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213301A1 -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213301A1
WO2017213301A1 PCT/KR2016/009683 KR2016009683W WO2017213301A1 WO 2017213301 A1 WO2017213301 A1 WO 2017213301A1 KR 2016009683 W KR2016009683 W KR 2016009683W WO 2017213301 A1 WO2017213301 A1 WO 20172133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vehicle
power
termina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96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성산
Original Assignee
한성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산 filed Critical 한성산
Publication of WO20172133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2133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erminal hold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older that can be installed inside a vehicle, by lifting the upper body with the terminal while holding the terminal with one hand, and then fixing the terminal to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erminal holder that can be easily manipulated by a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unt the terminal, and further secure safety in vehicle use.
  • the terminal carries a terminal, and most of the terminals are stored in a pocket of a driver or a storage compartment inside the vehicle.
  • a terminal has been able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 smart phone, and thus, it is indispensable for daily life.
  • a driver who drives a vehicle is also driving for functions such as navigation, telephone, and text.
  • the terminal is often checked.
  • finding and using the terminal for use of the terminal is not only a dangerous behavior for a driver while driving, but also a dangerous and troublesome operation because the terminal must be held by hand. This can not be.
  • the technology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user including the driver driving the vehicle, can be used to adjust to the user's eye level, the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mounting memb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that minimizes the mounting efficiency being halved even when the device is mounted to one side or transmitted while driving a vehicle.
  • the mobile device mounting member 100 which fixes the mobile device M and ;
  •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200 is connected, the fixing member 300 is fixed to the mounting target surface to be mounted; the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consisting of.
  • the terminal holder as described above is a form that is conventionally widely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rminal mounting operation is not easy to use.
  • This problem is caused by (a) considering both the shape and size of various terminals, and (b) having a strong fixing force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after it is placed, and in most cases, both hands must be used to mount the terminal. It is.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25432 describes a holde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the technology includes a main body 2 having an adsorption member 8 attached to the target surface and mount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having a connection member 6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4 at one end thereof; And a mounting member 4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6 and mounted with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the main body 2 is streamlined and has a predetermined area, and an operating table 26 is coupled therein.
  • a ball connector 267 is formed on the operating table 26 to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member 4 and to fix the mounting member 4 by the connecting member 6 connected to the ball connector 267. It relates to a cradl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at makes it easy to mount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Galaxy Tab to a vehicle.
  • FIG. 6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may refer to FIG. 6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mounting operation is not eas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older that can be installed inside a vehicle, and after holding the terminal with one hand, lifting the upper body with the terminal, and fixing the terminal to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 a terminal holder that can be installed inside a vehicle, and after holding the terminal with one hand, lifting the upper body with the terminal, and fixing the terminal to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 the mounting means including an upper body 10, the lower body 20 and the rotating shaft 30; And a fixing means coupled to the mounting means and fixed to an inner side of the vehicle, wherein the fixing means includes a pedestal 4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destal 40, the rotary base 50 rotatable 360 °; An adhesive member 60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rotation base 50; And a closing member 70 for closing one side of the upper body 10.
  • the mounting means includes an upper body (10) including an upper body cover (11) having a groove (11a) and an upper body base (12)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cover (11);
  • a lower body 20 which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0 and has a lower body mounting portion 23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to be concave downward, and has a rotation shaft 30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rotation shaft 30 fitted into the groove 11a and having an intermittent protrusion 31 intermittent to open the upper body 10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do.
  • the moun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assified into a mounting means for the auxiliary battery function, a mounting means for the air freshener function, and a mounting means for the air cleaning function, and the user may change the mounting means according to the selection.
  • the mounting means for the secondary battery func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capable of being used as a secondary battery carried by the user.
  • (A) further comprises a power input means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vehicle and a power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received power
  • the upper body 10 The upper body 10,
  • a control unit (14) configured between the upper body cover (11) and the upper body base (12) to control input and output of power; And an auxiliary battery 13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between the upper body cover 11 and the upper body base 12 and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the control unit 14, wherein the control unit 14 includes: (i) when the power input means is connected to a vehicle power supply unit (cigar jack) to receive power from the vehicle, the power is controlled to be su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battery 13 and the terminal, and (ii) When the power output means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even if the power input means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vehicle,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13 is controlled to be supplied to the terminal.
  • a vehicle power supply unit cigar jack
  • the upper body 10 The upper body 10,
  • a control unit (14) configured between the upper body cover (11) and the upper body base (12) to control input and output of power; And an air cleaning means (13b)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between the upper body cover (11) and the upper body base (12) and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control unit (14), wherein the control unit (14) (I) When the power input means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and the power output means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it controls so that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input means is supplied to the terminal.
