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533A -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533A
KR19980014533A KR1019960033557A KR19960033557A KR19980014533A KR 19980014533 A KR19980014533 A KR 19980014533A KR 1019960033557 A KR1019960033557 A KR 1019960033557A KR 19960033557 A KR19960033557 A KR 19960033557A KR 19980014533 A KR19980014533 A KR 19980014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radle
fixed
flexible shaft
phon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33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533A/ko
Publication of KR19980014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533A/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휴대폰을 거치하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치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임의 방향으로의 방향전환 및 자동차 주행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억제 효과를 득하여 휴대폰 수명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득하도록 자동차용 휴대폰을 거치하는 거치대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거치대는 자동차판넬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구성되어 거치편을 지지하며 다방향으로 방향전환되는 플랙시블축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휴대폰을 거치하는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치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임의 방향으로의 방향전환 및 진동저감 효과를 득하여 휴대폰 수명을 극대화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가 고정되는 자동차판넬(1)과, 상기 자동차판넬(1)에 나사(2)로 고정되는 고정편(3)과, 상기 고정편(3)의 타단에 나사(2')로 고정되어 충전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4)이 연결되는 거취편(5)과, 상기 거취편(5)에 휴대폰(6)이 놓여지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있어 휴대폰(6)의 위치 변환에 제약이 있었고, 자동차 진동이 완화되지 않은 상태로 휴대폰(6)에 전달되어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즉, 고정편(3)에 고정되어 있는 거취편(5)은 자동차판넬(1)에 나사(2)를 사용하여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나사(2)를 사용하여 최초로 고정되어진 거치대는 위치 내지 방향전환이 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변화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위치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자동차판넬(1)에 고정된 나사(2)를 풀어내어 다시 새로운 위치를 선정하고 고정작업을 해야함으로서 번거로웠다. 또한, 이와 같은 위치교정 작업을 했어도 수시로 변하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위치변화 요구를 충족할 수 없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자동차판넬(1)에 고정된 거치대는 자동차 주행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비교적 직접적으로 전달되게 됨으로서 거치편에 놓여진 휴대폰(6)의 동작불능 내지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거치대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자동차판넬에 고정된 뒤에 임의 위치로 위치변화를 줄 수 있고 또한, 자동차에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자동차판넬에 거치대를 고정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일정한 형상유지력을 가지며 유연하게 구부려지는 플랙시블축을 구성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도로서, 거치대가 부착된 상태의 단면에 휴대폰이 놓여진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으로서, (가)는 자동차판넬에 부착된 거치대에 휴대폰을 올려놓은 상태도이고, (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자동차판넬102:휴대폰
103:나사104:고정편
105:플랙시블축106:전원선
107:지지편
본 발명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를 도 2에 도시한 바에 의하여 설명한다.
자동차판넬(101)에 휴대폰(102)을 거치하는 거치대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거치대는 거치대를 자동차판넬(101)에 나사(103)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편(104)과, 상기 고정편(104)에 구성되어 다방향으로 방향전환되는 플랙시블축(105)과, 상기 플랙시블축(105)의 타단에 고정되어 전원선(106)을 연결한 거치편(107)을 구성하여 휴대폰(102)이 놓여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플랙시블축(105)에 고정된 거치편(107)을 자유로이 방향전환 할 수 있고, 플랙시블축(105) 자체의 유연성에 의해 자동차 진동을 완화할 수 있다. 즉, 거치대에 구성한 고정편(104)을 자동차판넬(101)에 나사(103)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한 거치대는 휴대폰(102)이 놓여지는 거치편(107)과 고정편(104) 사이에 구성한 플랙시블축(105)이 일정한 형상유지력을 가지며 유연하게 구부려진다.
이와 같이 일정한도 이상의 외력에 의해 유연하게 변환되는 플랙시블축(105)에 의해 거치편(107)을 임의 위치로 방향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거치편(107)에 놓여지는 휴대폰(102)의 방향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거치대를 자동차판넬에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편과 거치편 사이에 일정한도의 형상유지력을 갖는 플랙시블축을 구성함으로서, 거치편에 놓여지는 휴대폰의 방향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에 구성한 플랙시블축 자체가 자유로이 구부러지는 유연성을 지니게 되어 완충작용함으로서 자동차 주행중에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휴대폰을 거치하는 거치대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
    거치대는 자동차판넬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구성되어 거치편을 지지하며 다방향으로 방향전환되는 플랙시블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KR1019960033557A 1996-08-13 1996-08-13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KR19980014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557A KR19980014533A (ko) 1996-08-13 1996-08-13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557A KR19980014533A (ko) 1996-08-13 1996-08-13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533A true KR19980014533A (ko) 1998-05-25

Family

ID=6625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557A KR19980014533A (ko) 1996-08-13 1996-08-13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5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231A (ko) * 2001-06-04 2002-12-18 (주)알에프텔레콤 핸즈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231A (ko) * 2001-06-04 2002-12-18 (주)알에프텔레콤 핸즈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0212B2 (en) Mounting structure of speaker box
KR19980014533A (ko)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CN216331874U (zh) 固定装置、供电设备及车辆
KR200353977Y1 (ko) 차량용 통신 단말기 거치대
KR100528459B1 (ko) 보조 기기 장착 구조
CN215072036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步进电机驱动器
CN213244068U (zh) 按键结构及移动终端
CN211684927U (zh) 手机槽总成及汽车
KR0140151Y1 (ko) 거치대 고정장치의 각도조절장치
ITMI20000069A1 (it) Corredo viva voce universale per cellulare
CN220789710U (zh) 支架组件
CN213879510U (zh) 永磁无刷直流电机
KR100388815B1 (ko) 노트북을 이용한 자동차 실내에서의 사무화 시스템
CN219243024U (zh) 一种保护套支架
CN209813856U (zh) 一种重力手机支架
CN219619019U (zh) 车载手机支架
CN220965110U (zh) 一种蓝牙耳机充电盒
JP7326543B2 (ja) 振動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US5398651A (en) Piston engine
KR20040043709A (ko) 완충수단이 구비된 조명장치
KR940009928B1 (ko) 자동차용 무선전화기 홀더
CN116709697A (zh) 一种可穿戴设备的壳体结构
KR20010054358A (ko) 기지국 송수신기 설치 구조
KR20040033658A (ko) 자동차용 이동통신 안테나 장착구조
KR200225903Y1 (ko) 무선 전화 핸즈프리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