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076Y1 -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076Y1
KR200231076Y1 KR2020010003557U KR20010003557U KR200231076Y1 KR 200231076 Y1 KR200231076 Y1 KR 200231076Y1 KR 2020010003557 U KR2020010003557 U KR 2020010003557U KR 20010003557 U KR20010003557 U KR 20010003557U KR 200231076 Y1 KR200231076 Y1 KR 200231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housing
free
mobile phone
circular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수
Original Assignee
박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수 filed Critical 박상수
Priority to KR2020010003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076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크래시 패널에 접착되며 중앙에는 돌출편이 형성된 연질의 접착부재; 일단부에 끼움캡이 형성되어 돌출편에 끼워져 접착·고정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제1 원호부가 내향으로 돌출·형성된 하우징; 하단부에 제2 원호부가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 원호부와 맞물려 결합되며 상단부의 내면에는 원호턱이, 외주면에는 수직·절개된 수직절개부를 갖는 회동클릭수단; 하우징에 결합되어 회동클릭수단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려 제1, 제2 원호부의 맞물림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캡; 하단부에 롤링볼이 형성되어 회동클릭수단에 억지끼워져 수직절개부를 통해 눕혀짐과 세워짐 동작을 하며 회동클릭수단과 함께 하우징을 중심하여 회전하는 상단부에 핸즈프리 본체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를 갖는 방향전환지주봉; 장력조절캡과 롤링볼 사이에 개재되어 방향전환지주봉에 장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핸즈프리 본체 등의 방향전환이 보다 정확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져 운전중에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통화할 수 있고, 또한 구조가 매우 간단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Apparatus for Conversion Direction of Hands Free for Cellulra Phone}
본 고안은 핸즈프리 방향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통화라인으로 연결되는 핸즈프리 본체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를 차량에 사용 시에 나사 조임없이 간편하게 장착하여 핸즈프리 본체를 통해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용 단말기 중에서 셀룰라폰(Cellulra Phone)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내장하고 있으며, 일반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연결하는 선로를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쌍방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원거리에서의 전화 통화의 편리성과 이동성을 추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의해 휴대폰의 사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또한 운전중에도 전화를 걸거나 받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운전중에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운행시보다 사고 위험이 훨씬 더 높기 때문에 각국에서는 운전중 휴대폰의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의 법률을 시행하거나 추진중에 있다.
최근에는 운전중에 휴대폰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하면서 정상적인 상태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휴대폰용 핸즈프리(Hands Free) 장치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 핸즈프리 장치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쌍방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으며, 이 핸즈프리 장치는 차량의 시가잭(cigar jack)을 이용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와 이어폰잭을 이용하는 이어폰-마이크 핸즈프리 장치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의 핸즈프리 장치들은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핸즈프리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통화를 시도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용 핸즈프리 장치를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를 차량 내의 크래시 패널에 나사 또는 기타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을 한 다음 상기 거치대에 휴대폰을 거치한 후 상기 핸즈프리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시거라이트 플러그를 차량의 시가잭에 꽂아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또한 핸즈프리 본체에 구비된 커넥터를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휴대폰에 접속하여 핸즈프리 장치의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음성통화를 시도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기 휴대폰을 거치대에 거치하는 대신에 상기 핸즈프리 본체를 차량에 직접 고정하여 사용하는 시도가 있으나, 상기 핸즈프리 본체를 차량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드릴로 차량의 크래시 패널에 구멍을 뚫고 브라킷트를 나사로 고정한 후에 핸즈프리 본체를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기타의 고정 수단을 통해 브라킷트에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다. 