  • the upper body 10 The upper body 10,
  • a control unit (14) configured between the upper body cover (11) and the upper body base (12) to control input and output of power; And a fragrance 13a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between the upper body cover 11 and the upper body base 12, wherein the control unit 14 includes (i) a power input unit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When the power output means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input means is controlled to be supplied to the terminal.
  • the vehicle terminal holder After holding the terminal with one hand, by lifting the upper body with the terminal, by fixing the terminal to the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t is possible to mount the operation with one hand Allows the user to easily mount the terminal, and further has the effect of ensuring safety in vehicle use.
  • the terminal can be charged through the power of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terminal mounting, it is possible to charge in an orderly state unlike when using a conventional vehicle charger, aesthetics This has a neat effect.
  • a sheet of paper with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inserted, it can be used also for phone number notification, and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a parking permit or the like can be used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vehicle glass.
  • the overall height of the vehicle terminal cradle is not only low, but also includes a shock absorbing member, so that the vehicle terminal cradle can be reduced or prevented even when vibration is appli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so that the user who is driving can easily check the terminal.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 1 to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shows a drawing attached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25432.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erminal hold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older that can be installed in a vehicle.
  • the terminal body is lifted by the terminal while the terminal is held, and the terminal is fixed to a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hereby allowing one-handed hand. It is possible to mount the opera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unt the terminal, and further relates to a vehicle terminal holder that can ensure the safety in vehicle use.
  • 1 to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body 10 mainly includes,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put means) and an output (output means).
  • the commercial pow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terminal by using the input (input means) and output (output means), the power of the terminal is insufficient even when using a function that consumes a large amount of power (for example, navigation). You don't have to worry about it.
  • the upper body 10 is composed of the upper body cover 11 and the upper body base 12, located at the top of the configuration and configured to have the overall shape as shown in FIG. do.
  • the upper body 10 may be configured in other forms as long as it can be faithful to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upper body cover 11 which is located at the outermost cor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ove portion 11a so that the pivot shaft 30 to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at one end.
  • the upper body base 12 is located below the upper body cover 11, and the upper body base 1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body cover 11 by screwing.
  • controller 14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upper body base 12 and the upper body cover 11.
  • the controller 14 receives power from the vehicle through an input and controls the power to be outpu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output.
  • an auxiliary battery 13 may be included on the other side between the upper body base 12 and the upper body cover 11, which charges power through the control unit 14.
  • the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may be outpu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output configuration, but may also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battery, which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 if one end of the output is supplied to the terminal.
  • the auxiliary battery which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 if one end of the output is supplied to the terminal.
  • power is supplied to the terminal or the terminal and the auxiliary battery, and when the terminal is not connected, the power is supplied only to the auxiliary battery.
  •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20 is coupled to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a secondary battery while carrying the user.
  • the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40, the rotation base 50, and the adhesive member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used in a state of being bonded to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when the user boards the vehicle, the upper body 10 and By fit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body 20 is coupled to the cradle is mounted on the vehicle.
  • the air freshener 13a or the air cleaning means 13b may be configured instead of the auxiliary battery 13 between the upper body base 12 and the upper body cover 11.
  • FIG. 1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fragrance is configured.
  •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cover 11.
  • the controller 14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charge the terminal.
  • FIG. 1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ir cleaning means 13b is configured, an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cover 11.
  • the air cleaning means 13b employs a conventional small air cleaner that cleans the internal air with negative io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air cleaning means 13b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controller 14, and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be charged.
  • An upper body mounting portion 12a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base 12, and the upper body mounting portion 12a is bent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upper body base 12 to form a groove.
  • the upper body cover 11 may be formed with a groove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upper body mounting portion 12a.
  • the lower body 2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0, the lower body mounting portion 2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haft mounting portion 23 is formed on the opposite end of the rotating shaft 30 ) Is formed.
  • the lower body holder 2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0 to be concav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lower body 20, and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silicon)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Can be applied. This also applies to the upper body mounting portion 12a.
  •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silicon
  • the lower body 20, the coupling guide 21 and the coupling groove 2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 the coupling guide 21 is configured to guide the coupling portion 41 of the pedestal 4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slide coupled, the coupling groove 22 is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42 of the pedestal 40. It is a groove structure formed concave so that 42a may abut.
  • the coupling guide 21 has an advantage of easily sliding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20 to the pedestal 40, in particular the coupling groove 22 and the coupling protrusion (42a) Since the upper body 10 and the lower body 20 coupled to the slide ha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pedestal (40).
  • the lower body 20 and the upper body 10 is rotated about the axis of rotation (30).
  • Rotating shaft 30 is formed so that the intermittent projection 31 protrudes in the upper direction on one side of its outer surface.
  • the intermittent protrusion 31 functions to prevent the upper body 10 from being opened beyond the intermittent protrusion 31 when the upper body 10 is rotated and opened along the rotation shaft 30.
  • a paper insertion member 3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30 into which paper can be inserted.
