보빈에 권취된 상기 전선이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상기 보빈을 일방향으로 권취력을 부여하는 태엽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장치.
KR1020010031090A 2001-06-04 2001-06-04 핸즈프리장치 KR20020094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090A KR20020094231A (ko) 2001-06-04 2001-06-04 핸즈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090A KR20020094231A (ko) 2001-06-04 2001-06-04 핸즈프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609U Division KR200246611Y1 (ko) 2001-06-04 2001-06-04 핸즈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231A true KR20020094231A (ko) 2002-12-18

Family

ID=2770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090A KR20020094231A (ko) 2001-06-04 2001-06-04 핸즈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42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416A (ko) * 2003-06-19 2004-12-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242U (ko) * 1995-06-30 1997-01-21 백태우 휴대폰 거치대
KR19980014533A (ko) * 1996-08-13 1998-05-25 구자홍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KR19990037971U (ko) * 1998-03-10 1999-10-15 이규월 이동통신전화기 거치대용 어댑터어셈블리
KR20000010145U (ko) * 1998-11-17 2000-06-15 민경훈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KR200205814Y1 (ko) * 2000-07-25 2000-12-01 백승면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
KR200235732Y1 (ko) * 2001-04-09 2001-10-11 박상수 핸즈 프리 거치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242U (ko) * 1995-06-30 1997-01-21 백태우 휴대폰 거치대
KR19980014533A (ko) * 1996-08-13 1998-05-25 구자홍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KR19990037971U (ko) * 1998-03-10 1999-10-15 이규월 이동통신전화기 거치대용 어댑터어셈블리
KR20000010145U (ko) * 1998-11-17 2000-06-15 민경훈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KR200205814Y1 (ko) * 2000-07-25 2000-12-01 백승면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
KR200235732Y1 (ko) * 2001-04-09 2001-10-11 박상수 핸즈 프리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416A (ko) * 2003-06-19 2004-12-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1824B1 (en) Foldable portable telephone with improved antenna gain
JP2658906B2 (ja) 自動オープン式折り畳み携帯電話機
JP3037217B2 (ja)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US6892082B2 (en) Cellular telephon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ce
JP2001048428A (ja) コード収納器
US20090017875A1 (en) Cellular telephone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20030224839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retractable headset kit and automatic call control
JP2003533135A (ja) 通信ユニット
JP3360703B2 (ja) 携帯電話機
CA2249972C (en) Articulating speaker and microphone for a wireless telephone with cigarette lighter adapter
KR200246611Y1 (ko) 핸즈프리장치
KR20020094231A (ko) 핸즈프리장치
GB2325372A (en) Two part flip cover for a portable telephone
JPH03263957A (ja) 携帯電話機
JPH0538984A (ja) コードレス自動車電話
JP4153297B2 (ja) 展開可能イヤバドを有する携帯通信装置
JP3361304B2 (ja) 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及びアタッチメント付き携帯電話機
JPH01247237A (ja) 無線電話装置
CN219204669U (zh) 一种便于折叠存放的头戴式蓝牙耳机
JP3101417B2 (ja) 携帯用電話機及びホルダ
KR200243216Y1 (ko) 차량용 핸즈프리세트
JP2592542Y2 (ja) 自動車用ハンドフリー通話装置
KR20040096686A (ko) 휴대폰 거치대
KR20010036309A (ko) 폴더형 휴대폰의 원터치 오픈 장치
JP2002362245A (ja) 自動車用ハンズフリ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