이때, 휴대폰은 차량의 조수석 또는 차량의 대시보드의 적당한 위치에 놓여져 상기한 핸즈프리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휴대폰용 거치대 또는 핸즈프리 본체는 차량 등의 대시보드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운전중에 상기 휴대폰 또는 핸즈프리 본체를 운전자 쪽으로 방향전환시켜 통화하고자 할 때 방향전환이 안되며, 이것에 의해 부득이 운전자가 상태방과 통화를 할 때마다 핸즈프리 본체 쪽으로 얼굴을 돌려서 통화를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휴대폰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주는 장치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1998-47607호(명칭: 휴대폰 거치대 각도 조절장치)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 공개 제1998-47607호에 의하면, 휴대폰 거치대와 고정되고 일측에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각도조절홀이 형성된 각도조절부와, 이 각도조절부와 회전중심에서 고정되고 상기 각도조절홀과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각도조절홀을 향하여 조절돌기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각도조절부를 고정축으로 연결하고 일측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를 중심하여 지지부가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하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 각도조절장치는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휴대폰을 상,하 방향으로만 각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 즉 다시말해 좌,우방향 뿐만 아니라 비스듬히 경사지게 각도조절하는 것이불가능하며, 또한 상기 휴대폰 이외의 단말기, 즉 여러 정보등을 화면을 통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IMT-2000 이라 불리우는 휴대용 화상통신 단말기나 도로의 지형을 안내하여 주는 차량용 항법장치 등을 필요에 의해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거치 또는 고정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화상통신 단말기 및 차량 항법장치를 운전자 쪽으로 비스듬하게 방향전환시켜 보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휴대폰의 각도조절을 위한 일련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많은 갯수의 부품이 요구됨으로써 생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구성이 복잡함에 따라 오동작의 가능성이 커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비용 면에서는 보다 저가의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방향전환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핸즈프리 본체 또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등을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방향전환 장치는 핸즈프리 본체 또는 화상을 통해 통화할 수 있는 기타의 통신단말기 등을 거치시켜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상대방과의 통화 또는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를 차량에 사용 시에 나사 조임없이 보다 간편하게 장착시켜 핸즈프리 본체를 포함해서 기타의 통신단말기 등의 방향전환 및 각도조절이 보다 용이 하도록 하는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로서, 방향전환지주봉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로서, 방향전환지주봉이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에 휴대폰용 핸즈프리 본체를 결합하여 보인 사용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휴대폰용 핸즈프리 본체가 결합된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를 차량에 부착하여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착부재 20 : 지지대
21 : 끼움캡 22 : 하우징
23 : 제1 원호부 30 : 회동클릭부
31 : 제2 원호부 31a : 제2 톱니부
40 : 방향전환지주봉 41 : 롤링볼
50 : 장력조절캡 52 : 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에 의하면, 차량 내의 크래시 패널에 고정·설치되어 휴대폰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주는 거치대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1) 크래시 패널에 접착되며 중앙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돌출편이 형성된 연질의 접착부재; (2) 일단부에 대략 사각형상의 끼움캡이 형성되어 상기 접착부재의 돌출편에 억지끼워져 접착·고정되는 지지대; (3)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그 원통형상의 상단부에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이탈방지용 제1 원호부가 내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우징; (4) 하단부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제2 원호부가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원호부와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맞물려 결합되며 상단부의 내면에는 이탈방지용 원호턱이, 