  • the paper insertion member 32 may be inserted into the paper as shown in Figure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aper can be described a variety of information.
  • a user's telephone number may be described, and the vehic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face the inside direction of the vehicle, such that the paper having the telephone number i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windshield of the vehicle, whereby the vehicle owner You can display your phone number.
  • the configuration of the paper insertion member 32 may be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rotation shaft 30, as another example to form a groove in the rotation shaft 30, the projection on the paper insertion member 32 By forming, the groove and the projection may be connected to be coupled.
  • the rotation shaft 3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ylinder form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body 20, and penetrat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rein.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 This torsion spring 35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one sid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otruding configuration is to be inserted into the sleeve (34).
  • the shaft 33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formed in the rotation shaft 30, and the sleeve 34 can be inserted into the other.
  • the torsion spring 35 is capable of elasticity, thereby allowing the upper body 10 to be opened or closed from the lower body 20.
  • the shaft 33 may be wired therein for input or output use therein.
  •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30 may include a shock absorbing member.
  • a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30 hav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 Such a buffer member is used the same as the adhesive member 60, so that the adhesive function is implemented on the lower surface.
  •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vehicle terminal holder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adhesive member 60 can be fixed horizontally (date), and thus, the terminal holder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vehicle can be fixed horizonta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terminal holder for the vehicle is pushed to the rear.
  •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bration generated by driving the vehicle is applied to the vehicle terminal holder may be severe tremors,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ck absorbing member, because the overall height of the vehicle terminal holder is not high, the vehicle terminal holder is trembling. You can prevent it.
  •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may be provided for the user to selectively use.
  • the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have different heights.
  •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ivot shaft 30, when the user attaches the vehicle termina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end where the bend is formed, such as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the heigh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bend.
  • the vehic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equilibrium.
  • Pedestal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0, the coupling portion 41,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42 and the engaging projection (42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through hole penetrat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43 is formed, and a recessed groove 40a may b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thereof.
  • Coupling portion 4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40, as shown in Figure 1 each corner is configured to protrude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41, it is fitted to the coupling guide 21 to slide.
  • a stopper 41a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rear portion of the coupling part 41, and the stopper 41a may stop the slide movement of the coupling guide 21. It can not be combined and can be sepa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ch is necessary to stop (interrupt) the slide movement by the stopper 41a because there is a danger that the driver who is using the vehicle takes care of the coupling.
  • the auxiliary coupling part 42 is located inside the coupling part 41 and protrudes,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42a protrudes from an upper surface thereof.
  • Coupling projection (42a) is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groove 22 of the lower body 20 to secure the coupling force of the pedestal 40 and the lower body (20).
  • the through hole 43 is formed inside the coupling part 41, and is a hole penetra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40 to the lower surface to assist the coupling with the rotary base 50 to be described later.
  • the pedestal 40 has a concave groove 40a in which a lower surface thereof is concave upward and a concave shape and a convex shape are repea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cave interior.
  • Rotating base 50 is connec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base 40, the insertion protrusion 5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4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43 of the base 40, the rotary base 50 is the The insertion protrusion 51 may be rotated 360 ° about the axis.
  • a plurality of convex protrusions 50a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grooves 40a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portion of the rotary base 50, and the convex protrusions 50a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 the convex protrusion 50a is fastened (locked) to the concave groove 40a of the pedestal 40, so that the rotational base 50 can be rotated by the attraction force, but the rotational base 50 is unnecessarily rotated. To prevent them.
  • the pedestal 40 may further include a rotary groove 44 recessed concave downward in the upper surface thereof.
  • the rotary groove 44 is formed in plur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40, the depth to be recessed is formed so that the rotary groove 44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support 50.
  • the adhesive member 60 is to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ry support 50, so that the vehic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60 is attached to the tape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adsorption (not shown in the figure) to be removed when using.
  • Closing member 70 serves to close one side of the upper body cover 11, which is connected to the shaft 33 of the rotating shaft 30, such a closing member 70 is a hole for connecting the input and output (Not shown) may be formed.
  • the input may be configured as a jack for connecting the vehicle and the vehicle terminal holder as a power input means
  • the output may be configured as a jack for connecting the vehicle terminal holder and the terminal as the power output means.
  • one end of the input may be configured as a conventional vehicle connection structure, the other end may be configured as a connection structure to fit the hole of the closing member (70).
  • one end of the output is composed of a connection structure to fit the hole of the closing member 70, the other end may be configured as a connection structure to fit the terminal charging groov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smartphone, iPhone, pa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로 상부몸체를 들어올린 뒤,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일측에 마련된 거치부에 단말기를 고정함으로써, 한손으로 거치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차량이용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본 발명은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로 상부몸체를 들어올린 뒤,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일측에 마련된 거치부에 단말기를 고정함으로써, 한손으로 거치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차량이용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차량 보급량이 많아짐에 따라 대부분의 유동인구가 차량을 이용하고 있고, 한편으로는 휴대단말기 등(이하, '단말기'로 통칭) 역시 보급량이 많아짐에 따라 남녀노소 불문하고 대부분이 단말기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경우에도 십중팔구는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데, 차량 이용 중 단말기는 대부분 운전자의 주머니 또는 차량 내부의 보관대에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단말기는, 기술 발전에 의해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능을 하기에 이르렀으며 이에 따라 일상생활을 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존재가 되었고, 이로 인해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 역시 네비게이션, 전화, 문자 등의 기능을 위해 운전 중의 주차, 정차 등의 경우에 단말기를 수시로 확인하게 된다.
위 경우, 단말기를 주머니나 차량 내부의 보관대에 보관하는 경우, 단말기 사용을 위해 단말기를 찾고 사용하는 것은, 운전 중인 운전자에게 매우 위험한 행동일 뿐더러, 단말기를 손으로 파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위험한 것은 물론 번거로운 조작이 아닐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가 개발되고 있는데,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565833호에 휴대기기용 거치대가 기재되어 있다.
위에 기재된 기술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장 차에 따라 거치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가능하고, 휴대기기 거치부재에 거치되는 휴대기기가 한 쪽으로 몰리게 거치되거나 차량의 주행중에 전달되는 외부충격에도 거치효율이 반감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주는 휴대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휴대기기(M)를 고정시켜주는 휴대기기 거치부재(100)와; 상기 휴대기기 거치부재(100)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휴대기기 거치부재(100)를 승강안내하여 고정시켜주는 높낮이 조절부재(200)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200)가 연결되는 것으로, 거치하고자 하는 거치 대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진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기재하고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단말기 거치대는 종래 다수 보급되어 있는 형태로서, 사용해보면 단말기 거치조작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a)다양한 단말기의 형태와 크기를 모두 고려하면서도, (b)거치된 뒤 단말기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강한 고정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대부분 단말기를 거치하려면 두손을 모두 이용해야 하는 것이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025432호에는 휴대 통신기기용 거치대가 기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대상면에 부착되는 흡착부재(8)가 하부에 장착되며 일단에는 거치부재(4)와 결합되는 연결부재(6)가 형성된 본체(2); 상기 연결부재(6)에 결합되며 휴대 통신기기가 장착되는 거치부재(4);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는 유선형이면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하며 내부에는 작동대(26)가 결합되고, 작동대(26)에 볼커넥터(267)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재(4)와 연결되며, 상기 볼커넥터(267)와 연결되는 연결부재(6)에 의해 거치부재(4)를 고정시키도록 한 스마트폰 또는 갤럭시탭과 같은 휴대 통신기기를 차량에 거치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휴대 통신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데, 이 역시 거치조작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상술된 2개의 선행기술의 경우, 거치대의 설치 높이가 높아서 차량 운행에 의한 떨림이 거치대에 전달되는 경우, 거치대가 심하게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단말기 조작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하고, 이로 인해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하지 못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단말기를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을 확인하거나, 문자를 확인하는 경우에도 떨림이 전달되어 정보확인 등이 용이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로 상부몸체를 들어올린 뒤,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일측에 마련된 거치부에 단말기를 고정함으로써, 한손으로 거치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차량이용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는, 상부몸체(10), 하부몸체(20) 및 회동축(30)을 포함하는 거치수단; 및 상기 거치수단과 결합되며, 차량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받침대(40); 상기 받침대(40)의 하부에 연결되어, 360°회전 가능한 회전받침대(50); 상기 회전받침대(5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60); 및 상기 상부몸체(10)의 일측을 마감하는 마감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수단은 홈부(11a)가 형성된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기 상부몸체 커버(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몸체 베이스(12)를 포함하는 상부몸체(10);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상면 일측에 하부몸체 거치부(23)가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일단에 회동축(30)이 형성되는 하부몸체(20); 및 상기 홈부(11a)에 끼워지며, 외면 일측에 상부몸체(10)의 개방을 단속하는 단속돌기(31)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회동축(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거치수단은, 보조배터리 기능을 위한 거치수단, 방향제 기능을 위한 거치수단 및 공기청정 기능을 위한 거치수단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거치수단을 교체하여 고정수단에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보조배터리 기능을 위한 거치수단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면서 보조배터리로 활용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는 하기의 (a) 내지 (c)와 같다.