그리고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수직·절개된 수직절개부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회동클릭수단; (5)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회동클릭수단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려 상기 제2 원호부와 제1 원호부와의 맞물림 장력을 조절하여 주는 중앙에 돌기가 형성된 장력조절캡; (6) 하향으로 갈수록 쐐기형상을 가지며 그 쐐기형상의 하단부에 롤링볼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된 회동클릭수단의 장공에 끼워져 상기 수직절개부를 통해 눕혀짐과 세워짐 동작을 하며 상기 회동클릭수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을 중심하여 360도 회전하는 상단부 면에 핸즈프리 본체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를 갖는 방향전환지주봉; (7) 상기 장력조절캡의 돌기와 상기 롤링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방향전환지주봉에 장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제2 원호부의 면에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각각 톱니부를 동심원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방향전환지주봉에 핸즈프리 본체 또는 기타의 통신단말기를 설치한 후에 상기 방향전환지주봉을 하우징을 중심하여 수평으로 눕히거나 수직으로 세워 각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방향전환지주봉을 눕힌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에서 360도로 회전시켜 핸즈프리 본체 또는 기타의 통신단말기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도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그 결과,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핸즈프리 본체 또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등을 자유자재로 방향 전환시킬 수가 있어 운전자는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상대방과의 통화 또는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방향전환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면에 부착된 박리지(11)의 제거 후에 차량 등의 크래시 패널 등에 접착·고정되며 중앙에는 사각형상의 돌출편(10a)이 형성된 일정 두께를갖는 고무재질의 접착부재(10)와, 일측 단부에 사각형상의 끼움캡(21)이 형성되어 접착부재(10)의 돌출편(10a)에 끼워져 접착재에 의해서 안정되게 접착·고정되는 지지대(20)와, 원통형상을 가지고 지지대(20)의 타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원통형상의 상단부에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이탈방지용 제1 원호부(23)가 내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우징(22)과, 하단부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제2 원호부(31)가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하우징(22)의 제1 원호부(23)와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맞물려 결합되며 상단부의 내면에는 원형상의 이탈방지용 원호턱(30a)이 내향쪽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 수직으로 절개된 수직절개부(30b)를 갖는 회동클릭부(30)와, 외주면에 일정 길이로 나사산(51)이 형성되어 그 하우징(22)에 나사 결합이 되면서 그 회동클릭부(30)의 제2 원호부(31)와 하우징(22)의 제1 원호부(23)와의 맞물림 장력을 조절하여 주는 중앙에 돌기(52)가 돌출·형성된 장력조절캡(50)과, 하향으로 갈수록 쐐기형상을 가지며 그 쐐기형상의 하단부에 롤링볼(41)이 형성되어 하우징(22)의 상부로 돌출되는 회동클릭부(30)에 탄력적으로 억지끼워져 수직절개부(30b)로 안내되면서 눕혀짐과 세워짐 동작을 하며 또한 회동클릭부(30)와 함께 하우징(22)을 중심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는 상단부의 면에 핸즈프리 본체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40a)를 갖는 방향전환지주봉(40)과, 장력조절캡(50)의 돌기(52)와 방향전환지주봉(40)의 롤링볼(41) 사이에 개재되어 방향전환지주봉(40)에 장력을 부여하여 주는 코일스프링(60)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전술한 회동클릭부(30)의 제2 원호부(31) 상면에는 동심원상으로제2 톱니부(31a)가 형성되고, 그리고 또한 하우징(22)의 제1 원호부(23) 밑면에는 제2 원호부(31)의 제2 톱니부(31a)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동심원상으로 제1 톱니부(도면에 미 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의 단부에 끼움캡(21)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20)의 하우징(22)을 통해 방향전환지주봉(40)을 삽입한 후에 하우징(22)의 하부에서 하향으로 갈수록 쐐기형상을 갖는 방향전환지주봉(40)의 롤링볼(41)을 회동클릭부(30)의 장공에 대고 하방향으로 압입을 하게 되면 수직절개부(30b)에 의해서 그 회동클릭부(30)가 외향으로 약간 벌어지면서 롤링볼(41)이 회동클릭부(30)의 장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롤링볼(41)의 삽입이 완료되면 다시 회동클릭부(30)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그의 원호턱(30a)에 의해 롤링볼(41)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후 나사산(51)이 형성된 장력조절캡(50)의 돌기(52)에 코일스프링(60)과 같은 탄성수단을 끼우고 그 장력조절캡(50)을 하우징(22)의 하부에서부터 나사 조임을 하면 코일스프링(60)의 타단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클릭부(30)의 장공으로 삽입되면서 방향전환지주봉(40)의 롤링볼(41)에 탄력적으로 접촉됨과 아울러 전술한 장력조절캡(50)의 계속적인 조임에 의해서 코일스프링(60)이 압축되면서 그 롤링볼(41)을 상방향으로 계속 밀어 올려주게 된다.