(a)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수단 및 입력받은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10)는,
상기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 사이에 구성되고, 전원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4); 및 상기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 사이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보조배터리(13)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는 (i)전원 입력수단이 차량의 전원공급부(시가잭)과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력을 보조배터리(13) 및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ii)전원 입력수단이 차량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지 않아도 전원 출력수단이 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보조배터리(13)의 전력이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b)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수단 및 입력받은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10)는,
상기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 사이에 구성되고, 전원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4); 및 상기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 사이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공기청정수단(13b)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는 (i)전원 입력수단이 차량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전원 출력수단이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원 입력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c)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수단 및 입력받은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10)는,
상기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 사이에 구성되고, 전원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4); 및 상기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 사이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는 방향제(13a)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는 (i)전원 입력수단이 차량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전원 출력수단이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원 입력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로 상부몸체를 들어올린 뒤,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일측에 마련된 거치부에 단말기를 고정함으로써, 한손으로 거치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차량이용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전원 입력수단 및 전원 출력수단을 더 마련함으로써, 단말기 거치와 함께 차량의 전원을 통해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차량용 충전기를 사용할 때와 달리 정돈된 상태에서의 충전이 가능하므로, 미관이 깔끔해지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소정의 정보가 기재된 종이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전화번호 알림용으로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그 외 주차발급증 등을 차량 유리에 부착하지 않도고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체 높이가 낮을 뿐만 아니라,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있어서, 차량 운전에 따른 진동이 인가되어도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가 떨리는 것을 절감 또는 방지할 수 있어서, 운전 중인 사용자가 단말기 확인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등록특허공보 제10-1565833호에 첨부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등록특허공보 제10-1025432호에 첨부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로 상부몸체를 들어올린 뒤,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일측에 마련된 거치부에 단말기를 고정함으로써, 한손으로 거치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차량이용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를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의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의 구성을 서술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부몸체(10), 하부몸체(20), 회동축(30), 받침대(40), 회전받침대(50), 접착부재(60) 및 마감부재(70)를 주요하게 포함하며, 아울러 input(입력수단) 및 output(출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nput(입력수단) 및 output(출력수단)에 대해 먼저 간략이 설명하면, 종래에는 차량용 충전기를 사용할 때 선의 길이가 길어 운전의 방해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하는데 걸리적 거리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input(입력수단) 및 output(출력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단말기에 지속적으로 상용전원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전원소비가 큰 기능(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등)을 사용할 때에도 단말기의 전원이 부족한 것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을 부연하면, 먼저 상부몸체(10)는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로 구성되는 것으로, 구성의 최상단에 위치되며 도 1과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자동차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부몸체(10)의 형태는 본 명세서에 따른 구성에 충실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부몸체 커버(11)는, 본 발명의 최 외각에 위치되는 것으로, 일단에 후술될 회동축(30)이 위치될 수 있도록 홈부(11a)를 포함한다.
상부몸체 베이스(12)는 상부몸체 커버(11)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 상부몸체 베이스(12)는 상부몸체 커버(11)와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몸체 베이스(12)와 상부몸체 커버(11) 사이에는 제어부(14)가 수용될 수 있다.
제어부(14)는 input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output을 통해 전력을 단말기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 상부몸체 베이스(12)와 상부몸체 커버(11) 사이의 다른 일측에 보조배터리(1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제어부(14)를 통해 전력을 충전한다.
즉,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output 구성을 통해 전력이 단말기로 출력될 수도 있으나, 보조배터리로 공급될 수도 있고, 이는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는 것으로, 만일 output의 일단이 단말기에 연결된 경우 단말기 또는 단말기와 보조배터리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고, 단말기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보조배터리로만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가 결합된 형태의 구성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면서 보조배터리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만, 후술되는 받침대(40)-회전받침대(50)-접착부재(60)의 구성은 차량의 내부 일측에 접착된 상태로 사용하였다가,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상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가 결합된 형태의 구성을 끼움으로써 거치대를 차량에 거치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부몸체 베이스(12)와 상부몸체 커버(11) 사이에 보조배터리(13) 대신 방향제(13a) 또는 공기청정수단(13b)이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1a 및 도 1b를 통해 설명한다.
먼저, 도 1a는 방향제가 구성된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부몸체 커버(11)의 상면에 복수의 홈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제(13a)가 포함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홈을 통해 차량 내부의 방향기능이 가능하다.
이때에도 제어부(14)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단말기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b는 공기청정수단(13b)이 구성된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이 경우에도 상부몸체 커버(11)의 상면에 복수의 홈이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공기청정수단(13b)은 음이온으로 내부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종래의 소형 공기청정기를 채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공기청정수단(13b)은 제어부(1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되며, 이 경우에도 단말기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몸체 베이스(12)의 하면 일측에는 상부몸체 거치부(12a)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상부몸체 거치부(12a)는 상부몸체 베이스(12)의 상부방향으로 굴곡져 홈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몸체 커버(11) 역시 상기 상부몸체 거치부(12a)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몸체(20)는 상부몸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 하부몸체 거치부(23)가 형성되고, 하부몸체 거치부(23)가 형성된 일단의 반대 일단에 회동축(30)이 형성된다.
하부몸체 거치부(23)는 하부몸체(2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몸체(20)의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외면에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예를 들어, 실리콘 등)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부몸체 거치부(12a)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로 인해 단말기를 거치하는 경우, 단말기의 스크래치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20)는, 그 하면에 결합가이드(21) 및 결합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가이드(21)는, 후술될 받침대(40)의 결합부(41)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이며, 결합홈(22)은 받침대(40)의 보조결합부(42)의 결합돌기(42a)가 맞닿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홈 구성이다.
이에 따라 결합가이드(21)에 의해 상부몸체(10) 및 하부몸체(20)를 받침대(40)에 쉽게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결합홈(22)이 상기 결합돌기(42a)와 맞닿기 때문에 슬라이드 결합된 상부몸체(10) 및 하부몸체(20)가 받침대(4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하부몸체(20)와 상부몸체(10)는 회동축(30)을 축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회동축(30)은 이의 외면 일측에 단속돌기(31)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단속돌기(31)는 상부몸체(10)가 회동축(30)을 따라 회동되어 개방되는 경우, 상부몸체(10)가 단속돌기(31)를 넘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회동축(30)의 다른 외면 일측에는 종이가 삽입될 수 있는 종이삽입부재(32)가 형성된다.
이러한 종이삽입부재(32)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 2에서와 같이 종이가 삽입될 수 있는데, 상기 종이에는 다양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기재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가 차량의 내부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함으로써, 전화번호가 기재된 상기 종이가 차량의 전면 유리창 방향에 위치되어, 차량 소유자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종이삽입부재(32)의 구성은, 회동축(30)에 부착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다른 일예로서 회동축(30)에 홈을 형성하고, 종이삽입부재(32)에 돌기를 형성하여, 홈과 돌기가 연결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회동축(30)은,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하부몸체(2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기둥의 형태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관통된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축(30)은, 축(33), 슬리브(34) 및 토션스프링(35)을 포함하는데, 축(33)은 일단이 회동축(30)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이 상부몸체(10)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몸체(10)에 연결되는 축(33)의 일측에는 토션스프링(35)이 끼워져, 인력이 가해지면 상부몸체(10)가 회동되고, 인력이 제거되면 상부몸체(10)가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한다.
이러한 토션스프링(35)은 첨부된 도면과 같이 일측이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된 구성은 슬리브(34)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회동축(30)에 형성된 복수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축(33)이 삽입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에 슬리브(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35)이 탄성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되고, 이로 인해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그리고 상기 축(33)은 그 내부에 input 또는 output 사용을 위한 전선이 배선될 수 있다.
상술된 회동축(30)의 하면 일측에는 완충부재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완충부재가 구성되는 회동축(30)의 하면 일측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완충부재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완충부재는 접착부재(6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되, 하면에 접착기능이 구현되도록 한다. 또한 완충부재는 상기 접착부재(60)를 통해 차량의 내부 일측에 고정된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가 수평(일자)으로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구성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를 차량의 내부 일측에 고정하는 경우 수평 고정이 가능하고,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이 운전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이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에 인가되는 경우 떨림이 심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의 전체 높이가 높지 않기 때문에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가 떨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완충부재를 복수 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완충부재는 각기 다른 높이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완충부재가 회동축(3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차량의 대쉬보드와 같이 굴곡이 형성된 곳에 본 발명의 차량용 단말 거치대를 부착할 경우 굴곡에 맞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는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받침대(40)는 하부몸체(2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결합부(41), 보조결합부(42) 및 결합돌기(42a)가 형성되고,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관통된 관통홀(43)이 형성되며, 그 하면에 오목홈(4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결합부(41)는 받침대(4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1과 같이 각 모서리가 결합부(41)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결합가이드(21)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부(41)의 후방측 일단에는 스토퍼(41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토퍼(41a)에 의해 결합가이드(21)의 슬라이드 이동이 멈추도록 할 수 있으며, 만약 슬라이드 이동을 멈추지 못한다면 오히려 결합이 안되고 반대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는 차량을 사용 중인 운전자가 신경 써가며 결합하기에는 위험함이 있기 때문에 스토퍼(41a)에 의한 슬라이드 이동의 멈춤(단속)이 필요한 것이다.
이로 인해 결합가이드(21)가 결합부(41)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결합부(42)는 결합부(41)의 내부에 위치되어 돌출된 것으로, 이의 상면에 결합돌기(42a)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결합돌기(42a)는 하부몸체(20)의 결합홈(22)에 맞닿아 받침대(40)와 하부몸체(20)의 결합력을 견고히 한다.
관통홀(43)은 결합부(41)의 내부에 형성되고, 받침대(4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된 홀로서, 후술될 회전받침대(50)와의 결합을 돕는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르면 받침대(40)는, 그 하면이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오목한 내부의 내주면을 따라 오목형상과 볼록형상이 반복되는 오목홈(40a)이 형성된다.