이때, 장력조절캡(50)의 조임에 따라 롤링볼(41)이 상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원호턱(30a)에 의해 롤링볼(41)에 걸려있는 회동클릭부(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의 상부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2)의 상기 홀을 통해서 외부로 토출되고, 또한 회동클릭부(30)의 제2 원호부(31)에 형성된 제2 톱니부(31a)가 하우징(22)의 상부 내에 형성된 제1 원호부(23)의 제1 톱니부에 360도 회동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맞물려지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100)의 지지대(20)의 하우징(22)에 방향전환지주봉(40)과 회동클릭부(30) 및 장력조절캡(50)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면에 박리지(11)가 부착된 고무재질의 접착부재(10)의 돌출편(10a)에 접착재를 바르고 지지대(20)의 끼움캡(21)을 돌출편(10a)에 억지끼워 맞춰 접착·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100)를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부재(10)의 박리지(11)를 제거한 후에 그 접착부재(10)를 차량의 일정한 위치 즉,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한 크래시 패널(80)에 부착한다. 이후 방향전환지주봉(40)의 결합구(40a)에 브라킷트(71)와 나사(72)를 이용하여 핸즈프리 본체(70)를 고정한다.
이후 상기의 핸즈프리 본체(70)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휴대폰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운전중에 상기 핸즈프리 본체(70)를 통해 통화를 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에서 핸즈프리 본체(70)를 방향전환 또는 각도 조절시켜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향전환지주봉(40)에 핸즈프리 본체(70)가 결합되고 또한 도 3과 같이, 방향전환지주봉(40)이 지지대(20)의 하우징(22)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운전자)가 핸즈프리 본체(70)를 잡고 도 3을 기준하여 우측·하향으로 꺾어주게 되면 쐐기형상의 방향전환지주봉(40)이 회동클릭부(30)의 장공 내에서 롤링볼(41)을 중심하여 탄력성을 가지고 우측방향으로 눕혀짐과 아울러 사용자의 누르는 힘에 따라 방향전환지주봉(40)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클릭부(30)의 수직절개부(30b)를 따라서 지면과 수평하게 위치하거나 또는 지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각도 조절되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방향전환지주봉(40)의 각도 조절에 있어서는, 전술한 회동클릭부(30) 내에 위치한 코일스프링(60)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해서 롤링볼(41)이 회동클릭부(30)의 원호턱(30a)에 압착되어 회동하고, 또한 방향전환주지봉(40)의 외주면이 회동클릭부(30)의 수직절개부(30b)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면서 그 수직절개부(30b)를 따라 상,하향으로 눕혀지거나 세워짐으로,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누르고 있던 핸즈프리 본체(70)를 놓는 순간 그 위치에서 코일스프링(60)과 수직절개부(30b)의 탄성력에 의해 방향전환지주봉(40)이 안정되게 멈추어 자세(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방향전환지주봉(40)이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놓일 때에는 그 방향전환지주봉(40)의 외주면이 도 4와 같이, 하우징(22)의 상단부에 접촉된 상태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핸즈프리 본체(70)가 지면에 대해 각도 조절되어 유지 되었거나 또는 수평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즈프리 본체(7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통화하고자 할 경우, 먼저 방향전환지주봉(40)에 결합된 핸즈프리 본체(70)를원하는 방향, 즉 도 4를 기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동클릭부(30)의 수직절개부(30b)로 토출된 방향전환지주봉(40)에 의해서 회동클릭부(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회동클릭부(3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원호부(31)의 제2 톱니부(31a)와 하우징(22)의 상부 내에 형성된 제1 원호부(23)의 제1 톱니부(도면에 미 도시)가 코일스프링(60)에 의해 탄력적으로 맞물려져 있으므로, 회동클릭부(30)가 방향전환지주봉(40)에 의해 하우징(22) 내에서 회전을 할 때 클릭음을 발생하면서 회전하여 도 5와 같이, 원하는 위치에서 안정되게 멈추어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회동클릭부(30)와 방향전환지주봉(40)이 느슨하게 조여져 있을 경우에는 차량의 조그만 충격에 의해 스킵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또한 너무 타이트하게 조여진 경우에는 방향전환 및 핸즈프리 본체(70)의 각도 조절이 어려우므로, 이때에는 장력조절캡(50)을 하우징(22)에 대하여 적당하게 조여주거나 또는 조금 더 풀어줌으로써, 코일스프링(60)의 장력이 조절되어 상기 문제점이 치유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은 핸즈프리 본체(70)의 각도조절 및 방향전환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핸즈프리 본체 이외의 기타 통신단말기, 예컨대 화면상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상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차량의 항법장치 등을 방향전환지주봉(40)에 설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각도 조절 및 방향전환을 시킬 수도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휴대폰을 상,하 방향으로만 각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방향전환지주봉을 하우징을 중심하여 수평으로 눕히거나 수직으로 세워 각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방향전환지주봉을 회전시켜 이에 결합된 핸즈프리 본체 또는 기타의 통신단말기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운전자는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상대방과의 통화 