회전받침대(50)는 받침대(40)의 하부방향에서 연결되는 것으로, 이의 상면에 돌출된 삽입돌기(51)가 받침대(40)의 관통홀(43)을 관통하여, 회전받침대(50)가 상기 삽입돌기(51)를 축으로 360°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받침대(50)의 측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목홈(40a)에 대응되는 볼록돌기(50a)가 복수 개 형성되는데, 상기 볼록돌기(50a)는 일정간격을 갖으며 형성된다.
이러한 볼록돌기(50a)는 받침대(40)의 오목홈(40a)에 체결(걸림)되는 것으로, 인력에 의해 회전받침대(50)가 회전은 가능하도록 하되, 회전받침대(50)가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받침대(40)는 그의 상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회전홈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홈부(44)는 받침대(40)의 상면에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함몰되는 깊이는 회전받침대(50)의 상면에 회전홈부(44)가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이는 만약에 받침대(40)와 회전받침대(50)가 면 접촉되어 회전되는 경우 마찰력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회전홈부(44)에 의해 받침대(40)와 회전받침대(50)의 마찰면적을 절감함으로써(점 접촉),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접착부재(60)는 회전받침대(50)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가 차량의 내부 일측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접착부재(60)의 외면에는 이물질 흡착 방지용 테이프(도면에 미도시)가 부착되어 있다가 사용시 제거되도록 한다.
마감부재(70)는 상부몸체 커버(11) 중, 회동축(30)의 축(33)과 연결되는 일측을 마감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마감부재(70)는 input 및 output이 연결되기 위한 홀(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input은 전원 입력수단으로서, 차량과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를 연결하는 잭(jack)으로 구성될 수 있고, output은 전원 출력수단으로서,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잭(ja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input은 일단이 통상적인 차량용 연결구조로 구성되고, 다른 일단이 마감부재(70)의 홀에 맞는 연결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output은 일단이 마감부재(70)의 홀에 맞는 연결구조로 구성되고, 다른 일단이 단말기 충전홈(스마트폰, 아이폰, 패드 등에 따라 구성)에 맞는 연결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Claims (16)

  1. 상부몸체(10), 하부몸체(20) 및 회동축(30)을 포함하는 거치수단; 및
    상기 거치수단과 결합되며, 차량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받침대(40);
    상기 받침대(40)의 하부에 연결되어, 360°회전 가능한 회전받침대(50);
    상기 회전받침대(5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재(60); 및
    상기 상부몸체(10)의 일측을 마감하는 마감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홈부(11a)가 형성된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기 상부몸체 커버(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몸체 베이스(12)를 포함하는 상부몸체(10);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상면 일측에 하부몸체 거치부(23)가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일단에 회동축(30)이 형성되는 하부몸체(20); 및
    상기 홈부(11a)에 끼워지며, 외면 일측에 상부몸체(10)의 개방을 단속하는 단속돌기(31)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회동축(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수단 및 입력받은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10)는,
    상기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 사이에 구성되고, 전원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4); 및
    상기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 사이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보조배터리(13)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는,
    -전원 입력수단이 차량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력을 보조배터리(13) 및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전원 입력수단이 차량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지 않아도 전원 출력수단이 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보조배터리(13)의 전력이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수단 및 입력받은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10)는,
    상기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 사이에 구성되고, 전원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4); 및
    상기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 사이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4)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공기청정수단(13b)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는,
    -전원 입력수단이 차량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전원 출력수단이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원 입력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5. 청구항 2에 있어서,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수단 및 입력받은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몸체(10)는,
    상기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 사이에 구성되고, 전원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4); 및
    상기 상부몸체 커버(11) 및 상부몸체 베이스(12) 사이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는 방향제(13a)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는,
    -전원 입력수단이 차량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전원 출력수단이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원 입력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단말기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30)은,
    그의 일측에 종이가 삽입될 수 있는 종이삽입부재(3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 베이스(12)는,
    그의 하면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몸체 거치부(1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부몸체 거치부(12a) 및 하부몸체 거치부(23)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그 외면에 플렉시블한 재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9. 청구항 2에 있어서,
    받침대(40)는,
    그의 상면에 형성되고 각 모서리가 결합부(41)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받침대(41);
    상기 받침대(41)의 일측에 구성된 스토퍼(41a);
    상기 결합부(41)의 내부에 위치되어 돌출되되 상면에 결합돌기(42a)가 돌출된 보조결합부(42); 및
    상기 결합부(41)의 내부에 형성되고 받침대(4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는 관통홀(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하부몸체(20)는,
    그의 하면 일측에 상기 결합부(41)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가이드(21); 및
    그의 하면 다른 일측에 상기 결합돌기(42a)가 맞닿는 결합홈(22);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가이드(21)는,
    상기 스토퍼(41a)에 의해 슬라이드 결합이 제한되고,
    상기 하부몸체(20)와 받침대(40)는,
    상기 결합가이드(21)와 결합부(41)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결합홈(22)에 상기 결합돌기(42a)가 맞닿음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11. 청구항 9에 있어서,
    회전받침대(50)는,
    상기 받침대(40)의 관통홀(43)을 관통하는 삽입돌기(51);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회전받침대(50)는 상기 삽입돌기(51)를 축으로 360°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0)는,
    그 하면이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오목한 내부의 내주면을 따라 오목형성과 볼록형상이 반복되는 오목홈(40a)이 형성되고,
    그의 상면에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회전홈부(44)가, 상기 회전받침대(50)의 상면에 맞닿도록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회전받침대(50)는,
    그의 측부 외주면에 상기 오목홈(40a)에 대응되는 볼록돌기(50a)가 일정간격을 갖으며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볼록돌기(50a)가 오목홈(40a)에 걸리도록 하되,
    상기 받침대(40)와 회전받침대(50)는,
    점 접촉하여 마찰력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30)은,
    상기 하부몸체(2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기둥의 형태로 구성되되,
    그 내부에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30)은,
    일단이 상기 회동축(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며, 다른 일단이 상부몸체(10)에 연결되는 축(33);
    상기 상부몸체(10)에 연결되는 축(33)의 일측에 끼워지는 토션스프링(35); 및
    일단에 상기 토션스프링(35)의 일단이 삽입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홈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슬리브(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15. 청구항 8에 있어서,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상부몸체 거치부(12a)를 밀어올린 뒤, 상기 단말기를 하부몸체 거치부(23)에 끼움으로써, 한손으로 단말기 거치가 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1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30)의 하면 일측에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PCT/KR2016/009683 2016-06-09 2016-08-31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WO201721330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406 2016-06-09
KR1020160071406A KR101693148B1 (ko) 2016-06-09 2016-06-09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13301A1 true WO2017213301A1 (ko) 2017-12-14

Family

ID=5783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9683 WO2017213301A1 (ko) 2016-06-09 2016-08-31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3148B1 (ko)
WO (1) WO2017213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721B1 (ko) * 2018-11-14 2019-01-14 (주)파워캐스트 차량용 무선 충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616Y1 (ko) * 2001-06-05 2001-10-22 주식회사 엠아이테크솔루션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20130142451A (ko) * 2012-06-19 2013-12-30 이용화 차량용 다기능 공기 청정기
KR200475220Y1 (ko) * 2014-04-14 2014-11-13 주식회사 벨룩스 차량용 거치대
KR101488251B1 (ko) * 2013-10-16 2015-01-30 이인선 단말기 거치대
KR101550266B1 (ko) * 2014-09-25 2015-09-07 최의승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더형 차량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432B1 (ko) 2010-12-20 2011-03-28 이동엽 휴대 통신기기용 거치대
KR101565833B1 (ko) 2015-04-03 2015-11-05 톤 레이아웃 엘엘씨 휴대기기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616Y1 (ko) * 2001-06-05 2001-10-22 주식회사 엠아이테크솔루션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20130142451A (ko) * 2012-06-19 2013-12-30 이용화 차량용 다기능 공기 청정기
KR101488251B1 (ko) * 2013-10-16 2015-01-30 이인선 단말기 거치대
KR200475220Y1 (ko) * 2014-04-14 2014-11-13 주식회사 벨룩스 차량용 거치대
KR101550266B1 (ko) * 2014-09-25 2015-09-07 최의승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더형 차량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148B1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46024A1 (ko) 차량용 무선충전 거치대
WO2013165053A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
WO2023027213A1 (ko) 크래들 및 휴대용 음향기기
WO2015088192A1 (ko) 차량용 거치 장치
WO2016186284A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WO2015152461A1 (ko) 휴대용 충전장치
WO2017007069A1 (ko) 차량 핸들에 설치되는 휴대폰 거치대
WO2019135609A1 (ko) 모바일기기용 펜홀더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기기 케이스
WO2014007457A1 (ko) 휴대폰 케이스
WO2017213301A1 (ko)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WO2020184765A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WO2015093881A1 (ko) 배터리 교체 도어가 부착된 배터리커버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WO2016143926A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WO2019151565A1 (ko) 송풍구 고정형 휴대전화 거치대
EP380805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ealing structure
WO2016088945A1 (ko) 휴대기기 케이스
WO2023003371A1 (ko) 단말기 거치대
WO2021002563A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WO2019107744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17179765A1 (en) Battery charger and battery pack
WO2017179771A1 (en) Portable keyboard
WO2018147523A1 (ko) 차량용 사용자 단말의 거치대
WO2014163277A1 (ko) 이종의 단자를 구비하는 메모리장치
WO2021201512A1 (ko)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는 전자 장치
WO2015064852A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047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6/04/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0473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