또는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방향전환 및 각도 조절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에 의하면, 방향전환지주봉을 하우징을 중심하여 수평으로 눕히거나 수직으로 세워 각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향전환지주봉을 눕힌상태 또는 세워진 상태에서 핸즈프리 본체 또는 기타의 통신단말기의 방향을 360도 회전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전중에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상대방과의 통화 또는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방향전환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 내의 크래시 패널에 고정·설치되어 휴대폰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주는 거치대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1) 크래시 패널에 접착되며 중앙에는 돌출편이 형성된 일정 두께를 갖는 연질의 접착부재;
    (2) 일단부에 끼움캡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편에 끼워져 접착 고정되는 지지대;
    (3)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이탈방지용 제1 원호부가 내향으로 돌출·형성된 하우징;
    (4) 하단부에 제2 원호부가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원호부와 360도 회전가능하도록 맞물려 결합되며 상단부의 내면에는 이탈방지용 원호턱이,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수직·절개된 수직절개부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회동클릭수단;
    (5)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클릭수단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려 상기 제1, 제2 원호부의 맞물림장력을 조절하는 중앙에 돌기가 형성된 장력조절캡;
    (6) 대략 쐐기형상의 하단부에 롤링볼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된 회동클릭수단에 억지끼워져 상기 수직절개부를 통해 눕혀짐과 세워짐 동작을 하며 상기 회동클릭수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을 중심하여 회전하는 상단부에 핸즈프리본체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를 갖는 방향전환지주봉; 및
    (7) 상기 장력조절캡의 돌기와 상기 롤링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방향전환지주봉에 장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원호부의 면에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각각 톱니부를 동심원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원호부의 맞물림장력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장력조절캡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
KR2020010003557U 2001-02-13 2001-02-13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 KR200231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557U KR200231076Y1 (ko) 2001-02-13 2001-02-13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557U KR200231076Y1 (ko) 2001-02-13 2001-02-13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076Y1 true KR200231076Y1 (ko) 2001-07-19

Family

ID=7309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557U KR200231076Y1 (ko) 2001-02-13 2001-02-13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0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9041A2 (ko) * 2011-07-08 2013-01-17 (주)에스문 볼힌지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9041A2 (ko) * 2011-07-08 2013-01-17 (주)에스문 볼힌지 구조
KR101252066B1 (ko) * 2011-07-08 2013-04-12 (주) 에스문 볼힌지 구조
WO2013009041A3 (ko) * 2011-07-08 2013-06-13 (주)에스문 볼힌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4745B2 (en) Rotary-keypad for a mobile handset
KR100617675B1 (ko) 회전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020098877A1 (en) Boom actuated communication headset
US20090231797A1 (en) Multi-step hing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CN1809088A (zh) 移动终端的铰链装置
KR200231076Y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
KR100741013B1 (ko) 스윙형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KR200246616Y1 (ko)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100927835B1 (ko) 휴대단말기
KR101160695B1 (ko) 거치대의 지지 수단
KR100429979B1 (ko) 휴대용 영상단말기
CN217935665U (zh) 一种可折叠指环支架
EP3734944B1 (en) Mobile terminal and mobile phone
JP2003258973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KR101028269B1 (ko) 삼각대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25903Y1 (ko) 무선 전화 핸즈프리 거치대
KR100552089B1 (ko) 접이식 마이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10278Y1 (ko) 자동차용 휴대폰 접속 지지장치
JP2005056753A (ja) 電池パック及び携帯型電話装置
KR200341180Y1 (ko) 카메라 안테나 핸드폰
KR200379275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반자동 회전장치
JPH10308807A (ja) 携帯無線機用のハンズフリー装置
JP2005073109A (ja) 充電台
KR200307354Y1 (ko) 이어 마이크형 핸즈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